KR101809965B1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9965B1 KR101809965B1 KR1020160181381A KR20160181381A KR101809965B1 KR 101809965 B1 KR101809965 B1 KR 101809965B1 KR 1020160181381 A KR1020160181381 A KR 1020160181381A KR 20160181381 A KR20160181381 A KR 20160181381A KR 101809965 B1 KR101809965 B1 KR 101809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othes
- fragrance
- rotating lid
- space
- main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상기 의류에 방향 처리를 수행하는 방향 처리부를 구비하며, 이에 따라 의류 처리시 처리되는 의류에 방향(aroma)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시 처리되는 의류에 방향(aroma) 효과를 부여할수 있도록 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사용된 의류에 열과 수분을 가하여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칭하여 말하는 것이다.
한편,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처리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열풍에 의한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용공간으로 공급된 열풍을 순환시켜 다시 재 가열하고, 이를 다시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순환시스템으로 의류를 처리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들은 단순히 의류의 건조, 주름 제거 등의 기능에 단순화 되어 있어,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제품 만족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의류 처리시 처리되는 의류에 방향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상기 의류에 방향 처리를 수행하는 방향 처리부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캐비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는 수용공간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방향 처리부는 상기 수용공간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처리부가 설치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은 상기 방향 처리부가 함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합입되는 형상의 장착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방향 처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의 작동에 따라 향기를 개방하는 방향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덮개와,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덮개의 회동에 따라 노출 및 차폐되는 방향제 삽입그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덮개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회동덮개를 상기 몸체부 측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주동캠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덮개에는 상기 주동캠에 대응되는 종동캠이 마련되어 상기 주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덮개의 개폐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은 접철 가능하고 메쉬 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한쌍의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면체 사이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슬라이스 방향제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에 유동을 발생시키는 무빙행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무빙행어는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와, 상기 행어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부를 회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행어바를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여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매의 잠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냉매를 상변환시키는 팽창밸브를 구비하는 히트 펌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수분발생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마련되며, 상기 기계실은 상기 기계실을 개폐하는 기계실 도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 도어에는 상기 수분공급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방향처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힌지결합하는 회동덮개와, 상기 회동덮개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덮개의 개방 시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방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제는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하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방향제가 착탈 가능한 방향제 삽입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은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처리부는 상기 회동덮개에 구비되는 종동캠과, 상기 종동캠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회전 가능한 주동캠과, 상기 주동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동캠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속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주동캠에 구비되는 돌기수용홈과, 상기 돌기수용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동덮개가 구비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는 상기 주동캠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주동캠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주동캠 수용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수용홈은 상기 회동덮개가 닫힌 경우 상기 돌기의 일단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수용홈은 상기 회동덮개가 열린 경우 상기 돌기의 타단과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주동캠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기 주동캠의 돌기수용홈이 상기 돌기와 접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처리부는 상기 회동덮개가 힌지결합하는 몸체부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부가 착탈 가능한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초기위치)로 상기 회동덮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전원공급단계에 이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된 경우에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된 경우 상기 방향모듈을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방향모듈을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방향제를 상기 의류수용공간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방향모듈을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회동덮개의 개방시점이 기 설정된 의류처리코스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설정시점에 상기 방향제가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향을 공급하는 단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의류 처리시 처리되는 의류에 방향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소비자의 제품 만족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방향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동캠과 주동캠 수용홈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정상적 조건 및 정상조건에서의 주동캠의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방향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동캠과 주동캠 수용홈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비정상적 조건 및 정상조건에서의 주동캠의 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 및 부호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캐비닛 형상의 건조공간을 갖는 캐비닛 건조기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먼저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캐비닛(200)과, 외부캐비닛(2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20)이 형성하는 내부캐비닛(300), 내부캐비닛(300) 내측 상부에 마련되어 의류가 거치되는 무빙행어(600)와, 수용공간(320)으로 건조공기, 열풍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는 공기공급장치(410), 수용공간(320)으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420)와, 수용공간(320)의 내측으로 처리되는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기 위한 방향 처리부(500)와 각 구성부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214, 도 5 참조)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캐비닛(200)의 내측 상부에는 수용공간(320)을 형성하는 내부캐비닛(3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외부캐비닛(200)의 내측 하부에는 공기공급장치(410) 및 수분발생장치(420)가 설치되는 기계실(4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외부캐비닛(200)에는 내부캐비닛(3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을 폐쇄하기위한 수용공간 도어(210)가 구비된다. 수용공간 도어(210)의 외측에는 의류처리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마련된다.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측 공간부에는 컨트롤 패널과 연계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214)을 구비한다.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측에는 별도의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고정행어(211)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캐비닛(300)은 외부캐비닛(200)의 내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0)을 형성한다. 수용공간(320)은 수용공간 도어(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차단된다. 수용공간(320)의 상부에는 의류를 거치하기 위한 무빙행어(600)가 구비된다. 또한, 수용공간(320)에는 의류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내부캐비닛(300)의 하부에는 공기공급장치(410)에서 공급되는 공기 및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330)와, 공기공급부(330)에서 공급되어 의류를 처리한 공기 및 열풍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흡입하는 공기흡입부(340)가 마련된다. 공기공급부(330)와 공기흡입부(340)는 후술할 기계실(400)의 공기공급장치(410)와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무빙행어(600)는 공기, 열풍, 수분, 미스트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 의류로의 공급이 원활하도록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무빙행어(600)는 의류에 소정의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하여 의류의 리프레쉬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무빙행어에 대하여 첨부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빙행어(600)는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610)와, 행어바(6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630)와, 한쌍의 지지부(630)를 회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수용공간(32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620)와 고정부(620)에 구비되어 행어바(610)를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부(640)가 구비된다.
행어바(610)는 양단이 지지부(630)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옷걸이가 거치되기 위한 다수의 걸림홈(612)이 형성된다. 또한 행어바(6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동력변환부(650)가 결합된다.
고정부(620)는 양측에 각 지지부(630)가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측에는 구동부(640), 하측에는 동력변환부(650)가 설치된다.
구동부(640)는 모터(642)와, 모터(642)에서 제공되는 회전운동을 동력변환부(65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644)를 구비한다. 동력전달부(644)는 모터(642)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부(644a), 동력전달부(644a)와 벨트(644b)로 연결되는 종동풀리(644c) 및 종동풀리(644c)의 중심에 결합하는 회전축(644d)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변환부(650)는 구동부(640)의 회전운동을 수평방향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행어바(6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동력변환부(650)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편심회전축(652)과, 행어바(6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편심회전축(652)의 단부가 삽입되는 슬롯(656)이 형성되는 슬롯부(654)를 구비한다. 여기서 슬롯부의 슬롯은 행어바(6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모터(642)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전달부(644)에 의해 모터(642)의 회전력이 동력변환부(650)로 전달된다. 이에 동력변환부(650)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편심회전축(652)에 의해 슬롯부(654)에 전달된다. 여기서 편심회전축(652)의 단부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운동을 한다.
한편, 슬롯부(654)는 행어바(610)와 지지부(630)에 의해 그 이동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슬롯(656)은 편심회전축(652)의 단부가 원운동을 하더라도 수평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슬롯(656)에 결합된 행어바(610)는 수평방향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계실(400)은 수용공간(320) 내부로 공기, 열풍, 스팀, 미스트 등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계실(40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3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공기공급장치(410) 및 수분발생장치(420) 등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 도어(210)와 별도로 기계실을 폐쇄하도록 기계실 도어(440)가 추가로 마련된다.
한편, 기계실(400)이 수용공간(3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320)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40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하 첨부한 도 4를 참고하여 기계실(40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분발생장치(420) 및 공기공급장치(41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각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한편 공기공급장치(410)는 기계실(4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가열 및 제습하여 수용공간(320)으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410)의 일측에는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420)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410)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이용하는 히트펌프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습하게 된다. 이에 공기공급장치(410)의 일측에는 수분발생장치(420)와, 공기공급장치(41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수하거나 수분발생장치(420)로 재급수하기 위한 응축수배수장치(430)를 구비한다.
한편 이러한 공기공급장치(4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412)와, 압축기(412)에 의해 응축된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414)와, 열교환기(414)를 통과하는 공기(또는 열풍)을 수용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송풍덕트(416)와,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덕트(418)를 구비한다. 여기서 송풍덕트(416)와 흡입덕트(418)는 상술한 수용공간(320)의 공기공급부(330)와 공기흡입부(340)에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열교환기(414)의 내부에는 응축기(미도시)와 증발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열교환기(414) 내부에서는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를 이용한 공기공급장치(4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공급장치(410)에 의해 수용공간(320)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저온 건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의류의 리프레쉬 또는 건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고온에 의해 의류에 변형 또는 파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41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공기공급장치(410)에 의해 수용공간(320)의 공기가 공기흡입부(340) 및 흡입덕트(418)를 통하여 열교환기(414)로 유입되고, 열교환기(414)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414)의 증발기 및 응축기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송풍덕트(416)에 마련되는 송풍팬(미도시)에 의해 공기공급부(330)를 통하여 수용공간(32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흡입부(340)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340)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320)에서 기계실(40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320)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분발생장치(420)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0)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수분발생장치(42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320)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분발생장치(42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40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급수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급수탱크는 바람직하게 기계실 도어(440)의 내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급수탱크를 기계실 도어(44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분발생장치(42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미도시) 및 스팀노즐(미도시)을 통해 수용공간(320)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400)이 수용공간(3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은 기계실(400)의 상부, 즉 수용공간(320)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40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은 기계실(40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40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공기공급장치(410) 및 수분발생장치(42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40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방향 처리부(50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수용공간에서 처리되는 의류에 향기를 부가하도록 마련된다. 방향 처리부(500)는 수용공간(320)을 폐쇄하는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방향 처리부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캐비닛(300)과 수용공간 도어(210) 어디에나 설치 가능하다.
한편, 방향 처리부(50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 도어(210)(또는 내부캐비닛(300)의 소정부 등)에는 방향 처리부(500)의 설치를 위항 장착공간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공간부(212)는 방향 처리부(500)를 함입된 상태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방향 처리부(500)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별도의 장착공간부(212)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방향 처리부(500)에 대하여 첨부한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방향 처리부(5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처리부(50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처리부(500)는 수용공간 도어(210)에 형성된 장착공간부(212)에 결합되어 방향 처리부(5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장착부(510)와, 장착부(510)에 설치되어 향기를 발생시키는 방향 모듈(520)을 구비한다.
장착부(510)는 수용공간 도어(210)의 장착공간부(2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부(510)의 내측, 즉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부에는 상술한 제어유닛(214)이 위치할수 있다. 장착부(510)의 중앙부에는 수용공간 도어(210)의 내측으로 함입되어 방향 모듈(520)이 합입되어 설치되도록 한 함입부(511)가 형성된다. 함입부(511)의 하부에는 방향 모듈(520)을 개폐하기 위한 모터(512)와 모터(512)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주동캠(513)이 마련된다.
방향 모듈(520)은 장착부(510)의 함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부(523)와, 몸체부(5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덮개(527)와, 회동덮개(52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덮개(527)의 회동에 따라 노출 및 차폐되는 방향제 삽입그릴(522)을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부(523)는 장착부(510)의 함입부(511) 함입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측이 함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부 소정부에는 함입부(51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한 걸림돌기(523a)를 구비한다.
몸체부(523)의 하측에는 회동덮개(527)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축(514)과, 회전축(514)이 결합되는 회전축홈(525), 회전축(524)에 마련되어 회동덮개(527)가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스프링(526)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동덮개(527)는 몸체부(523)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폐쇄시 몸체부(523)와 회동덮개(527) 사이의 공간을 형성한다. 회동덮개(527)의 내측면에는 방향제 삽입그릴(52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덮개(527)의 하부에는 장착부(510)에 마련되는 주동캠(513)에 대응되는 위치로 종동캠(529)이 마련된다. 회동덮개(527)는 주동캠(513)이 180도로 회전될 경우 주동캠(513)과 종동캠(529)의 작동에 의해 스프링(52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회동덮개(527)는 주동캠(513)이 360도 회전(또는 반대 방향의 180도로 회전)될 경우 스프링(526)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방향제 삽입그릴(522)은 접철 가능한 한쌍의 면체로 형성된다. 접철되는 각 면체 사이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521)가 삽입된다. 방향제(521)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얇은 형태의 슬라이스 방향제(521)로 마련된다. 또한 각 면체에는 방향제(521)의 향기가 방출되도록 메쉬 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처리부의 작동에 첨부한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방향 처리부(500)의 작동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어유닛(214)의 제어 또는 사용자의 수동제어에 따라 작동 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처리부(500)의 작동 설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방향 처리부(500)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에는 방향 모듈(520)의 회동덮개(527)가 몸체부(523)에 마련되는 스프링(526)의 탄성력에 의해 몸체부(523) 측으로 회동된다. 이에 몸체부(523)와 회동덮개(527) 사이의 밀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덮개(527)에 장착된 방향제 삽입그릴(522)의 방향제(521)는 몸체부(523)와 회동덮개(527) 사이의 밀폐공간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방향 처리부(500)가 작동될 경우에는 장착부(510)에 마련되는 모터(512)가 회전되면서 모터(512)의 주동캠(513)과 회동덮개(527)의 종동캠(529)의 작용에 의해 회동덮개(527)가 회동되면서 몸체부(523)와 회동덮개(527) 사이에 형성된 밀폐공간이 개방된다. 이에 회동덮개(527)에 장착된 방향제 삽입그릴(522)이 개방되고 방향제(521)의 향기가 방출된다. 이렇게 방출되는 향기는 의류가 처리되는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수용공간 내의 의류에 방향 효과를 부여 할 수 있다.
한편 방향제(521)의 교체는 우선적으로 회동덮개(527)를 개방하고, 회동덮개(527)에서 방향제 삽입그릴(522)을 분리한다. 이후 접철된 방향제 삽입그릴(522)을 벌려 사용된 방향제(521)를 새로운 방향제(521)로 교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정전과 같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이 중단된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회동덮개가 열린 상태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후 의류처리장치를 재 작동시킬 때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술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도 12는 상술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11을 통해 상술한 효과 구현을 위한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향처리부(500)는 도 1 내지 8에 개시된 방향처리부의 구성에 더해 구속수단(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방향처리부(500)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20) 일면에 구비되는 장착부(510), 상기 장착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향기를 선택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방향모듈(520) 뿐만 아니라 방향모듈에 구비된 회동덮개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수단(531, 5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510)는 수용공간(320)에 방향모듈(52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 어느 위치라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0)에 구비된다면 방향처리부(500)의 보수 및 방향제의 교체에 유리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장착부(510)는 방향모듈(520)이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성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은 상기 방향모듈이 상기 수용공간에 직접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장착부(510)에는 함입부(511)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방향모듈(520)이 상기 함입부에 함입됨으로써 수용공간의 내주면 또는 도어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방향모듈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함입부(511)에는 방향모듈(520)의 모터(512)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캠(513)이 구비되며, 상기 주동캠은 주동캠 수용홈(514)에 수용됨으로써 함입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512)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5121)에 연결된 주동캠은 상기 주동캠 수용홈에 삽입된 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향모듈(520)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부(510)의 함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몸체부(523)와, 몸체부(52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덮개(527)와, 회동덮개(52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덮개(527)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20)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방향제(521)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방향제 삽입그릴(522)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향제(512)는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522)은 도 5에 개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덮개(527)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향제 삽입그릴(522)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동덮개(527)은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523)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주동캠(513)에 의해 선택적으로 방향제(521)를 수용공간 내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덮개를 몸체부(523)에 힌지결합시키기 구조는 도 6에 개시된 바 있는 회전축(524), 회전축홈(525), 스프링(526) 및 상기 주동캠(513)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종동캠(529)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종동캠(529)은 상기 주동캠(51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회동덮개(527)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동캠과 종동캠의 형상은 상기 주동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동캠에 의해 상기 회동덮개가 수용공간 내부로 방향제를 노출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주동캠(513)은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종동캠은 상기 주동캠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동캠(513)이 일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상기 회동덮개는 방향제를 수용공간에 노출시키게 되고, 주동캠이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거나 상기 일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방향제를 몸체부(523) 방향으로 이동시켜 방향제가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막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주동캠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구속수단(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수단(530)은 상기 주동캠이 기 설정된 초기위치와 최종위치에 정확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즉, 상기 회동덮개가 설정된 각도보다 적게 개방될 경우 수용공간으로 향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 및 설정각도보다 적게 닫혀 필요없이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회동덮개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정상적 조건(정전이나 전원코드가 뽑힌 경우 등)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뒤 사용자가 의류처리코스를 입력할 경우 회동덮개가 필요없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즉, 상기 회동덮개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방향제가 수용공간에 노출된 상태에서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중단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이 경우, 상기 비정상적 조건이 해소되면 의류처리장치로 전원이 다시 공급될 것이고, 사용자는 원래 진행하려했던 의류처리코스 또는 새로운 의류처리코스를 입력하여 의류를 처리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의류처리코스가 다시 진행될 때 회동덮개가 열린 상태에 있으면 모터가 기 설정된 각도(예 180도)만큼 주동캠을 회전시켜 회동덮개를 개방할 것이므로 설정된 회동덮개의 개방상태보다 작은 각도로 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 7 내지 8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주동캠은 180도 회전하였을때 회동덮개가 가장 큰 각도로 개방되나 180도를 초과하여 회전하면 회동덮개가 닫히기 때문이다.
물론,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전 회동덮개의 개폐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을 통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센서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수단은 회동덮개의 개폐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을 의류처리장치에 구비하지 않고도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비된 구성이며, 이 경우 상기 주동캠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 일방향으로 회전되나 상기 주동캠이 기 설정된 초기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속수단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어 회동덮개의 초기위치를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은 비정상적 조건의 해소 후 사용자가 선택하는 의류처리코스에 향공급 단계가 필요없는 경우나,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코스가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후 특정시점(예, 의류처리코스의 실시 후 수분 후, 의류처리장치의 동작완료 수분 전 등)에 의류에 향을 제공하도록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의도한 의류처리코스를 달성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모터의 제어가 필요하며 자세한 설명은 제어방법에 관한 도 12의 설명에서 부연한다.
한편, 상기 구속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동캠 수용홈(514)에 구비된 돌기(531), 상기 주동캠에 구비되되 상기 돌기(531)가 수용되는 돌기수용홈(533)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동캠이 180도 회전한 경우 회동덮개가 완전히 열리도록 설계된 예를 통해 설명하면, 상기 돌기(531)와 돌기수용홈(533)의 형상은 상기 주동캠이 180도의 회전범위 내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수용홈(53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0도에서 시계방향 270도까지 상기 돌기(531)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상기 돌기(531)는 상기 돌기수용홈(533)의 0도에서 90도 범위를 차지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동캠(51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돌기수용홈의 일단은 상기 돌기의 일단과 접하게 되어 상기 주동캠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상기 주동캠이 최종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동캠이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면 상기 돌기수용홈의 타단은 상기 돌기의 타단과 접하게 되므로 상기 주동캠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어부는 상기 주동캠이 초기위치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회동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상기 주동캠(513)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덮개가 초기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회동덮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주동캠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덮개가 설정된 각도만큼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회동덮개가 설정된 각도보다 적게 개방되는 문제나, 상기 회동덮개가 덜 닫혀 방향제가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회동덮개가 개방된 채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멈춘 경우 상기 회동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구속수단과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회동덮개가 최종위치까지 이동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가 주동캠(513)을 제어하는 개념도이다.
도 11(a)는 주동캠(513)이 초기위치와 최종위치 사이를 정상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회동덮개가 최종위치에 있는 동안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정지한 경우나 회동덮개가 열리거나 닫히는 과정에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경우 상기 주동캠의 위치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을 것이다.
이 경우, 정전과 같은 비정상적 조건이 해소된 뒤 의류처리장치를 재가동시키면 상기 회동덮개가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므로 이후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를 재작동시킬 경우 방향처리부의 제어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비정상적 조건이 해소된 뒤 의류처리장치를 재가동할 경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회동덮개를 최종위치까지 개방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도 11(d)).
도 12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정전과 같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S2)하게 된다.
물론, 이 단계는 정전과 같은 비정상적 조건이 해소된 뒤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이 공급(S1)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되었는지 여부(S2)는 제어부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을 수시로 확인한 뒤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코스에 설정된 작동시간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나 의류처리장치의 비정상적 작동중단을 판단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비정상적 조건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의류처리장치의 재작동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S3)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재작동 명령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는 제어부가 의류처리코스의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통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의류처리장치가 비정상적으로 작동을 중단한 것으로 판단되고, 사용자가 새로운 의류처리코스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코스가 의류에 향공급이 요구되는 코스인지 여부(S4)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의류처리코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로 구비되거나, 의류처리코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미도시)로부터 정보를 전송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류처리코스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선택된 의류처리코스에 향공급이 필요한 코스인지 여부를 판단(S4)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코스가 의류에 향공급이 불필요한 코스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모터를 회동덮개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동덮개가 초기위치에 위치시킨 뒤 선택된 의류처리코스에 설정된 각 행정을 진행한다(S10).
그러나, 사용자가 선택한 의류처리코스가 의류에 향공급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의류처리코스가 향공급시점이 특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S5)하게 될 것이다.
향공급시점이 특정되지 않고 의류처리코스의 시작부터 진행되는 코스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S51)시킨 후 곧바로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S8)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한다.
이후, 의류처리코스에 설정된 향공급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9)하여 비정상적 조건에 의한 방향처리부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향공급시점이 의류처리코스의 시작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와 같이 향공급시점이 특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S6)시킨 후 향공급시점에 관한 설정시간(이하, '대기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S7)하게 된다.
상기 대기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S8)하여 수용공간에 향을 공급하고, 선택된 코스에 설정된 향공급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S9)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다시 이동(S10)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비정상적 조건의 발생여부를 판단(S2)한 뒤 의류처리코스의 입력(S3)이 없더라도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0)가 진행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점선참고).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200: 외부캐비닛 300: 내부캐비닛
400: 기계실 500: 방향처리부 600: 무빙행어
510: 장착부 511: 함입부 512: 모터
5121: 모터회전축 513: 주동캠 514: 주동캠수용홈
520: 방향모듈 521:방향제 522:방향제삽입그릴
523: 몸체부 524: 회전축 525: 회전축홈
526: 스프링 527: 회동덮개 528: 종동캠
530: 구속수단 531: 돌기 533: 돌기수용홈
400: 기계실 500: 방향처리부 600: 무빙행어
510: 장착부 511: 함입부 512: 모터
5121: 모터회전축 513: 주동캠 514: 주동캠수용홈
520: 방향모듈 521:방향제 522:방향제삽입그릴
523: 몸체부 524: 회전축 525: 회전축홈
526: 스프링 527: 회동덮개 528: 종동캠
530: 구속수단 531: 돌기 533: 돌기수용홈
Claims (29)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 일측에 상기 의류에 방향 처리를 수행하는 방향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향 처리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향기를 배출하는 방향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덮개 및,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향제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주동캠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덮개에는 상기 주동캠에 대응되는 종동캠이 마련되어 상기 주동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동덮개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방향처리부에는
상기 주동캠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는 돌기와 상기 주동캠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를 수용하는 돌기수용홈으로 이루어진 구속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 또는 개방하는 수용공간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방향 처리부는 상기 수용공간 도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처리부가 설치되는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면은 상기 방향 처리부가 함입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합입되는 형상의 장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모듈은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동덮개의 회동에 따라 노출 및 차폐되는 방향제 삽입그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회동덮개 사이에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상기 회동덮개를 상기 몸체부 측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덮개의 개폐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은 접철 가능하고 메쉬 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한쌍의 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면체 사이에는 향기를 발산하는 슬라이스 방향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의류에 유동을 발생시키는 무빙행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행어는 옷걸이에 거치된 의류를 지지하기 위한 행어바와, 상기 행어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부를 회동가능하게 거치하고 상기 수용공간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구비되어 행어바를 왕복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여 공기의 습기를 제거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매의 잠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와, 상기 냉매를 상변환시키는 팽창밸브를 구비한 히트 펌프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으로 선택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발생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공급장치 및 상기 수분발생장치가 설치되는 기계실이 마련되며, 상기 기계실은 상기 기계실을 개폐하는 기계실 도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도어에는 상기 수분발생장치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가 착탈 가능한 방향제 삽입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 삽입그릴은 상기 회동덮개에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주동캠이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주동캠 수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주동캠 수용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홈은 상기 회동덮개가 닫힌 경우 상기 돌기의 일단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수용홈은 상기 회동덮개가 열린 경우 상기 돌기의 타단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주동캠을 회전시키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시 상기 주동캠의 돌기수용홈이 상기 돌기와 접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4항 및,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덮개는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수용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의류에 방향 처리를 위해 상기 수용공간의 일면에 힌지결합하는 회동덮개와, 상기 회동덮개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덮개의 개방 시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는 방향제를 구비한 방향 처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향제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노출되지 않는 위치(초기위치)로 상기 회동덮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동덮개가 초기위치에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된 경우에만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삭제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코스가 비정상적 조건에 의해 종료된 경우, 상기 방향 처리부를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처리부를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하여 상기 방향제를 상기 의류수용공간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처리부를 이용하여 의류에 향을 공급하는 단계가 포함된 의류처리코스가 입력된 경우, 상기 회동덮개의 개방시점이 기 설정된 의류처리코스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시점에 상기 방향제가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동덮개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7항과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향을 공급하는 단계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회동덮개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24480 | 2009-12-15 | ||
KR1020090124480 | 2009-12-15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550A Division KR20110068765A (ko) | 2009-12-15 | 2010-04-09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512A KR20170003512A (ko) | 2017-01-09 |
KR101809965B1 true KR101809965B1 (ko) | 2017-12-19 |
Family
ID=444009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550A KR20110068765A (ko) | 2009-12-15 | 2010-04-09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KR1020160181381A KR101809965B1 (ko) | 2009-12-15 | 2016-12-28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2550A KR20110068765A (ko) | 2009-12-15 | 2010-04-09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20130025154A1 (ko) |
KR (2) | KR2011006876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951Y1 (ko) * | 2013-01-04 | 2014-05-30 | 주식회사 파세코 | 의류 관리기의 향 발산 조절장치 |
WO2017124064A1 (en) * | 2016-01-15 | 2017-07-20 | Tate Aaron | Textile enhancing device |
KR102494999B1 (ko) * | 2018-01-23 | 2023-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관리장치 |
US20200011003A1 (en) * | 2018-07-09 | 2020-01-09 | Procom Heating, Inc. | Closet apparel drying, dehumidifying and sanitizing unit |
KR102187269B1 (ko) | 2018-12-27 | 2020-12-04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표면 미세 크랙 검출 장치 및 표면 미세 크랙 검출 장치의 구동 방법 |
EP4249668A4 (en) * | 2020-05-21 | 2024-07-17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TREATMENT DEVICE |
KR102260419B1 (ko) * | 2020-11-11 | 2021-06-02 | 유시풍 | 의류관리기의 행거용 무빙유닛 |
CN113684655A (zh) * | 2021-08-30 | 2021-11-23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衣物处理装置的进风格栅以及衣物处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264Y1 (ko) * | 1999-07-27 | 2000-02-15 | 대우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의향발산구조 |
US20050050762A1 (en) * | 2003-08-18 | 2005-03-10 | Hood Lisa J. | Volatilizable media holder for a laundry dryer |
JP2006130157A (ja) * | 2004-11-08 | 2006-05-25 | Magu Suehiro Kogyo Kk | 衣類の乾燥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267701A (en) * | 1964-02-12 | 1966-08-23 | Whirlpool Co | Fabric conditioner for clothes dryer |
US3670425A (en) | 1971-02-11 | 1972-06-20 | Rose Ellen Benjamin | Clothes rejuvenator |
DE7439405U (de) | 1974-11-27 | 1976-06-10 | Miele & Cie, 4830 Guetersloh | Wäschetrockner mit Duftstoffzugabevorrichtung |
DE3727570A1 (de) | 1987-08-19 | 1989-03-02 | Joachim Plate | Verfahren zur beseitigung von geruechen aus textilien und webgut |
AU627804B2 (en) | 1989-05-26 | 1992-09-03 | Sanyo Electric Co., Ltd. | Clothes dryer |
JPH0658950A (ja) | 1992-08-10 | 1994-03-04 | Nippondenso Co Ltd | 加速度検出装置 |
KR100213127B1 (ko) * | 1995-11-09 | 1999-08-02 | 김광호 |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 |
WO2000012143A1 (en) * | 1998-08-28 | 2000-03-09 | Aroma Technology Limited | Odor dispensing device and odor dispensing cartridge |
GB0025555D0 (en) * | 2000-10-18 | 2000-12-06 | Unilever Plc | Device |
US20030126691A1 (en) * | 2001-12-20 | 2003-07-10 | Gerlach Christian Gerhard Friedrich | Fabric article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0966882B1 (ko) | 2003-07-21 | 2010-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 |
US20050120757A1 (en) | 2003-12-03 | 2005-06-09 | Jackson W. S. | Garment refresh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060013797A (ko) | 2004-08-09 | 2006-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응축식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US7137211B2 (en) | 2004-08-18 | 2006-11-21 | Maytag Corporation | Drying cabinet shaker mechanism |
CN1648319A (zh) | 2004-12-31 | 2005-08-03 | 黄明光 | 多功能干衣柜 |
CN2837347Y (zh) | 2005-07-26 | 2006-11-15 | 刘金钟 | 柜式衣物烘干机 |
US20070193058A1 (en) | 2006-02-23 | 2007-08-23 | Zarembinski Thomas P | Drying cabinet and ventilation system |
GB0603979D0 (en) | 2006-03-01 | 2006-04-05 | Quest Int Serv Bv | Dispenser |
GB2441777A (en) | 2006-09-16 | 2008-03-19 | Stefan Hewson | Clothes drying cupboard comprising a dehumidification unit |
US8099970B2 (en) * | 2006-12-08 | 2012-01-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ITTO20070598A1 (it) * | 2007-08-10 | 2009-02-11 | Eltek Spa | Dispositivo dispensatore, particolarmente per apparati domestici |
US20090178295A1 (en) * | 2008-01-15 | 2009-07-16 | The Dial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fabrics in a laundry dryer |
CN201172761Y (zh) | 2008-03-14 | 2008-12-31 | 颜亚平 | 多功能干衣柜 |
KR101430477B1 (ko) | 2008-04-01 | 2014-08-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2010
- 2010-04-09 KR KR1020100032550A patent/KR2011006876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4-07 US US13/639,696 patent/US2013002515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
- 2014-12-09 US US14/564,892 patent/US9617679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12-28 KR KR1020160181381A patent/KR101809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5264Y1 (ko) * | 1999-07-27 | 2000-02-15 | 대우전자주식회사 | 세탁기의향발산구조 |
US20050050762A1 (en) * | 2003-08-18 | 2005-03-10 | Hood Lisa J. | Volatilizable media holder for a laundry dryer |
JP2006130157A (ja) * | 2004-11-08 | 2006-05-25 | Magu Suehiro Kogyo Kk | 衣類の乾燥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52587A1 (en) | 2015-06-04 |
US9617679B2 (en) | 2017-04-11 |
US20130025154A1 (en) | 2013-01-31 |
KR20170003512A (ko) | 2017-01-09 |
KR20110068765A (ko) | 2011-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9965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US8539694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101053631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2423377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710390B1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00096478A (ko) | 의류처리장치 | |
AU2011239089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2310564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US200901511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47618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191205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15500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47774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31462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86382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295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8635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646510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54237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84019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2881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5500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10067832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635882B1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