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850B1 - 답례박스 제함기 - Google Patents

답례박스 제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850B1
KR101809850B1 KR1020160123147A KR20160123147A KR101809850B1 KR 101809850 B1 KR101809850 B1 KR 101809850B1 KR 1020160123147 A KR1020160123147 A KR 1020160123147A KR 20160123147 A KR20160123147 A KR 20160123147A KR 101809850 B1 KR101809850 B1 KR 10180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ylinder
package sheet
surface por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6012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3/26
    • B31B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10Feeding or positioning webs
    • B31B50/12Feeding or positioning web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76Opening and distending flattened articles
    • B31B50/78Mechanically
    • B31B50/784Mechanically for setting up boxes having their opening facing upward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는 평면부의 한쪽 양측에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의 양측에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평면부의 다른쪽 양측에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전개 형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접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에 있어서, 다수의 포장시트 중의 하나를 차례로 제1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포장시트공급수단,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에 의해 제1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일차적으로 접는 제1접기수단, 상기 제1접기수단에서 일차적으로 접은 포장시트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이동수단,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제2접기수단, 그리고 상기 제2접기수단에 의해 완성된 포장박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장박스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된 다수의 포장시트 중의 하나를 포장시트공급수단을 이용하여 제1작업위치로 차례로 공급하고, 제1작업위치에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제1접기수단으로 일차적으로 접고, 포장시트이동수단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되는 포장시트를 제2접기수단을 이용하여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답례박스 제함기{BOX FOLDING MACHINE}
본 발명은 답례박스 제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답례박스 제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이나 기타 제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박스를 이용하여 포장하게 되며,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접어서 하측포장박스 내에 제품을 넣어서 상측포장박스로 하측포장박스로 덮어서 제품을 포장하게 된다.
즉 도 28의 포장시트를 수작업으로 접어서 도 29와 같은 상태의 일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접게 되며, 이러한 포장박스 한쌍으로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게 되며, 또한 도 30의 포장시트를 수작업으로 접어서 도 31과 같은 상태의 포장박스로 접어서 제품을 포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포장박스를 자동으로 접는 기계가 없어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포장박스를 접는 것이어서 포장박스를 접기 위한 인력이 필요하여 과다한 시간과 노동력을 투입하게 되어 원가의 상승요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08547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있으나, 도 28과 도 30 상태의 전개된 포장시트를 연속적으로 접는 것에 매우 미흡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다수의 포장시트를 공급함과 아울러 포장시트를 순서에 맞추어서 차례로 접음으로써,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답례박스 제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부의 한쪽 양측에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의 양측에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평면부의 다른쪽 양측에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전개 형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접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에 있어서, 다수의 포장시트 중의 하나를 차례로 제1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포장시트공급수단,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에 의해 제1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일차적으로 접는 제1접기수단, 상기 제1접기수단에서 일차적으로 접은 포장시트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이동수단,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제2접기수단, 그리고 상기 제2접기수단에 의해 완성된 포장박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장박스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는 적층된 다수의 포장시트 중의 하나를 포장시트공급수단을 이용하여 제1작업위치로 차례로 공급하고, 제1작업위치에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제1접기수단으로 일차적으로 접고, 포장시트이동수단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되는 포장시트를 제2접기수단을 이용하여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개된 상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일 예로 접는 작업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과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일 예로 접는 포장시트 및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30과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다른 예로 접는 포장시트 및 포장박스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32 내지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의 다른 예로 접는 작업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27은 도 28로 포장시트와 조 29의 포장박스로 접는 작업의 각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2 내지 도 36은 도 30의 포장시트를 도 31로 포장박스로 접는 작업의 각 단계를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포장시트(100)는 일 예로서 도 29의 전개된 도면과 같이, 평면부(101)의 한쪽 양측에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의 양측에 날개부(105)가 각각 형성되고, 평면부(101)의 다른쪽 양측에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제2마무리부(108)가 각각 형성되는 구조이며, 또한 다른 예로서 도 31의 전개된 도면과 같이 상기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사이에 스페이서부(109)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사이에 스페이서부(110)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는 적층된 다수의 포장시트(100) 중의 하나를 차례로 제1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포장시트공급수단(10),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10)에 의해 제1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일차적으로 접는 제1접기수단(20), 상기 제1접기수단(20)에서 일차적으로 접은 포장시트(100)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이동수단(3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30)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100)의 날개부(105)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100)의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제2마무리부(108)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제2접기수단(40), 그리고 상기 제2접기수단(40)에 의해 완성된 포장박스(도 29와 도 31의 사진)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장박스배출수단(50)를 포함한다.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10)은 포장시트적층부재(11)에 적층된 다수의 포장시트(100) 중의 최상측 포장시트를 시트공급용 공기흡착기(12)로 흡착하고, 공기흡착기(12)가 설치된 흡착기설치부재(13)가 상하이동실린더(14)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고, 상하이동실린더(14)가 설치된 이동체(15)가 시트공급실린더(16)에 의해 이동하는 구조이며, 상기 시트공급실린더(16)에 의해 포장시트(100)가 제1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이동실린더는 공기실린더이고, 상기 시트공급실린더는 로드리스실린더를 사용하게 되며, 리니어 등과 같은 그 밖의 구성요소는 공작 기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1접기수단(20)은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10)에 의해 제1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일차적으로 접는 것으로서, 제1작업위치에서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베이스(21)가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21)의 양측에 제1실린더(22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1이동체(22)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3)의 하부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제1실린더(22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와 제1외측면부(103) 사이의 접이선을 일차적으로 접게 된다.
상기 제1접기수단(20)은 상기 제1이동체(22)의 외측에 제2실린더(23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2이동체(23)가 각각 설치되어 제2실린더(23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3)과 제1내측면부(104) 사이의 접이선을 일차적으로 접게 된다.
그리고 제3실린더(24a)에 의해 이동하는 제3이동체(24)가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실린더(24a)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제4실린더(25a)에 의해 이동하는 제4이동체(25)가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4실린더(25a)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3)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물론 도 28의 포장시트를 접을 경우에는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와 제1외측면부(103) 사이와 제1외측면부(103)과 제1내측면부(104) 사이의 접이선을 일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4실린더(25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포장시트(100)의 제1마무리부(105)를 일차적으로 접게 된다.
더우기 도 30과 같은 포장시트의 경우, 상기 제3이동체(24)를 ┗┛ 형태로 형성하고, 도 제5실린더(26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5이동체(26)를 갖추어서, 상기 제5실린더(26a)에 의해 이동하는 제5이동체(26)가 제3이동체(24)의 내측에 삽입되어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스페이서부(109) 사이의 접이부를 접게 되며, 이 때에는 상기 제3이동체(24)가 일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포장시트(100)의 상부로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도 34와 같이 제3실린더(24a)와 제3이동체(24)를 제1베이스(21)와의 밀착상태를 해제하는 밀착해제실린더(24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30)은 상기 제1접기수단(20)에서 일차적으로 접은 포장시트(100)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서, 제1작업위치에서 있는 포장시트(100)의 제2내측면부(107) 또는 제2마무리부(108)를 잡은 클램프(31)이 핑거실린더(32)에 의해 작동되어 포장시트(100)를 잡았다가 놓아둘 수 있으며, 클램프이동실린더(33)에 의해 핑거실린더(32)와 클램프(31)이 포장시트(100)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클램프이동실린더(33)가 클램프이동체(34)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이동체(34)가 포장시트이동실리더(35)에 의해 이동하여 포장시트(100)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핑거실린더와 클램프이동실린더는 공기실린더이고, 상기 포장시트이동실린더는 로드리스실린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리니어 등과 같은 구성요소는 공작 기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더우기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30)에 의해 이동되는 포장시트(100)는 일차적으로 접힌 상태에서 포장시트가이드(100a)에 의해 안내되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접기수단(40)은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30)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100)의 날개부(105)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100)의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제2마무리부(108)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제2접기수단(40)은 제2작업위치에 있는 포장시트(100)의 제6실린더(41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6이동체(41)에 공기흡착기(41b)가 설치되어 상기 제6실린더(41a)에 의해 하강하는 제6이동체(41)를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제6이동체(41)의 공기흡착기(41b)로 포장시트(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제7실린더(42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7이동체(42)가 제6실린더(41a)와 제6이동체(41)를 하강하여 제2작업위치의 제2베이스(43)의 상부에 포장시트(1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베이스(43)의 하부에는 진공발생부재(44)가 설치되어 상기 제2베이스(43)에 위치한 포장시트(100)를 진공발생부재(44)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기수단(40)은 상기 제2베이스(43)에 위치한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이차적으로 접어서 고정하는 제1접이회전체(45)가 제1회전체실린더(45a)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의 접은 상태를 유지시키고, 네 개의 날개보조접기(46)을 이용하여 포장시트(100)의 날개부(105)를 일차적으로 접고, 제8실린더(47a)에 의해 이동하는 제8이동체(47)을 이용하여 포장시트(104)의 날개부(105)를 접게 된다.
상기 제8이동체(47)에 의해 날개부(105)를 접은 상태에서 제9실린더(48a)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9이동체(48)가 제2베이스(43)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9이동체(48)의 상하 이동에 의해 포장시트(100)의 평면부(101)와 제2외측면부(106) 사이의 접이선이 일차적으로 접힘과 아울러 제2접이회전체(49)가 제2회전체실린더(49a)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시트(100)의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제2마무리부(108)이 접혀서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사이에 날개부(105)가 위치되면서 제1마무리부(104)와 제2마무리부(108)가 평면부(101)에 밀착되면서 포장박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접이회전체(49)가 상기 제9이동체(48)의 작업 공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2회전체실린더(49a)가 제2접이회전체(49)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회전체실린더(49a)와 제2접이회전체(49)가 회전체이동부재(49b) 상에 설치되고, 제2회전체이동실린더(49c)에 의해 회전체이동부재(49b)와 함께 제2회전체실린더(49a)와 제2접이회전체(49)가 이동되어 상기 제8이동체(48)의 작업 공간으로부터 제2접이회전체(49)를 이격하게 된다.
더우기 도 30과 같은 포장시트의 경우, 포장시트(100)의 날개부(105)에는 상호 걸리는 형태의 걸이홈(105a)이 형성되고, 걸이홈(105a)를 걸기 위한 날개걸이부재(70)가 회전장치(70a)이 상기 날개보조접기(46)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회전장치(70a)의 작동에 의해 날개걸이부재(70)가 회전되어 날개부(105)에 형성되는 걸이홈(105a)을 상호 걸어놓게 된다.
상기 포장박스배출수단(50)은 종래에 많이 많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제품의 배출장치와 마찬가지로 제2작업위치에서 완성된 포장박스를 하강하기 위하여 제2베이스를 베이스이동실린더(51)로 하강시킨 뒤, 박스배출실린더(52)를 작동하여 포장박스를 배출슈트(53)로 배출하는 것이다.
물론 각각의 실린더와 이동체에는 리니어바 등과 같이 직진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공작기계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어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답례박스 제함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5과 도 6와 같이 포장시트적층부재(11)에 위치한 다수의 포장시트(100) 중에 최상부의 포장시트(100)로 공기흡착기(12)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하이동실리더(14)를 작동하여 흡착기설치부재(13)과 함께 공기흡착기(12)를 하강한 뒤, 공기흡착기(12)에 진공을 발생하여 한 장의 포장시트(100) 만을 흡착 고정하고, 시트공급실린더(16)를 작동하여 포장시트를 제1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공기흡착기(12)의 진공을 해제한 뒤에 초기 상태로 리턴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업위치의 제1베이스(21)에 포장시트가 배치되면, 도 8과 같이 제4실린더(25a)가 작동되어 제4이동체(25)가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의 상부에 밀착되고, 도 9와 같이 제2실린더(23a)가 작동되어 제2이동체(23)이 상하로 왕복 이동하면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사이의 접이선이 일차적으로 접힌다.
도 10과 같이 제3실린더(24a)가 작동되어 제3이동체(24)가 하강하여 포장시트의 평면부(101)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제4실린더(25a)가 다시 작동되어 제4이동체(25)가 상승함과 아울러 도 11과 같이 제1실린더(22a)가 작동되어 제1이동체(22)가 상하로 왕복 이동하면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와 평면부(101) 사이의 접이선이 일차적으로 접힌다.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사이와 제1외측면부(102)와 평면부(101) 사이의 접이선을 일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제3실린더(24a)가 다시 작동하여 상하로 왕복하여 초기 상태로 리턴하면 포장시트의 제1내측면부(103)과 제1마무리부(105) 사이의 접이선이 접히게 된다.
물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0과 같은 포장시트의 경우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사이와 제1외측면부(102)와 평면부(101) 사이의 접이선을 일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실린더(26a)를 작동하여 제5이동체(26)가 제3이동체(24)의 내측에 삽입되어 포장시트(100)의 제1외측면부(102)와 스페이서부(109) 사이의 접이선을 접게 되며, 이 때에는 상기 제3이동체(24)가 일차적으로 접혀진 상태의 포장시트(100)의 상부로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도 35와 같이 제3실린더(24a)와 제3이동체(24)를 제1베이스(21)와의 밀착상태를 해제하는 밀착해제실린더(24b)를 이용하여 제3이동체(24)를 살짝 들어올린다.
물론 상기와 같이 포장시트가 제1작업위치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프(31)이 포장시트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일차적인 접기 작업이 완료되면, 도 13과 도 14와 같이 포장시트이동수단(30)에 의해 포장시트가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30)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실린더(41a)가 작동하면서 공기흡착기(41b)에 진공을 형성하여 제6이동체(41)이 하강하면서 공기흡착기(41b)로 제2작업위치의 포장시트를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포장시트이동수단(30)은 초기 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7실린더(42a)가 작동되어 제7이동체(42)가 하강하여 제2베이스(43) 상에 포장시트를 배치하여 제7이동체(42)로 포장시트를 고정한 뒤, 공기흡착기(41b)의 진공상태를 해제함과 아울러 제6실린더(41a)를 다시 작동하여 공기흡착기(41b)와 함께 제6이동체(41)를 상승시키고, 도 17과 같이 제1회전체실린더(45a)를 작동하여 제1회전체(45)를 회전시켜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102)와 제1내측면부(103), 제1마무리부(104)를 접어서 접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8과 같이 제7실린더(42a)를 다시 작동하여 제7이동체(42)를 초기 상태로 상승시키고, 도 19와 같이 보조날개접기(46)를 작동하여 포장시트의 날개부(105)를 일차적으로 접고, 도 20과 같이 제8실린더(47a)를 작동하여 제8이동체(47)로 포장시트의 날개부(105)를 이차적으로 접으면서 접은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8이동체(47)로 포장시트의 날개부(105)를 이차적으로 접으면서 접은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도 21과 도 22와 같이 제1회전체실린더(45a)를 다시 작동하여 제1회전체(45)를 초기 상태로 회전시키고, 도 23와 같이 제9실린더(48a)를 작동하여 제9이동체(47)를 상하로 반복 이동하여 포장시트의 평면부와 제2외측면부를 일차적으로 접게 된다.
제9이동체(47)로 포장시트의 평면부와 제2외측면부를 일차적으로 접은 뒤, 도 24와 같이 제2회전체실린더(49a)를 작동하여 제2회전체(49)로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제2마무리부(108)를 접어서 날개부(105)를 제2외측면부(106)와 제2내측면부(107) 사이에 위치시킴과 더불어 제1마무리부(105)와 제2마무리부(108)이 평면부(101)에 밀착되면서 포장박스가 완성되는 것이다.
물론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0과 같은 포장시트의 경우,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0과 같이 제8실린더(47a)를 작동하여 제8이동체(47)로 포장시트의 날개부(105)를 이차적으로 접은 후에 회전장치(70a)를 작동하여 날개걸이부재(70)를 회전시켜서 날개부(105)에 형성되는 걸이홈(105a)을 상호 걸어놓게 된다.
아무튼 도 24와 같이 포장박스를 완성한 뒤에는 도 25와 도 26과 같이 제2접기수단의 각 구성요소를 초기 상태로 리턴시킨 뒤, 베이스이동실린더(52)를 작동하여 제2베이스를 하강하여 제2베이스(43) 상의 포장박스를 박스배출실린더(52)를 이용하여 배출슈트(53)로 이동시켜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10 : 포장시트공급수단
20 : 제1접기수단
30 : 포장시트이동수단
40 : 제2접기수단
50 : 포장박스배출수단

Claims (5)

  1. 평면부의 한쪽 양측에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의 양측에 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평면부의 다른쪽 양측에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가 각각 형성되는 전개 형태의 포장시트를 상부로 개구된 상태의 포장박스로 접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에 있어서,
    다수의 포장시트 중의 하나를 차례로 제1작업위치로 공급하는 포장시트공급수단,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에 의해 제1작업위치로 이동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일차적으로 접는 제1접기수단, 상기 제1접기수단에서 일차적으로 접은 포장시트를 제1작업위치에서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이동수단, 상기 포장시트이동수단에 의해 제2작업위치로 이동하는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은 상태에서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어서 처리한 뒤에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어서 상측으로 개구된 포장박스로 완성하는 제2접기수단, 그리고 상기 제2접기수단에 의해 완성된 포장박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포장박스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접기수단은 상기 포장시트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포장시트를 제1작업위치에서, 포장시트의 평면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베이스가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이스의 양측에 제1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1이동체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이동체의 외측에 제2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2이동체가 각각 설치되고, 제3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3이동체가 포장시트의 평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실린더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시트의 평면부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제4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4이동체가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4실린더에 의해 하강하여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례박스 제함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부를 구비한 포장시트를 접을 경우, 상기 제3이동체를 ┗┛ 형태로 형성하고, 제5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5이동체가 설치되어 상기 제5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5이동체가 제3이동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스페이서부 사이의 접이부를 접게 되며, 제3실린더와 제3이동체를 제1베이스와의 밀착상태를 해제하는 밀착해제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기수단은 제6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6이동체에 공기흡착기가 설치되어 상기 제6실린더에 의해 하강하는 제6이동체를 제2작업위치의 포장시트의 평면부의 상부면에 밀착하여 제6이동체의 공기흡착기로 포장시트를 고정하며, 제7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7이동체가 제6실린더와 제6이동체와 함께 하강하여 제2작업위치의 제2베이스의 상부에 포장시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베이스의 하부에 진공발생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제2베이스에 위치한 포장시트를 진공발생부재로 고정하고, 상기 제2베이스에 위치한 포장시트의 제1외측면부와 제1내측면부, 제1마무리부를 이차적으로 접어서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제1접이회전체가 제1회전체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고, 네 개의 날개보조접기를 제2베이스의 모퉁이쪽에 설치하여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일차적으로 접고, 제8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8이동체가 포장시트의 날개부를 접게 되고, 상기 제8이동체에 의해 날개부를 접은 상태에서 제9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제9이동체가 제2베이스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9이동체의 상하 이동에 의해 포장시트의 평면부와 제2외측면부 사이의 접이선이 일차적으로 접히고, 제2접이회전체가 제2회전체실린더에 의해 회전되어 포장시트의 제2외측면부와 제2내측면부, 제2마무리부를 접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례박스 제함기.
  5. 제4항에 있어서,
    포장시트의 날개부에 상호 걸리는 형태의 걸이홈이 형성되고, 걸이홈를 걸기 위한 날개걸이부재가 회전장치가 상기 날개보조접기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회전장치의 작동에 의해 날개걸이부재가 회전되어 날개부의 걸이홈을 상호 걸어놓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답례박스 제함기.
KR1020160123147A 2016-09-26 2016-09-26 답례박스 제함기 KR10180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47A KR101809850B1 (ko) 2016-09-26 2016-09-26 답례박스 제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147A KR101809850B1 (ko) 2016-09-26 2016-09-26 답례박스 제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850B1 true KR101809850B1 (ko) 2017-12-18

Family

ID=6092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147A KR101809850B1 (ko) 2016-09-26 2016-09-26 답례박스 제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2967A (zh) * 2019-03-01 2019-05-31 广东九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折盒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2967A (zh) * 2019-03-01 2019-05-31 广东九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折盒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6647B (zh) 全开式硬盒香烟的柔性生产的装置及方法
RU273150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упаковочная машина
JP3992886B2 (ja) 物品または積重ね体を包装するための装置
KR101631097B1 (ko) 자동 박스 제함기
ITUA20163736A1 (it) Stazione di piegatura per la piegatura di un cartone di imballaggio attorno ad un articolo appoggiato sul cartone e macchina per l’imballaggio di un articolo all’interno di una scatola di cartone ottenuta dal cartone di imballaggio
ITBO20100671A1 (it) Confezione con coperchio incernierato e metodo di incarto e macchina impacchettatrice per produrre una confezione con coperchio incernierato.
CN101596944A (zh) 一种贴体包装机
ITRM20110377A1 (it) "macchina posatrice di separatori di protezione di bottiglie contenute in cassette di imballaggio"
KR101809850B1 (ko) 답례박스 제함기
KR101197315B1 (ko) 묶음 상품 자동 포장 장치
KR20180005829A (ko) 수건 자동포장설비
KR20140112318A (ko) 포장 장치
JP2006501081A (ja) 容器、特に食品用容器の成形システム
JP2017170754A (ja) 製袋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梱包箱内袋敷設装置
US5544471A (en) Flexible product fold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and process
JP2006255801A (ja) シート体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ITBO20100670A1 (it) Confezione con coperchio incernierato e metodo di incarto e macchina impacchettatrice per produrre una confezione con coperchio incernierato.
KR102141075B1 (ko) 포장박스용 격자 칸막이 가공장치
CN103303515A (zh) 用于包装对开纸张堆的方法和设备
KR101677212B1 (ko) 포장백 제조장치
KR19990002903A (ko) 포장박스 자동공급장치
ITBO20080512A1 (it) Apparecchiatura di confezionamento.
CN111017320A (zh) 丁苯橡胶成品块包装袋套装方法
KR101771820B1 (ko) 지퍼백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조물
CN216423570U (zh) 一种自动立体折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