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048B1 -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048B1
KR101809048B1 KR1020160060041A KR20160060041A KR101809048B1 KR 101809048 B1 KR101809048 B1 KR 101809048B1 KR 1020160060041 A KR1020160060041 A KR 1020160060041A KR 20160060041 A KR20160060041 A KR 20160060041A KR 101809048 B1 KR101809048 B1 KR 101809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er
rollers
steel plate
main bod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989A (ko
Inventor
한진호
박인회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림기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영림기계 (주)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0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0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5Stretching combined with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강판공급부와 강판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는, 강판의 진입방향을 따라, 강판공급부와 강판인출부 사이에 위치된 가압부를 지지하는 장치본체부; 장치본체부의 상부로 이격되어 가압부에 연결되고, 가압부에 의해 장치본체부에 대한 높이가 조정되는 상부레벨러부; 상부레벨러부의 하부에서 장치본체부에 결합되어, 상부레벨러부와 연동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하부레벨러부; 장치본체부와 하부레벨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레벨러부를 장치본체부에 고정하는 클램프부; 및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고, 하부레벨러부는, 장치본체부에 위치된 하부베이스;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부베이스의 양단에 결합된 하부지지부;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하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레벨러부의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와 연동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 하부지지부의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부베이스에 결합되고,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유닛이 내장되어, 복수의 하부레렐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사이드부; 및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맞물려 회전되게 하부베이스에 설치되어,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하부백업롤러를 포함하고, 하부레벨러부는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장치본체부에서 분리되고, 진입방향과 수직한 인출방향(F2)을 따라 장치본체부에서 인출되고, 상부레벨러부는 가압부와의 볼팅결합해제시 가이드롤러부를 따라 인출방향을 따라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A DISASSEMBLE AND ASSEMBLE TENSION LEVELLER}
본 발명은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클램프부에 의한 장치본체부와 하부레벨러부의 분리구조, 가이드롤러부에 의한 상부레벨러부의 인출구조를 통해, 하부레벨러부와 상부레벨러부를 레벨러 장치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생산되는 강판제품 예를 들어, 후판제품은 그 형상을 교정하고 평탄도를 높이기 위하여 레벨링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후판제품의 레벨링작업을 위한 설비를 레벨러(LEVELLER)라 하고, 이와 같은 레벨러는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벨러(10)는 프레임(11)의 하부에 고정 배치된 다수의 하부 레벨러 롤(12)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프레임(13)상에 설치된 다수의 상부 레벨러 롤(14)사이에 후판제품이 통과하면서 그 형상이 교정되거나 평탄도가 높이도록 교정되게 되고, 이때 도면에서는 간단하게 도시하였지만, 하부 및 상부레벨러 롤(12)(14)들은 실제로는 2열로 설치되어 실제 재품과 접촉하는 워크롤과 이를 지지하는 백업롤으로 이루어진다.
강판의 레벨링 작업시, 하부 및 상부레벨러 롤(12)(14)은 강판의 인장강도에 따라 그 직경 및 설치개수가 가변되는데, 강판의 인장강도에 따라 레벨러장치를 별도로 사용하거나, 또는 하부 및 상부레벨러 롤(12)(14)가 설치된 프레임(11) 레벨러 장치에서 분리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하부 및 상부레벨러 롤(12)(14)가 설치된 프레임(11)는 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 지게차를 이용하여 분리해야 하는 등, 하부 및 상부레벨러 롤(12)(14)의 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일본특허공개 JP2014231089A에는 강판의 교정장치 및 강판의 교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클램프부에 의한 장치본체부와 하부레벨러부의 분리구조, 가이드롤러부에 의한 상부레벨러부의 인출구조를 통해, 하부레벨러부와 상부레벨러부를 레벨러 장치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레벨러롤러와 하부레벨러롤러의 유지보수 또는 파손시 또는 강판의 인장강도에 따라 상부레벨러롤러와 하부레벨러롤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작업자가 강판의 종류에 따라 신속하게 강판의 레벨링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강판공급부와 강판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는, 강판의 진입방향을 따라, 강판공급부와 강판인출부 사이에 위치된 가압부를 지지하는 장치본체부; 장치본체부의 상부로 이격되어 가압부에 연결되고, 가압부에 의해 장치본체부에 대한 높이가 조정되는 상부레벨러부; 상부레벨러부의 하부에서 장치본체부에 결합되어, 상부레벨러부와 연동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하부레벨러부; 장치본체부와 하부레벨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레벨러부를 장치본체부에 고정하는 클램프부; 및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고, 하부레벨러부는, 장치본체부에 위치된 하부베이스;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부베이스의 양단에 결합된 하부지지부;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하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레벨러부의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와 연동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 하부지지부의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부베이스에 결합되고,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유닛이 내장되어, 복수의 하부레렐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사이드부; 및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맞물려 회전되게 하부베이스에 설치되어,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하부백업롤러를 포함하고, 하부레벨러부는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장치본체부에서 분리되고, 진입방향과 수직한 인출방향(F2)을 따라 장치본체부에서 인출되고, 상부레벨러부는 가압부와의 볼팅결합해제시 가이드롤러부를 따라 인출방향을 따라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본체부의 상면에는 인출방향으로 복수의 레일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레일홈에는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하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롤러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롤러부는, 레일홈에 삽입된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탄성부재의 압축해제시 레일홈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램프부는 인출방향으로 하부베이스의 양단에서 위치되고, 장치본체부에 볼팅결합되는 클램프하우징과, 클램프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베이스의 상면을 눌러 하부베이스를 장치본체부에 고정하는 클램프가압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레벨러부는, 가압부에 볼팅결합되는 상부베이스; 상부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부베이스의 양단에 결합된 상부지지부; 상부베이스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레벨러부의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연동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 및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베이스에 설치되어,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상부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롤러부는, 가압부의 결합되고 상부베이스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 및 상부베이스의 하부에서 위치되고, 인출방향을 따라 한쌍의 가이드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가이드롤러는 상부베이스가 한쌍의 가이드지지부재에서 분리되어 인출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부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부레벨러롤러와 하부레벨러롤러의 유지보수 또는 파손시 또는 강판의 인장강도에 따라 상부레벨러롤러와 하부레벨러롤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작업자가 강판의 종류에 따라 신속하게 강판의 레벨링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강판 레벨링 작업업체는 강판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여러개의 레벨러 장치를 사용할 필요없이, 강판의 종류에 적합한 여러 종류의 레벨러롤러를 사전에 구비하여 강판의 레벨링작업시 적합한 레벨러롤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강판의 레벨링 작업을 수행토록 하여, 레벨링장치의 비용절감으로 인한 강판 레벨링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램프부에 의한 장치본체부와 하부레벨러부의 분리구조, 가이드롤러부에 의한 상부레벨러부의 인출구조를 통해, 지게차 등의 별도의 도움없이도, 사람의 힘만을 이용하여 하부레벨러부와 상부레벨러부를 레벨러 장치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레벨러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레벨러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장치본체부에 내장된 탄성롤러부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레벨러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하부레벨러부가 인출되는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레벨러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레벨러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레벨러부가 가이드롤러부를 따라 인출되는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강판공급부(2)와 강판인출부(3) 사이에 설치되어, 절단한 판 형상의 강판(5)을 교정하는 것이다.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레벨러 장치(1)의 일 구성장치이다.
강판공급부(2)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로 강판(5)을 공급하는 것이다. 강판공급부(2)는 한 쌍의 공급롤(2a)이 구비된다. 한쌍의 공급롤(2a) 사이의 간격은 강판(5)의 인장강도 또는 강판(5)의 두께에 따라, 한 쌍의 공급롤(2a)에 연결되는 제 1 실린더(2b)에 의해 조절된다. 한 쌍의 공급롤(2a)은 강판(5)에 맞물려 강판(5)을 강판(5)의 진입방향(F1)으로 밀어내도록 회전된다. 이때, 강판(5)의 진입방향(F1)은 강판(5)이 강판공급부(2)에서 강판인출부(3)로 이동되는 방향이다.
강판인출부(3)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에서 레벨링된 강판(5)을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다. 강판인출부(3)는 한 쌍의 인출롤(3a)이 구비된다. 한 쌍의 인출롤(3a)에는 제 2 실린더(3b)가 연결된다. 한 쌍의 인출롤(3a) 사이의 간격은 제 2 실린더(3b)에 의해 조절된다. 한 쌍의 인출롤(3a)은 강판(5)에 맞물려 강판(5)을 강판(5)의 진입방향(F1)으로 밀어내도록 회전되면서,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를 통과하면서 교정된 강판(5)을 외부로 인출한다.
가압부(4)는 강판공급부(2)와 강판인출부(3) 사이에 위치된다. 가압부(4)는 강판(5)의 교정에 필요한 압압량으로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를 통해 강판(5)을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가압부(4)에 연결된 높이조절유닛(4a)은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 사이의 간격을 조정토록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강판공급부(2), 가압부(4)와 강판인출부(3)는 강판(5)의 교정시 사용되는 공지기술에 해당되는바, 이하에서는 강판공급부(2), 가압부(4)와 강판인출부(3)의 작동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클램프부(140)와 가이드롤러부(150)에 의한, 장치본체부(110)에 대한 하부레베러부의 분리구조와, 가압부(4)에 대한 상부레벨러부(130)의 분리구조를 통해, 강판(5)의 인장강도에 따라 강판(5)을 교정하는데 사용되는 상부레벨러롤러(135)와 하부레벨러롤러(125)의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장치본체부(110), 하부레벨러부(120), 상부레벨러부(130), 클램프부(140)와 가이드롤러부(150)를 포함한다.
장치본체부(110)는 강판공급부(2)와 강판인출부(3) 사이에 위치된 가압부(4), 하부레벨러부(120)와 상부레벨러부(130)를 지지한다. 가압부(4), 하부레벨러부(120)와 상부레벨러부(130)는 강판(5)의 진입방향(F1)으로, 장치본체부(110)에 결합된다.
장치본체부(110)는 복수의 레일홈(111)이 마련된다. 복수의 레일홈(111)은 하부레벨러부(120)가 놓이는 부분에 위치되고, 하부레벨러부(120)의 인출방향(F2)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레일홈(111)은 강판(5)의 진입방향(F1)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인출방향(F2)은 강판(5)의 진입방향(F1)에 대해 수직한 방향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홈(111)에는 탄성롤러부(160)가 설치된다. 탄성롤러부(160)는 클램프부(140)의 결합해제시 하부레벨러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레벨러부(12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롤러부(160)는 탄성부재(161)와 복수의 안내롤러(163)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61)는 복수의 레일홈(111)에 각각 내장된다. 탄성부재(161)는 하부레벨러부(12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61)는 일단이 레일홈(111)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에 롤러하우징(162)에 연결된다. 롤러하우징(162)은 복수의 안내롤러(16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안내롤러(163)는 인출방향(F2)을 따라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롤러하우징(162)에 설치된다. 복수의 안내롤러(163)는 탄성부재(161)의 탄성력에 의해, 클램프부(140)에 의해 하부레벨러부(120)가 장치본체부(110)를 누르면 레일홈(111)의 내부로 삽입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안내롤러(163)는 클램프부(140)가 장치본체부(110)에서 분리되면, 탄성부재(161)의 복원력에 의해 레일홈(111)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하부레벨러부(120)의 하부베이스(121)를 지지한다.
복수의 안내롤러(163)는 탄성부재(161)의 압축해제시 레일홈(111)으로부터 돌출되어, 하부레벨러부(120)의 하부베이스(121)와 장치봅체부의 상면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외부에서 하부레벨러부(120)를 인출방향(F2)으로 밀때, 장치본체부(110)에 대한 하부베이스(121)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하부레벨러부(120)가 보다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부레벨러부(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하부레벨러부(120)는 상부레벨러부(130)와 연동되어 강판(5)을 레벨링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레벨러부(120)는 상부레벨러부(130)의 하부에서 클램프부(140)에 의해 장치본체부(110)에 고정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벨러부(120)는, 하부베이스(121), 하부지지부(123), 하부사이드부(124),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복수의 하부백업롤러(127)를 포함한다.
하부베이스(121)는 복수의 레일홈(111)을 덮도록 장치본체부(110)에 위치된다. 하부베이스(121)는 클램프부(140)에 의해 장치본체부(110)에 결합된다. 클램프부(140)는 장치본체부(110)와 하부레벨러부(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레벨러부(120)를 장치본체부(110)에서 고정한다.
클램프부(140)는 인출방향(F2)으로 하부베이스(121)의 양단에서 위치되고, 장치본체부(110)에 볼팅결합되는 클램프하우징(141)과, 클램프하우징(14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베이스(121)의 상면을 눌러 하부베이스(121)를 장치본체부(110)에 고정하는 클램프가압부(142)로 이루어진다.
하부베이스(121)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하부베이스(121)에는 하부지지부(123), 하부사이드부(124)와 하부백업롤러(127)가 결합된다.
하부지지부(123)는 하부베이스(121)의 상부로 돌출되게 하부베이스(121)부의 양단에 결합된다. 하부지지부(123)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의 양단을 관통하여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에 연결된다. 하부지지부(123)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하부사이드부(124)는 하부지지부(123)의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부베이스(121)에 결합된다. 하부사이드부(124)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유닛이 내장된다. 하부사이드부(124)는 복수의 하부레렐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는 진입방향(F1)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하부롤러구동부(128)의 작동시 서로 맞물려 회전된다.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는 하부베이스(121)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는 하부지지부(123)와 하부사이드부(1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레벨러부(130)의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연동되어 강판(5)을 레벨링한다.
복수의 하부백업롤러(127)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하부베이스(121) 사이에 위치된다. 복수의 하부백업롤러(127)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맞물려 회전되게 하부베이스(121)에 설치되어, 강판(5)을 레벨링하는 공정에서 가압부(4)에 의해 압압되는 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레벨러부(120)는 클램프부(140)와의 결합해제시 장치본체부(110)에서 분리되어, 복수의 안내롤러(163)를 따라 장치본체부(110)에서 인출방향(F2)으로 인출된다. 이에,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클램프부(140)에 의한 장치본체부(110)와 하부레벨러부(120)의 분리구조를 통해, 사람의 힘만을 이용하여 하부레벨러부(120)와 상부레벨러부(130)를 레벨러 장치(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부레벨러부(130)는 하부레벨러부(120)와 연동되어 강판(5)을 레벨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레벨러부(130)는 하부레벨러부(12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레벨러부(130)는 가압부(4)에 연결된다. 상부레벨러부(130)는 강판(5)의 종류에 따라, 가압부(4)의 높이조절유닛(4a)에 의해 하부레벨러부(120)에 대한 높이가 조정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벨러부(130)는, 상부베이스(131), 상부지지부(133),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복수의 상부백업롤러(137)를 포함한다.
상부베이스(131)는 가압부(4)의 상면에 볼팅결합된다. 상부베이스(131)는 평판형 구조를 가진다. 상부베이스(131)에는 상부지지부(133), 상부백업롤러(137)와 가이드롤러부(150)가 결합된다.
상부지지부(133)는 상부베이스(131)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부베이스(131)부의 양단에 결합된다. 상부지지부(133)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의 양단을 관통하여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에 연결된다. 상부지지부(133)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는 진입방향(F1)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부롤러구동부(138)의 작동시 서로 맞물려 회전되고,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연동되어 강판을 진행방향으로 밀어내면서 강판을 레벨링한다.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는 상부베이스(131)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는 상부지지부(13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레벨러부(120)의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125)와 연동되어 강판(5)을 레벨링한다.
복수의 상부백업롤러(137)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상부베이스(131) 사이에 위치된다. 복수의 상부백업롤러(137)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135)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부베이스(131)에 설치되어, 강판(5)을 레벨링하는 공정에서 가압부(4)에 의해 압압되는 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는 휨을 방지한다.
가이드롤러부(150)는 상부베이스(131)에 설치된다. 가이드롤러부(150)는 상부레벨러부(130)가 가압부(4)에서 분리될 때 상부레벨러부(130)의 이동을 인출방향(F2)으로 가이드한다.
가이드롤러부(150)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151)와 복수의 가이드롤러(152)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151)는 가압부(4)의 결합되고, 상부베이스(13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151)에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5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롤러(152)는 상부베이스(131)의 하부에서 위치되고, 상부베이스(131)의 인출방향(F2)으로 일렬로 배열되게 가이드지지부재(151)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가이드롤러(152)는 상부베이스(131)가 한쌍의 가이드지지부재(151)에서 분리되어 인출방향(F2)을 따라 이동될 때 상부베이스(13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레벨러부(130)는 상부베이스(131)의 가압부(4)와의 볼팅결합해제시, 가이드롤러부(150)를 따라 인출방향(F2)으로 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100)는 클램프부(140)에 의한 장치본체부(110)와 하부레벨러부(120)의 분리구조, 가이드롤러부(150)에 의한 상부레벨러부(130)의 인출구조를 통해, 지게차 등의 별도의 도움없이도, 사람의 힘만을 이용하여 하부레벨러부(120)와 상부레벨러부(130)를 레벨러 장치(1)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부레벨러롤러(135)와 하부레벨러롤러(125)의 유지보수 또는 파손시 또는 강판(5)의 인장강도에 따라 상부레벨러롤러(135)와 하부레벨러롤러(125)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작업자가 강판(5)의 종류에 따라 신속하게 강판(5)의 레벨링 작업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강판 레벨링 작업업체는 강판(5)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여러 개의 레벨러 장치(1)를 사용할 필요없이, 강판(5)의 종류에 적합한 여러 종류의 레벨러롤러를 사전에 구비하여 강판(5)의 레벨링작업시 적합한 레벨러롤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강판(5)의 레벨링 작업을 수행토록 하여, 레벨링장치의 비용절감으로 인한 강판 레벨링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110: 장치본체부
120: 하부레벨러부 121: 하부베이스
123: 하부지지부 124: 하부사이드부
125: 하부레벨러롤러 127: 하부백업롤러
130: 상부레벨러부 131: 상부베이스
133: 상부지지부 135: 상부레벨러롤러
137: 상부백업롤러 140: 클램프부
150: 가이드롤러부 151: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
152: 가이드롤러 160: 탄성롤러부

Claims (7)

  1. 강판공급부와 강판인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강판을 레벨링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진입방향을 따라, 상기 강판공급부와 상기 강판인출부 사이에 위치된 가압부를 지지하는 장치본체부;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가압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장치본체부에 대한 높이가 조정되는 상부레벨러부;
    상기 상부레벨러부의 하부에서 상기 장치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레벨러부와 연동되어 상기 강판을 레벨링하는 하부레벨러부;
    상기 장치본체부와 상기 하부레벨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레벨러부를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하는 클램프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레벨러부는,
    상기 장치본체부에 위치된 하부베이스;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게 상기 하부베이스의 양단에 결합된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하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레벨러부의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강판을 레벨링하는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
    상기 하부지지부의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유닛이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하부레렐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사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기 하부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하부백업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레벨러부는 상기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상기 장치본체부에서 분리되고, 상기 진입방향과 수직한 인출방향(F2)을 따라 상기 장치본체부에서 인출되고, 상기 상부레벨러부는 상기 가압부와의 볼팅결합해제시 상기 가이드롤러부를 따라 인출방향을 따라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복수의 레일홈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레일홈에는 상기 클램프부의 결합해제시 상기 하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탄성롤러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롤러부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해제시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부레벨러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인출방향으로 상기 하부베이스의 양단에서 위치되고, 상기 장치본체부에 볼팅결합되는 클램프하우징과,
    상기 클램프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베이스의 상면을 눌러 상기 하부베이스를 상기 장치본체부에 고정하는 클램프가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레벨러부는,
    상기 가압부에 볼팅결합되는 상부베이스;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게 상기 상부베이스의 양단에 결합된 상부지지부;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상부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부레벨러부의 복수의 하부레벨러롤러와 연동되어 상기 강판을 레벨링하는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 및
    상기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와 맞물려 회전되게 상기 상부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상부레벨러롤러의 휨을 방지하는 복수의 상부백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부는,
    상기 가압부의 결합되고, 상기 상부베이스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베이스의 하부에서 위치되고, 인출방향을 따라 상기 한쌍의 가이드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일렬로 설치된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는 상기 상부베이스가 상기 한쌍의 가이드지지부재에서 분리되어 인출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상부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KR1020160060041A 2016-05-17 2016-05-17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KR10180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41A KR101809048B1 (ko) 2016-05-17 2016-05-17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041A KR101809048B1 (ko) 2016-05-17 2016-05-17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89A KR20170129989A (ko) 2017-11-28
KR101809048B1 true KR101809048B1 (ko) 2017-12-15

Family

ID=6081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041A KR101809048B1 (ko) 2016-05-17 2016-05-17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6041B (zh) * 2018-04-28 2020-12-18 彭娜 一种组合式可改变成任何所需平面形状的多功能模具
KR102437549B1 (ko) * 2021-02-10 2022-08-29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코일 이송장치
CN114433733B (zh) * 2022-01-05 2024-04-26 马鞍山尊马科技有限公司 一种钢管矫直机进料装置
CN114589251A (zh) * 2022-03-07 2022-06-07 佛山市三水弘美电器配件有限公司 一种铜帽复合拉伸模具及其使用方法
CN115634969A (zh) * 2022-11-16 2023-01-24 安徽鑫铂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铝合金框的成型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641Y2 (ja) * 1990-10-12 1996-06-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ベラのロ―ル交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641Y2 (ja) * 1990-10-12 1996-06-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レベラのロ―ル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989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048B1 (ko) 분리조립형 강판교정장치
DE3922803B4 (de) Selbsttätig arbeitende Blattstapel-Ladevorrichtung für eine Blatt-Zuführvorrichtung
DE102018221309B4 (de) Formtransportführungsvorrichtung in einer Spritzgießmaschine
CN104668290A (zh) 轧机
DE112011104400T5 (de) Reifentestvorrichtung
RU2765679C2 (ru) Роликовая гибочная машина
KR100919220B1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EP2711100B1 (en) Rolling mill bearing chock positioning device
US9003854B2 (en) Split housing cluster mill designed for temper and cold rolling
US8490454B2 (en) Machine for drawing metal sheets
US8021140B2 (en) Linear bearing assembly to guide movement of roll stand on apparatus for forming an extruded sheet product
DE102004028858B4 (de) Vorrichtung zum Aufnehmen eines Hilfsstapels während des Erneuerns eines Hauptstapels bei der Zufuhr von Bogen einer drucktechnischen Maschine
KR101724815B1 (ko) 2 개의 공구들 사이의 반경방향 갭을 조절하는 방법, 엠보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절곡-접착기
CN108136467B (zh) 用于压力矫直金属的扁平制品的设备
US11325408B2 (en) Device for driving a stamping foil, stamping station and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stamping foil
KR101847156B1 (ko) 압연기
DE102016207691B3 (de) Palettenwechselvorrichtung
EP1291174B1 (de) Ein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Druckmaschinenrahmens
KR20200142898A (ko) 원단용 자동 아일렛 정렬 결합장치
CN219357694U (zh) 送料装置以及带料冲压系统
CN110424750B (zh) 一种液压桁架扣件组装机
KR101394599B1 (ko) 금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가공장치
KR102437534B1 (ko) 롤 코일의 평탄도 포밍장치
KR20160136926A (ko) 멀티 스펙 소재 처리가 가능한 레벨러
JPH0637238U (ja) 枚葉印刷機の給紙紙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