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755B1 -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755B1
KR101808755B1 KR1020150049167A KR20150049167A KR101808755B1 KR 101808755 B1 KR101808755 B1 KR 101808755B1 KR 1020150049167 A KR1020150049167 A KR 1020150049167A KR 20150049167 A KR20150049167 A KR 20150049167A KR 101808755 B1 KR101808755 B1 KR 101808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input connector
substrate
emitting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092A (ko
Inventor
신은성
권용복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50049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7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H05B33/08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02B20/3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용 발광 소자 모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 측방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 측방으로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Light emitting device module unit, backlight unit an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명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화합물 반도체(compound semiconductor)의 PN 다이오드 형성을 통해 발광원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색의 광을 구현할 수 있는 일종의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는 수명이 길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LED는 충격 및 진동에 강하고, 예열시간과 복잡한 구동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형태로 기판이나 리드프레임에 실장한 후, 패키징할 수 있어서 여러 가지 용도로 모듈화하여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나 각종 조명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소자로 이루어진 발광 소자 모듈 장치는, 각각 전원 공급 장치(SMPS)에 전원을 공급해 줘야 하며 교류 전원(AC Direct) 조명 모듈의 경우에도 각각 입력전원을 모듈에 공급해줘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C DOB(Driver on Board)형태의 조명용 모듈에 교류 입력커넥터(AC Dual connector)를 적용하여 장착 사용의 편의성 제공과 전원의 입력단 각각 라인에 퓨즈(Fuse)를 적용하여 여러 안전문제를 해결하는 조명용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 인근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 인근에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보호부;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1 배선;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 4 입력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2 배선; 및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 사이에 각각의 회로들과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스파크(Spark)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설치되는 퓨즈(Fus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설치된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이고, 회로를 보호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보호부;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3 입력커넥터와, 상기 기판과 이웃하는 다른 기판의 제 1 입력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4 입력커넥터와, 상기 기판과 이웃하는 상기 다른 기판의 제 2 입력커넥터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 인근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 인근에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 및 상기 발광 소자의 광경로에 설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명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 인근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 인근에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 DOB(Driver on Board)형태의 조명용 모듈에 교류 입력커넥터(AC Dual connector)를 적용하여 장착 사용의 편의성 제공과 전원의 입력단 각각 라인에 퓨즈(Fuse)를 적용하여 여러 안전문제를 해결하고, 교류(AC) 전원입력을 한쪽만 연결을 해주면 이후에는 발광 소자 조명 모듈 장치를 통해서 전원이 캐스케이드(Cascade)로 연결되므로 전원 케이블 비용절감 및 매설이 우수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가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의 커넥터 및 연결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의 커넥터 및 연결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의 커넥터와 연결단자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의 커넥터 및 연결단자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의 커넥터 및 연결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20)와, 상기 발광 소자(20)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배선층(30)과,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S)와 결합되고 상기 기판(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S)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측방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42)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C)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타측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C)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측방으로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기판(10)은, 에폭시계 수지 시트를 다층 형성시킨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연성 재질의 플랙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판(10)을 대신하여 각종 PCB, FPCB, 세라믹 기판, 금속 기판 및 리드 프레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20)를 지지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적당한 기계적 강도와 절연성을 갖는 재료나 전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기판(10)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주석, 납, 금, 은 등의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며, 천공되거나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은 반사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그 표면에 반사도가 우수한 적어도 은(Ag), 은(Ag) 도금층, 은(Ag) 합금, 은(Ag) 합금층, 알루미늄(Al), 알루미늄(Al) 합금, 알루미늄(Al) 합금층, 구리(Cu), 구리(Cu) 합금, 구리(Cu) 도금층, 구리(Cu) 합금층, 백금(Pt), 백금(Pt) 합금, 백금(Pt) 합금층, 금(Au), 금(Au) 도금층, 금(Au) 합금층, 팔라듐(Pd), 루테늄(Ru), 로듐(Rh)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반사층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판(10) 대신, 레진, 글래스 에폭시 등의 합성 수지 기판이나,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세라믹(ceramic) 기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은,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EMC(Epoxy Mold Compound), PI(polyimide), 세라믹, 그래핀, 유리합성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20)는, 디스플레이 용도나 조명 용도 등 용도에 따라 임의의 파장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20)는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질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청색, 녹색, 적색, 황색 발광의 LED, 자외 발광의 LED, 적외 발광의 LED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소자(20)는 범프나 솔더 등의 신호전달매체를 갖는 플립칩 형태일 수 있고, 이외에도, 단자에 본딩 와이어가 적용되거나, 부분적으로 본딩 와이어가 적용되는 발광 소자나, 수평형, 수직형 발광 소자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선층(30)은 구리, 니켈, 알루미늄, 크롬, 철, 텅스텐 및 이들의 합금과 같은 전기적으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의 손모, 접촉 불량, 전원의 정전, 전류전압의 변동, 노이즈(Noise) 및 과전류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보호부(50) 및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정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보호부(50)는, 드라이버 회로(AC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 회로(AC driver)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과전류와 과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리셋 가능한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회로(AC driver) 입력단에 과도현상 억제와 역바이어스 보호기능, 과전류 보호 기능 등을 가지고 있는 폴리젠 디바이스(PolyZen devic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 회로(AC driver) 출력단에 예기치 않은 회로 단락 혹은 여타 변칙적인 부하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도록 하는 폴리스위치 디바이스(PolySwitch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드라이버 회로(AC driver)는, MOV 과전압 보호 디바이스, ESD 디바이스, PESD 디바이스 등의 보호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60)는, AC 전원 및 정류기로 구성된 정류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류회로는 교류 전원 신호를 정파 정류된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발광 소자(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반파 정류회로 및 전파 정류회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기는 교류전력에서 직류전력을 얻기 위해 정류작용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전기적인 회로소자 또는 장치로서 실리콘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반도체 정류기와 전자관 정류기, 기계적 정류기 및 사이리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120)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층(30)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를 연결하는 제 1 배선(31)과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와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를 연결하는 제 2 배선(32) 및 상기 제 1 배선(31) 및 상기 제 2 배선(32) 사이에 각각의 회로들과 연결되는 연결배선(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크(Spark)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배선(31) 및 상기 제 2 배선(32)에 설치되는 퓨즈(Fuse)(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상기 배선층(3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퓨즈를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퓨즈(70)는 부하 쪽에 생기는 쇼크를 차단하여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신된 바와 같이, 상기 배선층(30)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를 연결하는 제 1 배선(31)과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와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를 연결하는 제 2 배선(32) 및 상기 제 1 배선(31) 및 상기 제 2 배선(32) 사이에 각각의 회로들과 연결되는 연결배선(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배선(33)에는 상기 발광 소자(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소자(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20)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10)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L/2)와 상기 기판(10)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발광 소자(20)들 사이의 거리(L)의 절반인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기판(10)에 상기 발광 소자(20)를 실장하는 제조 과정에서 작업 과정을 효율적이고,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위하여 복수개의 발광 소자 각각의 이격거리를 일정하도록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20)의 거리(L)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첫 번째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10)의 일측 끝단의 거리는 L/2으로서 상기 기판(10)을 연속 배치하여도 각각의 발광 소자의 이격거리는 같을 수 있다. 이어서, 마지막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10)의 타측 끝단의 거리는 L/2으로서 상기 기판(10)을 연속 배치하여도 각각의 발광 소자의 이격거리는 같을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20)의 거리(L)가 일정하고 첫 번째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10)의 일측 끝단의 거리와 마지막 발광 소자와 상기 기판(10)의 타측 끝단의 거리가 L/2 보다는 작은 M일 경우 상기 기판(10)을 연속 배치시 상기 기판(10) 사이의 거리를 L-2M 만큼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각각의 발광 소자의 이격거리는 같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발광 소자(20)의 거리(L)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장치에 광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140)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소자(20)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설치된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80)이고, 접점의 손모, 접촉 불량, 전원의 정전, 전류전압의 변동, 노이즈(Noise) 및 과전류 등 여러 가지 이상 현상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보호부(50) 및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정류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80)은,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에서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80)은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실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고, 상기 발광 소자 모듈(80)은 하나의 발광 소자 모듈로서 자신만으로도 역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의 모듈이 아닌 다른 형태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 모듈(80)은,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고, 반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80)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발광 소자, 발광 소자 모듈 및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분리가 가능한 상기 발광 소자 모듈(80)로 형성됨으로서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제조 공정시 개별관리가 용이하며, 이로서 불량률이 적어질 수 있으며, 불량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기술개발에 따른 신형 제품으로의 호환이 용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커넥터(40) 및 연결단자(C)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커넥터(40) 및 연결단자(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커넥터(40)와 연결단자(C)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40)는,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와 이웃하는, 상기 기판(10)과 다른 기판의 제 1 입력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와, 상기 기판(10)과 이웃하는 상기 다른 기판의 제 2 입력커넥터와 연결되는 연결단자(C)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전원을 받는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는 상기 전원단자(S)와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른 발광 소자(100)와 연결단자(C)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방에 위치한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와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는 각각 후방에 연결되는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에 상기 연결단자(C)에 결합되어 연결되어 질 수 있으며,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상기 연결단자(C)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단자(C)는, 케이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연결단자(C)는, 단순 케이블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배치 후 연결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단순 케이블을 사용한 연결단자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단자(C)는, 복수개의 단자가 병렬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단자가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어,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는 사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100)의 커넥터(40) 및 연결단자(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 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는 대응되어 설치되며 각각의 커넥터(40) 단자수용부(45)는 전방, 후방, 측방, 상방 및 하방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단자(C)가 결합되는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의 방향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일 수 있고, 측방을 향하여 측면에서 상기 연결단자(C)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방을 향하여 상기 연결단자(C)가 상방에서 결합될 수 있고, 하방에 형성되어 일련의 스테이지 상에 상기 연결단자(C)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자(C)와 하방에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 소자(100)의 용도에 따라서,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4 입력커넥터(44)의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100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명장치(2000)는, 기판(10)과,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20)와, 상기 발광 소자(20)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10)에 설치되는 배선층(30)과,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S)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41)와, 상기 발광 소자(20)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S)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 인근에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42)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C)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4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43)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C)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43) 인근에 상기 제 2 입력커넥터(42)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44)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과 동일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에 따른 발광 소자 모듈 장치은, AC DOB(Driver on Board)형태의 조명용 모듈에 교류 입력커넥터(AC Dual connector)를 적용하고, 전원의 입력단 각각 라인에 퓨즈(Fuse)를 적용하여, 장착사용의 편의성과 여러 안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교류(AC) 전원입력을 한쪽만 연결을 해주면 이후에는 발광 소자 조명 모듈 장치를 통해서 전원이 캐스케이드(Cascade)로 연결되므로 전원 케이블 비용절감 및 매설이 우수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가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인, 발광 소자 모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보호부;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정류부;
    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층은,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 3 입력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1 배선;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 4 입력커넥터를 연결하는 제 2 배선; 및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 사이에 각각의 회로들과 연결되는 연결배선;
    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스파크(Spark)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에 설치되는 퓨즈(Fuse);
    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기판에서 분리 가능하며, 복수개의 발광 소자가 설치된 발광 소자 패키지 모듈이고,
    접점의 손모, 접촉불량, 전원의 정전, 전류전압의 변동, 노이즈(Noise) 및 과전류 등 여러 가지 이상현상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고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보호부; 및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도록 공급 받는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화시키고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정류부;
    를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모듈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입력커넥터와, 상기 기판과 이웃하는 다른 기판의 제 1 입력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제 4 입력커넥터와, 상기 기판과 이웃하는 상기 다른 기판의 제 2 입력커넥터와 연결되는 연결단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발광 소자 모듈 장치.
  8.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 및
    상기 발광 소자의 광경로에 설치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인, 백라이트 유닛.
  9.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
    상기 발광 소자에 전류를 제공하도록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배선층;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입력커넥터;
    상기 발광 소자가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 2 입력커넥터;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의 타측 단부에 상기 제 1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3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다른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단자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3 입력커넥터의 측방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입력커넥터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 4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상기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고, 상기 기판의 일측 끝단에서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와 상기 기판의 타측 끝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바라본 첫 번째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의 절반 이내인, 조명장치.
KR1020150049167A 2015-04-07 2015-04-07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KR101808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67A KR101808755B1 (ko) 2015-04-07 2015-04-07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167A KR101808755B1 (ko) 2015-04-07 2015-04-07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92A KR20160120092A (ko) 2016-10-17
KR101808755B1 true KR101808755B1 (ko) 2017-12-14

Family

ID=5725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167A KR101808755B1 (ko) 2015-04-07 2015-04-07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7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22B1 (ko) * 2022-04-21 2022-09-22 주식회사 유비티엘이디 안전장치를 갖는 쇼케이스용 엘이디 조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5624B2 (en) 2018-02-23 2021-08-10 Signify Holding B.V. Lighting unit with a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of connecting a lighting unit and a protection circuit
CN113819449B (zh) * 2021-09-22 2024-02-09 深圳市万瑞和电子有限公司 包含自恢复保险丝型自适应消闪型led照明电路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822B1 (ko) * 2022-04-21 2022-09-22 주식회사 유비티엘이디 안전장치를 갖는 쇼케이스용 엘이디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092A (ko) 201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057B2 (en) LED module for sign channel letters and driving circuit
JP4686643B2 (ja) 半導体発光素子搭載用基板、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283539B2 (ja) 発光装置、発光装置ユニット、および発光装置製造方法
KR101593740B1 (ko)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808755B1 (ko) 발광 소자 모듈 장치와 백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US9228707B2 (en) Light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luminous band
US8592830B2 (en) LED unit
US20140054628A1 (en) Substrate,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JP2007123644A (ja) 電力半導体装置
WO2006036358A2 (en) Power led package
US8552450B2 (en) LED package structure with a fuse for protection from high current
TW201214805A (en)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substrate, light emitting element module, and lighting device
JP2014026993A (ja) セラミック基板と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TWI480911B (zh) 閃爍器
US20130250562A1 (en) Wiring board device, luminai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ring board device
US10818648B2 (en) Semiconductor module
US20200036158A1 (en) Light source device
JP4708338B2 (ja) 電気通信回路保護装置
KR20120116945A (ko) 발광 장치
JP2014216480A (ja) 配線基板および電子装置
CN108475566B (zh) 开放模式保护元件及包括其的电子装置
CN212204127U (zh) 一种cob灯带
US8456101B2 (en) Power systems with platform-based controllers
CN109148402B (zh) 发光二极管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486920B1 (ko) 오픈모드 보호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