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679B1 -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679B1
KR101808679B1 KR1020160115769A KR20160115769A KR101808679B1 KR 101808679 B1 KR101808679 B1 KR 101808679B1 KR 1020160115769 A KR1020160115769 A KR 1020160115769A KR 20160115769 A KR20160115769 A KR 20160115769A KR 101808679 B1 KR101808679 B1 KR 101808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all sensor
delete delete
manufactur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송근만
김창완
조주영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나노기술원 filed Critical (재)한국나노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1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52Manufacturing aspects; Manufacturing of single devices, i.e. of semiconductor magnetic sensor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ll/M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은, 웨이퍼 기판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희생층 위에 n형 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n형 컨택층 위에 홀 센서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홀 센서 활성층 위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버퍼층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웨이퍼 기판을 상기 희생층 상부의 적층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홀 센서에 역구조의 박막 홀 센서층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대상 기판에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Super-thin hall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홀 센서에 희생층 삽입과 역구조의 박막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기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 센서는 홀 효과를 이용하여 외부 자기장의 세기를 전기적 신호(전압)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주로 위치를 검출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홀 센서의 제조에는 화합물 반도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화합물 반도체는 실리콘에 비해 전자이동도가 커서 큰 값의 홀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감도 홀 센서에는 주로 화합물 반도체가 사용된다.
최근에 전자기기의 박형화에 따라 홀 센서도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홀 센서의 박형화를 위해 기판을 연마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마방식은 소자의 신뢰성 및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연마방식에 대한 대안으로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퍼 기판(810)에서 분리한 홀 센서층(830) 소자를 스탬프(835)로 대상 기판(840)에 전사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탬프를 이용한 전사방식은 홀 센서 제조 완료까지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재현성이 떨어지며,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 8에서 참조 번호 820은 희생층을 나타낸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590호(특허문헌 1)에는 "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에 따른 홀 센서 제조 방법은, 캐리어 기판에 희생층을 개재한 센서 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자계 플럭스 집중기를 구비한 플렉서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센서 소자를 플렉서블 기판으로 향하도록 하여 플렉서블 기판에 센서 소자를 실장하는 단계; 및 캐리어 기판과 희생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의 경우, 센서 소자의 증착을 리지드 기판 위에서 수행하고, 완성된 센서 소자를 플렉서블 기판 위에 실장하여 홀 센서를 제조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홀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캐리어 기판을 분리할 때 LLO(Laser Lift-Off)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온의 열이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센서 소자에 붙은 희생층을 이온 밀링(ion milling)을 통해 제거함에 따라 센서 소자에 이온 빔에 의한 미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제10-2014-0077590호(2014.06.24 공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홀 센서에 희생층 삽입과 역구조의 박막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기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구조의 박막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는,
n형 컨택층;
상기 n형 컨택층 위에 적층 형성되는 홀 센서 활성층;
상기 홀 센서 활성층 위에 적층 형성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의 상면에 접합되는 전사(transfer) 대상 기판을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사 대상 기판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flexibl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형 컨택층, 홀 센서 활성층 및 버퍼층으로 구성되는 홀 센서층과 전사 대상 기판을 합한 전체 두께는 0.07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은,
a) 웨이퍼 기판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희생층 위에 n형 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n형 컨택층 위에 홀 센서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홀 센서 활성층 위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버퍼층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웨이퍼 기판을 상기 희생층 상부의 적층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희생층은 In, Ga, Al, P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홀 센서 활성층은 n형 GaAs 화합물 반도체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e)에서 상기 전사 대상 기판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희생층은 식각액(chemical etchant)을 이용한 습식 식각 방식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은,
m) 웨이퍼 기판상에 식각 중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n) 상기 식각 중지층 위에 n형 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o) 상기 n형 컨택층 위에 홀 센서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p) 상기 홀 센서 활성층 위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q) 상기 버퍼층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r) 상기 웨이퍼 기판 및 식각 중지층을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m)에서 상기 식각 중지층은 In, Ga, Al, P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o)에서 상기 홀 센서 활성층은 n형 GaAs 화합물 반도체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q)에서 상기 전사 대상 기판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r)에서 상기 웨이퍼 기판 및 식각 중지층은 식각액 (chemical etchant)을 이용한 습식 식각 방식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홀 센서에 역구조의 박막 홀 센서층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대상 기판에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홀 센서층을 역구조로 성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홀 센서층을 대상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홀 센서층을 역구조로 성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홀 센서층을 대상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스탬프를 이용한 홀 센서층의 대상 기판에의 전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100)는 크게 홀 센서층(330)과 전사 대상 기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 센서층(330)은 n형 컨택층(331)과, 그 n형 컨택층(331) 위에 적층 형성되는 홀 센서 활성층(332)과, 그 홀 센서 활성층(332) 위에 적층 형성되는 버퍼층(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형 컨택층(331)은 GaAs, InGaAs 등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 활성층(332)은 벌크(bulk)형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 센서 활성층(332)이 벌크형일 경우는 GaAs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홀 센서 활성층(332)이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일 경우, AlGaAs/GaAs, AlGaAs/InGaAs/AlGaAs, InAlAs/InGaAs/InAl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버퍼층(333)은 GaAs, In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사 대상 기판(340)은 대상 기판에 전사된 상기 홀 센서층(330)을 지지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사 대상 기판(340)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flexibl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n형 컨택층(331), 홀 센서 활성층(332) 및 버퍼층(333)으로 구성되는 홀 센서층(330)과 전사 대상 기판(340)을 합한 전체 두께는 0.07mm 이하로 형성한다. 이는 최근의 전자기기의 박형화에 따라 그러한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홀 센서 소자의 두께도 박형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홀 센서의 제조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역구조의 홀 센서층의 성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홀 센서층을 대상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먼저 도 3의 (A)와 같이, 웨이퍼 기판(310) 상에 희생층(320)을 형성한다(단계 S201). 여기서, 희생층(320)은 In, Ga, Al, P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희생층(32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3의 (B)와 같이 n형 컨택층(331), 홀 센서 활성층(332) 및 버퍼층(333)으로 구성되는 홀 센서층(330)을 종래 방식의 홀센서 성장 구조와는 반대의 역구조로 성장하여 형성한다. 즉, 종래 방식의 홀 센서 구조에서의 버퍼층과 n형 컨택층의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서로 바꾸어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역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홀 센서층(330)을 한 번에 전사 대상 기판(340)에 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 센서층(330)의 형성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희생층(320) 위에 n형 컨택층(331)을 형성한다(단계 S202). 이때, n형 컨택층(331)은 GaAs, InGaAs 등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n형 컨택층(331)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n형 컨택층(331) 위에 홀 센서 활성층(332)을 형성한다(단계 S203). 여기서, 홀 센서 활성층(332)은 n형 GaAs 화합물 반도체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 센서 활성층(332)은 벌크(bulk)형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 센서 활성층(332)이 벌크형일 경우는 GaAs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고, 홀 센서 활성층(332)이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일 경우, AlGaAs/GaAs, AlGaAs/InGaAs/AlGaAs, InAlAs/InGaAs/InAl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홀 센서 활성층(332)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홀 센서 활성층 (332) 위에 버퍼층(333)을 형성한다(단계 S204). 이때, 버퍼층(333)은 GaAs, In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홀 센서층(330)의 형성이 완료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홀 센서층(330)의 형성을 위해 MBE(Molecular Beam Epitaxy), MOVPE(Metalorganic Vapor Phase Epitax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홀 센서층(330)의 형성 후, 도 3의 (C)와 같이 웨이퍼 기판(310)을 분리한 후 홀 센서층(330)을 전사 대상 기판(340)에 전사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홀 센서층(330)의 상면, 즉 버퍼층(333)의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340)을 접합한다(단계 S205). 이때, 전사 대상 기판(340)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flexibl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연 기판이 사용될 경우 초박형 홀 센서를 구현하여 가장 감도가 좋은 위치에 홀 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고, 유연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버퍼층(333)의 상면에 전사 대상 기판(340)의 접합이 완료되면, 희생층(320)을 제거하여 웨이퍼 기판(310)을 희생층(320) 상부의 적층 구조체, 즉, 홀 센서층(330)으로부터 분리한다(단계 S206). 이때, 희생층(320)은 식각액(chemical etchant)을 이용한 습식 식각 방식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희생층(320)의 식각으로 분리된 웨이퍼 기판(310)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홀 센서 소자의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사 대상 기판(340)에 홀 센서층(330)이 전사된 상태의 최종 홀 센서 소자가 얻어진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초박형 홀 센서(100)가 얻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홀 센서의 제조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역구조의 홀 센서층의 성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홀 센서층을 대상 기판에 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에 따라, 먼저 도 6의 (A)와 같이 웨이퍼 기판(610) 상에 식각 중지층(620)을 형성한다(단계 S501). 여기서, 상기 식각 중지층(620)은 In, Ga, Al, P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각 중지층(620)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6의 (B)와 같이 n형 컨택층(631), 홀 센서 활성층(632) 및 버퍼층(633)으로 구성되는 홀 센서층(630)을 종래 방식의 홀센서 성장 구조와는 반대의 역구조로 성장하여 형성한다. 즉, 종래 방식의 홀 센서 구조에서의 버퍼층과 n형 컨택층의 위치를 본 발명에서는 서로 바꾸어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역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에서 홀 센서층(630)을 한 번에 전사 대상 기판(640)에 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 센서층(630)의 형성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식각 중지층(620) 위에 n형 컨택층(631)을 형성한다(단계 S502). 이때, n형 컨택층(631)은 GaAs, InGaAs 등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n형 컨택층(631)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n형 컨택층(631) 위에 홀 센서 활성층(632)을 형성한다(단계 S503). 여기서, 홀 센서 활성층(632)은 n형 GaAs 화합물 반도체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홀 센서 활성층(632)은 벌크(bulk)형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홀 센서 활성층(332)이 벌크형일 경우는 GaAs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홀 센서 활성층(332)이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형일 경우, AlGaAs/GaAs, AlGaAs/InGaAs/AlGaAs, InAlAs/InGaAs/InAl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홀 센서 활성층(632)의 형성이 완료되면, 그 홀 센서 활성층 (632) 위에 버퍼층(633)을 형성한다(단계 S504). 이때, 버퍼층(633)은 GaAs, InGaAs 등의 화합물 반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홀 센서층(630)의 형성이 완료된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홀 센서층(630)의 형성을 위해 MBE(Molecular Beam Epitaxy), MOVPE(Metalorganic Vapor Phase Epitax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홀 센서층(630)의 형성 후, 도 6의 (C)와 같이 웨이퍼 기판(310)을 분리한 후 홀 센서층(630)을 전사 대상 기판(640)에 전사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홀 센서층(630)의 상면, 즉 버퍼층(633)의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640)을 접합한다(단계 S505). 이때, 전사 대상 기판(640)으로는 페라이트(ferrite) 기판 또는 고분자 유연(flexible)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연 기판이 사용될 경우 초박형 홀 센서를 구현하여 가장 감도가 좋은 위치에 홀 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고, 유연 전자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버퍼층(633)의 상면에 전사 대상 기판(640)의 접합이 완료되면, 상기 웨이퍼 기판(610) 및 식각 중지층(620)을 순차적으로 제거한다(단계 S506).여기서, 상기 웨이퍼 기판(610) 및 식각 중지층(620)은 식각액(chemical etchant)을 이용한 습식 식각 방식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전사 대상 기판(640)에 홀 센서층(630)이 전사된 상태의 최종 홀 센서 소자가 얻어진다. 즉, 도 1에서 설명한 초박형 홀 센서(100)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은 홀 센서에 역구조의 박막 홀 센서층 성장을 통해 한 번에 홀 센서 소자를 대상 기판에 전사함으로써, 전사 횟수를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수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 특히, 희생층을 삽입하여 웨이퍼 기판을 분리하는 방식을 적용할 경우 웨이퍼 기판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더욱 감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10,610,810: 웨이퍼 기판 320,820: 희생층
330,630,830: 홀 센서층 331,631: n형 컨택층
332,632: 홀 센서 활성층 333,633: 버퍼층
340,640,840: 전사 대상 기판 620: 식각 중지층
835: 스탬프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a) 웨이퍼 기판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희생층 위에 n형 컨택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n형 컨택층 위에 홀 센서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홀 센서 활성층 위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버퍼층 상면에 전사(transfer) 대상 기판을 접합하는 단계; 및
    f)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여 상기 웨이퍼 기판을 상기 희생층 상부의 적층 구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희생층은 In, Ga, Al, P를 포함하는 화합물 반도체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홀 센서 활성층은 n형 GaAs 화합물 반도체 또는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2DEG(two-dimensional electron gas)를 이용한 화합물 반도체는AlGaAs/GaAs, AlGaAs/InGaAs/AlGaAs, InAlAs/InGaAs/InAlA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n형 컨택층, 홀 센서 활성층 및 버퍼층으로 구성되는 홀 센서층을 종래의 홀 센서층 성장 구조와는 반대의 역구조로 성장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박형 홀 센서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15769A 2016-09-08 2016-09-08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69A KR101808679B1 (ko) 2016-09-08 2016-09-08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769A KR101808679B1 (ko) 2016-09-08 2016-09-08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679B1 true KR101808679B1 (ko) 2017-12-13

Family

ID=6094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769A KR101808679B1 (ko) 2016-09-08 2016-09-08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04B1 (ko) * 2018-12-26 2020-05-14 (재)한국나노기술원 스트레스 유도층을 포함하는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7321A (ko) * 2020-08-26 2022-03-08 (재)한국나노기술원 유연 자기 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연 자기 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215A (ja) * 2005-12-27 2007-07-12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集積型ホールセンサ
JP2011146627A (ja) * 2010-01-18 2011-07-28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GaAsホール素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0215A (ja) * 2005-12-27 2007-07-12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集積型ホールセンサ
JP2011146627A (ja) * 2010-01-18 2011-07-28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GaAsホール素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904B1 (ko) * 2018-12-26 2020-05-14 (재)한국나노기술원 스트레스 유도층을 포함하는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7321A (ko) * 2020-08-26 2022-03-08 (재)한국나노기술원 유연 자기 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연 자기 센서
KR102449792B1 (ko) * 2020-08-26 2022-09-30 (재)한국나노기술원 유연 자기 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연 자기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497B1 (ko) 독립형 실리콘 메사들 상의 iii-n 에피택셜 디바이스 구조체들
WO2017088560A1 (zh) 传感器、制备方法和多传感器系统
CN107732001B (zh) 一种基于惠斯顿电桥结构的压力传感器及其制造方法
JP6347856B2 (ja) 圧力センサ、及び、圧力センサを製造する方法
TWI520175B (zh) 化合物半導體結晶之製造方法、電子裝置之製造方法,及半導體基板
US5198795A (en) Magnetoelectric transduc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13080897A (ja) 複合基板の製造方法
US10608102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drain electrode contacting an epi material inside a through-h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08679B1 (ko) 초박형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15591A1 (en) Hetero-integration of iii-n material on silicon
CN106206930A (zh) 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CN108414121B (zh) 一种GaN压力传感器制备方法及器件
JP2013542599A (ja) 半導体ウェハ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半導体ウェハおよび半導体デバイス
CN115207207A (zh) 氮化物和磁致伸缩材料复合结构压力传感器制作方法
CN108519174B (zh) GaN电桥式绝压压力传感器及制作方法
JP2010050467A (ja) 半導体薄膜素子の製造方法
KR101862076B1 (ko) 마이크로 히터를 구비한 센서 제조 방법
US10249750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1598200B1 (ko) Iii-v족 화합물 반도체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WO2013187078A1 (ja) 半導体基板、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複合基板の製造方法
KR102110904B1 (ko) 스트레스 유도층을 포함하는 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2449792B1 (ko) 유연 자기 센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연 자기 센서
WO2013042382A1 (ja) 複合基板の製造方法
KR101983565B1 (ko) Hemt 유래 구조를 가지는 고감도 압력 센서와 그 센서의 제조방법
JP2012204539A (ja) 磁気抵抗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