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545B1 - 블랭킹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블랭킹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545B1
KR101808545B1 KR1020160102638A KR20160102638A KR101808545B1 KR 101808545 B1 KR101808545 B1 KR 101808545B1 KR 1020160102638 A KR1020160102638 A KR 1020160102638A KR 20160102638 A KR20160102638 A KR 20160102638A KR 101808545 B1 KR101808545 B1 KR 10180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die set
coil
upper die
s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주)제일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제일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16010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필요에 따라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오실레이터에 쇽업소버와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되 쇽업쇼버는 슬라이드로부터 직접 타격을 받는 지점들에 설치함과 동시에 오실레이터의 양측면에도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스에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타격후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공진 현상을 억제하여 장비의 내구성 및 생산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역할을 하는 베드와, 상기한 베드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 볼스터와, 상기한 무빙 볼스터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쇽업쇼버 및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오실레이터와, 상기한 오실레이터를 타격하기 위한 슬라이드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피더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절단된 코일을 오실레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엑시트 피더와, 상기한 엑시트 피더에 의해 추출된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한 오실레이터는, 슬라이드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댐핑패드와, 상기한 댐핑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댐핑 플레이트와,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 나이프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코일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나이프 베이스와, 상기한 하부 나이프 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나이프와 함께 작용하여 코일을 절단하기 위한 하부 나이프와, 상기한 댐핑패드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무빙 볼스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랭킹 프레스 장치{Blanking press}
이 발명은 블랭킹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필요에 따라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오실레이터에 쇽업소버와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되 쇽업쇼버는 슬라이드로부터 직접 타격을 받는 지점들에 설치함과 동시에 오실레이터의 양측면에도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스에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타격후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공진 현상을 억제하여 장비의 내구성 및 생산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장치는 2개 이상의 서로 대응되는 금형을 이용하여 금형의 사이에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가공재를 놓은 후, 상기 가공재를 금형이 강한 힘으로 압축시킴으로써 굽힘, 드로잉, 압축, 절단, 펀칭, 블랭킹 등의 가공작업을 하는 공작기계이다.
블랭킹 프레스 장치는 코일을 절단하는 프레스 장치로서, 최대 80spm 의 속도에 대응하는 고속 프레스 장치이다,
종래의 블랭킹 프레스 장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베드를 지지하는 4곳에 스프링이 내장된 방진패드를 설치하고, 오실레이터의 양 측면에 2중 스프링을 적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공개번호 10-2010-0064799(공개일자 2010년 06월 15일)의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프레스 다이 쿠션장치"에서는, 쿠션 패드의 하부에 쿠션 패드를 요구되는 압력으로 지지하는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조절장치와 쿠션패드의 예비가속을 위한 승하강 장치를 구비하여 프레스 동작시 블랭크 홀더와 상금형의 속도차에 의한 접촉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블랭킹 프레스 장치는 프레스 충격하중 흡수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서징 현상이 발생하여 스프링의 피로감이 상승하게 되고, 공진현상으로 인하여 스프링이 파손됨으로써 장비의 내구성 및 생산소재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공개번호 10-2010-006479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오실레이터에 쇽업소버와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되 쇽업쇼버는 슬라이드로부터 직접 타격을 받는 지점들에 설치함과 동시에 오실레이터의 양측면에도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스에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타격후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공진 현상을 억제하여 장비의 내구성 및 생산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지지역할을 하는 베드와, 상기한 베드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 볼스터와, 상기한 무빙 볼스터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쇽업쇼버 및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오실레이터와, 상기한 오실레이터를 타격하기 위한 슬라이드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피더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절단된 코일을 오실레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엑시트 피더와, 상기한 엑시트 피더에 의해 추출된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한 오실레이터는, 슬라이드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댐핑패드와, 상기한 댐핑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댐핑 플레이트와,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 나이프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코일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나이프 베이스와, 상기한 하부 나이프 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나이프와 함께 작용하여 코일을 절단하기 위한 하부 나이프와, 상기한 댐핑패드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무빙 볼스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쇽업쇼버부의 구성은, 댐핑패드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 브라켓과, 상기한 오일탱크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쇽업쇼버에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가스스프링부의 구성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 브라켓과, 상기한 어큐뮬레이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의 압력이 축적되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필요에 따라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오실레이터에 쇽업소버와 가스 스프링을 설치하되 쇽업쇼버는 슬라이드로부터 직접 타격을 받는 지점들에 설치함과 동시에 오실레이터의 양측면에도 각각 설치함으로써 프레스에 직접 설치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타격후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의 공진 현상을 억제하여 장비의 내구성 및 생산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구성은, 지지역할을 하는 베드(1)와, 상기한 베드(1)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 볼스터(2)와, 상기한 무빙 볼스터(2)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5)을 절단하는 경우에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쇽업쇼버 및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오실레이터(3)와, 상기한 오실레이터(3)를 타격하기 위한 슬라이드(4)와, 상기한 오실레이터(3)에 코일(5)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피더(6)와, 상기한 오실레이터(3)에 의해 절단된 코일(5)을 오실레이터(3)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엑시트 피더(7)와, 상기한 엑시트 피더(7)에 의해 추출된 코일(5)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컨베이어(8)는 이송거리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3)의 구성은, 슬라이드(4)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댐핑패드(31)와, 상기한 댐핑패드(31)에 연결되어 있는 댐핑 플레이트(32)와,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32)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 나이프(34)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코일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홀더(35)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나이프 베이스(36)와, 상기한 하부 나이프 베이스(3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나이프(34)와 함께 작용하여 코일(5)을 절단하기 위한 하부 나이프(37)와, 상기한 댐핑패드(31)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부(38)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과 홀더(35)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부(39)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과 무빙 볼스터(2)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 스프링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3)의 쇽업쇼버부(38)의 구성은, 댐핑패드(31)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381)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 브라켓(382)과, 상기한 오일탱크 브라켓(382)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쇽업쇼버(381)에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3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쇽업쇼버(381)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3개씩, 6개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오실레이터(3)의 가스스프링부(39)의 구성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과 홀더(35)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391)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 브라켓(392)과, 상기한 어큐뮬레이터 브라켓(392)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의 압력이 축적되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3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스 스프링(391)은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쇽업쇼버(381)의 사이마다 설치됨으로써 쇽업쇼버(381)의 개수보다 1개 적은 5개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랭킹 프레스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블랭킹 라인의 엔트리 파트에서 풀려진 코일(5)은 메인 피더(6)의 동력에 의해 무빙 볼스터(2)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오실레이터(3)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코일(5)이 오실레이터(3)로 공급되면, 슬라이드(4)가 하강운동을 하면서 오실레이터(3)의 댐핑패드(31)를 타격한다.
오실레이터(3)의 댐핑패드(31)가 타격되면, 충격력에 의해서 댐핑패드(31), 댐핑 플레이트(32),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33), 상부 나이프(34), 홀더(35)가 함께 하강하게 된다.
홀더(35)는 하강되면서 코일(5)을 눌러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부 나이프(34)는 홀더(35)가 코일(5)을 눌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부 나이프(37)와 함께 작용하여 코일(5)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형상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오실레이터(3)의 댐핑패드(31)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쇽업쇼버부(38)의 쇽업쇼버(38)와, 가스 스프링부(39)의 가스 스프링(391)과, 압력 스프링부(40)에 의해서 완충이 된다.
슬라이드(4)가 댐핑패드(31)를 타격한 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쇽업쇼버(38)는 스프링의 공진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생산소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오실레이터(3)의 상부 나이프(34)와 하부 나이프(37)에 의해서 절단된 코일(5)은 엑시트 피더(7)에 의해 컨베이어(8)에 이송됨으로써 컨베이어(8)에 의해 운반이 되며, 상기한 컨베이어(8)로서는 텔레스코픽 컨베이어가 사용됨으로써 이송거리를 신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1 : 베드 2 : 무빙 볼스터
3 : 오실레이터 4 : 슬라이드
5 : 코일 6 : 메인 피터
7 : 엑시트 피더 8 : 컨베이어

Claims (3)

  1. 지지역할을 하는 베드와, 상기한 베드의 위에 설치되어 있는 무빙 볼스터와, 상기한 무빙 볼스터의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충격력을 완충시키기 위한 쇽업쇼버 및 가스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오실레이터와, 상기한 오실레이터를 타격하기 위한 슬라이드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메인 피더와, 상기한 오실레이터에 의해 절단된 코일을 오실레이터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엑시트 피더와, 상기한 엑시트 피더에 의해 추출된 코일을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포함하며,
    상기한 오실레이터는,
    슬라이드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댐핑패드와,
    상기한 댐핑패드에 연결되어 있는 댐핑 플레이트와,
    상기한 댐핑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부 나이프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코일을 절단하는 경우에 코일을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 나이프 베이스와,
    상기한 하부 나이프 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 나이프와 함께 작용하여 코일을 절단하기 위한 하부 나이프와,
    상기한 댐핑패드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쇼버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부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무빙 볼스터의 사이에 설치되는 압력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쇽업쇼버부는,
    댐핑패드와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쇼버와,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탱크 브라켓과,
    상기한 오일탱크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쇽업쇼버에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오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스스프링부는,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과 홀더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 스프링과,
    상기한 상부 다이세트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 브라켓과,
    상기한 어큐뮬레이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의 압력이 축적되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프레스 장치.
KR1020160102638A 2016-08-12 2016-08-12 블랭킹 프레스 장치 KR10180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638A KR101808545B1 (ko) 2016-08-12 2016-08-12 블랭킹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638A KR101808545B1 (ko) 2016-08-12 2016-08-12 블랭킹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545B1 true KR101808545B1 (ko) 2018-02-21

Family

ID=6152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638A KR101808545B1 (ko) 2016-08-12 2016-08-12 블랭킹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5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012A (ja) 2009-10-06 2011-04-21 Honda Motor Co Ltd 切断装置
KR101392826B1 (ko) 2014-02-04 2014-05-08 유노빅스이엔씨(주) 프레스 방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012A (ja) 2009-10-06 2011-04-21 Honda Motor Co Ltd 切断装置
KR101392826B1 (ko) 2014-02-04 2014-05-08 유노빅스이엔씨(주) 프레스 방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94B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102303232A (zh) 一种缓冲压合机构
CN207509792U (zh) 一种带有减震功能的液压机
CN205614767U (zh) 一种瓦楞纸板冲孔装置
CN107283909A (zh) 一种抗震能力强的冲压机
CN105383194A (zh) 压印机
KR101808545B1 (ko) 블랭킹 프레스 장치
KR101660788B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KR20090131534A (ko) 프레스가공장치
CN212285539U (zh) 一种汽车钢板弹簧用冲孔成形复合模具
CN205165517U (zh) 安全气囊气体发生器管冲孔加工用模具
CN207308730U (zh) 一种带紧凑压料芯多工位模具
CN101844176A (zh) 凸轮装置的凸轮滑块用缓冲件及其安装方法
JP4884815B2 (ja) プレス加工装置とそのプレス方法
CN209189940U (zh) 一种方便调节的减震型机械加工用截断装置
CN210146792U (zh) 一种冲压模具的支撑结构及下模座
CN209755407U (zh) 一种打孔装置
CN205732693U (zh) 一种汽车车身冲压机用缓冲装置
CN210025328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长距离夹持位移装置
CN220314307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纸箱模切机
CN214488544U (zh) 一种导向套模具
CN214161051U (zh) 一种精密零件冲裁模具
CN214239709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冲压机装置
CN212917171U (zh) 一种减震冲压机装置
CN218798664U (zh) 一种模具钢材加工用抗震冲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