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826B1 - 프레스 방진기 - Google Patents

프레스 방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826B1
KR101392826B1 KR1020140012368A KR20140012368A KR101392826B1 KR 101392826 B1 KR101392826 B1 KR 101392826B1 KR 1020140012368 A KR1020140012368 A KR 1020140012368A KR 20140012368 A KR20140012368 A KR 20140012368A KR 101392826 B1 KR101392826 B1 KR 10139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s
protruding
vibration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최재성
김창열
문대환
Original Assignee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노빅스이엔씨(주) filed Critical 유노빅스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4001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0Stamping using yieldable or resilien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2Die-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방진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스 가공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고하중 충격력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진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스 방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프레스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직 하부에서 상부프레임과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스로부터 상부프레임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방진 구조체를 포함하는 프레스 방진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 구조체는, 고무와 철판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고무; 및 상기 제1 적층고무와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1 적층고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되, 상하로 이웃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두 접시 스프링이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상부프레임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방진 구조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진 구조체의 전/후/좌/우에 위치하도록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부프레임을 향하여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과 이격된 채로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과 제2 돌출형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고무와 철판이 제1 돌출형 프레임으로부터 제2 돌출형 프레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번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제2 적층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레스 방진기{Press machine isolator}
본 발명은 프레스 방진기에 관한 것으로, 접시 스프링과 적층고무를 혼용하여 프레스 가공 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고하중 충격력으로 인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하여 빠르게 안정화 시키는 프레스 방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는 소재에 힘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굽힘, 전단, 단면수축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를 말한다.
프레스 가공의 대표적인 예는, 주로 금속판에 압축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여러 모양을 만들어낸 것으로, 시계, 카메라의 정밀부품에서부터 자동차의 차체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대상 소재에 있어서도 강판, 동판, 황동판, 알루미늄판은 물론 플라스틱, 섬유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프레스 가공은 소재를 특별히 가열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고, 짧은 시간에 정확한 치수와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교환성이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프레스 가공은 소재에 큰 힘을 가하는 것과 함께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 상, 주기적으로 고하중 충격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프레스의 진동이 발생되고, 발생된 진동으로 인하여 설비 수명 단축되며, 또한 전달된 진동으로 인하여 건축 구조물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주변의 작업여건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프레스와 설치면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한 완충부재로서 코일스프링이나 방진패드가 이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코일스프링은 안정화가 늦고, 방진패드는 방진효율이 낮기 때문에 고하중에 대하여 빠른 안정화가 불가능하므로, 주기적으로 충격력이 발생하는 프레스에 대해서는 적절한 방진구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9610호에는 고속프레스의 방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에 개시된 방진기구는 프레스에 고정된 상부패널과 설치면에 고정된 하부패널이 다수개의 코일스프링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패널의 중앙부에는 작동유체가 주입된 실린더가 구비되며, 상부패널의 중앙부에는 실린더로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진기구는 프레스 가공시 프레스로부터 상부패널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다수개의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고, 더불어 실린더의 작동유체가 피스톤에 의해 압축되면서 진동을 완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진기구 역시 주로 코일스프링에 의존하여 진동을 완화하는 구조로써, 빠른 안정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09610호 (2006.02.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가공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고하중 충격력에 대하여 우수한 방진성능과 빠른 안정화, 수평 변위 발생시 효과적인 제어를 하여 높은 방진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프레스 방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프레스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수직 하부에서 상부프레임과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스로부터 상부프레임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방진 구조체를 포함하는 프레스 방진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 구조체는, 고무와 철판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고무; 및 상기 제1 적층고무와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1 적층고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되, 상하로 이웃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두 접시 스프링이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상부프레임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방진 구조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진 구조체의 전/후/좌/우에 위치하도록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부프레임을 향하여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과 이격된 채로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 및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과 제2 돌출형 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고무와 철판이 제1 돌출형 프레임으로부터 제2 돌출형 프레임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번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제2 적층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은 하나의 연속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도 하나의 연속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프링 구조체를 구성하는 접시 스프링의 강도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스프링 구조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치되어 스프링 구조체에 의한 주변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 플레이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구조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자중에 의한 하중을 스프링 구조체에 부가하는 스페이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진 구조체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방진 구조체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서 병렬 구조로 배열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접시 스프링은 충격하중에 의한 처짐 발생시 마찰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하여 자체 댐핑성능을 보유함에 따라 댐핌성능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되므로 방진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방진성능도 매우 우수하여 고하중 충격력이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프레스에서 시스템의 빠른 안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구조체에 대하여 적층된 구조로 설치되는 제1 적층고무는 중고주파수의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프레스의 작동시 발생하는 넓은 주파수 대역의 충격에너지의 일정 부분은 스프링 구조체가 저감하고, 나머지 부분은 제1 적층고무가 저감시키도록 함으로써, 프레스의 방진에 최적화된 방진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적층고무는 수평방향으로 하중 또는 변위 발생시의 충격을 감쇠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시스템을 안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구조로 제작되어 수직방향 운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진성능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층고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조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층고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2개의 방진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레스 방진기의 평면도,
도 8 은 4개의 방진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레스 방진기의 평면도,
도 9 는 4개의 방진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레스 방진기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0 은 2개의 방진 구조체를 이용하여 구성된 프레스 방진기의 또 다른 구조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적층고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조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적층고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과, 방진 구조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방진기의 상부를 구성하는 구조부재로서, 프레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프레스와의 결합은 볼팅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프레임(100)은 하단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프레스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10)의 둘레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은 방진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방진 구조체(300)를 중심으로 하여 방진 구조체(300)의 전/후/좌/우에 각각 위치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도록 서로 연결되어 방진 구조체(300)의 주위를 감싸는 하나의 연속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프레스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 즉 설치면에 고정되거나 놓여 방진기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100)의 수직 하부에서 상부프레임(100)과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0)은 대략 상단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설치면에 고정되거나 놓이는 하부플레이트(210)의 상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을 형성한 것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은 방진 구조체(300)를 중심으로 하여 방진 구조체(300)의 전/후/좌/우에 각각 위치하도록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은 제2 돌출형 프레임(120)과 마주한 채 소정 거리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은 제2 돌출형 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갖도록 서로 연결되어 방진 구조체(300)의 주위를 감싸는 하나의 연속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은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제2 돌출형 프레임(120)에 의해 감싸진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을 감싸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외부 이물질이 방진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자와 같이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이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부프레임(100)이 하부프레임(200)을 덮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 구조체(300)는 프레스의 작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제1 적층고무(310)와 스프링 구조체(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적층고무(310)는 고무(311)와 철판(312)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전체적으로는 고무(311)에 의해 감싸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적층고무(310)는 원형의 링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그 중심부로는 후술될 지지체(330)가 삽입된다. 참고로, 위와 같이 고무(311)와 철판(312)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제1 적층고무(310)는 중고주파수의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구조체(320)는 프레스의 작업 특성, 즉 고하중 발생 및 주기적으로 충격력이 발생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시스템의 빠른 안정화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을 적층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접시 스프링(321)은 주지된 바와 같이, 밑바닥이 없는 접시 모양으로 형성된 스프링으로, 이러한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을 적층하여 스프링 구조체(3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이웃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두 접시 스프링(321)은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적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시 스프링(321)의 대경부(321a)는 상부 또는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321)의 대경부(321a)와 마주하도록 서로 이웃한 두 접시 스프링(321)이 배치되고, 접시 스프링(321)의 소경부(321b)는 상부 또는 하부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접시 스프링(321)의 소경부(321b)와 마주하도록 서로 이웃한 두 접시 스프링(321)이 배치된다.
결국,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을 적층하여 스프링 구조체(320)를 형성함에 있어서, 접시 스프링(321)을 교번하여 뒤집어가면서 적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구조체(32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이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구조체(320)는 제1 적층고무(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 적층고무(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프레임(100)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스프링 구조체(320)가 1차적으로 저감시키고, 스프링 구조체(3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력을 제1 적층고무(310)가 저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 구조체(320)를 구성하는 접시 스프링(321)은 단위체적당 축적에너지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짧은 스트로크로 큰 부하 능력을 갖고 있는 특성으로 인하여 작은 면적에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프레스의 방진에 적합하며, 상부프레임(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한 처짐 발생시 마찰에 의한 감쇠력이 발생하여 자체 댐핑성능을 보유함에 따라 방진기에 별도의 댐핑장치를 마련하지 않고서도 시스템의 빠른 안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스프링 구조체(320)를 형성하도록 적층된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이 충격력에 의하여 그 배열이 와해되지 않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시 스프링(321)을 지지하는 지지체(330)가 상부프레임(100) 또는 하부프레임(200)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330)는 상부프레임(100) 또는 하부프레임(200)에 고정되며, 스프링 구조체(320)와 제1 적층고무(3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스프링 구조체(320)를 구성하는 다수개 접시 스프링(321)과 제1 적층고무(31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억제하며, 접시 스프링(321)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체(330)는 스프링 구조체(320)의 거동시, 접시 스프링(321)과 마찰이 있으므로, 열처리를 통하여 접시 스프링(321)의 강도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하부프레임(200)에 지지체(330)가 설치되고, 이처럼 설치된 지지체(330)가 제1 적층고무(310) 및 스프링 구조체(32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스프링 구조체(320)의 상부에 배치된 스페이서(340)의 중앙부로 삽입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 구조체(320)를 구성하는 접시 스프링(321)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작은 면적으로 큰 부하를 지지하게 되므로, 스프링 구조체(320)와 제1 적층고무(310), 그리고 스프링 구조체(320)와 스페이서(340)을 그대로 접촉시킨 경우, 스프링 구조체(320)에 의하여 제1 적층고무(310)와 스페이서(340)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구조체(3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손상방지 플레이트(3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손상방지 플레이트(350)는 스프링 구조체(320)를 구성하는 접시 스프링(321)의 강도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열처리를 통하여 접시 스프링(321)의 강도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원형의 링 구조를 구비하여 지지체(33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언급된 스페이서(340)는 접시 스프링(321)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스프링 구조체(3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지지체(330)가 중앙부로 삽입되어 스프링 구조체(320)와 함께 지지체(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스페이서(340)의 자중이 스프링 구조체(320)에 부가됨으로써, 상부프레임(100)이 하부프레임(200)과 충돌하지 않는 거동이 가능한 높이를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고하중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스프링 구조체(320)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는 수평방향으로 하중 또는 변위 발생시 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제2 적층고무(3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적층고무(360)는 제1 돌출형 프레임(220)과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측면이 제1 돌출형 프레임(220)에 고정되고, 반대쪽 측면이 제2 돌출형 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1 돌출형 프레임(220)과 제2 돌출형 프레임(120)에 제2 적층고무(36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적층고무(360)의 한쪽 측면과 반대쪽 측면 각각에는 고정 브래킷(360a,360b)이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브래킷(360a,360b)이 제1 돌출형 프레임(220)과 제2 돌출형 프레임(120)에 각각 볼팅 결합됨으로써 제2 적층고무(360)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2 적층고무(360)는 고무(361)와 철판(362)이 반복적으로 교번되게 배치된 구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무(361)와 철판(362)이 제1 돌출형 프레임(220)으로부터 제2 돌출형 프레임(120)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번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고무(361)에 의해 감싸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2 적층고무(360)를 형성하는 고무(361)와 철판(362)은 수직하게 세워진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큰 강성이 얻어지므로 수평방향의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 고무(361)와 철판(362)이 충격을 감쇠하여 빠른 시간 내에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반면, 수직방향의 충격력에 대해서는 수직강성에 비해 매우 낮은 강성으로 변형되어 높은 방진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하나의 방진 구조체(300)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다수개의 방진 구조체(300)를 병렬 구조로 배열 및 설치하여 상부프레임(100)이 다수개의 방진 구조체(30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2개의 방진 구조체(300)가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4개의 방진 구조체(300)가 사각형의 배열구조로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4개의 방진 구조체(300)를 구비하되, 3개의 방진 구조체(300)가 직렬 구조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나머지 1개의 방진 구조체(300)가 3개의 방진 구조체(300)와 병렬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2개의 방진 구조체(300)를 구비하되, 상부 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측면부에 방진기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홈부(130,230)가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0과 같은 구조에 따르면 유압잭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프링 구조체(320)와 제1 적층고무(310) 그리고 제2 적층고무(3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방진기는 프레스의 하부와 설치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프레스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 수직방향에 대한 충격력은 스프링 구조체(320)와 제1 적층고무(310)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저감되고, 수평방향에 대한 충격력은 제2 적층고무(360)에 의해 저감되는 구조로써, 충격력을 빠르게 저감시켜 시스템의 빠른 안정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충격력이 발생하는 프레스에 최적화된 방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프레임 120: 제2 돌출형 프레임
200: 하부프레임 220: 제1 돌출형 프레임
300: 방진 구조체 310: 제1 적층고무
311: 고무 312: 철판
320: 스프링 구조체 321: 접시 스프링
330: 지지체 340: 스페이서
350: 손상방지 플레이트 360: 제2 적층고무
361: 고무 362: 철판

Claims (6)

  1. 프레스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100);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수직 하부에서 상부프레임(100)과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하부프레임(200); 및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을 연결하도록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프레스로부터 상부프레임(100)으로 전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방진 구조체(300)를 포함하는 프레스 방진기에 있어서,
    상기 방진 구조체(300)는, 고무(311)와 철판(312)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제1 적층고무(310); 및 상기 제1 적층고무(310)와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1 적층고무(3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접시 스프링(321)을 적층시킨 구조를 갖되, 상하로 이웃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두 접시 스프링(321)이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적층된 것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구조체(3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으로부터 상부프레임(100)을 향하여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방진 구조체(300)를 중심으로 하여 방진 구조체(300)의 전/후/좌/우에 위치하도록 하부프레임(2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220);
    상기 상부프레임(100)으로부터 하부프레임(200)을 향하여 하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220)과 이격된 채로 마주하도록 상부프레임(10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120); 및
    상기 제1 돌출형 프레임(220)과 제2 돌출형 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고무(361)와 철판(362)이 제1 돌출형 프레임(220)으로부터 제2 돌출형 프레임(120)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교번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제2 적층고무(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 돌출형 프레임(220)은 하나의 연속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제2 돌출형 프레임(120)도 하나의 연속되는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구조체(320)를 구성하는 접시 스프링(321)의 강도 이상의 강도를 구비하는 재질로 구성되며, 스프링 구조체(3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치되어 스프링 구조체(320)에 의한 주변 구성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 플레이트(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구조체(3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자중에 의한 하중을 스프링 구조체(320)에 부가하는 스페이서(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 구조체(300)는 다수개로 구성되며, 다수개의 방진 구조체(300)는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200)의 사이에서 병렬 구조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방진기.
KR1020140012368A 2014-02-04 2014-02-04 프레스 방진기 KR10139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68A KR101392826B1 (ko) 2014-02-04 2014-02-04 프레스 방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68A KR101392826B1 (ko) 2014-02-04 2014-02-04 프레스 방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2826B1 true KR101392826B1 (ko) 2014-05-08

Family

ID=5089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68A KR101392826B1 (ko) 2014-02-04 2014-02-04 프레스 방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545B1 (ko) 2016-08-12 2018-02-21 (주)제일산업기계 블랭킹 프레스 장치
CN109047444A (zh) * 2018-09-05 2018-12-21 山东迈特力重机有限公司 一种压力机箱体式顶冠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10Y1 (ko) 2005-09-15 2006-02-13 강상원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시소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610Y1 (ko) 2005-09-15 2006-02-13 강상원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시소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545B1 (ko) 2016-08-12 2018-02-21 (주)제일산업기계 블랭킹 프레스 장치
CN109047444A (zh) * 2018-09-05 2018-12-21 山东迈特力重机有限公司 一种压力机箱体式顶冠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877B1 (en) Seismic isolation assembly
US8789806B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RU2578419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ходаковой для оборудования
CN105278636B (zh) 一种计算机设备运输装置
KR101659278B1 (ko) 내진 몰드 변압기
KR101392826B1 (ko) 프레스 방진기
US9261155B2 (en) Compact vertical-motion isolator
KR20150034388A (ko)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127938B1 (ko) 면진 장치
KR100730721B1 (ko) 설비 기기 기초진동 방지장치구조
KR20120022275A (ko) 수평 진동 모터
KR102032339B1 (ko) 내진 몰드 변압기
CN210799868U (zh) 一种建筑内部机电设备的抗震支架
KR101295171B1 (ko) 충격 시험기
KR101554930B1 (ko) 방진 마운트 및 그 제작방법
RU2537984C1 (ru) Тарельчат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кочетова с демпфером сухого трения
KR101393694B1 (ko)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CN211397816U (zh) 一种用于空气压缩机的缓冲底座
CN109307040B (zh) 无谐振峰隔振缓冲器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CN110985344A (zh) 一种用于空气压缩机的缓冲底座
JP7048414B2 (ja) 核燃料貯蔵ラックおよび核燃料貯蔵ラックの振動抑制方法
CN215647191U (zh) 一种舞台音响用音响减震装置
KR20160120119A (ko) 횡변위와 수직변위 제어 및 수직하중 지지성능을 갖는 지진저감용 면진 모듈
KR200419743Y1 (ko) 방진용 스프링 패드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