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388A -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388A
KR20150034388A KR20130114398A KR20130114398A KR20150034388A KR 20150034388 A KR20150034388 A KR 20150034388A KR 20130114398 A KR20130114398 A KR 20130114398A KR 20130114398 A KR20130114398 A KR 20130114398A KR 20150034388 A KR20150034388 A KR 2015003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lt
damper
friction
compres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434B1 (ko
Inventor
김형준
박병태
권기혁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4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4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8Lin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강재 소성과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을 일으키도록 하여 제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형 제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동일축상에 제1볼트 삽입공, 제1볼트 지지공을 갖는 걸림턱 및 제1압축실을 갖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압축실에 위치되어 커넥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에 지지되고 동시에 제1완충수단을 삽통하여 제1실린더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1볼트와; 일단이 상기 제1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압축실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완충수단에 접촉되어 있는 커넥터와; 내부에 서로 연통된 제2압축실과 제2볼트 삽입공을 서로 연통시켜 갖고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압축실에 삽입되어 일부가 제2볼트 삽입공을 삽통하고 있는 제2볼트와; 상기 제2볼트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압축실에 위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2완충수단과;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볼트에 각각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엔드 조인트와; 압축 및 인장 하중시 마찰과 강재 소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으로, 일단이 제1실린더와 엔드 조인트측 각기 고정 지지되어 있는 강재 댐퍼와; 일단이 제2실린더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강재 댐퍼에 위치되어 있는 마찰판 지지대와; 강재 댐퍼와 마찰판 지지대의 사이에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패드와 마찰판; 및 나사 체결력으로 마찰패드를 마찰판에 강제적으로 밀착시키는 마찰패드 조임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Cylindrical vibration control device having hysteretic damper and friction damper}
본 발명은 바람이나 지진으로 인한 건물의 진동 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도록 제작된 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강재 소성과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을 일으키도록 하여 제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형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은 하중 변위 관계에서 요구되는 탄성 수준까지 완전 탄성으로 거동하거나 비탄성 거동에 의한 유연성으로 지진 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구조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면진 또는 제진 구조를 검토할 수 있다. 제진장치는 에너지 소산 작용에 의해 구조물에 유입되는 지진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구조물에 발생하는 변형을 감소시킨다. 제진장치는 변형에 의한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구조물의 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곳에 설치하게 되며, 감쇠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감쇠의 증가는 구조물의 변위 및 가속도 등의 응답을 저감시켜 구조물의 주기를 길게 하여 응답을 저감시키는 면진장치와는 달리 고층구조물에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거주성 향상에도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93474호로서, '진폭에 따른 감쇠력을 갖는 제진기'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피스톤 로드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도되고 피스톤을 지지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를 피스톤 로드 쪽 구동실 및 피스톤 로드 반대쪽 구동실로 나누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피스톤 로드쪽 구동실 방향으로 배치되는 하우징의 적어도 한 부분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을 제1 구동실 및 제2 구동실로 나누는 격리체(separating body)가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구동실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연결구멍(radial connecting opening)을 통해 피스톤 로드 쪽 구동실과 연결되고, 제2 구동실은 연결 채널(connection channel)을 통해 피스톤 로드 반대쪽 구동실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한 부분이 용접부를 통해 상기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는 진폭(amplitude)에 따른 감쇠력(damping force)을 갖는 제진기(vibration damper)이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피스톤 로드의 스트로크를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데 반해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추가되는 단점을 가진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74406호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56387호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기본으로 하고 추가적으로 강재 소성과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소산을 일으키도록 하여 제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린더형 제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동일축상에 제1볼트 삽입공, 제1볼트 지지공을 갖는 걸림턱 및 제1압축실을 갖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압축실에 위치되어 커넥터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제1볼트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에 지지되고 동시에 제1완충수단을 삽통하여 제1실린더 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1볼트와;
일단이 상기 제1볼트에 나사 결합되어 제1압축실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완충수단에 접촉되어 있는 커넥터와;
내부에 서로 연통된 제2압축실과 제2볼트 삽입공을 서로 연통시켜 갖고 상기 커넥터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압축실에 삽입되어 일부가 제2볼트 삽입공을 삽통하고 있는 제2볼트와;
상기 제2볼트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압축실에 위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2완충수단과;
상기 제1실린더 및 제2볼트에 각각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엔드 조인트와;
압축 및 인장 하중시 마찰과 강재 소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으로, 일단이 제1실린더와 엔드 조인트측 각기 고정 지지되어 있는 강재 댐퍼와; 일단이 제2실린더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강재 댐퍼에 위치되어 있는 마찰판 지지대와; 강재 댐퍼와 마찰판 지지대의 사이에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패드와 마찰판; 및 나사 체결력으로 마찰패드를 마찰판에 강제적으로 밀착시키는 마찰패드 조임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완충수단 및 제2완충수단은 각기 축 하중을 받도록 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접시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시스프링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 커넥터 및 제2실린더의 각기 외주면에는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키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볼트와 좌측 엔드 조인트와의 사이 그리고 제1실린더와 커넥터와의 사이에는 동일한 완충 유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엔드 조인트 중 어느 하나에는 가새요소가 더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은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 또는 180도 간격마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제진장치에 따르면, 접시스프링의 탄성변형과 더불어 강재 댐퍼의 소성 변형과 마찰판과 마찰패드간의 마찰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에너지 흡수효율이 높아 제진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볼트의 지압력 변화, 강재 댐퍼의 형상 변경을 통해 에너지 소산량 및 소산 방법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선형으로 이루어져 부피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나 철골구조물의 보와 기둥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형 제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확대도.
도 4a는 도 1에서 실린더형 제진장치의 몸체부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b에서 압축 하중과 인장 하중시의 작동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 제진장치의 다양한 설치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형 제진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b와 같이 제1실린더(12)를 구비한다. 제1실린더(12)는 길이 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제1실린더(12)는 내부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동일축(X)상에 제1볼트 삽입공(121), 제1볼트 지지공(122a)을 갖는 걸림턱(122) 및 원형 단면의 제1압축실(123)을 갖는다. 이때 제1볼트 삽입공(121)의 내경은 제1볼트 지지공(122a)의 내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한 제1압축실(123)의 내경은 후술할 커넥터(18)의 소직경부(181)의 외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제1실린더(12)에는 제1완충수단이 설치된다. 제1완충수단은 제1압축실(123)에 위치되어 걸림턱(122)과 커넥터(18)와의 사이에서 축하중을 받아 압축되고 다시 탄성 반발하여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완충수단은 본 실시 예와 같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제1접시스프링(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실린더(12)에는 제1볼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제1볼트(16)는 제1실린더(12)의 제1볼트 삽입공(121)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122)에 지지되고 동시에 제1완충수단을 삽통하여 제1압축실(123)내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제1볼트(16)의 길이는 커넥터(18)와의 연결을 위해 제1압축실(123)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볼트(16)에 커넥터(18)가 연결되어 있다. 제진 작용시 커넥터(18)는 제1실린더(12)와 상호 가까이 이동하여 제1접시스프링(14)을 압축시킨다. 커넥터(18)는 일단이 소직경부(181)내의 암나사(181a)를 통해 제1볼트(16)에 나사 결합되어 제1압축실(123)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완충수단에 접촉되어 있고 타단에 수나사(182)를 형성하고 있다.
커넥터(18)에는 원형 단면의 제2실린더(20)가 연결되어 있다. 제2실린더(20)는 커넥터(18)의 수나사(182)와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2실린더(20)는 내부에 서로 연통된 제2압축실(201)과 제2볼트 삽입공(202)을 갖고 있다. 제2압축실(201)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내경이 제2볼트 삽입공(20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2실린더(20)에는 제2볼트(22)가 설치되어 있다. 제2볼트(22)는 제2압축실(201)에 삽입되어 일부가 제2볼트 삽입공(202)을 삽통하여 우측 엔드조인트(28)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볼트(22)의 나사부 직경은 제2실린더(20)의 제2볼트 삽입공(202)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제2실린더(20)에는 제2완충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2완충수단은 제2볼트(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제2압축실(201)에 위치되어 있다. 제2완충수단은 축하중에 압축 반발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와 같이 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제2접시스프링(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완충수단은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1접시스프링(14) 및 제2접시스프링(24)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제1실린더(12) 및 제2볼트(22)에는 각각 나사 결합으로 좌우측 엔드 조인트(26,28)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좌측 엔드조인트(26)는 수나사를 가지고 제1실린더(12)의 제1볼트 삽입공(121)에 나사결합되어 있고, 우측 엔드조인트(28)는 암나사를 가지고 제2볼트(22)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나 이러한 나사 결합 구조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좌우측 엔드 조인트(26,28)에는 각기 연결구멍(26a,2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실린더(12), 커넥터(18) 및 제2실린더(20)의 각기 외주면에는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키홈(12a,18a,20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들 키홈(12a,18a,20a)은 이웃한 부품과의 나사 조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볼트(16)와 좌측 엔드 조인트(26)와의 사이 그리고 제1실린더(12)와 커넥터(18)와의 사이에는 동일한 완충 유격(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측 엔드 조인트(26,28) 중 어느 하나에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가새요소(30)가 더 연결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접시 스프링(14,24)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즉 제1,2접시 스프링(14,24)은 원뿔 형태의 원형 판 스프링으로 축하중을 받는 것으로, 판의 두께는 일정하며 작용하중은 내경 상부와 외경 하부의 가장자리에 균등하게 분산된다. 제1,2접시 스프링(14,24)은 단위체적당 축척에너지가 코일 스프링에 비하여 매우 크기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짧은 스트로크로 큰 부하 능력을 가지며 완충수단으로써 코일스프링에 비해 유리한 장점을 갖는다. 제1,2접시 스프링(14,24)은 허용응력 범위 내에서 사용되어 긴수명을 얻을 수 있고 충격의 완화에 강하기 때문에 본 실시 예와 같이 다수개 겹쳐 사용하면 완충효율이 높은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린더형 제진장치(10)는 스프링장치에 부가하여 강제의 소성 변형을 이용하는 강재 댐퍼와 마찰력을 이용하는 마찰패드를 함께 적용하여 제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압축 및 인장 하중시 마찰과 강재 소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이 더 부가되어 구성된 것이다.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일단이 제1실린더(12)와 엔드 조인트(28)측에 각기 고정 지지되어 있는 강재 댐퍼(60a,60b)와, 일단이 제2실린더(20)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강재 댐퍼(60a,60b)에 위치되어 있는 마찰판 지지대(70a,70b)와, 강재 댐퍼(60a,60b)와 마찰판 지지대(70a,70b)의 사이에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 및 나사 체결력으로 마찰패드(80)를 마찰판(90)에 강제적으로 밀착시키는 마찰패드 조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강재 댐퍼(60a,60b)는 상호 동일한 형태로서 일정한 하중(압축 또는 인장 하중)을 초과하게 되면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단면을 갖는 판상형의 구조이다. 이때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개소는 1개소 이상이 될 수 있다.
마찰패드(80)는 강재 댐퍼(60a,60b)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있고, 마찰판(90)은 마찰판 지지대(70a,70b)에 접합되어 고정된다.
마찰패드(8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에 세라믹입자를 분산강화시킨 알루미늄 복합재료, 탄소-탄소 복합재, 금속섬유(Steel-Fiber)를 사용하는 세미 메탈릭(Semi-Metalic)계 마찰재, 금속섬유 및 유ㆍ무기계 섬유를 혼용 사용하는 로 스틸(Low-Steel)계 마찰재, 금속섬유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유ㆍ무기계 섬유만 사용하는 논스틸(Non-Steel)계 마찰재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능 및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비석면유기체(Non Asbetos Organism: NAO)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찰판(9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 합금주철 또는 주강품, 철계 또는 비철계의 주조품, 스테인레스강 또는 스테인레스 합금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패드(80)와 접촉하여 정량적인 마찰저항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찰패드 조임수단은 조임볼트(92)와 이 조임볼트(92)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너트(94)로 구성된다. 이때 조임볼트(92)는 마찰판 지지대(70a,70b) 및 마찰판(90)의 동일 위치에 형성된 장공(71,71)을 통해 삽입되어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간에 마찰운동에너지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조임볼트(92)와 조임너트(94)의 나사 체결력을 조절함으로써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간의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린더형 제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실린더형 제진장치(10)는 축 방향으로의 하중(또는 진동)을 완충 흡수와 마찰및 강재 소성변형으로 에너지를 소산시킨다. 이때 축방향으로 압축 하중 또는 인장 하중에 따라 그 작용을 달리하므로 각각에 대하여 나누어 설명한다.
압축 하중시
도 5a와 같이 좌우 엔드 조인트(26,28)에 화살표 C방향으로 압축 하중(W)이 작용하는 경우이다. 즉, 좌우 엔드 조인트(26,28)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밀리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때는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2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1압축실(123)에 위치된 제1접시스프링(14)이 압축 하중을 받게 된다. 즉, 제1접시스프링(14)은 제1실린더(12)의 걸림턱(122)과 커넥터(18)의 좌측 끝단 사이에서 압축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 좌측 엔드 조인트(26)와 제1실린더(12)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엔드 조인트(28)와 제2실린더(20)와 커넥터(18) 및 제1,2볼트(16,22)는 우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접시스프링(14)은 압축 하중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 하중시 제2실린더(20)와 제2볼트(22)간의 상대적인 이동 운동이 없기 때문에 제2압축실(201)내에 위치하는 제1접시스프링(14)의 압축 변화는 없다.
이와 동시에, 도 1 및 도 2에서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마찰패드(80)는 일측 엔드 조인트(28)쪽으로 마찰판(90)은 타측 엔드 조인트(26)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의 사이에는 마찰 운동이 일어나면서 압축 하중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마찰에너지로 소산하게 된다.
이때 더 큰 압축 하중이 유입되어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간의 마찰구간을 넘어가게 되면 장공(71)의 말단에 걸려 강재 댐퍼(60a)에 소성변형이 일어나 하중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인장 하중시
도 5b와 같이 좌우 엔드 조인트(26,28)에 화살표 T방향으로 인장 하중(W)이 작용하는 경우이다. 즉, 좌우 엔드 조인트(26,28)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때는 제1실린더(12)와 제2실린더(20)가 동시에 좌측 엔드 조인트(26)를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볼트(22)가 우측 엔드 조인트(28)와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압축실(201)에 위치된 제2접시스프링(24)이 압축되면서 인장 하중을 받게 된다. 즉, 제2접시스프링(24)은 제2실린더(12)의 제2볼트 삽입공(202)을 갖는 걸림턱(203)과 제2볼트(22)의 머리부의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인장 하중을 받게 된다.
이때 제1볼트(16)와 커넥터(18)는 엔드 조인트(26)와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접시스프링(24)은 T 방향의 인장 하중(W)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여기서 인장 하중시 제1실린더(12)와 커넥터(18)간의 상대적인 이동 운동이 없기 때문에 제1압축실(123)내에 위치하는 제1접시스프링(14)에 압축 변화는 없다.
이같이 실린더형 제진장치(10)에 축 방향으로 진동이 인가되면 압축 하중과 인장 하중이 교대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2접시스프링(14,24)이 그 하중 및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완충하게 됨으로써 제진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1 및 도 2에서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은 서로 압축 하중과 반대되는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마찰패드(80)는 일측 엔드조인트(26) 방향으로 마찰판(90)은 타측 엔드조인트(28) 방향으로 각기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의 사이에는 마찰 운동이 일어나면서 인장 하중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마찰에너지로 소산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더 큰 인장 하중이 유입되어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간의 마찰구간을 넘어가 장공(71,71)에 걸리면 강재 댐퍼(60a)에 소성변형이 일어나 하중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여기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은 원주 방향으로 180도 간격마다 설치되어 2개소에 구비되어 있으나, 원주방향으로 90도 간격마다 설치되어 4개소에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제진장치(10)는 도 6과 같이 강재로 제작된 프레임으로 제작된 보(1a)와 기둥(2a)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제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린더형 제진장치(10)는 도 7과 같이 철큰 콘크리트로 제작된 보(1b)와 기둥(2b)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제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설치 형태에 따라 추가적으로 어느 한쪽의 엔드 조인트(26 또는 28)에 도 6(나) 및 도 7(나)와 같이 가새요소(30)가 더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새요소(30)는 특정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로 강재로 제작된 로드 형태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제1실린더
14: 제1접시스프링
16: 제1볼트
18: 커넥터
20: 제2실린더
22: 제2볼트
24: 제2접시스프링
26,28: 엔드 조인트
30: 가새요소
60a,60b: 강재 댐퍼
70a,70b: 마찰판 지지대
80: 마찰패드
90: 마찰판

Claims (7)

  1. 내부에 일단에서 타단으로 동일축상에 제1볼트 삽입공(121), 제1볼트 지지공(122a)을 갖는 걸림턱(122) 및 제1압축실(123)을 갖는 제1실린더(12)와;
    상기 제1실린더(12)의 제1압축실(123)에 위치되어 커넥터(18)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제1볼트 삽입공(121)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122)에 지지되고 동시에 제1완충수단을 삽통하여 제1실린더(12)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1볼트(16)와;
    일단이 상기 제1볼트(16)에 나사 결합되어 제1압축실(123)의 내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완충수단에 접촉되어 있는 커넥터(18)와;
    내부에 서로 연통된 제2압축실(201)과 제2볼트 삽입공(202)을 서로 연통시켜 갖고 상기 커넥터(18)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2실린더(20)와;
    상기 제2실린더(20)의 제2압축실(201)에 삽입되어 일부가 제2볼트 삽입공(202)을 삽통하고 있는 제2볼트(22)와;
    상기 제2볼트(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압축실(201)에 위치되어 탄성 변형으로 압축 하중을 흡수하는 제2완충수단과;
    상기 제1실린더(12) 및 제2볼트(22)에 각각 나사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좌우측 엔드 조인트(26,28)와;
    압축 및 인장 하중시 마찰과 강재 소성변형을 유도하기 위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으로, 일단이 제1실린더(12)와 엔드 조인트(28)측 각기 고정 지지되어 있는 강재 댐퍼(60a,60b)와; 일단이 제2실린더(20)측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강재 댐퍼(60a,60b)에 위치되어 있는 마찰판 지지대(70a,70b)와; 강재 댐퍼(60a,60b)와 마찰판 지지대(70a,70b)의 사이에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마찰패드(80)와 마찰판(90); 및 나사 체결력으로 마찰패드(80)를 마찰판(90)에 강제적으로 밀착시키는 마찰패드 조임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수단 및 제2완충수단은 각기 축 하중을 받도록 축방향으로 적층된 다수의 접시스프링(14,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시스프링(14,24)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12), 커넥터(18) 및 제2실린더(20)의 각기 외주면에는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키홈(12a,18a,2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16)와 좌측 엔드 조인트(26)와의 사이 그리고 제1실린더(12)와 커넥터(18)와의 사이에는 동일한 완충 유격(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엔드 조인트(26,28) 중 어느 하나에는 가새요소(30)가 더 연결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마찰 및 소성 유도수단은 원주 방향으로 90도 간격 또는 180도 간격마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20130114398A 2013-09-26 2013-09-26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511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398A KR101511434B1 (ko) 2013-09-26 2013-09-26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4398A KR101511434B1 (ko) 2013-09-26 2013-09-26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388A true KR20150034388A (ko) 2015-04-03
KR101511434B1 KR101511434B1 (ko) 2015-04-10

Family

ID=530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4398A KR101511434B1 (ko) 2013-09-26 2013-09-26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4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08A (zh) * 2017-05-17 2018-12-14 大连大学 一种分级减震器的滑动减震器
CN109881806A (zh) * 2019-02-28 2019-06-14 同济大学 自复位波纹变摩擦阻尼器
CN113066697A (zh) * 2021-04-14 2021-07-02 广州宝狮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具备防振功能的继电器
CN114482314A (zh) * 2022-01-05 2022-05-13 燕山大学 一种装配式预压弹簧自复位耗能钢支撑
CN115163737A (zh) * 2022-07-29 2022-10-11 福州大学 一种多自由度复合减振器及其工作方法
CN115370033A (zh) * 2022-09-23 2022-11-22 北京固力同创工程科技有限公司 震害监控一体化的摩擦阻尼器及摩擦阻尼器监控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653B1 (ko) * 2009-11-19 2012-06-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진형 가새장치
KR101319698B1 (ko) * 2011-12-27 2013-10-17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캔틸레버 거동식 강재 댐퍼
KR101389771B1 (ko) * 2012-04-25 2014-04-28 씨티에스엔지니어링(주) 고집적 제진댐퍼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08A (zh) * 2017-05-17 2018-12-14 大连大学 一种分级减震器的滑动减震器
CN108999308B (zh) * 2017-05-17 2021-01-26 大连大学 一种分级减震器的滑动减震器
CN109881806A (zh) * 2019-02-28 2019-06-14 同济大学 自复位波纹变摩擦阻尼器
CN109881806B (zh) * 2019-02-28 2024-01-12 同济大学 自复位波纹变摩擦阻尼器
CN113066697A (zh) * 2021-04-14 2021-07-02 广州宝狮新能源有限公司 一种具备防振功能的继电器
CN114482314A (zh) * 2022-01-05 2022-05-13 燕山大学 一种装配式预压弹簧自复位耗能钢支撑
CN114482314B (zh) * 2022-01-05 2022-11-01 燕山大学 一种装配式预压弹簧自复位耗能钢支撑
CN115163737A (zh) * 2022-07-29 2022-10-11 福州大学 一种多自由度复合减振器及其工作方法
CN115163737B (zh) * 2022-07-29 2023-12-01 福州大学 一种多自由度复合减振器及其工作方法
CN115370033A (zh) * 2022-09-23 2022-11-22 北京固力同创工程科技有限公司 震害监控一体化的摩擦阻尼器及摩擦阻尼器监控系统
CN115370033B (zh) * 2022-09-23 2024-03-29 北京固力同创工程科技有限公司 震害监控一体化的摩擦阻尼器及摩擦阻尼器监控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434B1 (ko) 2015-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34B1 (ko)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028217B1 (ko) 점탄성과 마찰을 이용한 이중강관형 복합제진장치
US9260860B2 (en) Passive damper
KR101838606B1 (ko) 댐퍼
KR101398365B1 (ko)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마찰형 에너지 소산 장치
JP5831734B2 (ja) 慣性質量ダンパー
CN113202200B (zh) 基于组合弹簧的自复位粘滞阻尼器
RU2279580C1 (ru) Тарельчат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с маятниковым подвесом
WO2016042742A1 (ja) 構造物用振動減衰装置
KR20170141531A (ko) 변압기용 진동저감장치
CN108895111B (zh) 一种可变阻尼、可调刚度的减振器
CN101725660A (zh) 高频解耦型活塞式磁流变阻尼器
KR101524855B1 (ko) 고감쇠 고무 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702847B1 (ko) 제진형 가새장치
CN109750594B (zh) 大跨桥梁复合型多方向抗风抗震减振器及其工作方法
JP5874336B2 (ja) 制振装置
KR101393694B1 (ko) 이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CN215977833U (zh) 一种基于组合弹簧的自复位粘滞阻尼器
KR20140050438A (ko) 배관 지지용 행거
RU136776U1 (ru) Поглощающий аппарат с полимерными упругими элементами для сцепных устройств бсу-тм пассажирск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JP7195405B2 (ja) スナバ組立体付きアクチュエータ
CN106812860A (zh) 一种组合式阻尼器
KR102322358B1 (ko) 행거볼트를 갖는 제진장치
KR101830869B1 (ko) 압축고무를 이용한 3축 배관 진동제어 스마트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