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322B1 -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 Google Patents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322B1
KR101808322B1 KR1020170037968A KR20170037968A KR101808322B1 KR 101808322 B1 KR101808322 B1 KR 101808322B1 KR 1020170037968 A KR1020170037968 A KR 1020170037968A KR 20170037968 A KR20170037968 A KR 20170037968A KR 101808322 B1 KR101808322 B1 KR 101808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loading
carriage
cargo box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억
김승연
김성호
김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모터스
Priority to KR102017003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3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2Trailers with one axle or two wheels
    • B62D63/065Trailers with one axle or two wheels forming an extension of the towing vehicle, i.e. with two point fix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2001/00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 B60D2001/005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vehicles other than cars for carts, scoot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있는 적재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이송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적재부와,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 상에서 적재함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바퀴와,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에서 탈착된 적재함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에서 탈착된 적재함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부와, 적재함이 운반차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적재함의 다리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고정 걸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함의 다리부는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와 후방 측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와 적재함의 적재부와 전방 다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링크를 포함하며, 작동링크는 작동링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돌출 연장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링크는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 장공의 슬릿에 돌출 연장부가 삽입되어 적재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걸쇠는 고리형 장착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이러한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걸쇠는 적재함이 운반차에서 탈착 되었을 때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가 장공의 슬릿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돌출 연장부를 제1 부재의 고리형 장착부에 파지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A cargo box detachably mounted on an electronic cart and an electronic cart using such a cargo box}
본 발명은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해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보다 편리하게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송 대상물을 편리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운반차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송 대상물을 보다 손쉽게 운송할 수 있도록 전동식으로 구동되는 전동 운반차도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전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해 적재함이 장착된 운반차를 전동식으로 구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이송 대상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 운반차가 개시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동 운반차(10)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동모터를 통해 전동차를 구동시켜 적재함(20)에 실린 이송 대상물을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종래의 수동식 운반차에 비해 이송 대상물을 더욱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동 운반차와 같은 종래의 운반차는 적재함(2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거나, 작업자가 적재함을 직접 들어서 차량의 후방에 형성된 적재함 장착부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송 대상물을 운반차에 적재하는데 여전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전동 운반차는 협소한 공간이나 건물 내부로 진입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이나 건물 내부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운반차로부터 이송 대상물 또는 이송 대상물이 적재된 적재함을 직접 들어서 내린 다음 운반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이송 대상물의 운반에 여전히 번거로움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22028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이송 대상물을 보다 쉽게 적재하여 원하는 위치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있는 적재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이송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적재부와,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 상에서 적재함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바퀴와,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에서 탈착된 적재함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다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에서 탈착된 적재함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부와, 적재함이 운반차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적재함의 다리부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고정 걸쇠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함의 다리부는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와 후방 측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와 적재함의 적재부와 전방 다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링크를 포함하며, 작동링크는 작동링크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돌출 연장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링크는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 장공의 슬릿에 돌출 연장부가 삽입되어 적재함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걸쇠는 고리형 장착부를 갖는 제1 부재와, 이러한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걸쇠는 적재함이 운반차에서 탈착 되었을 때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가 장공의 슬릿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돌출 연장부를 제1 부재의 고리형 장착부에 파지해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함의 적재부 하부에는 적재함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및 제2 장착 플레이트가 구비되며, 보조바퀴는 제1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적재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다리부의 전방 다리부, 후방 다리부 및 작동링크는 제2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적재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공의 슬릿은 제2 장착 플레이트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적재함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전동 운반차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운반차는 적재함의 보조바퀴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과, 적재함이 운반차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적재함에 구비된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를 장공의 슬릿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 스토퍼와, 적재함이 운반차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적재함에 구비된 고정 걸쇠를 잠금 및 해제하는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스토퍼는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를 이동시키는 제1 부재와, 작동 스토퍼의 제1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하부에 바퀴부가 구비되어 단독으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운반차에 탈착 가능한 상태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송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전동 운반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이나 건물 내부까지도 쉽게 진입해 이송 대상물을 전달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의 운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은 운반차에서 탈착된 상태에서는 적재함을 지지하는 다리부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어 다리부 하부에 구비된 바퀴부를 통해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운반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다리부가 접혀진 상태로 운반차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적재함의 다리부가 운반차의 구조물에 간섭되어 적재함의 장착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구성되어 적재함의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적재함이 운반차에서 탈착된 상태에서는 펼쳐진 다리부가 고정 걸쇠를 통해 고정되어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반차에서 탈착된 적재함이 단독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 안정적인 이송물 운반이 가능해 지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동 운반차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운반차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적재함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적재함에 적용된 고정 걸쇠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에 적용된 작동 스토퍼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적재함이 운반차에 장착 및 탈착되는 과정에서 고정 걸쇠가 작동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이 운반차에 장착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3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전동 운반차) 및 이러한 운반차에 이용될 수 있는 적재함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100)는 통상의 운반차와 같이 차체(110), 차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120), 운반차의 운행 방향을 조절하는 핸들(130), 운전석(140), 적재함 장착부(150) 등으로 구성되며, 적재함 장착부(1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재함(20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운반차(100)의 기본 골격만 도시되어 있으며, 운반차(100)의 기본 구조는 통상의 운반차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적재함 장착부(150)의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반차(100)의 적재함 장착부(150)에는 운반차(100) 상에서 적재함(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7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70)은 후술하는 적재함(200)의 보조바퀴(220)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적재함(200)이 보조바퀴(220)의 회전에 의해 운반차(10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레일(170)의 후방 측에는 후술하는 적재함(200)의 다리부(230)에 구비되는 작동링크(280)를 이동시켜 다리부(23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작동 스토퍼(1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스토퍼(18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00)의 다리부(230)를 구성하는 작동링크(28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 부재(182), 제1 부재(182)에 장착되는 제2 부재(184), 제1 부재(18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3 부재(186)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82)는 후방측으로 개방된 리세스를 구비해 후술하는 적재함(200)의 작동링크(280)에 구비된 돌출 연장부(286)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부재(186)는 끝단에 고리형 장착부(188)를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 부재(182)의 리세스 내로 삽입된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3 부재(186)가 제2 부재(184)를 통해 제1 부재(18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2 부재(184)를 생략하고 제3 부재(186)를 제1 부재(182)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구성도 당연히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스토퍼(18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적재함(200)의 고정 걸쇠(300)의 잠금 및 해제를 작동하는 트리거 부재(19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 부재(190)는 운반차(1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90)에 의해 적재함(200)의 고정 걸쇠(300)에 의한 다리부(230)의 잠금이 해제되거나 잠금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운반차(100)의 적재함 장착부(150)의 전방측에는 고정래치(160)가 구비되어 운반차(100)에 장착된 적재함(200)을 파지함으로써[구체적으로, 적재함(200)에 형성된 고정고리(215)를 파지해], 운반차(100)에 장착된 적재함(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운반차(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르면, 적재함(200)은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는 적재부(210), 적재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바퀴(220), 적재부(210)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적재함(200)을 지지하는 다리부(230), 다리부(230)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적재함(200)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부(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부(210)는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적재부(210)의 상부에는 이송 대상물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적재부(210)는 임의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은 가급적 많은 이송 대상물의 적재가 가능하고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적재하는데 가급적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에 사각 형상의 수용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적재부(210)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적재부(210)의 전방 단부에는 운반차(100)에 장착된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적재함(2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예컨대, 고정고리(215)]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수단[고정고리(215)]은 운반차(100)에 구비된 고정수단[예컨대, 고정래치(160)]에 결합되어 운반차(100)에 장착된 적재함(200)을 고정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조바퀴(220)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방에 구비되어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될 때 적재함(200)의 이동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조바퀴(2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복수로 구비되어 운반차(100) 상에서 적재함(200)이 수평으로 이동되어 장착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 좌우로 3개씩의 보조바퀴(220)를 구비해 적재함(200)의 장착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바퀴(2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재함(200)의 적재부(2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 적재함(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착 플레이트[제1 장착 플레이트(250)]를 설치하고, 제1 장착 플레이트(250)에 보조바퀴(22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리부(230)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적재부(2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리부(230)는 전방 다리부(260), 후방 다리부(270), 작동링크(2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다리부(260)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될 때 후방으로 접혀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다리부(260)에는 후술하는 작동링크(280)가 연결되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할 때 전방 다리부(260)가 후방으로 접혀서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 다리부(270)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될 때 후방으로 접혀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방 다리부(270)는 연결링크(290)를 통해 전방 다리부(260)와 연결되어,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될 때 후방 다리부(270)가 전방 다리부(260)와 함께 후방으로 접혀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230)는 적재함(200)이 운반차(100)로부터 탈착된 경우에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를 하부에서 지지해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될 경우에는 운반차(100)의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재함(200) 상부의 적재부(210) 측으로 접혀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의 다리부(230)에는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할 때 적재함(200)의 다리부(230)가 접히도록 유도하는 작동링크(28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링크(280)는 막대형 링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재함(200)의 적재부(210)와 전방 다리부(260)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링크(280)는 일측 단부[제1 단부(282)]가 적재부(2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제2 단부(284)]가 전방 다리부(260)에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8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함의 적재부(210)에 연결되는 작동링크(280)의 제1 단부(282) 측에는 작동링크(280)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연장부(286)가 구비될 수 있다(도 8 참조). 돌출 연장부(286)는 작동링크(280)를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측에 연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 및 탈착할 때 적재함(200)의 다리부(230)를 접거나 펴는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링크(280)는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 구비된 장착 플레이트[제2 장착 플레이트(255)]를 통해 적재함(200)의 적재부(2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장착 플레이트(255)에는 제2 장착 플레이트(2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즉, 적재함(20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장공의 슬릿(257)이 형성되고, 작동링크(280)는 제2 장착 플레이트(255)에 구비된 장공의 슬릿(257)에 돌출 연장부가 삽입되어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공의 슬릿(25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동링크(280)의 제1 단부(282)가 적재함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적재함(200)의 다리부(230)가 접히고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2 장착 플레이트(255)에 형성된 장공의 슬릿(257)의 전방 단부측 부근에는 적재함(200)이 전동 운반차(100)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작동링크(280)의 제1 단부(282)가 장공의 슬릿(257) 전방부 측에 위치되도록 유지시켜 적재함(200)의 다리부(23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걸쇠(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걸쇠(300)는 작동링크(280)를 파지하는데 이용되는 고리형 장착부를 갖는 제1 부재(310)와, 이러한 제1 부재(3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걸쇠(300)의 제2 부재(320)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30)를 통해 제1 부재(310)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제2 부재(320)는 제1 부재(310)에 대해 일측 방향(예컨대, 도 8에 도시된 X의 반대 방향)으로만 상대회전이 가능하고 타측 방향으로는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서 탈착할 때, 운반차(100)에 구비된 트리거 부재(190)가 고정 걸쇠(300)를 통과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해 줌]. 또한,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40)를 통해 적재함(200)의 적재부(210)[예컨대,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측에 구비된 제2 장착 플레이트(255)]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부재(310)는 제2 부재(320)가 제1 부재(31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도 8에 도시된 X 및 Y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게 된다[이러한 회전에 의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할 때, 고정 걸쇠(300)에 의한 잠금이 해제될 수 있게 됨]. 한편,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의 끝단은 외면이 경사진 형상로 형성되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할 때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가 제1 부재(310)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면 제1 부재(310)가 회전되어(도 8에 도시된 Y 방향으로 회전) 돌출 연장부(286)가 제1 부재(310)에 형성된 고리형 장착부 내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링크(280)의 제1 단부(282)는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적재함(200)의 다리부(23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 및 탈착되어 이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a 내지 9e 참조)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하기 위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 측으로 이동시키면, 먼저 적재함(200)에 구비된 보조바퀴(220) 가운데 가장 앞측에 위치된 보조바퀴(200)가 운반차(10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70)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함(200)이 전방으로 더 이동하게 되면, 운반차(100)에 구비된 작동 스토퍼(180)의 트리거 부재(190)가 고정 걸쇠(300)에 접촉되어 고정 걸쇠(300)에 의한 다리부(230)의 잠금 상태[즉, 작동링크(28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적재함(200)이 운반차(100) 측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면, 운반차(100)에 구비된 트리거 부재(190)가 고정 걸쇠(300)의 제2 부재(320)에 접촉되어 제2 부재(320)에 후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하게 되고(도 8에 도시된 X 방향), 이러한 힘에 의해 고정 걸쇠(300)의 제2 부재(320)는 제1 부재(310)와 함께 적재함(200)의 다리부(230)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향(도 8에 도시된 Y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재함(200)의 다리부(230)에 구비된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는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에 형성된 고리형 장착부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적재함(200)의 다리부(230)는 접철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걸쇠(3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적재함(200)이 운반차(100) 측으로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면,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는 적재함(200)에 구비된 제2 장착 플레이트(255)의 장공의 슬릿(257)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는 운반차(100)에 형성된 작동 스토퍼(180)의 제1 부재(182)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삽입되어 제3 부재(186)의 고리형 장착부에 파지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링크(280)의 제2 단부(284)에 연결된 전방 다리부(260)는 도 9d 및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접히게 되고, 이에 따라 전방 다리부(260)와 연결된 후방 다리부(270)도 함께 후방으로 접힌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이 때, 적재함(200)이 운반차(100) 이동되어 운반차(100)에 형성된 트리거 부재(190)가 고정 걸쇠(300)를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고정 걸쇠(300)는 탄성부재(24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재함(200)은 다리부(230)가 상부로 접힌 상태로 운반차(100)에 장착되게 되고, 이로 인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에 장착할 때 다리부(230)에 의한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서 탈착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장착 과정의 반대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적재함(200)을 운반차(100)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적재함(200)을 운반차(1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가 운반차(100)의 작동 스토퍼(180)에 의해 당겨져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적재함(200)의 다리부는 다시 펼쳐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의 후방으로 더욱 이동하게 되면, 운반차(100)에 구비된 트리거 부재(190)가 적재함(200)에 구비된 고정 걸쇠(300)에 접촉하게 된다(도 8에 도시된 X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촉). 이 때,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의 후방으로 더 이동하면, 고정 걸쇠(300)의 제2 부재(320)는 트리거 부재(190)에 의해 전방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고, 제2 부재(320)는 제1 부재(310)에 대해 상대회전하게 되어[도 6의 (c) 참조] 트리거 부재(190)가 고정 걸쇠(300)를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는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촉하게 되고,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는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로부터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되고(도 8에 도시된 Y 방향으로 회전),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는 고정 걸쇠(300)의 제1 부재(310)에 형성된 고리형 장착부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적재함(200)의 다리부(230)는 적재함(200)이 운반차(100)로부터 탈착된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은 운반차(100)에 자유롭게 탈부착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바퀴부(240)를 통해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대상물을 원하는 위치까지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은 전동 운반차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이나 건물 내부까지도 쉽게 진입해 이송 대상물을 전달할 수 있어 이송 대상물의 운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은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상태에서는 고정 걸쇠(300)를 통해 적재함이 다리부(230)가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적재함(200)이 안정적으로 이송 대상물을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 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함(200) 및 운반차(100)의 경우에는 운반차(100)의 구동부를 작동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적재함(200)에 장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재함(200)을 운반차(100)로부터 탈착해 충전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동 운반차의 전력원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 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운반차
110: 차체
120: 바퀴
130: 핸들
140: 운반차
150: 적재함 장착부
160: 고정래치
170: 가이드 레일
180: 작동 스토퍼
182: (작동 스토퍼의) 제1 부재
184: (작동 스토퍼의) 제2 부재
186: (작동 스토퍼의) 제3 부재
190: 트리거 부재
200: 적재함
210: 적재부
220: 보조바퀴
230: 다리부
240: 바퀴부
250: 제1 장착 플레이트
255: 제2 장착 플레이트
257: 장공의 슬릿
260: 전방 다리부
270: 후방 다리부
280: 작동링크
282: (작동링크의) 제1 단부
284: (작동링크의) 제2 단부
286: (작동링크의) 돌출 연장부
290: 연결링크
300: 고정 걸쇠
310: (고정 걸쇠의) 제1 부재
320: (고정 걸쇠의) 제2 부재
330, 340: 탄성부재

Claims (5)

  1. 운반차(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있는 적재함(200)이며,
    이송 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적재부(210)와,
    상기 적재부(210)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 상에서 적재함(200)의 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바퀴(220)와,
    상기 적재부(210)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적재함(220)을 지지하는 다리부(230)와,
    상기 다리부(230)의 하방에 구비되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적재함(200)의 이동을 보조하는 바퀴부(240)와,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서 탈착된 상태에서, 적재함(200)의 다리부(230)를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고정 걸쇠(300)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230)는 전방 측에 위치하는 전방 다리부(260)와, 후방 측에 위치하는 후방 다리부(270)와, 적재함(200)의 적재부(210)와 전방 다리부(260)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링크(28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링크(280)는 작동링크(28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하는 돌출 연장부(286)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링크(280)는 적재함(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된 장공의 슬릿(257)에 상기 돌출 연장부(286)가 삽입되어 적재함(20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걸쇠(300)는 고리형 장착부를 갖는 제1 부재(310)와, 상기 제1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걸쇠(300)는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서 탈착되었을 때 상기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가 상기 장공의 슬릿(257)의 전방 단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돌출 연장부(286)를 상기 제1 부재(310)의 고리형 장착부에 파지해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적재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0)의 적재부(210) 하부에는 적재함(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장착 플레이트(250) 및 제2 장착 플레이트(255)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퀴(220)는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250)를 통해 상기 적재부(2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리부(230)의 전방 다리부(260), 후방 다리부(270) 및 작동링크(28)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255)를 통해 상기 적재부(21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적재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슬릿(257)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255)에 형성되는,
    적재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재함(20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는 전동 운반차(100)이며,
    적재함(200)의 보조바퀴(22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170)과,
    상기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상기 적재함(200)에 구비된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를 상기 장공의 슬릿(257)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 스토퍼(180)와,
    상기 적재함(200)이 운반차(100)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상기 적재함(200)에 구비된 고정 걸쇠(300)를 잠금 및 해제하는 트리거 부재(190)를 포함하는,
    전동 운반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토퍼(180)는 상기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를 이동시키는 제1 부재(182)와,
    상기 작동 스토퍼(180)의 제1 부재(18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작동링크(280)의 돌출 연장부(286)를 파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부재(186)를 포함하는,
    전동 운반차.
KR1020170037968A 2017-03-24 2017-03-24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KR101808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68A KR101808322B1 (ko) 2017-03-24 2017-03-24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968A KR101808322B1 (ko) 2017-03-24 2017-03-24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398A Division KR20180108386A (ko) 2017-09-22 2017-09-22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322B1 true KR101808322B1 (ko) 2018-01-18

Family

ID=6102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968A KR101808322B1 (ko) 2017-03-24 2017-03-24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66B1 (ko) 2008-03-17 2008-09-29 손정락 트랙터용 트레일러
KR101463589B1 (ko) 2013-04-03 2014-11-20 전창영 차량용 접이식 쇼핑카트
KR101632379B1 (ko) 2014-12-12 2016-06-24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866B1 (ko) 2008-03-17 2008-09-29 손정락 트랙터용 트레일러
KR101463589B1 (ko) 2013-04-03 2014-11-20 전창영 차량용 접이식 쇼핑카트
KR101632379B1 (ko) 2014-12-12 2016-06-24 안동진 접이식 바퀴가 구비된 손수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91786A (ja) 荷台延長用構造体
CN111376955A (zh) 折叠式拉杆车
JP2011046364A (ja) 無人ヘリコプタの運搬用車載装置
KR20180108386A (ko)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KR101808322B1 (ko)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CN111746605B (zh) 折叠式四轮平板车
JP2001088563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ボックス搭載構造
US10065567B2 (en) Auxiliary storage moun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US20080296330A1 (en) Mountable storage arrangement
KR101916112B1 (ko) 운반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탈착 확인 시스템을 포함하는 적재함 및 이를 이용하는 전동 운반차
JP6464304B1 (ja) 牽引台車
KR20130063242A (ko) 화물 적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재화물 인출입 장치
JP6301898B2 (ja) 台車
JP2002019614A (ja) U字状床フレームの運搬用台車
CN112469617A (zh) 运输设备和运输车辆
JP6633473B2 (ja) 車両に搭載される自転車用キャリア装置
JP2002283906A (ja) 貨物車における傾斜駆動式荷台の仕切り装置
JP2013166486A (ja) 車両
JP4108344B2 (ja) 車輌運搬車
JP5209995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4339355B2 (ja) 車両の荷台に積荷を固定するための積載システム
JP2009126442A (ja) 集配用貨物自動車
KR200406460Y1 (ko) 리프트 플레이트와 대차의 결합구조
JPH0411558A (ja) 自動車格納式手押し台車
JP6591871B2 (ja) セミトレ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