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461B1 -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461B1
KR101807461B1 KR1020170028113A KR20170028113A KR101807461B1 KR 101807461 B1 KR101807461 B1 KR 101807461B1 KR 1020170028113 A KR1020170028113 A KR 1020170028113A KR 20170028113 A KR20170028113 A KR 20170028113A KR 101807461 B1 KR101807461 B1 KR 10180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subway
power
tunnel
spea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채
Original Assignee
정성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채 filed Critical 정성채
Priority to KR102017002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1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은 동일한 지하철이 통과하는 역사들로 이루어진 동일 지하철 호선에 구성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하철이 통과하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상기 스피커들로 전력을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로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는 메인 전원 케이블; TRS 방식 또는 VHF 방식의 무전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고, 유선으로 제 1 역사의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종합 관제부; 상기 제 1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합 관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코딩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코딩된 음성 신호와 전력선을 결합하는 커플링하는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 1 서브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제 1 역사와 함께 동일 지하철 호선을 구성하는 제 2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로 공급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Broadcast system for subway tunnel}
본 발명은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철 내 터널로 긴급 음성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터널 내에서 출력되는 음성 역시 음역 분리형 스피커와, 울림방지회로를 내장한 증폭기를 통하여 정확한 음성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각종 화재 사건이나 폭파 사건이 많이 일어나면서, 건물이나 각종 시설에는 사용자가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비상 전화를 300m 간격으로 배치 하고 있으나, 철도 또는 터널 내에 설치되는 연선 전화기에는 각지점간 통신 수단으로 이용될 뿐 긴급 상황시 주변 사람들에게 신속히 전파하기에는 부족하였다.
비상 상황을 방송하는 방법은, 원격지에서 음성 통보 시스템에 접속하여 비상 상황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선 전화기는 터널 또는 철도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긴급으로 방송을 하는 경우 해당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적이므로, 상술한 지리상 및 이용상의 문제로 위치를 파악하거나 방송을 바로 실시하는 구성은 소개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에 기초해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6-0050152호의 "철도 연선 전화기 및 시스템"을 출원하였으며, 해당 특허는 역내 터널로 전관 방송을 실시하는 방송부와, 다른 연선 전화기와 연결을 생성하는 연결 생성부와, 철도 연선 전화기와 연결된 역무실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는 알람 전송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TRS 무전기로부터 방송 모드로 송출되는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나 방송 유닛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호 발신을 통한 긴근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제안하였던 철도 연선 전화기 및 시스템의 경우, 터널 내 설치되는 각 스피커나 방송 유닛 마다 별도의 전원선과, 음성신호 케이블이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시스템 구성이 복잡해질 수 밖에 없으며, 스피커가 설치되는 위치가 터널 내부이기 때문에 음성 출력이 지향성을 갖을 필요가 있는데 그에 대해서는 어떤 제안도 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동일한 지하철 호선의 터널에는 동일한 알림 방송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당 터널들에 배치되는 스피커들은 전원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 병렬로 구성되도록 하여 특정 스피커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다른 스피커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지하철 호선의 터널 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피커들을 중에서 특정 스피커에 대해서만 음성 신호가 전원 공급 케이블과 함께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긴 터널 내에 스피커 설치, 각 스피커로의 전원 공급 및 스피커로의 음성 신호 전달의 구성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는 밀폐된 터널 내에 구성되어야 하고, 어느 일방향으로 소리의 전달이 울리지 않으면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에서 음역대 분리와 소리 증폭의 동작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하고, 음역대별로 구분하여 소리의 전파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터널 내의 소리 전달이 특정 방향으로의 지향성을 갖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은 동일한 지하철이 통과하는 역사들로 이루어진 동일 지하철 호선에 구성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하철이 통과하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상기 스피커들로 전력을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로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는 메인 전원 케이블; TRS 방식 또는 VHF 방식의 무전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고, 유선으로 제 1 역사의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종합 관제부; 상기 제 1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합 관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코딩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코딩된 음성 신호와 전력선을 결합하는 커플링하는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 1 서브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제 1 역사와 함께 동일 지하철 호선을 구성하는 제 2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로 공급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동일한 지하철 노선에서 긴급한 알림 방송이 필요한 경우, 즉, 터널 내부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여야 할 경우에, 터널 내에서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된 스피커들은 메인 전원 케이블에 병렬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들은 설정된 일방향으로 지향성이 높은 구조로 이루어져 터널 내벽에 의한 소리 울림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이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지하철의 동일 노선에서 특정 역사에 설치되는 종합 관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피커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이 구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은 지하철 터널 내에 구성되며, 지하철 내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사고가 발생한 지하철 호선의 모든 역사에 대해서는 신속한 안내를 수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철 2호선의 경우 서울역, 시청역, 및 종각역의 순서로 역사들이 배치되고, 그들 역사 사이에는 지하철의 이동 공간이 되는 터널(T)들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하철이 이동하는 통로, 터널이 연결되는 구간, 즉, 동일한 지하철 호선의 경우에 특정 역사에 대해서만 종합 관제부(10)가 구성되어 긴급 알림 음성이 종합 관제부(10)로 수신되면, 해당 음성 신호와 함께 터널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피커들로 공급할 전원 신호(전원 공급)가 함께 공급된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지하철 호선 내의 터널에는 복수개의 스피커들이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되고, 각각의 스피커들은 전원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각 스피커들로의 전원 공급은 각 역사에서 이루어지고, 각 스피커들은 메인 전원 케이블(61)에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특정 역사에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라도 다른 역사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스피커의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지하철이 통과하는 복수의 역사들 각각은 터널 내부의 스피커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역사들 중 하나의 역사(1)는 긴급 상황시에 터널 내부로 전달하여야 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음성 신호를 전달하는 종합 관제부(10)를 포함한다.
즉, 동일한 지하철이 통과하는 역사들을 동일 노선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동일 노선에 대해서는 하나의 종합 관제부(10)가 구성되고, 종합 관제부(10)가 설치된 역사(1)에서는 스피커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백 kHz에서 수십 kHz 이상의 고주파 신호에 실어 전달한다.
따라서, 터널 내에 구성된 메인 전원 케이블(61)에 대해서 각각의 스피커들은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력의 공급과 함께 동일한 음성 데이터(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면서 지하철의 동일 노선에서 특정 역사에 설치되는 종합 관제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동일 지하철 노선의 역사 중 어느 하나의 역사에는 종합 관제부(10)가 구성되고, 상기 종합 관제부(10)는 무선 신호 처리부(11)와 교환부(12)를 포함한다.
무선 신호 처리부(11)는 긴급 상황을 전달하기 위하여 TRS(Trunked Radio Service) 또는 VHF(Very High Frequency) 무전기로부터 전달되는 무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1)에서 출력되는 유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 1역사(1)의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로 전달하는 교환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종합 관제부(10)의 무선 신호 처리부(11)가 상기 교환부(12)와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장치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11)는 각 역사마다 구성되고, 각각의 무선 신호 처리부(11)는 상기 교환부(1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교환부(12)는 무전기에서 전달하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역사(1)의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교환부(12) 역시 반드시 상기 제 1 역사(1)에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종합 관제부(1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는 해당 지하철 호선에서 메인 관제를 담당하는 제 1 역사(1)의 음성 신호 처리부(20)로 전달된다. 음성 신호 처리부(20)는 교환부(12)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에 대해서 전력선 통신을 통한 전달이 가능하도록 코딩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30)는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20)에 의하여 코팅된 음성 신호와 전력선을 통신 결합하는 커플링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메인 전원 케이블(61)로 전력 공급과 함께 코딩된 음성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30)는 메인 전원 케이블(61)에 각 스피커로 공급할 전력과 함께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터널 내에 설치되는 메인 전원 케이블(61)에 대하여 각각의 스피커들(S)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전력선 통신을 위하여 전력에 음성 신호를 커플링하기 위한 장치가 구성된 제 1 역사(1)를 제외한 나머지 역사들은 메인 전원 케이블(61)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4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50m 간격으로 설치된 스피커들에 대해서 하나의 전원 공급 장치만을 동작시킬 경우에, 전력 손실에 의하여 스피커의 동작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각 역사들은 전원 공급 장치(40)를 구비하고, 각각의 전원 공급 장치(40)는 서브 전원 케이블(52)을 통하여 메인 전원 케이블(61)로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각 역사들은 메인 전원 케이블(61)에 병렬로 연결되는 서브 전원 케이블들(51,52)이 구성되고, 그 서브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 공급과, 음성 신호 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특정 역사(전원 공급 장치)에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다른 역사에서 공급되는 전력/전원에 의하여 스피커는 동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스피커들 중 어느 하나의 스피커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즉, 메인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력 공급과 함께 음성 신호가 전달되므로, 스피커들 사이에는 고장 여부가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피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피커(S)는 메인 전원 케이블(61)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력 신호 내에 포함된 음성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언코딩부(201)와, 상기 언코딩부(201)를 통하여 분리된 음성 신호에 대해서 주파수 대역에 기초해서 음역을 분리해내는 음역 분리부(202)와, 리미트 회로, 컴프레셔 회로, 크로스오버 회로들을 조합 및 직접화한 것으로서 소형화로 구성되어 터널 내 음성의 울림을 방지하기 위한 하울링 방지부(203)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된 음성 신호들 각각에 대해서 증폭시키는 증폭부(20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증폭부(204)에 의하여 증폭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의 각 구분된 영역으로 제공된다.
한편, 각 스피커(S)에는 메인 전원 케이블(6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스피커로 공급하는 전원부(205)가 당연히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하울링 방지부(203)는 상기 음역 분리부(202)를 통하여 기설정된 주파수대역별로 분리된 음성 신호들 각각에 대해서 31밴드의 좁은 대역폭의 이퀄라이저 또는 노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다른 통로로 음성이 각각 출력되도록 각 앰프가 스피커 내에 구분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하울링 방지부(203)는 증폭부/앰프로 전달되는 음성 신호 각각에 대해서 하울링 방지를 위한 필터 적용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된 공간인 터널 내부에서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이 지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음역대별로 구획된 앰프들로 음성 신호가 제공된다. 즉, 고음은 스피커의 중앙 부위를 통하여 출력되고, 저음은 스피커의 외곽 부위를 통하여 출력되고, 중음은 중앙 부위와 외곽 부위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피커의 각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스피커에서 음성이 출력되는 영역은 고음 영역(111), 중음 영역(112) 및 저음 영역(113)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음역대 영역들은 칸막이를 통하여 지향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 1 음역 영역인 고음 영역(111)은 4kHz 내지 12kHz 대역의 고주파수 영역이 되며, 스피커(S)의 중앙 부위에 구성되고, 고음 영역(111)은 원통형의 제 1 차단벽(221)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앰프 등과 같은 증폭부(204)는 각각의 음역 영역에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차단벽(221)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고음 영역(111)에는 제 1 앰프가 구성되고, 상기 음역 분리부(202)를 통하여 주파수 분리된 음성 신호는 제 1 앰프에서 증폭되어 상기 제 1 차단벽(221)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을 통하여 출력된다.
제 2 음역 영역인 중음 영역(112)은 상기 제 1 차단벽(221)의 크기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차단벽(221)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제 2 차단벽(222)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1 차단벽(221)과 제 2 차단벽(222) 사이의 공간이 중음 영역(1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차단벽(221)과 제 2 차단벽(222)사이에는 보조벽(224)이 구성되어 구조체로서 형상 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 2 음역 영역인 중음 영역(112)에도 상기 음역 분리부(202)를 통하여 분리된 주파수 대역의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 2 앰프가 구성된다.
제 3 음역 영역인 저음 영역(113)은 최외곽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저음 영역(113)은 스피커의 외측 하우징(21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중음 영역(112)을 정의하기 위한 제 2 차단벽(222)과 외측 하우징(210) 사이의 공간이 저음 영역(113)이 된다.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의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저음 영역은 스피커 출력면의 외곽 부분에 형성되는데, 왜냐하면 저음의 경우 잔향음 성분이 많이 포함되기 때문에 스피커 외곽 부위에서 출력되도록 하여 스피커 중심부위의 고음과 중음에 영향이 미치지는 것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스피커(S)의 경우, 제 1 차단벽(221)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보조벽(224)과, 상기 제 2 차단벽(222)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보조벽(22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보조벽(223)의 단부는 외측 하우징(210) 내주면의 결합홈(212)에 끼워짐으로써, 내측 하우징(220)과 외측 하우징(210)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보조벽(223)에는 소정 두께 돌출 형성될 돌기들(225)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돌기에는 음역대별 공간 내에 다른 구성요소를 위치시키거나, 스피커의 출력면 등 다른 구성요소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동일한 지하철 노선에서 긴급한 알림 방송이 필요한 경우, 즉, 터널 내부로 긴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여야 할 경우에, 터널 내에서 기설정된 간격마다 배치된 스피커들은 메인 전원 케이블에 병렬로 연결되어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각각의 스피커들은 설정된 일방향으로 지향성이 높은 구조로 이루어져 터널 내벽에 의한 소리 울림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동일한 지하철이 통과하는 역사들로 이루어진 동일 지하철 호선에 구성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하철이 통과하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피커;
    상기 스피커들로 전력을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터널 내에 설치되는 케이블로서, 상기 스피커들 각각이 병렬로 연결되는 메인 전원 케이블;
    TRS 방식 또는 VHF 방식의 무전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고, 유선으로 제 1 역사의 음성 신호 처리부로 전달하는 종합 관제부;
    상기 제 1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종합 관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수신받아 코딩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를 통하여 코딩된 음성 신호와 전력선을 결합하는 커플링하는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음성 및 전원 중첩 장치와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제 1 서브 전원 케이블; 및
    상기 제 1 역사와 함께 동일 지하철 호선을 구성하는 제 2 역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로 공급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메인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력 및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한 복조를 수행하는 언코딩부와, 상기 언코딩부에 의하여 분리된 음성 신호에 대해서 기설정된 주파수대역별로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음역 분리부와, 상기의 음역 분리된 음성 신호 각각에 대해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는 제 1 음역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의 출력면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원통형의 제 1 차단벽과, 상기 제 1 차단벽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 2 음역 영역을 형성하는 제 2 차단벽과, 상기 제 1 차단벽과 제 2 차단벽 사이에 구성되는 제 1 보조벽과, 상기 제 2 차단벽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보조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 1 차단벽, 제 2 차단벽, 제 1 보조벽 및 제 2 보조벽으로 이루어진 내측 하우징과,
    상기 내측 하우징을 감싸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보조벽은 상기 외측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차단벽과 상기 외측 하우징 사이에 제 3 음역 영역이 형성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 1 음역 영역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 1 앰프와, 상기 제 2 음역 영역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 2 앰프와, 상기 제 3 음역 영역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 3 앰프를 포함하는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8113A 2017-03-06 2017-03-06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KR10180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13A KR101807461B1 (ko) 2017-03-06 2017-03-06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13A KR101807461B1 (ko) 2017-03-06 2017-03-06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461B1 true KR101807461B1 (ko) 2017-12-11

Family

ID=6094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113A KR101807461B1 (ko) 2017-03-06 2017-03-06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42B1 (ko)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42B1 (ko) 2019-07-23 2020-02-19 (주)미디어디바이스 터널용 비상방송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592B1 (ko) 재난 및 안내 방송 시스템
JP2007142744A (ja) 携帯無線通信端末及び緊急放送送受信システム
US20080170713A1 (en) Audio Broadcast System For Elevator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1325160B1 (ko)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KR101476778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KR100878998B1 (ko) 종합무선 중계장치의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07461B1 (ko)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KR102186158B1 (ko) 디지털 무선마을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588B1 (ko) 지하 무선망 종합 중계장치
JP7236443B2 (ja) エレベータ
KR102020575B1 (ko) 안드로이드 기반의 재난방송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난방송 시스템
JP4676470B2 (ja) 構内放送システム
JP5168109B2 (ja) 防災用通信システム及び拡声子局
TW201008159A (en) System using wireless signals to transmit emergency broadcasting messages
KR102190169B1 (ko) 지하철 터널내 비상방송 시스템
KR200279891Y1 (ko) 누설방사형동축케이블을 이용한 터널내부의 방재시스템
KR101343128B1 (ko) 통합 원격 비상방송 장치
KR20010099247A (ko) 누설방사형동축케이블을 이용한 터널내부의 방재시스템
JP6051718B2 (ja) 無線放送システム及び無線放送方法
JP4712568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送信機
JP2014035604A (ja) 同報拡声放送システム、中継通信装置、中継送信方法
JP7368289B2 (ja) 無線放送システム
KR20230101978A (ko) 전동차용 히어링루프 시스템
KR20240047625A (ko)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