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25A -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25A
KR20240047625A KR1020220126862A KR20220126862A KR20240047625A KR 20240047625 A KR20240047625 A KR 20240047625A KR 1020220126862 A KR1020220126862 A KR 1020220126862A KR 20220126862 A KR20220126862 A KR 20220126862A KR 20240047625 A KR20240047625 A KR 2024004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address
information
user
data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주)파스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스컴 filed Critical (주)파스컴
Priority to KR102022012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25A/ko
Publication of KR2024004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내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건물 내의 전관방송을 건물 내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데이터 방송으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 건물 내 위치하는 사용자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관리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전관방송에 대한 방송데이터를 건물 내 사용자의 단말수단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방송정보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방송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장치는 피드백정보를 제공하여 건물 내 사용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 대형화 빌딩과 같이 면적이 넓고, 많은 층으로 이루어지며, 불특정 다수의 방문객이 있는 건물에 적합한 전광방송장치 및 이 전광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광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A public address apparatus providing data broadcasting and a data public address system using the public address apparatus}
본 발명은 전관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건물 내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건물 내의 전관방송을 건물 내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데이터 방송으로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아 건물 내 위치하는 사용자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재난 관리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관 방송(全館 放送) 시스템이란 모든 기관의 건물 또는 한 기관이나 건물의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시스템으로 정의 될 수 있으며, 학교, 관공서, 대형빌딩, 항만, 공항 등에 설치되는 방송시스템으로 평상시에 건물 내 안내방송, 음악방송과 라디오 방송 등의 구내 안내방송은 물론 화재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 시 화재 수신반과 연동되어 피난 및 구조 방송의 역할을 수행한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주상복합건물, 빌딩 등 주거용, 업무용 건축물에 대하여 전관방송 시스템을 설치하도록 소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전관방송 설비는 정보통신 공사업법(구내방송)과 소방법(비상방송)의 적용을 받는다.
즉, 소방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비상방송 설치대상에 포함되는 건축물은 비상방송을 포함하여 설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관방송은 건물 전체에 구축되어 있는 음향방송시스템을 의미하며 화재 등 재난 발생 시에 대피 안내방송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96770호, "청각장애인을 위한 문자정보 표시기능이 내장된 음성출력스피커"에서는 화재와 같은 비상상황에서의 대피방송에 잇어서 스피커에 내장된 문자표시창을 통해 청각장애인에게 비상방송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 전관방송시스템에 따르면, 건물 내 스피커에 방송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그 이외 지역에 있는 청각장애인 또는 일부 사용자들은 방송정보를 접하기 어렵고, 또한 사용자 부재 중인 경우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단말장치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6826호에서는 전관방송시스템에서의 스피커 라인 이상을 판단하고, 스피커에 설치된 위치신호발생기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난 발생 시 대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전관방송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관방송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은, 스피커의 위치에 따라서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서 고층 대형 빌딩과 같이 공간이 크고, 많은 인원이 상주 및 이동하는 경우, 전관방송의 전달 및 재난 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위치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주요 도심에는 많은 빌딩들이 밀집해 있으며, 날로 이러한 빌딩들은 고층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층 대형화되는 빌딩에는 많은 사람들이 거주 및 업무를 위해 머물고 있을 뿐 아니라,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머무르며 빈번하게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형 빌딩 같은 경우 화재, 건물 붕괴 등의 재난 발생 시 현장 내의 인원 수, 위치 등이 파악되지 않아서 구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빌딩 내 화재, 붕괴 등 사고가 발생할 경우 많은 사람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 방송을 전달해야 함은 물론, 사고 수습 시에도 재난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현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관방송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전관방송에 대한 방송데이터를 건물 내 사용자의 단말수단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방송정보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방송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정보를 이용하여 건물 내 사용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층 대형화 빌딩과 같이 면적이 넓고, 많은 층으로 이루어지며, 불특정 다수의 방문객이 있는 건물에 적합한 전관방송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전광방송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는,
(a). 건물 또는 기관 내 수행되는 전관방송을 해당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단말수단으로도 전관방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전관방송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며,
(b). 전관방송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건물 내의 인원 현황 및 위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난 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전달 및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c). 전관방송장치의 스피커에 사용자 단말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수단을 설치하고, 사용자 단말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수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 위치 파악이 가능하여, 사용자 위치에 따라서 전관방송의 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재난 발생 시 사용자 위치에 따른 보다 정확한 대피정보의 제공이 가능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내 상황정보, 재난 발생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건물 또는 기관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송출부와, 방송송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서 제공하되, 전관방송장치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수신 가능하도록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관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부터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제공되는 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와 현재 수신 중인 전관방송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제공되는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와 피드백에 포함된 사용자정보와 함께 건물 내 사용자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방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데이터 방송이 가능한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은,
건물 또는 기관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며, 건물 내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을 방송데이터로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관방송장치로부터 제공된 방송식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현재 위치정보와 대비하여 전관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관방송을 제공하며, 전관방송 데이터의 수신 후 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와 현재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를 전관방송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관방송장치는 건물 내에 위치하여 건물 내 상황정보, 재난 발생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건물 내에 제공하는 방송송출부와, 방송송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건물 내 사용자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방송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제어부는 상기 방송송출부로부터의 전관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수신하여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송데이터생성부와, 방송데이터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수단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 제공하는 방송제공부와, 사용자 단말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식별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현황정보로 저장 관리 및 비상상황 시 저장부에 저장된 건물 맵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현황정보에 따라서 대피정보를 제공하는 현황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는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맵정보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에 설치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관방송장치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전관방송장치의 데이터방송제어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프로세스,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제공프로세스, 방송데이터 수신 후 수신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로 제공 및 수신된 방송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전관방송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방송 외부지역임을 알리는 이탈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로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정보제공 프로세스, 사용자식별수단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으로도 제공함으로써, 건물 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관방송을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수단으로부터 전관방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전관방송 수신의 확인 및 건물 내 사용자 현항을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재 등의 재난 발생 시 대피정보의 제공 또는 구난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보다 상세한 위치파악이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 위치에 따라서 선택적인 전관방송의 전달이 가능해지며, 재난 발생 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서 정확한 대피정보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기술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전관방송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수단에서의 방송수신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수단에서의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 제공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발명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그 구성 및 동작,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또는 기관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며, 건물 내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을 방송데이터로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100)와, 건물 내 각 위치 및 층별로 설치되며 전관방송을 오디오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00)와, 스피커(200)에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4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전관방송정보 제공 및 사용자정보 요청, 그리고 제공받은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식별수단(300)과, 전관방송장치(1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전관방송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방송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피드백 정보를 전관방송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관방송장치(100)는 건물 내에 위치하여 건물 내 상황정보, 재난 발생정보를 스피커(200)를 통해 건물 내에 제공하는 방송송출부(110)와, 방송송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된 피드백 정보 또는 사용자식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건물 내 사용자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와, 사용자현환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 내의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을 통해 전관방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그 피드백 정보로부터 건물 내의 사용자 현황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건물 내 전관방송을 제공 및 이와 같이 제공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데이터 방송으로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100)와, 전관방송데이터 수신 및 전관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 피드백 정보를 전관방송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수단(400), 스피커(200), 사용자 식별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관방송장치(100)의 방송송출부(110)는 건물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관방송을 위한 음성, 음원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가공 및 조절, 소방시설과의 연계되어 비상상황 판단 및 비상상황에서의 전관방송 제어,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증폭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송송출부(110)는 일반적인 전관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장비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피커(200)는 전관방송을 오디오 출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송송출부(110)에 포함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스피커(200)는 건물 입, 출구, 각 층, 엘리베이터와 같이 사용자들이 이동 경로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식별수단(300)은 상기 스피커(200)에 설치되는 수단으로 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하며,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4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수단(400)을 인식하고 방송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제공하는 수단, 사용자 정보 요청 및 사용자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에 제공하는 식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제공되는 방송식별정보는 전관방송장치(100)를 나타내는 정보(예; 방송이름, 건물이름)와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전관방송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위치정보는 전관방송이 송출되는 지역의 위치정보로서 범위를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방송제어부(120)는 상기 방송송출부(110)로부터의 전관방송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 제공하기 위한 서버 수단으로,
상기 방송송출부(110)로부터의 전관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하여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송데이터생성부(121)와, 방송데이터생성부(121)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 제공하는 데이터방송제공부(122)와,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식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현황관리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데이터생성부(121)는 상기 방송송출부(110)의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디오신호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변환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방송데이터생성부(121)는 방송송출부(110)의 오디오 신호를 녹음 저장하는 오디오저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방송제공부(122)는 상기 방송데이터생성부(121)에서 생성된 방송 데이터에 방송식별정보,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제공할 전관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한다.
이와 같이 위치정보를 포함시키는 이유는 해당 건물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전관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건물 외부로 나갔을 경우 전관방송 외부지역임을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현황관리부(123)는 건물 내 사용자 현황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학인, 피드백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건물 내 사용자 현황정보로서 저장 관리하고 또한 사용자식별수단(300)을 통해 인식된 위치, 사용자 정보를 건물 내 사용자 현황정보로서 저장부(130)에 저장 관리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현황관리부(123)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현황정보와,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맵정보가 저장되는 수단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400)은 전관방송장치(1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여 전관방송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전관방송을 수신했음을 알리는 수신알림 피드백 정보와 현재 수신된 전관방송의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이탈알림 피드백정보를 전관방송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수단으로 휴대형 스마트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400)에 설치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관방송장치(10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전관방송장치(100)의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프로세스,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제공프로세스, 방송데이터 수신 후 수신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 및 수신된 방송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전관방송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방송 외부지역임을 알리는 이탈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정보제공 프로세스, 사용자식별수단(3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에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설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기본적으로 단말수단 접속정보로 구성되며, 이름, 전화번호 등 개인 사용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전관방송 데이터에 오디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자동 재생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프로세스는 상기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프로세스로서,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위치정보와 방송식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결과 동일 지역 내 전관방송인지를 판단하여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제공프로세스는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프로세스로서, 수신된 전관방송을 문자정보로 제공하며, 오디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여 오디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설정정보에 따라서 재생 여부를 결정하여 재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방송제공프로세스는, 전관방송 제공 시 알람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알람정보를 제공 시 일반 전관방송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수단(400)에 설정된 알람정보(진동,소리,무음)에 따라서 알람정보를 제공하며, 비상 전관방송인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과 무관하게 알람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전관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송출부(1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확인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 제공하는 데이터방송제어부(120)를 포함하여 전관방송장치(100)를 구성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데이터방송제어부(120)의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해야한다.
데이터방송제어부(120)는 방송송출부(110)에서 방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때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여 함께 방송 데이터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방송데이터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제공할 전관방송 데이터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에서는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관방송 데이터에 대해서 현재 위치정보에 대한 전관방송 데이터만을 수신하게 된다.
데이터방송제어부(120)에서 데이터 헤더정보로서 위치정보를 포함시키고,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에서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곳의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는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현재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진동, 소리 등의 알람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이때 전관방송이 일반방송이 아니라 화재, 건물붕괴 등 비상 상황의 방송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 상태에 상관없이 소리, 진동 알람과 함께 전관방송 정보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전관방송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는 설정된 사용자정보를 포함하여 피드백 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방송수신 동작과정을 나타낸다.
데이터방송제어부(120)의 현황관리부(123)에서는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가 해당 건물 내에 있음을 인식하고, 포함된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또한 현황관리부(123)에서는 각 스피커(200)에 설치된 사용자식별수단(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이에 따르면 현황관리부(123)에서는 이러한 정보로부터 건물 내 있는 사용자 인원 및 건물 내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화재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방송송출부(110)로 부터 비상 전관방송이 발생되고, 데이터방송제어부(120)에서는 비상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제공한다.
이때 현황관리부(123)에서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현황정보 및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맵정보를 참조하여 각 사용자 위치별로 비상 대피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로부터 비상 대피할 경로를 확인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방송제어부(12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현황정보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위치에 관련된 전관방송을 관련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수단(400)에게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수단(400)에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진입 시 상기에서와 같이 스피커(200)에 설치된 사용자식별수단(300)을 통해 데이터방송제어부(120)에 사용자 인식이 되면서 건물 내 인원으로 카운트되고,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위치이탈 알림정보를 알리는 피드백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용자는 건물 내 인원에서 제외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수단(400)은 방송식별정보에 포함된 전관방송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이의 위치정보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전관방송장치(100)에 위치이탈 알림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위치이탈 알림정보 제공과정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 전관방송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정해진 시간마다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위치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용자식별수단(300)에 의해 전달되는 사용자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참조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사용자 정보(접속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회신이 없는 경우 사용자에게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119안전센터, 재난관리센터로 자동 연락하는 사용자 구급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내에서 수행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단말수단으로 제공함으로써, 전관방송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단말수단으로 부터의 피드백 정보로부터 건물 내 있는 인원 및 위치 파악을 통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사용자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된 스피커에 설치된 사용자 식별수단을 통해 좀 더 세밀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재난 발생 시 사용자의 각 위치별로 대피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 전관방송장치 200: 스피커
300 : 사용자식별수단 400 : 사용자 단말수단
110: 방송송출부 120 : 데이터 방송제어부
130 : 저장부

Claims (7)

  1. 건물 내 상황정보, 재난 발생정보를 스피커(200)를 통해 건물 또는 기관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는 방송송출부(110)와, 방송송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서 제공하되, 전관방송장치(100)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수신 가능하도록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전관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 부터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제공되는 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와 현재 수신 중인 전관방송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제공되는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와 피드백에 포함된 사용자정보와 함께 건물 내 사용자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와 사용자현황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
  2. 건물 또는 기관 내 전관방송을 수행하며, 건물 내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을 방송데이터로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1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관방송장치(100)로부터 제공된 방송식별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현재 위치정보와 대비하여 전관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전관방송을 제공하며, 전관방송 데이터의 수신 후 수신 알림 피드백 정보와 현재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에 대한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이탈 알림 피드백 정보를 전관방송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관방송장치(100)는 건물 내에 위치하여 건물 내 상황정보, 재난 발생정보를 스피커(200)를 통해 건물 내에 제공하는 방송송출부(110)와, 방송송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관방송을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건물 내 사용자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와, 사용자현황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건물 내 각 위치 및 층별로 설치된 스피커(200)에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통신 거리 내에 위치하는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수단(4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방송식별정보 제공 및 사용자정보 요청, 그리고 제공받은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식별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방송제어부(120)는 사용자식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현황정보로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제어부(120)는 상기 방송송출부(110)로부터의 전관방송 신호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하여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송데이터생성부(121)와, 방송데이터생성부(121)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수단(400)에서 수신 가능한 전관방송 데이터로 제공하는 방송제공부(122)와, 사용자 단말수단(400)으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 또는 피드백 정보 및 상기 사용자식별수단(30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위치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현황정보로 저장 관리 및 비상 상황 시 저장부(130)에 저장된 건물 맵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현황정보에 따라서 대피정보를 제공하는 현황관리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130)는 대피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맵정보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수단(400)에 설치된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관방송장치(100)에 접속하여 현재 위치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전관방송장치(100)의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관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송수신프로세스, 수신된 전관방송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제공프로세스, 방송데이터 수신 후 수신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 및 수신된 방송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전관방송 위치정보를 벗어난 경우 방송 외부지역임을 알리는 이탈알림 피드백정보를 데이터방송제어부(120)로 제공하기 위한 피드백정보제공 프로세스, 사용자식별수단(300)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리무선통신 프로세스,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 방송제어부(120)에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설정프로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전관방송 응용프로그램은 정해진 시간마다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위치정보를 피드백 정보로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방송제어부(120)는 사용자식별수단(300)에 의해 전달되는 사용자 정보 및 피드백 정보를 참조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사용자의 위치 변화가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수단(400)의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회신이 없는 경우 119안전센터, 재난관리센터로 자동 연락하는 사용자 구급 관리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하는 데이터 전관방송시스템.

KR1020220126862A 2022-10-05 2022-10-05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KR20240047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62A KR20240047625A (ko) 2022-10-05 2022-10-05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862A KR20240047625A (ko) 2022-10-05 2022-10-05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25A true KR20240047625A (ko) 2024-04-12

Family

ID=9068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862A KR20240047625A (ko) 2022-10-05 2022-10-05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6402T3 (es) Sistema de emergencia y búsqueda general facilitado por internet
US8687630B2 (en) Emergency alerting device
KR102180335B1 (ko) 건물 내 설치되는 재난 방송 시스템
US10861308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KR20180066700A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KR101476778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JP202018772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859993B1 (ko) 비콘 및 VoIP 단말기를 이용한 비상호출 시스템
CA3142134C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US10796547B1 (en) System and method to improve emergency response time
KR101767444B1 (ko) 단독 경보형 감지기 연계된 화재 알림 시스템
KR20240047625A (ko)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전관방송장치와 그 전관방송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전관방송 시스템
JP5297783B2 (ja) 緊急地震通報システム
WO2021153438A1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管理装置及び方法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JP4951397B2 (ja) 地震通報方法とシステム
KR101279832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모듈
KR102069607B1 (ko) 건물에서의 무선비상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099B1 (ko) 사물제어유닛을 이용한 IoT기반 재난모니터링 시스템
KR101232687B1 (ko) 음성유도장치
KR101807461B1 (ko) 지하철 터널 안내 방송 시스템
KR101318208B1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 장치
JP4650439B2 (ja) 緊急地震速報対応型集合住宅管理システム
KR20130064880A (ko) 재난재해예경보 자동음성 통보방법
KR102605580B1 (ko)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