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580B1 -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580B1
KR102605580B1 KR1020230034474A KR20230034474A KR102605580B1 KR 102605580 B1 KR102605580 B1 KR 102605580B1 KR 1020230034474 A KR1020230034474 A KR 1020230034474A KR 20230034474 A KR20230034474 A KR 20230034474A KR 102605580 B1 KR102605580 B1 KR 10260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llage broadcasting
village
data
broadcasting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김준우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아이
Priority to KR102023003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0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e.g. maps, charts or atl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마을 내 개인 휴대전화를 통한 마을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여 방송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방송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A SMART VILLAGE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마을 내 개인 휴대전화를 통한 마을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여 방송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방송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어촌 지역의 대표적인 공공 서비스인 마을 방송은 마을 회관 내에 비치된 방송장비를 통해 이장 등 관리자가 방송을 하면 방송 내용이 유선으로 연결된 방송탑 또는 마을 회관 옥상에 구비된 확성기를 통하여 음성으로 출력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가옥 내 방송수신기가 보급되어 마을 회관 내 통보장치에서 수신기로 단방향 방송 방식으로 내보내어 방송 내용을 각 가정에서 수신할 수 있게 되었지만 기존의 옥외 스피커로 송출하는 마을 방송과 큰 차이가 없다.
특히, 가정 내 수신기의 수신범위가 3km~4km로 한정되어 있어, 외딴 지역이나 산간지역 등의 수신이 불가한 방송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문제, 장비의 잦은 고장 및 관리 부재로 인해 필요할 때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 및 방송장비구축을 위하여 과도한 예산이 소요되는 문제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자는 기존 마을방송 시스템과 연계하여 방송사각지대가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기존 방송장비구축 비용 대비 획기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9084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마을 내 개인 휴대전화를 통한 마을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여 방송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방송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은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과 연결되는 연결부(110), 발신 단말의 마을방송 요청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 및 생성된 마을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 단말로 송출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는 음성합성(TTS) 메시지 방송데이터, 문자메시지 방송데이터, ARS 방송데이터 및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기 등록된 수신 단말 중에서 발신 단말에 의해 선택된 수신 단말에 선택적으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예약시간에 마을방송 데이터를 예약송출 하거나, 또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 중에서,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청취하지 않은 수신 단말을 선별 후 해당 수신 단말에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수신 단말의 마을방송 데이터 재청취 요청에 따라, 해당 수신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는 발신 단말을 통한 마을방송 요청 시, 해당 발신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검증 후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수신 단말을 통한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수신 요청 시, 해당 수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검증 후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의 송출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로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위성항법시스템(GPS)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 별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50)는 각 수신 단말 중에서 기 설정된 기간 내 위치변동이 없는 위치정보가 수집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한 후, 발신 단말, 기 등록된 관리 단말 및 기 등록된 관제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고독사 위험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마을 내 개인 휴대전화를 통한 마을방송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여 방송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방송청취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설치된 마을방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구축 대비 획기적은 구축 예산이 절감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에서 ARS를 통해 개인정보 수집 및 동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발신 단말을 통해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생성 및 송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수신 단말을 통해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청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발신 단말의 기본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TTS 메시지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마을방송 결과를 조회 및 관리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100)은 크게 연결부(110),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 및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 및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는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과 연결되며, 여기에서 발신 단말이라 함은 마을 이장의 휴대전화 혹은 유선전화일 수도 있고, 또는 시군청/읍면 등에 설치된 행정안내방송 및 재난경보방송을 위한 통보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은 마을 내 거주하는 사람들의 휴대전화 혹은 유선전화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기존 마을에 설치된 마을방송장비(옥외 스피커 등)를 의미할 수도 있다.
발신 단말은 연결부(110)와 이동통신망(기간통신망) 혹은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의 경우 E1 RPI 음성보드를 통해 기간통신망 유무선 시스템을 거쳐 수신 단말(휴대전화)와 연결되어 개인정보수집관리 솔루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발신 단말은 관리 및 운영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PC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인터넷망을 통해 메인 기간통신망 유무선 시스템을 거쳐 수신 단말(휴대전화, 일반 유선전화)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이 스마트폰인 경우, 앱서버(APP SERVER)를 통해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수신 단말(스마트폰)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다.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는 발신 단말의 마을방송 요청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마을방송 데이터라 함은 음성합성(TTS)을 활용한 TTS 메시지 방송데이터, SMS/MLS/MMS와 같은 문자메시지 방송데이터, ARS 전화연결을 통한 육성방송인 ARS 방송데이터 및 발신 단말의 음성 녹음 기능을 활용한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마을방송 데이터는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마을방송 데이터는 스마트폰에 해당하는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에서 모바일플랫폼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수신 단말에서도 자신의 개인 휴대전화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마을방송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마을방송 데이터는 음성합성(TTS) 메시지, 문자 메시지, ARS, 음성통화 메시지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합쳐진 형태로도 생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신 단말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마을방송 데이터 종류를 선택받은 후 이를 토대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마을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망(기간 통신망)을 통해 수신 단말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생성된 마을방송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수신 단말에 송출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수신 단말은 이동통신망(기간 통신망)에 연결된 휴대전화 외에도 인터넷망을 통해 연결된 개인 PC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기존 마을에 설치된 마을방송장비(옥외 스피커 등)의 경우에도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가 해당 기존 마을방송장비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기존 마을방송장비를 통해 마을방송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연계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수신 단말에 대해 선택적으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할 수도 있고, 별도의 선택이 없을 경우에는 발신 단말이 속한 지역(마을)에 기 등록된 전체 수신 단말에 대해 마을방송 데이터를 일괄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예약시간에 마을방송 데이터를 예약송출 할 수도 있고, 또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반복하여 송출할 수도 있다.
예약송출의 경우 1회성 예약방송을 의미하며,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마을방송 데이터가 자동 송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을방송 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에 의해 미리 생성된 파일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른 반복송출은 정기적은 스케쥴 방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살펴본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에 의해 미리 생성된 파일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마을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 중에서,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청취하지 않은 수신 단말을 확인 및 선별하여 해당 수신 단말에 대해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함으로써 리마인더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합방송플랫폼 관리자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웹페이지 기반의 마을방송 데이터의 생성, 송출은 물론, 마을방송 결과 조회, 수신 단말의 수신여부 확인, 수신자 그룹관리, 장비관리 및 환경설정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마을방송 결과를 방송ID 별로 관리함으로써, 각 마을방송 별 세부내역의 조회, 미청취자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발신자는 이를 확인하여 마을방송 데이터를 미청취한 수신 단말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파악된 수신 단말에 대해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할 수 있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마을방송 데이터를 각 수신 단말에 송출함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 및 요금을 조회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100)이 적용된 읍/면, 마을 단위의 통계, 각 발신 단말 별 사용량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통계 자료는 엑셀파일 형태로 발신 단말에서 직접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발신 단말이 속한 지역(위치)에 대해 4단계의 그룹생성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주민정보 관리, 이장정보 관리, 읍/면 등의 구역 별 관리자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관리 자료는 엑셀파일 형태로 발신 단말에서 직접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각 지역(위치) 별로 설치된 마을방송장비의 관리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관리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는 이동통신망(기간 통신망)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로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및 동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에서 ARS를 통해 개인정보 수집 및 동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최근에는 개인정보보호법 강화 및 비대면 업무처리방식이 확대됨에 따라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ARS 방식을 기반으로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로부터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망의 음성통화 서비스를 통해서는 개인정보동의를 위한 ARS 멘트가 개인정보동의 주체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에서는 이를 확인 후 ARS 개인정보수집 동의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통해서도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가 주체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에서는 이를 확인 후 ARS 개인정보수집 동의를 진행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위상항법시스템(GPS)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 별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는 기 등록된 수신 단말은 물론 발신 단말에 대해서도 위치정보인 GPS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위치정보를 통해,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는 각 수신 단말 중에서 기 설정된 기간 내 위치변동이 없는 위치정보가 수집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한 후, 발신 단말, 기 등록된 관리 단말 및 기 등록된 관제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고독사 위험 알림을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위치정보 수집부(150)에서는 각 수신 단말로부터 수집되는 위치정보에 대하여, 위치변동이 없는 기간에 따라 고독사 위험 레벨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된 수신 단말에 대해, 고독사 위험 알림을 전송받기 위한 단말에 대해서도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등록된 관리 단말, 기 등록돤 관제 서버(혹은 소방청 서버)가 될 수도 있고, 기 등록된 가족들의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ARS 방송데이터를 송출 및 청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신측 시나리오와 수신측 시나오리는 각각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발신 단말을 통해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생성 및 송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수신 단말을 통해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청취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발신측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먼저 발신 단말에서 이동통신망(기간 통신망)을 통해 전화를 걸어 연결부(110)와 연결이 진행되면, 연결부(110)에서는 기 등록된 발신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자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
검증 완료 후,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에서는 기존에 발신 단말을 통해 송출된 마을방송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 할지, 새로운 마을방송 데이터를 생성 및 송출할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기존에 송출된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수신 단말에 송출하게 되는 것이고, 만약 새로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이 선택되는 경우,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에서는 발신 단말을 통해 새로운 내용의 ARS 방송녹음이 진행되도록 한 후 이를 수신 단말에 송출하게 된다.
도 4의 수신측 시나리오를 살펴보면, 수신 단말에서 이동통신망(기간 통신망)을 통해 전화를 걸어 연결부(110)와 연결이 진행되면, 연결부(110)에서는 기 등록된 수신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자 검증을 진행하게 된다.
만약, 기 등록된 수신 단말로 파악될 경우에는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를 통해 송출된 마을방송 데이터가 수신 단말 상에서 출력되어 ARS 진행 단계를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 청취가 진행될 수 있다. 반대로, 등록되지 않은 수신 단말로 확인될 경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해당 수신 단말로 방송 인증 아이디 입력을 요구할 수 있으며, 방송 인증 아이디 및 패스워드 확인이 완료되는 경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를 통해 송출된 마을방송 데이터가 수신 단말 상에서 출력되어 ARS 진행 단계를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 청취가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되는 마을방송 데이터의 종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발신 단말의 기본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TTS 메시지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를 생성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마을방송 결과를 조회 및 관리하는 발신 단말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함께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발신 단말은 마을 이장 혹은 마을방송을 진행하기 위한 관리자의 휴대전화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100)과 연동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해당 전용 어플리케이션에는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생성을 위한 전화 녹음방송 버튼, 음성합성(TTS) 메시지 방송데이터 생성을 위한 TTS 방송 버튼, 문자메시지 방송데이터 생성을 위한 문자방송 버튼, ARS 방송데이터 생성을 위한 전화 ARS 방송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을방송 결과를 발신 단말에서 파악하기 위한 방송결과 확인 버튼도 제공될 수 있다.
발신 단말에서는 발신 단말이 속한 소속 마을(지역)의 위치 정보, 날씨 정보, 공기질 정보가 함꼐 표시될 수 있으며, 발신 단말을 통해 선택된 수신 단말에 한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 마을방송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음성합성(TTS) 메시지 방송데이터의 경우, 발신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방송 내용)이 자동으로 음성메시지로 변환되어 방송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발신 단말을 통해 선택된 수신 단말에 한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 마을방송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는 발신 단말을 통해 기존에 저장 혹은 송출되었던 마을방송 데이터가 있을 경우,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에서는 마을방송 결과 조회 및 방송 세부내역 조회가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에서는 송출한 마을방송 데이터를 미청취한 사람이 누구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미청취 수신 단말에 대해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110: 연결부
120: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
130: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
140: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
150: 위치정보 수집부

Claims (10)

  1. 발신 단말 및 수신 단말과 연결되는 연결부(110);
    발신 단말의 마을방송 요청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생성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
    생성된 마을방송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 단말로 송출하는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
    상기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로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개인정보수집 및 동의 데이터 수집부(140); 및
    위성항법시스템(GPS)을 기반으로 각 수신 단말 별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50)는 각 수신 단말 중에서 기 설정된 기간 내 위치변동이 없는 위치정보가 수집되는 수신 단말에 대하여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한 후, 발신 단말, 기 등록된 관리 단말 및 기 등록된 관제 서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고독사 위험 알림을 전송하고,
    웹페이지 기반의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 및 송출, 마을방송 결과조회, 수신 단말의 수신여부 확인, 수신자 그룹관리, 장비관리 및 환경설정을 위한 통합방송플랫폼 관리자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마을방송 결과를 방송ID 별로 관리함으로써, 각 마을방송 별 세부내역의 조회 및 미청취자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마을방송 데이터를 각 수신 단말에 송출함에 따른 데이터 사용량 및 요금 조회, 읍/면, 마을 단위의 통계 및 각 발신 단말 별 사용량 통계를 제공하되, 모든 통계 자료는 엑셀파일 형태로 발신 단말에서 직접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발신 단말이 속한 지역, 위치에 대해 4단계의 그룹생성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주민정보 관리, 이장정보 관리 및 구역 별 관리자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는,
    음성합성(TTS) 메시지 방송데이터, 문자메시지 방송데이터, ARS 방송데이터 및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기 등록된 수신 단말 중에서 발신 단말에 의해 선택된 수신 단말에 선택적으로 마을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예약시간에 마을방송 데이터를 예약송출 하거나, 또는
    발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주기에 따라 마을방송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단말 중에서, 해당 마을방송 데이터를 청취하지 않은 수신 단말을 선별 후 해당 수신 단말에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수신 단말의 마을방송 데이터 재청취 요청에 따라, 해당 수신 단말에 의해 선택되는 마을방송 데이터를 재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생성부(120)는 발신 단말을 통한 마을방송 요청 시, 해당 발신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검증 후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마을방송 데이터 송출부(130)는 수신 단말을 통한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 수신 요청 시, 해당 수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등록 여부를 검증 후 상기 음성통화 녹음 방송데이터의 송출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34474A 2023-03-16 2023-03-16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KR10260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474A KR102605580B1 (ko) 2023-03-16 2023-03-16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474A KR102605580B1 (ko) 2023-03-16 2023-03-16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80B1 true KR102605580B1 (ko) 2023-11-23

Family

ID=8897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474A KR102605580B1 (ko) 2023-03-16 2023-03-16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895B1 (ko) * 2020-04-28 2021-05-31 (주) 가네트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0840A (ko) 2020-01-13 2021-07-21 이지파인 주식회사 스마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20230030823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에이텍 재방송 기능이 구비된 마을방송시스템
KR102509558B1 (ko) *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840A (ko) 2020-01-13 2021-07-21 이지파인 주식회사 스마트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2258895B1 (ko) * 2020-04-28 2021-05-31 (주) 가네트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30823A (ko) *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에이텍 재방송 기능이 구비된 마을방송시스템
KR102509558B1 (ko) * 2022-08-10 2023-03-14 (주)유니드 스마트 마을 방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2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the status of other mobile terminals
CN100367320C (zh) 紧急呼叫系统以及其控制方法
US7162202B2 (en) Creating user groups in mobile terminal communities
US8242902B2 (en) Urgen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100210290A1 (en) Close proximity aler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110045847A1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delivering location specific content to an ad hoc group of mobile subscribers
CN108900690B (zh) 一种语音留言收发系统及方法
KR101569059B1 (ko)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0554103B1 (ko) 방송수신장치, 디지털 방송 네트워크 및 방송서비스제공방법
KR102605580B1 (ko)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
CN102917312A (zh) 移动广播电视应用中紧急广播的转发方法及通信终端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JP6661182B1 (ja) 防災放送システム
KR102258895B1 (ko) 마을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12462B1 (ko)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JP507410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40091287A (ko) 이동통신단말기로의 메시지 코디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20163266A1 (en) Global push-to-communicate application and system
JP6919048B1 (ja) 送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2005078293A (ja) ユビキタス緊急連絡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117475B1 (ko) 모바일 문자 방송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01152A (ko)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JP2001298537A (ja) 局地情報配布システム
KR101810669B1 (ko) 통신망의 셀 아이디를 이용하는 위치 기반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기반 메시지 서비스 방법
Grasso et al. ATSC 3.0 as a Use Case for Public Safety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