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152A -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 Google Patents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152A
KR20190101152A KR1020180021157A KR20180021157A KR20190101152A KR 20190101152 A KR20190101152 A KR 20190101152A KR 1020180021157 A KR1020180021157 A KR 1020180021157A KR 20180021157 A KR20180021157 A KR 20180021157A KR 20190101152 A KR20190101152 A KR 2019010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uncement
home station
broadcast
station apparatus
vil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770B1 (ko
Inventor
김영호
이현일
지세진
조한신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주)대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주)대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케이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102018002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7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0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수신확인 및 전파음영 해소를 위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홈 스테이션 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는 마을공지사항 수신기, 상기 수신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쿼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디지털 FRS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FRS 송수신기는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수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보고한다.

Description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Method of Confirming Receipt And Reducing Shadow Area of Digital Radio Apparatus For Community Information}
본 발명은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무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 확인 및 전파음영 해소를 위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풍, 홍수, 호우, 침수, 폭설, 지진, 산사태, 산불, 화재 등 재난 재해 발생 시 마을 이장이 관내 주민에게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무선통신 수단으로 특정 대역(예컨대, 422MHz 대역)의 무선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용 간이 무선국 설비가 농어촌 각 가정에 확대 보급되고 있다.
종래의 무선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은 마을회관에 설치된 송신기를 이용하여 직접 방송을 하거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마을 회관에 설치된 안내방송 송신기로 전화를 걸어 음성으로 안내 멘트를 하면, 수신한 음성신호를 422MHz 무선 송신기로 음성을 송출하고, 마을 내에 산재한 각 가정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에서 안내 방송을 녹음하고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듣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을 주민들이 비상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응급상황을 서로 공유하고 정부 재난기관에 신고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의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은 단방향 통신으로 법제화되어 있어 구난요청을 송신할 방법이 없으며 농어촌 특성상 각 가구가 산간 등지에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어 통신 음영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공지사항 수신이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무선 송신기에서 각 가정에 설치된 무선 수신기로 일방적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고, 중계기 사용이 허용되지 않아 산간 벽지 등 통신 음영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안내방송 전달이 어렵고, 인접 마을간 혼신으로 인한 통신장애가 흔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방향 통신으로 법제화 되어 일방적인 전달만 가능하기 때문에 안내방송 수신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비상시 주민이 도움을 요청하는 응급통신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안내방송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1(한국등록특허 제 10-1569059호)은 별도의 수신 피드백 장치를 이용하여, 방송을 송출하는 관리자가 방송 내용이 무선 설비를 통해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선행기술1에 의하면, 방송 내용이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무선방송송신장치 및 무선방송수신장치 외에 별도의 수신 피드백 장치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선행기술2(한국등록특허 제 10-1563891호)는 안내방송장치에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통해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아날로그 방식의 간이무선국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를 모두 적용하여 안내방송의 녹음방송 및 긴급상황호출 기능을 한 개의 장치로 구현한다. 그러나, 선행기술2에 의해서도, 마을 공지사항이 해당 마을 내에 설치된 각 안내방송장치에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기는 어렵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1569059호 (등록일자 2015년11월09일) 한국등록특허 제 10-1563891호 (등록일자: 2015년10월22일)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댁내에 설치 운용되는 홈 스테이션 장치에 FM라디오방송수신기, 마을공지사항 수신기 및 424MHz, 448MHz 대역의 디지털 생활무선국(FRS) 송수신기를 추가 구비하여 양방향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을 공지사항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응급 구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홈 스테이션 장치에 있는 생활무선국에 무선 메쉬 (Radio MESH)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마을 내에 산재한 각 가정의 홈 스테이션 장치 간에 통신 경로를 확보하여 음영지역에 따른 통신 장애를 줄일 수 있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을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홈 스테이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홈 스테이션 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는 마을공지사항 수신기; 상기 수신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쿼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디지털 FRS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FRS 송수신기는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수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보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공지사항안내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채널 중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쿼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상기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수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위한 디지털 무선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을공지사항을 수신하기 위한 무선 장치(홈 스테이션 장치)에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예컨대, 424MHz, 448MHz 대역)의 생활무선국(FRS) 송수신기를 추가 구비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을 공지사항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응급 구호 신호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테이션 장치에 있는 생활무선국에 무선 메쉬(MESH)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마을 내에 산재한 각 가정의 홈 스테이션 장치 간에 통신 경로를 확보함으로써 음영지역에 따른 통신 장애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을공지사항을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을 공지사항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스테이션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 구성 명령에 따른 홈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메쉬 네트워크 구성 명령을 수신한 홈 스테이션이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고 이웃 홈 스테이션을 호출하여 메쉬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시스템에서 이웃 홈 스테이션에 방송 수신 여부 및 미 수신 시 방송 수신 내용을 전달하고 방송 수신 상황을 생활무선주파수(FRS) 채널로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 방송 수신 시의 제1 및 제2 홈 스테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신호를 전달하는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및 홈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S 방송을 수신하는 홈 스테이션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을 공지사항 안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스테이션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마을 공지사항 안내 시스템은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 100) 및 다수의 디지털 홈 스테이션 장치(HS, 200-1~200-6)를 포함한다.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는 지역(마을)의 마을회관이나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일정 지역 내에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가 설치되는 지역은 농촌, 어촌 지역이나 산악마을 등이 될 수 있다.
홈 스테이션 장치(HS)는 해당 지역내의 각 가정이나 건물에 설치되어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로부터 송출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는 특정의 제1 주파수 대역(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 주파수 대역, 예컨대, 422MHz 대역)의 무선으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송신하는 마을안내 방송 송신기 외에 특정의 제2 주파수 대역(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 예컨대, 424MHz, 448MHz 대역)의 디지털 생활무선국 (FRS)을 구비하여, 홈 스테이션 장치(HS)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보고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응급 신호(예컨대,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스테이션 장치(HS)는 제1 주파수 대역(예컨대, 422MHz 대역)의 무선으로 마을 안내 방송을 수신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수신기 외에 제2 주파수 대역(예컨대, 424MHz, 448MHz 대역)의 디지털 생활무선국 (FRS)을 구비하여, 다른 홈 스테이션 장치, 베이스 스테이션 및 응급기관 등과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 기능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가정에 설치된 홈 스테이션 장치(HS)는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로부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면,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지 못한 가정에 대해서 디지털 생활무선국을 통해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전송하며, 베이스 스테이션의 디지털 생활무선국으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신 누락을 방지한다.
도 1에서는, 제1 내지 제6 홈 스테이션 장치(200-1~200-6) 중 제1, 제3 및 제6 홈 스테이션 장치(200-1, 200-3, 200-6)은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의 직접적인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내에 위치하고, 제2, 제4 및 제5 홈 스테이션 장치(200-2, 200-4, 200-5)는 직접적인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밖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 스테이션 장치의 수, 위치, 다른 홈 스테이션과의 관계 등은 달라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4 홈 스테이션 장치(200-2, 200-4)는 각각 제1 및 제3 홈 스테이션 장치(200-1, 200-3)로부터 FRS 통신을 통해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고, 제5 홈 스테이션 장치(200-5)는 제4 홈 스테이션 장치(200-4)로부터 FRS 통신을 통해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의 직접적인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밖의 쉐도우 영역(Shadow Area)까지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는 제어부(110), FM 무선 수신기(FM라디오방송수신기, 120),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송신기(130), 디지털 생활무선국(FRS) 송수신기(140), 디스플레이부(150), 이동통신 모듈(160), 오디오부 및 전원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는 무선 안테나(191) 및 이동통신 안테나(1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60)은 상용의 이동통신(예컨대, 3G 또는 LTE)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원격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달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관리자, 예컨대, 마을 이장이나 지역 담당자는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의 이동통신 모듈(160)로 전화를 걸어 음성 또는 텍스트음성변환 (TTS, Text to Speech) 으로 마을안내방송 멘트를 할 수 있다.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송신기(130)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일정 지역 내에 송출한다. 예컨대,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송신기(130)는 이동통신 모듈(160)이 수신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422MHz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무선 신호를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송출한다.
디지털 FRS 송수신기(140)는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안내방송 수신여부를 확인하고,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응급 요청 신호(Emergency request)를 수신한다. 응급 요청 신호는 비상시 주민이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홈 스테이션 장치(200)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 보내는 역방향 신호이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버튼을 구비하여,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 버튼을 통한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부는 오디오 믹서(171) 및 오디오 증폭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믹서(171)는 마이크(173)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10) 또는 이동통신 모듈(160)로 제공하고, 오디오 증폭기(172)는 제어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7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또한, 각종 제어 신호, 오디오 신호,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FM 무선 수신기(120)는 FM 방송을 수신하여 FM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전원부(18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스테이션 장치(200)는 제어부(210), FM 무선 수신기(FM라디오방송수신기, 220),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 디지털 무선 수신기(230), 디지털 생활무선국(FRS) 송수신기(240), 디스플레이부(250), 오디오부(260) 및 전원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스테이션 장치(200)는 무선 안테나(291) 및 이동통신 안테나(2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디지털 무선 수신기(230)는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하나의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무선 안테나(291)를 통하여 수신하고 신호 처리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또한 오디오부(260)로 전달하여 스피커(264)를 통하여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 신호가 오디오 신호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는 하나 이상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채널로 통신한다.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는,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를 문의하고,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마을 안내 공지사항 방송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했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내용을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로 전송한다. 또한,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다면,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 수신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는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디지털 FRS 송수신기(240)로부터 응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버튼을 구비하여, 홈 스테이션 장치(2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 버튼을 통한 외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오디오부(260)는 오디오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260)는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또한, 각종 제어 신호, 오디오 신호,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FM 무선 수신기(220)는 FM 방송을 수신하여 FM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재난 방송을 수신한다.
전원부(270)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 및/또는 전류를 제공한다.
홈 스테이션 장치(200)는 일반유선전화기와 같은 탁상형 그리고 휴대용 단말 형태로 구현하여 가정에서나 이동환경에서도 안내방송 수신과 커뮤니티 내에서의 일상 생활에서의 디지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무선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 및 홈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네트워크 구성 명령에 따른 홈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홈 스테이션 장치는 주변에 위치한 홈 스테이션 장치의 정보를 수집, 관리할 목적으로 생활무선국(FRS) 주파수를 이용하여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메쉬 네크워크 구성 시, 제1 홈 스테이션 장치가 베이스 스테이션 혹은 다른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메시 네트워크 구성 명령을 수신하면(S110), 제1 홈 스테이션은 생활무선국(FRS) 주파수로 사전에 정의된 네트워크 검색 패턴 데이터를 송신한다(S120).
이 때 제1 홈 스테이션 주변에 위치하여 검색 패턴 데이터를 수신한 홈 스테이션은 검색 패턴 데이터의 수신 강도(예컨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강도) 및 BER(Bit Error Rate)을 측정하여 이를 제1 홈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홈 스테이션은 주변 홈 스테이션 각각으로부터 RSSI 강도 및 BER 정보를 수신한다(S140).
제1 홈 스테이션은 타이머가 종료되기까지의 기간동안 수신한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에 위치한 홈 스테이션의 아이디(ID)별 RSSI 강도 및 BER 결과 리스트를 구성한다(S150). 제1 홈 스테이션은 구성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RSSI 강도 및 BER 결과가 우수한 홈 스테이션을 선정하고 가장 우수한 홈 스테이션을 프라이머리 노드, 두 번째로 우수한 주변 홈 스테이션을 세컨더리 노드로 설정하여 관리한다(S160). 예컨대,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아이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S160), 자신의 아이디,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아이디 정보를 주변 홈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S170).
이러한 메쉬 네트워크 구성은 전체 홈 스테이션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에 소속된 모든 홈 스테이션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메쉬 네트워크 전체의 노드 맵이 구성될 수 있다(S180).
도 5는 메쉬 네트워크 구성 명령을 수신한 홈 스테이션이 자신의 정보를 전달하고 이웃 홈 스테이션을 호출하여 메쉬 네트워크 구성을 진행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다른 홈 스테이션(예컨대, 제1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메쉬 네트워크 구성 명령을 수신한 제2 홈 스테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2 홈 스테이션이 주변의 제1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검색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면(S205 단계에서 'YES'인 경우), 제2 홈 스테이션은 수신한 검색 패턴 데이터의 수신 강도(RSSI 강도) 및 BER을 측정한다(S210). 제2 홈 스테이션이 주변의 제1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검색 패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특정 모드(예컨대,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도 5의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검색 패턴 데이터의 수신 강도 및 BER을 측정한 후, FRS 채널이 아이들(idle) 상태인지를 확인하고(S215), 아이들(idle) 시간에서 자신의 아이디, 수신 강도 및 측정된 BER 결과를 제1 홈 스테이션으로 송신한다(S220). 만약, S215 단계에서 FRS 채널이 사용 중이면, FRS 채널이 아이들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홈 스테이션은 FRS 주파수로 네트워크 검색 패턴 데이터를 송신한다(S225). 이 때 제2 홈 스테이션 주변에 위치하여 검색 패턴 데이터를 수신한 홈 스테이션은 검색 패턴 데이터의 RSSI 강도 및 BER을 측정하여 이를 제2 홈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홈 스테이션과 마찬가지로, 제2 홈 스테이션 역시 주변 홈 스테이션 각각으로부터 RSSI 강도 및 BER 정보를 수신한다(S240).
제2 홈 스테이션은 타이머가 종료되기까지의 기간동안 수신한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주변에 위치한 홈 스테이션의 아이디별 RSSI 강도 및 BER 결과 리스트를 구성한다(S250). 제2 홈 스테이션은 구성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RSSI 강도 및 BER 결과가 우수한 홈 스테이션을 선정하고 가장 우수한 홈 스테이션을 프라이머리 노드, 두 번째로 우수한 주변 홈 스테이션을 세컨더리 노드로 설정하여 관리한다(S260). 예컨대,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아이디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S260), 자신의 아이디,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아이디 정보를 주변 홈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S270).
이와 같이, 메쉬 네트워크 구성은 전체 홈 스테이션에 걸쳐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에 소속된 모든 홈 스테이션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메쉬 네트워크 전체의 노드 맵이 구성될 수 있다(S280).
상기와 같이, 메쉬 네트워크 전체의 노드 맵이 구성됨에 따라, 각 홈 스테이션은 자신의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홈 스테이션은 등록된 프라이머리 노드와 세컨더리 노드의 동작(예컨대, 쿼리 신호에 대한 응답 여부, 방송 수신 여부 및 응급신호 전달 여부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홈 스테이션에서 프라이머리 또는 세컨더리 노드의 동작이 감지되지 않거나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에 비정상 동작 노드의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노드의 장치(즉, 해당 홈 스테이션 장치)를 점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시스템에서 이웃 홈 스테이션에 방송 수신 여부 및 미 수신 시 방송 수신 내용을 전달하고 방송 수신 상황을 생활무선국주파수(FRS) 채널로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는 지역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하고(①),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부터, 지역 무선 주파수 채널, 즉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아울러, 제1 홈 스테이션 장치는 수신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 마을 안내 공지사항 방송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문의한다(②). 예컨대,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미리 정의된 쿼리 신호(query signal)를 생성하고, 생성된 쿼리 신호를 FRS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 전송한다(②).
쿼리 신호는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방송 수신 여부를 문의하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는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의 쿼리 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에 응답하여, 자신의 방송 수신 상태(즉, 방송 수신 여부)를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로 응답한다(③).
방송 수신 상태는 정상 수신 상태 또는 미수신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수신 상태는 방송 직접 수신 상태 혹은 FRS 통신을 통한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가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면 정상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쿼리 응답 신호를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로 전송하고,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가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부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미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쿼리 응답 신호를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로 전송한다.
쿼리 응답 신호는 발신자(제2 홈 스테이션 장치) 식별 정보(ID), 목적지(제1 홈 스테이션 장치) 식별 정보, 방송 식별 번호 및 제2 홈 스테이션 장치의 방송 수신 상태(정상 수신 상태 또는 미수신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부터의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데이터를 FRS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 전송(forward)한다(④).
예컨대,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부터의 쿼리 응답 신호가 "미수신 상태"임을 나타내면,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FRS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데이터를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 전송한다(④).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부터의 쿼리 응답 신호가 "정상 수신 상태"임을 나타내면,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의 수신 상태(예컨대, "정상 수신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⑤).
예컨대,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FRS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의 수신 상태(예컨대, "정상 수신 상태")를 보고하거나, 또는 방송을 수신한 이웃 홈 스테이션 장치들의 리스트를 작성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100)로 보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는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의 수신 완료 메시지를 베이스 스테이션(100)에 바로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홈 스테이션 장치를 통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가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로부터 쿼리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해당 안내 방송에 대한 자신의 방송 수신 상태를 응답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제1 홈 스테이션 장치(200-1)로 송신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홈 스테이션 장치는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부터 쿼리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해당 안내 방송에 대한 자신의 방송 수신 상태를 응답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제2 홈 스테이션 장치(200-2)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 홈 스테이션 장치는 자신의 디지털 생활무선국을 이용하여 인접 가정의 홈 스테이션 장치의 안내 방송 수신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안내 방송을 수신하지 못한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에 안내방송을 전달함으로써, 마을 내에서 안내 방송을 수신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을 줄일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홈 스테이션 장치들로부터 수신 완료 메시지들을 수신함으로써, 마을 내의 모든 홈 스테이션 장치들이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은 마을 내에서 안내 방송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홈 스테이션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 방송 수신 시의 제1 및 제2 홈 스테이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제1 홈 스테이션 장치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안내 방송(BS 방송)을 수신하면(S310에서 'YES'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안내 방송을 출력하고, 수신된 방송 내용을 저장한다(S320). 제1 홈 스테이션 장치는 FRS 주파수로 주변(이웃) 홈 스테이션에 방송 수신 여부를 문의(query)한다(S330). 제1 홈 스테이션 장치는 주변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통해, 주변 홈 스테이션이 BS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40).
응답 신호 확인 결과, 주변 홈 스테이션이 BS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했다면(S340에서 'YES'인 경우), 방송 수신 홈 스테이션 리스트를 작성하고, FRS 주파수로 수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S350, S370). 방송 수신 홈 스테이션 리스트는 BS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한 주변 홈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노드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응답 신호 확인 결과, 주변 홈 스테이션이 BS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하지 못했다면(S340에서 'NO'인 경우), FRS 주파수로 주변 HS에 BS 방송 내용을 전송한다(S360).
도 7b를 참조하면, 제2 홈 스테이션 장치는 FRS주파수를 통해 BS 방송을 수신하면(S410에서 'YES'인 경우), 스피커를 통해 안내 방송을 출력하고, 수신된 방송 내용을 저장한다(S420). 제2 홈 스테이션 장치는 FRS 주파수로 주변(이웃) 홈 스테이션에 방송 수신 여부를 문의(query)한다(S430). 제2 홈 스테이션 장치는 주변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응답 신호를 통해, 주변 홈 스테이션이 FRS 그룹 통신을 통해 BS 방송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40). 만약, 주변 홈 스테이션이 FRS 그룹 통신을 통해 BS 방송 신호를 수신했다면(S440에서 'YES'인 경우), 방송 수신 홈 스테이션 리스트를 작성하고, FRS 주파수로 수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S450, S470). 방송 수신 홈 스테이션 리스트는 FRS 주파수로 BS 방송 신호를 수신한 주변 홈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노드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응답 신호 확인 결과, 주변 홈 스테이션이 FRS 주파수로 BS 방송 신호를 수신하지 못했다면(S440에서 'NO'인 경우), FRS 주파수로 주변 HS에 BS 방송 내용을 전송한다(S460).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홈 스테이션 장치 각각은 자신의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로부터 쿼리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했는지를 확인하여, 프라이머리 노드 및 세컨더리 노드의 정상 동작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션이 안내 방송(BS 방송)을 방송하면 BS 방송을 직접 수신한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BS 방송을 직접 수신하지 못한 홈 스테이션으로 FRS 통신을 통해 BS 방송이 전달되며, 또한, FRS 통신을 통해 BS 방송을 수신한 홈 스테이션으로부터 다시 다른 홈 스테이션으로 FRS 통신을 통해 BS 방송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BS 방송을 직접 수신한 홈 스테이션에 대한 리스트와 FRS 통신을 통해 수신한 홈 스테이션 리스트가 구분되어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보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은 BS가 BS 방송을 직접 수신할 수 있는 홈 스테이션들과 FRS 통신을 통해 수신한 홈 스테이션들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 신호를 전달하는 홈 스테이션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스테이션이 응급상황 코드를 수신한 경우(S510에서 'YES'인 경우), 홈 스테이션은 최초 발신 홈 스테이션의 ID, 발생 날짜 및 시간, 응급상황 코드, 응급상황 전달 홈 스테이션의 경로 등을 확인하고 이 정보를 주변 홈 스테이션으로 전송한다(S520). 이 때 다수의 홈 스테이션이 동일한 응급사안을 전송하여 생활무선국 주파수를 점유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최초 수신하여 전달한 응급상황과 동일 사안이 수신될 경우 중복 전송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예컨대, 홈 스테이션은 송신 ID(최초 발신 홈 스테이션의 ID) 및 발생 날짜, 시간을 비교하여 중복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S530), 중복 수신이 아닌 경우에만, FRS 주파수로 주변 홈 스테이션에 응급 상황 코드 및 송신 ID를 전달할 수 있다(S54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S 방송을 수신하는 홈 스테이션의 일 예들을 도시한다. 도 9에서, A_BS는 BS의 방송 가능 영역, A1, A2, A3, A4 및 A5는 각각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홈 스테이션(HS1~HS5)의 FRS 통신 가능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BS의 방송 가능 영역(A_BS) 내에 위치하는 제1, 제2 및 제3 HS는 BS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직접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3 HS가 BS 방송 수신 여부를 주변 HS로 문의(Query)한 경우, 제4 HS(HS4)로부터 미 수신 보고를 받고, 이에 따라, BS 방송 내용을 FRS 그룹통신으로 전달한다.
FRS 그룹통신으로 BS 방송 내용을 수신한 제4 HS(HS4)는 BS 방송 수신 여부를 주변 HS로 문의(Query)하고, 제5 HS(HS5)로부터 미 수신 보고를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HS(HS4)는 BS 방송 내용을 FRS 그룹통신으로 전달함으로써, 제5 HS(HS5)는 제4 HS(HS4)로부터 BS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S의 방송 가능 영역(A_BS) 밖에 위치하는 제4 및 제5 HS는 FRS 통신을 통해 BS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응급상황 호출시에는 응급상황을 주변 HS에 전달 수신한 HS에서 응급상황 코드 및 호출 ID를 주변 HS에 그룹통신으로 전달함으로써, BS까지 응급상황 코드 및 호출 ID가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BS)
110, 210: 제어부
120, 220: FM 무선 수신기
130: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송신기
140, 240: 생활무선국(FRS) 송수신기
150, 250: 디스플레이부
160: 이동통신 모듈
180, 270: 전원부
191, 192, 291, 292: 안테나
200, 200-1~200-6: 홈 스테이션 장치(HS)
230: 마을 공지사항 무선 수신기
260: 오디오부

Claims (5)

  1. 마을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홈 스테이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수신하는 마을공지사항 안내방송 수신기;
    상기 수신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디지털 데이터 쿼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디지털 FRS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FRS 송수신기는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수신한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들의 리스트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 보고하는 홈 스테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FRS 송수신기는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디지털 FRS 송수신기로부터 응급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홈 스테이션 장치.
  3.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공지사항안내 주파수 대역의 복수의 채널 중 선택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디지털 쿼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쿼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방송 수신 상태를 포함하는 쿼리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쿼리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의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상기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가 상기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인접 홈 스테이션 장치의 수신 완료 메시지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장치로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을 위한 무선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해, 사전에 정의된 네트워크 검색 패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소정의 기간 동안 주변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주변 홈 스테이션 장치별 상기 네트워크 검색 패턴 데이터의 수신 강도 및 비트에러율(BER)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변 홈 스테이션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변 홈 스테이션 아이디별 수신 강도 및 비트에러율 리스트를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된 리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변 홈 스테이션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위한 무선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해, 응급 상황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급 상황 코드 및 최초 발신 홈 스테이션 장치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최초 발신 홈 스테이션 장치의 식별정보의 중복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중복 수신이 아닌 경우에만, 상기 생활무선국 주파수 대역의 채널을 통해 주변 홈 스테이션 장치에 상기 응급 상황 코드 및 상기 최초 발신 홈 스테이션 장치의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 방송을 위한 디지털 무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21157A 2018-02-22 2018-02-22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KR102062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57A KR102062770B1 (ko) 2018-02-22 2018-02-22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57A KR102062770B1 (ko) 2018-02-22 2018-02-22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152A true KR20190101152A (ko) 2019-08-30
KR102062770B1 KR102062770B1 (ko) 2020-01-09

Family

ID=6777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57A KR102062770B1 (ko) 2018-02-22 2018-02-22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51B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에이텍 마을방송 하이브리드 무선통신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891B1 (ko) 2015-01-28 2015-10-28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9059B1 (ko) 2014-04-23 2015-11-16 (주)오에이전자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59B1 (ko) 2014-04-23 2015-11-16 (주)오에이전자 방송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563891B1 (ko) 2015-01-28 2015-10-28 세기미래기술 주식회사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651B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에이텍 마을방송 하이브리드 무선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770B1 (ko)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94295B (zh) 终端设备、通信系统、提供与中继功能有关的信息的方法
US8200183B2 (en) Determining wireless system availability us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ing
KR1010132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기지 송수신국 및 그 이용 방법
CN101395868B (zh) 在无线网络中报告无干扰信道以及帮助孤立节点
WO2010070862A1 (ja) 携帯端末および地震津波警報システム
CN101512926A (zh) 用于无线通信信号的协同分集接收的方法和装置
US8630649B2 (en) Terminal, method for handover thereof and supporting method for handover of base station
RU2008141092A (ru) Хэндовер множества мобильных станций от перв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ко второй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US20080214221A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KR20050016726A (ko) 무선랜(wlan)을 통한 범용 이동 통신시스템(umts) 기반의 단방향 서비스 전달 장치
US6353730B1 (en) Automatic call to page convers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1170797A (zh) 利用中继站协助处理用户终端的请求的方法及装置
AU2018323559A1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earset having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KR102062770B1 (ko)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KR101563891B1 (ko)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63890B1 (ko) 혼선방지 기능을 갖는 무전기를 이용한 원격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S2595578T3 (es) Un sistema de audio digital de una aeronave
KR20150062399A (ko) 공청 텔레비전 수신 시스템 및 방법
JP552063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9042861B2 (en)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emergency wireless connection method
CN101784101B (zh) 移动无线终端装置和基站搜索方法
CN111669742B (zh) 一种无线应急通信综合调度系统
US11057836B1 (en) Call re-routing in collaborative mode when battery is low
JP201217525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及び、屋外子局
EP1304895A2 (en) Transceivers and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