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107B1 -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 Google Patents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107B1
KR101807107B1 KR1020160068917A KR20160068917A KR101807107B1 KR 101807107 B1 KR101807107 B1 KR 101807107B1 KR 1020160068917 A KR1020160068917 A KR 1020160068917A KR 20160068917 A KR20160068917 A KR 20160068917A KR 101807107 B1 KR101807107 B1 KR 101807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uction
slit
main body
deodo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6006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를 개시한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온수세정기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빠르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탈취 장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변기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사용자가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를 세척시 탈취 장치의 개방구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효과를 달성하여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에 대한 청소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부여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Bidet having a deodor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 세정기는 숙박 업소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위치해서 좌변 설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온수 세정기는 사람의 용변 후에 노즐들을 통해서 사람의 항문 및/ 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시켜서 오물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화장실 휴지를 대체시켜 준다.
상기 온수세정기는 상기 변기와 결합하는 본체부 및 사용자의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온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정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세정기는 상기 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세정기에서는 상기 탈취기능에 의한 악취 제거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온수세정기에 탈취기능을 적용시, 종래에는 온수세정기로의 수분 침투 방지를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85843호(공개일 2014.07.08)에서와 같이, 변기 내부의 탈취를 위해 변좌부에 공기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흡입구에 수분 등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게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기술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는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수가 증가되며, 공기 흡입구의 특성상 탈취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진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기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변기 내의 공기를 빠르게 탈취할 수 있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를 세척시 탈취 장치의 개방구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효과를 제공하여,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에 대한 청소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는, 변기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탈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흡입영역과 유출영역을 가지는 탈취덕트; 상기 탈취덕트내에서 상기 흡입영역측에 배치되는 탈취 팬; 상기 탈취 팬과 상기 유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흡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의 개폐에 의한 공기의 흡입 또는 유출은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흡입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흡입부와, 상기 유출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유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흡입부와 상기 제 1 유출부는 각각 다단의 제 1 격벽와 제 1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취 덕트의 내부에는 상기 변기에 상기 본체부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 1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흡입부에 대응하는 제 2 흡입부와, 상기 제 1 유출부에 대응하는 제 2 유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흡입부와 상기 제 2 유출부는 각각 다단의 제 2 격벽과 제 2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슬릿부와 제 2 슬릿부는 상기 제 1,2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슬릿 홈으로서 상기 변기에 상기 본체부가 장착시 개방되고,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본체부가 분리시 폐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제 1 흡입부와 제 1 유출부는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슬릿부를 형성하는 볼록형 구조물이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 2 흡입부와 제 2 유출부는 상기 제 2 격벽과 상기 제 2 슬릿부를 형성하는 오목형 구조물이며, 상기 오목형 구조물은 상기 제 1,2 슬릿부가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볼록형 구조물을 덮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푸쉬 가이드를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변기 고정 플레이트를 장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에 장착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 1 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 1,2 슬릿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푸쉬 가이드를 푸쉬하는 측면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에 장착시에는 제 1 방향으로 유동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상기 제 1,2 슬릿부를 폐쇄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는 변기 내의 공기가 빠르게 탈취 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수 세정기에서는 변기 내의 악취가 빠르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의 용변 상태에 따라 탈취 장치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변기 내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사용자가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를 세척시 탈취 장치의 개방구를 통해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효과를 달성하여 변기 또는 온수세정기에 대한 청소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기에 설치된 온수세정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탈취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이드 플레이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기 고정 플레이트가 적용되는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대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슬릿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7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슬릿부의 폐쇄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9에 대한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기에 설치된 온수세정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탈취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의 내부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이드 플레이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가이드 플레이트를 적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변기 고정 플레이트가 적용되는 온수세정기 본체부에 대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슬릿부의 개방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7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 1,2 슬릿부의 폐쇄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9에 대한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는, 변기(100)에 본체부(200)가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흡입영역(A1)과 유출영역(A2)을 가지는 탈취부재(300)를 구성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흡입영역(A1)과 상기 유출영역(A2)의 개폐에 의한 공기의 흡입 및/또는 유출은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변기(10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 몸체에는 상기 흡입영역(A1)에 대응하는 제 1 흡입부(201), 그리고 상기 유출영역(A2)에 대응하는 제 1 유출부(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흡입부(201)와 상기 제 1 유출부(202)는 상기 하부 몸체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지만, 상기 제 1 유출부(202)는 하부 몸체의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201)와 상기 제 1 유출부(202)는 각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 1 격벽(S1)과, 상기 제 1 격벽(S1)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슬릿부(S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슬릿부(S2)는 다단의 슬릿 홈을 설명하는 것이다.
상기 탈취부재(300)는 상기 변기(100)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으로, 흡입영역(A1)과 유출영역(A2)을 가지는 탈취덕트(10), 탈취 팬(20), 탈취 필터(30),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탈취 덕트(10)는 상기 탈취 팬(20)에 의해 상기 흡입영역(A1)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유출영역(A2)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탈취 덕트(10)는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 몸체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덕트(10)는 상기 하부 몸체의 일부 영역을 덮는 커버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탈취 팬(2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탈취 덕트(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유출영역(A2)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탈취 팬(20)은 상기 탈취 덕트(10)내에 위치되는 것이며, 상기 변기(100) 내의 공기는 상기 탈취 팬(20)에 의해 상기 탈취 부재(300)의 흡입영역(A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탈취 필터(30)는 상기 탈취 팬(20)에 의해 상기 탈취 덕트(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 탈취 팬(20)에 의해 흡입영역(A1)에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탈취 필터(30)를 통과하여 악취가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유출영역(A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탈취 필터(30)는 상기 탈취 덕트(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필터(30)는 상기 탈취 팬(20)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탈취 필터(30)는 합성 제오라이트 또는 카본 성분의 촉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는 상기 탈취 덕트(10)내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 몸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흡입부(201)에 대응하는 제 2 흡입부(41)와, 상기 제 1 유출부(12)에 대응하는 제 2 유출부(42)를 형성하며,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는 변기(100)에 온수세정기의 상기 본체부(200)가 장착시 제 1 방향으로 유동하고, 상기 변기(100)로부터 온수세정기의 상기 본체부(200)가 분리시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부(41)와 상기 제 2 유출부(42)는 각각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 2 격벽(S11)과, 상기 제 2 격벽(S11)들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슬릿부(S12)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제 1 슬릿부(S2)와 마찬가지로 슬릿 홈을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릿부(S2)와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변기(100)에 상기 본체부(200)가 장착시 서로 일치하는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개방되고, 상기 변기(100)로부터 상기 본체부(200)가 분리시에는 서로 엇갈리면서 제 1,2 격벽(S1)(S11)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변기(100)로부터 온수세정기의 상기 본체부(200)가 장착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제 1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상기 제 2 유출부(42)에 각각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도 제 1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흡입부(201)와 제 1 유출부(202)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서로 일치하는 상하 적층이 이루어져, 상기 제 1,2 슬릿부(S2)(S12)는 개방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변기(100)로부터 온수세정기의 상기 본체부(200)가 분리되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상기 제 2 유출부(42)에 각각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도 제 2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흡입부(201)와 제 1 유출부(202)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서로 엇갈리는 상하 적층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2 슬릿부(S2)(S12)는 제 1,2 격벽(S1)(S11)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흡입부(201)와 제 1 유출부(202)는 다단의 제 1 격벽(S1)과 다단의 제 1 슬릿부(S2)를 형성하는 볼록형 구조물이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제 2 유출부(42)는 다단의 제 2 격벽(S11)과 다단의 제 2 슬릿부(S12)를 형성하는 오목형 구조물로 구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오목형 구조물은 상기 제 1,2 슬릿부(S2)(S12)가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장착여부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볼록형 구조물을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2 격벽(S1)(S11)은 서로 면접촉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일단에는 푸쉬 가이드(4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00)에는 변기 고정 플레이트(210)를 장착 구성하며, 상기 변기 고정 플레이트(210)에는 상기 측면가이드부(211)를 돌출 형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가이드부(211)는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변기(100)에 장착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푸쉬가이드(43)를 푸쉬하게 되면서, 상기 푸쉬가이드(43)에 가해지는 푸쉬력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는 스프링(220)을 압축시키면서 제 1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유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제 2 유출부(42)에 각각 다단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유입부(201)와 제 2 유출부(202)에 각각 다단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서로 일치하는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는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측면가이드부(211)는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푸쉬 가이드(43)를 푸쉬하지 않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는 압축 상태인 상기 스프링(22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즉,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리턴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제 2 유출부(42)에 각각 다단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유입부(201)와 제 2 유출부(202)에 각각 다단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서로 엇갈리는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제 1,2 슬릿부(S2)(S12)는 제 1,2 격벽(S1)(S11)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흡입영역(A1)과 유출영역(A2)의 개폐에 의한 공기의 흡입 또는 유출이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상기 본체부(200)가 변기(100)에 장착되면,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흡입부(201)와 제 1 유출부(202)에 다단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상기 탈취부재(300)에 포함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제 2 유출부(42)에 다단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가 개방되면서, 상기 본체부(200)내에 마련되는 탈취부재(300)에 의해 사용자의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흡입영역(A1)과 유출영역(A2)의 개폐에 의한 공기의 흡입 또는 유출이 상기 변기(100)에서 상기 본체부(20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상기 본체부(200)를 변기(100)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흡입부(201)와 제 1 유출부(202)에 다단 형성되는 제 1 슬릿부(S2)와, 상기 탈취부재(30)에 포함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의 제 2 흡입부(41)와 제 2 유출부(42)에 다단 형성되는 제 2 슬릿부(S12)는 각각 제 1,2 격벽(S1)(S11)에 의해 폐쇄되면서, 상기 변기(100) 및/또는 상기 온수세정기의 본체부(200)에 대한 세척 작업을 진행시, 상기 세척 작업에 따른 물기는 폐쇄된 상기 제 1,2 슬릿부(S2)(S12)를 통해 상기 탈취부재(3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면서, 상기 변기(100) 및/또는 상기 본체부(200)에 대한 청소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는 전원라인이 배선될 수 있음은 물론, 전기적 부품들이 다수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본체부(200)의 제 1 슬릿부(S2)를 폐쇄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 세척을 진행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로 수분 침투가 이루어지면서, 전기적 부품들이 파손되거나 또는 침투된 수분을 완전하게 건조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세정기를 동작시 감전의 위험이 있고 이에따라 폐쇄되지 않은 상기 제 1 슬릿부(S2)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200)를 조심하여 세척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 세척시 상기 제 1 슬릿부(S2)는 물론 상기 제 1 슬릿부(S2)에 대응하는 제 2 슬릿부(S12)를 제 1,2 격벽(S1)(S11)을 통해 폐쇄하는 방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온수세정기에 대한 물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탈취덕트 20; 탈취 팬
30; 탈취 필터 40; 가이드 플레이트
41; 제 2 흡입부 42; 제 2 유출부
43; 푸쉬 가이드 100; 변기
200; 본체부 201; 제 1 흡입부
202; 제 1 유출부 210; 변기 고정 플레이트
211; 측면 가이드부 220; 스프링
300; 탈취부재 A1; 흡입영역
A2; 유출영역 S1; 제 1 격벽
S2; 제 1 슬릿부 S11; 제 2 격벽
S12; 제 2 슬릿부

Claims (11)

  1. 변기에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탈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탈취부재는 흡입영역과 유출영역을 가지는 탈취덕트; 상기 탈취덕트내에서 상기 흡입영역측에 배치되는 탈취 팬; 상기 탈취 팬과 상기 유출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탈취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흡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의 개폐에 의한 공기의 흡입 또는 유출은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장착 여부에 따라 제어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탈취 덕트의 내부에는 상기 변기에 상기 본체부가 장착시에는 제 1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을 개방시키고,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본체부가 분리시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영역과 상기 유출영역을 폐쇄시키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흡입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흡입부와, 상기 유출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 1 유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부와 상기 제 1 유출부는 각각 다단의 제 1 격벽와 제 1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흡입부에 대응하는 제 2 흡입부와, 상기 제 1 유출부에 대응하는 제 2 유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입부와 상기 제 2 유출부는 각각 다단의 제 2 격벽과 제 2 슬릿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부와 제 2 슬릿부는 상기 제 1,2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슬릿 홈으로서 상기 변기에 상기 본체부가 장착시 개방되고, 상기 변기로부터 상기 본체부가 분리시 폐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 1 흡입부와 제 1 유출부는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슬릿부를 형성하는 볼록형 구조물이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제 2 흡입부와 제 2 유출부는 상기 제 2 격벽과 상기 제 2 슬릿부를 형성하는 오목형 구조물이며,
    상기 오목형 구조물은 상기 제 1,2 슬릿부가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변기에서 상기 본체부의 장착여부에 따라 개폐되도록 상기 볼록형 구조물을 덮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에는 푸쉬 가이드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변기 고정 플레이트를 장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에 장착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제 1 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 1,2 슬릿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푸쉬 가이드를 푸쉬하는 측면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에 장착시에는 제 1 방향으로 유동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변기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유동시키면서 상기 제 1,2 슬릿부를 폐쇄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포함하는 온수 세정기.
KR1020160068917A 2016-06-02 2016-06-02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KR101807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17A KR101807107B1 (ko) 2016-06-02 2016-06-02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917A KR101807107B1 (ko) 2016-06-02 2016-06-02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107B1 true KR101807107B1 (ko) 2017-12-11

Family

ID=6094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917A KR101807107B1 (ko) 2016-06-02 2016-06-02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387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탈취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188A (ja) * 2003-06-30 2005-01-27 Toto Ltd 便座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1188A (ja) * 2003-06-30 2005-01-27 Toto Ltd 便座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6387A (ko) * 2018-05-30 2019-12-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탈취장치
KR102566486B1 (ko) * 2018-05-30 2023-08-16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세정기의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5461B2 (ja) 衛生洗浄装置
WO2015182728A1 (ja) トリミングボックス
JP2020516434A (ja) 空気流入弁を備えた塵埃吸引エアマット
KR20140143075A (ko) 악취 제거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JP472802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807107B1 (ko) 탈취장치를 포함하는 온수세정기
CN108567357B (zh) 洗脸台下柜
WO2013073129A1 (ja) 手乾燥装置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180102961A (ko) 세면대 하부장
CN108571036B (zh) 洗脸台下柜
JP6551860B2 (ja) 便座装置
JP2013096107A (ja) 衛生洗浄装置
KR102426305B1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TWI686231B (zh) 廢氣水洗裝置
JP7212309B2 (ja) トイレ空間用脱臭装置
US11492790B2 (en) Flush toilet deodorizing device
JP2018115481A (ja) 男性用小便装置
KR20140073328A (ko) 건조 덕트부와 탈취부의 일체형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CN106836418B (zh) 一种厕所除臭装置及具有该装置的厕所除臭系统
KR102281838B1 (ko) 세면대 하부장
JP2018016955A (ja) 便器
JP2016151089A (ja) トイレ用脱臭装置及び衛生洗浄装置
JP6424512B2 (ja) 衛生洗浄装置
KR102355134B1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