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045B1 -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045B1
KR101807045B1 KR1020160032325A KR20160032325A KR101807045B1 KR 101807045 B1 KR101807045 B1 KR 101807045B1 KR 1020160032325 A KR1020160032325 A KR 1020160032325A KR 20160032325 A KR20160032325 A KR 20160032325A KR 101807045 B1 KR101807045 B1 KR 10180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intercooler
flow rate
temperature
tic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433A (ko
Inventor
한경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0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06Layout of the intake air cooling or coolant circuit
    • F02B29/0437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10Pumping liquid coolant; Arrangements of coolant pumps
    • F01P5/12Pump-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01P7/167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by adjusting the pre-set temperature according to engine parameters, e.g. engine load, 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62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08Temperature
    • F01P2025/13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60Operating parameters
    • F01P2025/64Number of revolutions
    • F02B2029/0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터보차저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를 냉각하도록 연소실의 흡기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 저온 냉각수라인을 통해서 상기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펌프,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을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을 연산하여, 상기 냉각수펌프의 회전속도 PID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COOLANT CONTROL SYSTEM OF WATER-COOLED INTERCOOLER}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대한 것으로, 터보차저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를 수냉식 인터쿨러를 통해서 냉각시키고,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저온 냉각수를 제어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성능을 높이고 연비를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적용된다. 대표적인 장치로는 터보차저(Turbo Charger)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터보차저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흡입공기를 배기가스의 도움을 받아 압축해줌으로써 엔진의 성능향상과 연비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터보차져 시스템은 공기를 과급함에 따른 열발생으로 이를 냉각하기 위한 인터쿨러를 반드시 갖추어야 하고, 인터쿨러를 냉각해 그 성능을 고효율로 유지하기 위한 냉각장치도 별도로 요구된다.
엔진계는 엔진의 엔진냉각수 순환을 위한 냉각계와 배기가스를 이용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져 시스템이 함께 구성되고, 상기 냉각계는 냉각팬을 갖춘 라디에이터가 냉각수라인으로 엔진과 연결되고, 상기 냉각수라인에는 냉각수 흐름제어를 위한 써모스텟과 워터펌프가 구비해 구성된다.
또한, 터보차져 시스템은 배기가스를 이용해 흡입공기를 압축하는 터보차와, 터보차져로 공기흡입구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공기흡입라인과, 터보차져에서 압축된 과급기를 냉각하여 엔진으로 보내기 위한 인터쿨러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인터쿨러는 공랭식으로서, 이는 차량의 주행풍을 인터쿨러쪽으로 집중 유도해 인터쿨러를 지나게 함으로써 과급기를 냉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공랭식은 주행풍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주행시에는 인터쿨러에 대한 냉각효율이 우수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공랭식은 인터쿨러까지 도달하는 주행풍 도입유로가 길어 초기 발진시 가속 응답성이 지연될 수밖에 없고, 특히 인터쿨러의 응답성이 배기유량에 좌우됨으로써 배기유량이 충분치 않을 경우 인터쿨러의 응답성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저속으로 주행하여 주행풍 효과가 미비하거나 반복적인 발진이 이루어질 경우, 인터쿨러에 열부하가 누적됨으로써 인터쿨러의 냉각효율이 급격히 감소된다.
최근에는, 인터쿨러에 엔진냉각수와는 별도로 저온냉각수를 순환시켜,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인터쿨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운행조건에 따라서 저온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펌프의 제어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17841
본 발명의 목적은 수냉식 인터쿨러를 순환하는 저온냉각수의 펌프를 운행조건에 따라서 최적으로 제어하여 운행조건에 관계없이 연소실로 공급되는 흡기의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응답성을 향상시키고 출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터보차저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를 냉각하도록 연소실의 흡기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 저온 냉각수라인을 통해서 상기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펌프,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을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을 연산하여, 상기 냉각수펌프의 회전속도 PID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에 따라서, 보정값을 연산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에 상기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목표냉각수유량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회전수, 부하, 엔진냉각수온도, 및 외부온도에 따라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기초로 상기 목표냉각수유량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은, 엔진회전수가 증가하고, 엔진부하가 증가할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은, 엔진냉각수온도가 증가하고,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를 순환하는 냉각수유량(mCW)은 상기 인터쿨러의 입구측 공기온도(Ticin), 출구측 공기온도(Ticout),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의 열전달계수(Ccw),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공기의 열전달계수(Cair),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공기의 유량(mAIR), 외기온도(Tenv), 및 차량속도(Vveh)에 의해서 연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를 순환하는 냉각수유량(mCW)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의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 연료분사량, 및 상기 냉각수펌프의 파워에 따라서 선택된 연비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흡기라인에 설치되는 터보차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은 터보차저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를 냉각하도록 연소실의 흡기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수냉식 인터쿨러, 저온 냉각수라인을 통해서 상기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펌프,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을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을 연산하여, 상기 냉각수펌프의 회전속도 PID제어하고,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에 따라서, 보정값을 연산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에 상기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목표냉각수유량을 연산하고, 엔진의 회전수, 부하, 엔진냉각수온도, 및 외부온도에 따라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연산하며,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기초로 상기 목표냉각수유량을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은, 엔진회전수가 증가하고, 엔진부하가 증가할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되고, 엔진냉각수온도가 증가하고,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에 따라서 저온 냉각수펌프를 제어하고, 인터쿨러의 출구측 실제공기온도와 출구측 실제공기온도 사이의 차이값에 따라서 목표냉각수유량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수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의 운행조건에 따라서 냉각수유량제한치를 적용하여 보다 연료소모를 줄이고, 저온 냉각수펌프를 효율적으로 운전하여 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행조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유량을 계산하는 수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유량을 목표값을 연산하는 수식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냉각수유량, 펌프회전수, 및 소모전력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연비와 냉각수펌프의 파워와 관련된 수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에 대한 수식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엔진부하, 엔진회전수, 외기온, 및 엔진냉각수온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시스템은 흡기라인(100), 실린더헤드(150), 인터쿨러(155), 저온 냉각수라인(160), 저온 라디에이터(165), 저온 냉각수펌프(170), 제어부(180), 고압 이지알 라인(140), 고압 이지알 쿨러(145), 고압 이지알 밸브(142), 배기라인(105), 촉매유닛(185), 터빈(112)과 컴프레서(114)를 포함하는 터보차저(115), 저압 이지알 라인(120), 저압 이지알 쿨러(125), 및 저압 이지알 밸브(13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라인(100)에는 상기 저압 이지알 쿨러(125)와 상기 컴프레서(114)가 배치되고, 상기 배기라인(105)에는 상기 터빈(112)과 상기 촉매유닛(185)이 배치된다.
상기 고압 이지알 라인(140)은 상기 터빈(112)의 상류측 상기 배기라인(105)에서 분기되어 상기 인터쿨러(155) 측으로 합류되고, 상기 고압 이지알 라인(140)에는 상기 고압이지알밸브(142)와 상기 고압 이지알 쿨러(145)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압 이지알 라인(120)은 상기 촉매유닛(185)의 하류측 상기 배기라인(105)에서 분기되어 상기 컴프레서(114)의 상류측 상기 흡기라인(100)으로 합류되고, 상기 저압 이지알 라인(120)에는 상기 저압 이지알 쿨러(125)가 배치되며, 상기 저압 이지알 라인(120)과 상기 흡기라인(100)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저압 이지알 밸브(130)가 배치된다.
공기는 상기 흡기라인(100), 상기 저압 이지알 밸브(130), 상기 컴프레서(114), 상기 인터쿨러(155)를 통해서 상기 실린더헤드(150)의 흡기측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150)의 흡기측에서 연소실로 공급된 공기와 연료가 연소되고, 연소가스는 배기매니폴드를 통해서 상기 배기라인(105)의 상기 터빈(112)과 상기 촉매유닛(185)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저온 냉각수라인(160)은 상기 인터쿨러(155)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온 냉각수라인(160) 상에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와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165)가 배치된다.
저온냉각수는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165), 및 상기 인터쿨러(155)를 순환하면서,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냉각수를 쿨링하고,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165)에서 외부로 열을 방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센서와 요구신호에 따라서 운행조건을 입력받고, 맵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 상기 고압이지알밸브(142), 상기 저압 이지알 밸브(130), 및 인젝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엔진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운행조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air는 상기 인터쿨러(155)의 내부 공기의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고, Ccw는 상기 인터쿨러(155)의 내부 냉각수의 열전달 계수를 나타내고, mAIR는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공기유량을 나타낸다.
또한, mCW는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냉각수유량을 나타내고, Tenv는 차량의 외부온도를 나타내며, Penv는 차량의 외부 대기압을 나타내고, P_ratiocomp는 상기 컴프레서(114)의 전후단 압력비를 나타낸다.
또한, Ticin과 Ticout은 상기 인터쿨러(155) 전후단 공기온도를 나타내고, Tcwin과 Tcwout은 상기 인터쿨러(155) 전후단 냉각수온도를 나타내며, μic 는 상기 인터쿨러(155)의 효율을 나타내고, μradiator는 상기 저온 라디에이터(165)의 효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Vveh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고, N은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며, Q는 엔진의 부하(또는 연료분사량)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유량을 계산하는 수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인터쿨러(155)를 순환하는 냉각수유량(mCW)은 상기 인터쿨러(155)의 입구측 공기온도(Ticin), 출구측 공기온도(Ticout),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냉각수의 열전달계수(Ccw),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공기의 열전달계수(Cair), 상기 인터쿨러(155)를 지나는 공기의 유량(mAIR), 외기온도(Tenv), 및 차량속도(Vveh)에 의해서 도 3의 수식에 의해서 연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유량을 목표값을 연산하는 수식이다.
도 4를 참조하면, mCWpre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에 대한 수치를 나타내고, mCWtarget은 목표 냉각수유량을 나타내며, PIDcontrol_output은 PID제어를 위한 냉각수유량 보정값을 나타낸다.
상기 냉각수유량 보정값은 상기 인터쿨러(155)의 출구 목표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상기 인터쿨러(155)의 출구 실제공기온도(Ticout_actual_ 사이의 차이값(Ticout_dvt)에 의해서 연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냉각수유량, 펌프회전수, 및 소모전력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의 위 그래프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의 회전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저온냉각수의 유량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회전수가 늘어날수록 냉각수유량은 증가하지만 설정된 시점에서는 증가속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증가하지 않는다.
도 5의 아래 그래프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상기 저온냉각수의 유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에서 소모되는 전력(power)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각수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소모전력은 증가하고, 설정된 시점에서는 증가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연비에 악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모전력과 냉각수유량에 따라서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설정함으로써, 저온 냉각수펌프(170)의 회전수와 소모전력을 설정값으로 유지하여, 냉각효율을 해치지 않으면서,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연비와 냉각수펌프의 파워와 관련된 수식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료효율(연비, FCeff)는 엔진회전수(N), 연료분사량(Q),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의 소모전력(Pcw_pump)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아울러,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의 소모전력은 냉각수유량(mCW)에 의해서 설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에 대한 수식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에 의해서 펌핑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은 엔진회전수(N), 부하(Q 또는 연료분사량), 엔진온도(Tengine 또는 엔진냉각수온도), 외기온(Tenv)에 의해서 설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에서 엔진부하, 엔진회전수, 외기온, 및 엔진냉각수온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의 위 그래프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엔진의 회전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엔진의 부하(또는 연료분사량)을 나타내며, 엔진회전수가 증가하고 엔진부하가 증가할수록 냉각수 유량제한값(mCWlimit)은 증가한다.
여기서, 엔진회전수가 동일할 경우에 엔진부하가 증가할수록 mCWlimit은 증가하고, 엔진부하가 동일할 경우에 상기 엔진회전수가 증가할수록 mCWlimit은 증가한다.
도 8의 아래 그래프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엔진온도(또는 엔진냉각수온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엔진의 외기온을 나타내며, 엔진온도가 증가하고 외기온이 감소할수록 냉각수 유량제한값(mCWlimit)은 증가한다.
여기서, 엔진온도가 동일할 경우에 외기온이 감소할수록 mCWlimit은 증가하고, 외기온이 동일할 경우에 상기 엔진온도가 증가할수록 mCWlimit은 증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S900에서 제어가 시작되고, 엔진의 운행조건이 감지된다. 상기 운행조건을 감지하는 방법은 공지기술을 참조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910에서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mCWpre)에 대응하여 상기 저온 냉각수펌프(170)를 제어한다.
S920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터쿨러(155)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을 연산하고, S930에서 상기 차이값에 따라서 PID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실제 공기온도는 센서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고, 상기 목표 공기온도는 맵데이터로부터 선택되거나, 운행조건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S940에서 상기 차이값에 따라서 목표 냉각수유량(mCWtarget)을 연산하고, S950에서는 운행조건에 따라서 냉각수 유량제한값(mCWlimit)를 연산하여, S960에서는 최종 냉각수유량(mCWfinal)을 결정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흡기라인 105: 배기라인
112: 터빈 114: 컴프레서
115: 터보차저 120: 저압 이지알 라인
125: 저압 이지알 쿨러 130: 저압 이지알 밸브
140: 고압 이지알 라인 145: 고압 이지알 쿨러
142: 고압 이지알 쿨러 150: 실린더헤드
155: 인터쿨러 160: 저온 냉각수라인
165: 저온 라디에이터 170: 저온 냉각수펌프
180: 제어부 185: 촉매유닛

Claims (11)

  1. 터보차저에 의해서 압축된 흡기를 냉각하도록 연소실의 흡기측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인터쿨러;
    저온 냉각수라인을 통해서 라디에이터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펌프; 및
    운행조건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을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하도록 상기 냉각수펌프를 제어하고,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을 연산하여, 상기 냉각수펌프의 회전속도 PID제어하고,
    냉각수 유량제한값은,
    엔진회전수가 증가하고, 엔진부하가 증가할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되며,
    엔진냉각수온도가 증가하고, 외기온도가 낮을수록, 증가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인터쿨러의 출구측 목표 공기온도(Ticout_target)와 출구측 실제 공기온도(Ticout_actual) 사이에 차이값(Ticout_dvt)에 따라서, 보정값을 연산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냉각수유량에 상기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목표냉각수유량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회전수, 부하, 엔진냉각수온도, 및 외부온도에 따라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기초로 상기 목표냉각수유량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서,
    상기 인터쿨러를 순환하는 냉각수유량(mCW)은 상기 인터쿨러의 입구측 공기온도(Ticin), 출구측 공기온도(Ticout),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냉각수의 열전달계수(Ccw),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공기의 열전달계수(Cair), 상기 인터쿨러를 지나는 공기의 유량(mAIR), 외기온도(Tenv), 및 차량속도(Vveh)에 의해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8.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쿨러를 순환하는 냉각수유량(mCW)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펌프의 파워를 설정하고, 상기 엔진의 회전수, 연료분사량, 및 상기 냉각수펌프의 파워에 따라서 선택된 연비에 따라서 상기 냉각수 유량제한값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9. 제3항에서,
    상기 인터쿨러로 공급되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흡기라인에 설치되는 터보차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32325A 2016-03-17 2016-03-17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KR10180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325A KR101807045B1 (ko) 2016-03-17 2016-03-17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325A KR101807045B1 (ko) 2016-03-17 2016-03-17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433A KR20170108433A (ko) 2017-09-27
KR101807045B1 true KR101807045B1 (ko) 2018-01-10

Family

ID=60036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325A KR101807045B1 (ko) 2016-03-17 2016-03-17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5399A2 (ko) 2017-08-28 2019-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
DE102017123468A1 (de) * 2017-10-10 2019-04-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Brennkraftmaschine und Kraftfahrzeug
CN115773174B (zh) * 2022-11-26 2024-03-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电子水泵的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472A (ja) * 2004-04-09 200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高、低温冷却系を備えた内燃機関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1214544A (ja) * 2010-04-01 2011-10-27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温度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9472A (ja) * 2004-04-09 2005-10-27 Mitsubishi Heavy Ind Ltd 高、低温冷却系を備えた内燃機関及びその運転方法
JP2011214544A (ja) * 2010-04-01 2011-10-27 Denso Corp 内燃機関の吸気温度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433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313B1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JP4821247B2 (ja) 内燃機関の冷却水制御装置
KR101807045B1 (ko) 수냉식 인터쿨러의 냉각수 제어시스템
JP626519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664060B1 (ko) 엔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2180889A (ja) 過給式内燃機関システムにおける過給後吸気温の検出方法、過給式内燃機関システムの運転制御装置、及び、過給式内燃機関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タークーラーの冷却異常検出装置
JP4918898B2 (ja) 内燃機関
EP3517752B1 (e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turbocharger
JP5168379B2 (ja) 内燃機関の冷却水制御装置
JP2015200207A (ja) 二段過給システム、内燃機関、及び二段過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EP3343006B1 (en)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JP6958196B2 (ja) 冷却システム
KR101926136B1 (ko) 엔진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390511B2 (ja) ウォーターポンプの制御装置
JP2016109081A (ja) インタークーラの温度制御装置
JP632348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766070B1 (ko) 터보차저의 냉각 시스템
JP622588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4088779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1480092B2 (en) Cooling apparatus for turbocharged engine
JP2019082131A (ja) エンジンシステム
JP6409758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409757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2112769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9190323A (ja) 冷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