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21B1 -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21B1
KR101806721B1 KR1020160084851A KR20160084851A KR101806721B1 KR 101806721 B1 KR101806721 B1 KR 101806721B1 KR 1020160084851 A KR1020160084851 A KR 1020160084851A KR 20160084851 A KR20160084851 A KR 20160084851A KR 101806721 B1 KR101806721 B1 KR 101806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main relay
time
turn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범주
박현수
안균영
김미옥
김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2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lock status, i.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스타트 버튼 작동 시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메인릴레이가 작동되는 시점과, 도어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기 메인릴레이의 작동음을 상기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키도록 하여, 차량 시동 온/오프 시 발생되는 메인릴레이에 의한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익숙하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도어락 잠금 소리에 중첩시킴으로써 이질감을 없애도록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며, 소음 저감을 위한 별도의 부품 및 흡차음제를 적용하지 않고 동작 조건 변경만으로도 메인릴레이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Improvement method of relay nois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시동 온/오프 시 발생되는 메인릴레이에 의한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차량을 형성하는 차량용 고전압배터리는 DC전압을 개폐하는 고전압 릴레이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고전압 릴레이는 일반 릴레이에 비하여 고전압/대전류 사양이기 때문에 접점 및 터미널의 사이즈가 크게 형성된다.
한편, 종래의 고전압 릴레이는 사이즈를 단속하기 위해 스프링과 코일의 힘이 커지기 때문에 온/오프 작동 시 작동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소음은 릴레이 작동 시 발생하는 당연한 소음이나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는 소음이므로 이를 저감시키기 위해 흡차음제와 절연재 등을 적용시켰지만 원가만 증가될 뿐 실질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키지는 못했다.
또한, 종래에는 고전압 릴레이 작동 소음뿐만 아니라 주행 시작 후 일정차속에 도달하게 되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되는 도어락 작동음도 발생하게 되어 여러 소음으로 인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767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시동 온/오프 시 발생되는 메인릴레이에 의한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타트 버튼 작동 시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메인릴레이가 작동되는 시점과, 도어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기 메인릴레이의 작동음을 상기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가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타트 버튼은,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상기 메인릴레이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상기 도어락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과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와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은 상호 연동되어, 상기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상기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차속이 0인 경우 상기 도어락 강제 해제 시 상기 도어락 상태를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를 통해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로 전달하여 상기 메인릴레이를 상기 도어락 해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OFF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은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에 연동되어 차량 주행 시 상기 도어락이 강제로 해제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으로 상기 도어락 재잠금신호를 보내고,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는 도어락 해제 신호는 발송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상기 메인릴레이는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타트 버튼이,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과, 메인릴레이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도어락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과 연동되되;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가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기 메인릴레이의 작동음을 상기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시동 온/오프 시 발생되는 메인릴레이에 의한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익숙하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도어락 잠금 소리에 중첩시킴으로써 이질감을 없애도록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며, 소음 저감을 위한 별도의 부품 및 흡차음제를 적용하지 않고 동작 조건 변경만으로도 메인릴레이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서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메인릴레이 ON 시점과 도어락 잠김 시점이 일치되는 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서 이그니션 OFF 상태에서 메인릴레이 OFF 시점과 도어락 잠김 해제시점이 일치되는 시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에서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주행 중 도어락 잠금 해제 시 도어락을 재잠금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스타트 버튼(10) 작동 시 메인릴레이(100)가 작동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메인릴레이(100)의 작동음을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스타트 버튼(10)을 작동시키게 되면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메인릴레이(100)가 작동하게 되는데 이 메인릴레이(100) 작동시점과, 도어 개방 방지 또는 도어 잠김 해제와 같이 도어 개폐를 단속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대적으로 작게 들리는 메인릴레이(100) 작동음이 도어락(200) 작동음에 중첩되게 하여 도어락(200) 작동음만 들리고 메인릴레이(100) 작동음은 들리지 않게 한다.
한편, 차량의 경우 스타트 버튼(10)이 시동을 켜는 경우와 시동을 끄는 경우가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이에 대한 각각의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시동을 켜는 실시예로 스타트 버튼(10)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00)가 ON이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한다.
또한, 시동을 끄는 실시예로 스타트 버튼(10)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00)가 OFF가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차량에 구비된 스타트 버튼(10)은,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11), 메인릴레이(100)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 및 도어락(200)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 13)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와 바디전자제어부(BCM, 13)는 상호 연동되도록 하여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00)가 ON이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에는 메인릴레이(100)가 OFF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차속이 0인 경우 도어락(200) 강제 해제 시 도어락(200) 상태를 바디전자제어부(BCM, 13)를 통해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로 전달하여 메인릴레이(100)를 도어락(200) 해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OFF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즉, 운전자 중에 도어락(200) 자동 해제 기능을 오프시켜 놓고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도 있는 바, 이 경우 도어에 구비된 레버를 당겨서 직접 도어락(200)을 해제하는데 이때 레버를 당길 때 나오는 도어락(200) 상태 신호를 바디전자제어부(BCM, 13)가 받아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으로 전달함으로써 도어락(200) 해제 시점과 메인릴레이(100) OFF 시점을 일치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11)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과 바디전자제어부(BCM, 13)에 연동되도록 하여 차량 주행 시 도어락(200)이 강제로 해제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바디전자제어부(BCM, 13)로 도어락(200) 재잠금신호를 보내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에는 도어락(200) 해제 신호는 발송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의 메인릴레이(100)는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도어락(200) 레버는 잠금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 중이더라도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실수로 인해 강제로 당겨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11)이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과 바디전자제어부(BCM, 13)와 연동되도록 하여 차속이 0이 아닌 경우는 주행 중이기 때문에 도어락(200) 레버가 강제로 풀리게 되면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11)이 즉각적으로 바디전자제어부(BCM, 13)로 도어락(200) 재잠금 신호를 보내게 되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에는 도어락(200) 레버 풀림 상태 신호를 보내지 않아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의 메인릴레이(100)는 ON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그니션이 OFF되지 않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의 스타트 버튼(10)이,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11)과, 메인릴레이(100)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12)과, 도어락(200)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 13)와 연동되되; 스타트 버튼(10)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메인릴레이(100)가 ON이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스타트 버튼(10)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메인릴레이(100)가 OFF가 되는 시점과, 도어락(200)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메인릴레이(100)의 작동음을 도어락(200)의 작동음에 중첩시키도록 하여 차량 시동 온/오프 시 발생되는 메인릴레이(100)에 의한 소음을 사용자의 귀에 익숙하고 안전성을 보장하는 도어락(200) 잠금 소리에 중첩시킴으로써 이질감을 없애도록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소음 저감을 위한 별도의 부품 및 흡차음제를 적용하지 않고 동작 조건 변경만으로도 메인릴레이(100)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타트 버튼 11 :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
12 : 배터리관리시스템 13 : 바디전자제어부
100 : 메인릴레이 200 : 도어락

Claims (8)

  1. 차량의 스타트 버튼 작동 시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메인릴레이가 작동되는 시점과, 도어 개폐를 단속하는 도어락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기 메인릴레이의 작동음을 상기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키되;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가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고,
    상기 스타트 버튼은,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 상기 메인릴레이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 및 상기 도어락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과 연동되며,
    상기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차속이 0인 경우 상기 도어락 강제 해제 시 상기 도어락 상태를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를 통해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로 전달하여 상기 메인릴레이를 상기 도어락 해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와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은 상호 연동되어, 상기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상기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은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에 연동되어 차량 주행 시 상기 도어락이 강제로 해제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에 도어락 재잠금신호를 보내고,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는 도어락 해제 신호는 발송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의 상기 메인릴레이는 ON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8. 차량의 스타트 버튼이, 엔진을 ON/OFF시키는 파워트레인컨트롤유닛(PCU)과, 메인릴레이를 ON/OFF시키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도어락을 ON/OFF시키는 바디전자제어부(BCM)과 연동되되;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N이 되는 경우 고전압배터리의 전압을 개폐하는 상기 메인릴레이가 ON이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잠기는 시점을 일치시키며,
    상기 스타트 버튼 작동에 의해 이그니션이 OFF가 되는 경우 상기 메인릴레이가 OFF가 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락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점을 일치시켜 상기 메인릴레이의 작동음을 상기 도어락의 작동음에 중첩시키고,
    상기 이그니션 ON 상태에서 차속이 0인 경우 상기 도어락 강제 해제 시 상기 도어락 상태를 상기 바디전자제어부(BCM)를 통해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BMS)로 전달하여 상기 메인릴레이를 상기 도어락 해제 시점과 동일한 시점에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메인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KR1020160084851A 2016-07-05 2016-07-05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KR101806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51A KR101806721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51A KR101806721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721B1 true KR101806721B1 (ko) 2017-12-07

Family

ID=6092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51A KR101806721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9872A1 (en) * 2018-05-23 2021-07-08 Gs Yuasa International Ltd.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301A (ja) * 2004-03-24 2005-10-06 Toyota Motor Corp ノイズのマスキング方法
KR100699721B1 (ko) * 2005-12-05 2007-03-26 에스앤티대우(주) 차량용 패시브 도어/시동 장치
KR101543265B1 (ko) 2015-03-04 2015-08-11 국방과학연구소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및 차량의 전원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301A (ja) * 2004-03-24 2005-10-06 Toyota Motor Corp ノイズのマスキング方法
KR100699721B1 (ko) * 2005-12-05 2007-03-26 에스앤티대우(주) 차량용 패시브 도어/시동 장치
KR101543265B1 (ko) 2015-03-04 2015-08-11 국방과학연구소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및 차량의 전원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09872A1 (en) * 2018-05-23 2021-07-08 Gs Yuasa International Ltd. Management device,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failure diagnosi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7248B2 (ja) 自動車の遠隔始動システム及び方法
PH12018502508B1 (en)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mounted device, vehicle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and vehicle door locking and unlocking system including vehicle-mounted device
US8930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reduction during keyless ignition authentication
JP5600623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40114539A1 (en) Vehicular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CN101746332B (zh) 汽车车锁的控制方法
KR101806721B1 (ko) 차량용 릴레이 소음 개선 방법
JP4075604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CN105984424A (zh) 一种无钥匙启动系统的钥匙认证方法
CN203157941U (zh) 一种汽车无钥匙进入启动装置
CN202669753U (zh) 汽车车门锁锁闭、开启装置
CN105280425B (zh) 一种汽车点火开关
CN203611926U (zh) 一种电子转向柱锁控制器及其系统
JP2020159110A (ja) 車両用遠隔制御装置
JP2005278301A (ja) ノイズのマスキング方法
CN207847389U (zh) 一种车门控制机构和汽车
JP2916353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3203450U (ja) 遠隔車両始動装置
CN206436976U (zh) 一种车载一键宝贝舒适锁系统
CN105484585B (zh) 一种汽车及其车门下锁控制系统
CN102501826A (zh) 汽车控制方法及装置
CN103522983B (zh) 一种车用防盗器
CN102358256B (zh) 一种汽车门锁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40011336A1 (en) High voltage system to expedite propulsion readings for electrified powertrain vehicles
JP2008168833A (ja) 装着後の車輌盗難防止器により車輌のその他の設備を操作制御する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