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276B1 -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276B1
KR101806276B1 KR1020160051275A KR20160051275A KR101806276B1 KR 101806276 B1 KR101806276 B1 KR 101806276B1 KR 1020160051275 A KR1020160051275 A KR 1020160051275A KR 20160051275 A KR20160051275 A KR 20160051275A KR 101806276 B1 KR101806276 B1 KR 10180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strial
mixing
shaft
rot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404A (ko
Inventor
이주열
박병현
신재란
최진식
김재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텍
Priority to KR102016005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2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7/00958
    • B01F15/0077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2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 B01F27/23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 B01F27/232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characterised by the orientation or disposition of the rotor axis with two or more rotation axes with parallel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with fix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01F7/00975
    • B01F7/18
    • B01F7/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Mixing cement, mortar, clay, plaster or concrete ingredients
    • B01F2215/0047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경화체 혼합장치는, 산업부산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산업부산물이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산업부산물의 혼합 시 상기 산업부산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혼합장치의 구동을 위해 제공되는 하나의 구동력이 회전축과 맞물린 각 기어들을 통해 유동되고, 기어의 유동에 의해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반응하여 경화체가 단시간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되고,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을 경화체로 제조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Mortar mixing device using industrial by-products}
본 발명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 용액을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화체는 시멘트와 같은 분말상의 경화제를 물과 섞어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을 제조하는 장치를 통해 제조되고, 때에 따라서는 플라이애쉬, 고로슬래그 미분말, 실리카흄과 같은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를 시멘트에 일부 대체하여 경화시키는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조장치에서 경화체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장치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혼합장치를 통해 혼합되는 경화체의 종류 중 플라이애쉬를 첨가한 경화체는, 수화반응으로 생성된 수산화칼슘과 슬래그 및 무수석고 등이 서로 반응하여 장기강도증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슬러지에 포함된 유기물질로 인하여 미세구조 발달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수화 반응에 의한 고화작용이 저하되므로 작업성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로슬래그를 원료로 사용하는 경화체는 수경은 아니지만 시멘트와 물을 혼합시키면 플라이애쉬와 같은 알칼리 반응을 통해서 경화특성을 발휘하게 되나, 이 역시 반응속도가 느려 고화작용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3355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부산물이 경화체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산업부산물을 알칼리 자극제와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경화시킬 때 단시간에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체 혼합장치는, 산업부산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산업부산물이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산업부산물의 혼합 시 상기 산업부산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력이 형성되는 선기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가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성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내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링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는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 및 상기 제1 축 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상기 산업부산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패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기어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상기 유성기어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성기어용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들들은, 상기 회전부에 의해서 자전하는 회전방향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이동방향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선기어와 연결되는 제2 축 부재; 내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1 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관들과 상기 제2 축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축 부재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가 외부로부터 상기 혼합부 내부로 유입되되 서로 다른 경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혼합부와의 착탈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외주면에 상기 혼합부와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 위해 기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혼합장치의 구동을 위해 제공되는 하나의 구동력이 회전축과 맞물린 각 기어들을 통해 유동되고, 기어의 유동에 의해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반응하여 경화체가 단시간에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게 되고,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을 경화체로 제조함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감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가 달리 구현되는 축 부재와 패들의 공전 및 자전을 통해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의 효율적인 교반이 가능한 것은 물론 산업부산물과의 교반에 의한 축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는, 고로슬래그 또는 플라이 애쉬(Fly-Ash) 등과 같은 산업부산물 또는 산업폐기물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산업부산물 또는 산업폐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단시간에 한데 섞여 균일혼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알칼리 자극제는 산업부산물이 골재 등과 원활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고로 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은 물로 냉각시키게 되면 슬래그 표면에 치밀한 불투성의 산성 피막이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산성 피막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고로 슬래그가 골재와 같은 재료와 혼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산성 피막을 파괴하기 위해 알칼리 자극제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칼리 자극제는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며, 이러한 자극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할 뿐 다른 종류의 알칼리 자극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알칼리 자극제가 아닌 수산화칼슘, 황산화칼슘 등과 같은 칼슘계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산업부산물 또는 산업폐기물과 알칼리 자극제를 혼합하여 경화체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장치는 회전부(100), 혼합부(200) 및 덮개부(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산업부산물 또는 산업폐기물을 모두 산업부산물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부(100)는 산업부산물의 혼합을 위해 회전하여 산업부산물이 골재 등과 원활히 교반되어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회전부(100)는 선기어(110), 복수 개의 유성기어(120), 링기어(130) 및 교반부재(140)를 포함한다.
선기어(110)는 회전력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유성기어(120)들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축(101)과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축(101)은 모터와 직접 연결되거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벨트와 같은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회전축(101)이 회전되면 회전축(101)과 결합되어 있는 선기어(110)가 함께 회전되게 되어 발생된 회전력은 유성기어(120)들에게 전달된다.
한편, 복수 개의 유성기어(120)들은 교반부재(14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교반부재(140)에 의해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유성기어(120)들은 선기어(110)의 회전에 의해 선기어(110)로부터 전달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게 되며, 일단은 선기어(110)와 맞닿고 타단은 링기어(130)와 맞물려 회전된다.
유성기어(12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13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경로로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공전함과 동시에 선기어(110)의 회전에 의해 자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성기어(120)들은 선기어(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됨으로써 교반부재(140)와 연결되어 교반부재(14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성기어(120)들의 외주면에는 선기어(110)와 링기어(130)와 맞물려 공전과 자전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 치차가 형성된다.
한편, 링기어(130)는 유성기어(120)의 외주면과 맞닿아 유성기어(120)가 공전 또는 자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링기어(130)의 내주면에는 유성기어(120)의 치차와 맞물리는 치차가 형성된다.
교반부재(140)는 혼합부(200)에 유입된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교반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의 제1 축 부재(141)들 및 복수의 패들(143)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축 부재(141)들은 복수의 유성기어(120)들과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복수의 유성기어(120)들의 동작에 따라 유성기어(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자전이 가능하게 되며, 유성기어(120)들이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공전함에 따라 제1 축 부재(141)들 역시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공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축 부재(141)는 유성기어(120)들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됨으로써 패들(143)들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복수의 제1 축 부재(141)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높이가 다르게 마련 되어 일단에 연결된 패들(143)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산업부산물에 포함되는 골재 또는 슬래그들의 비중이나 밀도 등의 차이에 의해 상부에 뜨거나 하부에 가라앉는 산업부산물들이 원활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패들(143)들은 혼합부(200)에 유입되는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와 직접 접촉하여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를 교반시켜 혼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패들(143)들은 혼합부(200)에서 혼합되는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너비면적의 일부분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패들(143)의 형상은 'K'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K'자의 'I' 부분은 제1 축 부재(14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패들(143)의 지지력을 형성하며, '<' 부분은 제1 축 부재(141)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혼합부(200) 내부의 산업부산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하게 되어 혼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들(143)은 제1 축 부재(141)와 일체형으로 마련됨으로써 'K'자 형상의 패들(143)의 지지력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산업부산물을 휘저을 때 산업부산물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축 부재(141)의 높이가 서로 달리 구현되는 것처럼, 패들(143)의 단면적의 크기 역시 서로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는, 유성기어(120)에 선기어(110)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 이외의 부가적인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유성기어(120)들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에 의해 유성기어(120)들의 회전속도가 선기어(110)의 회전속도와 다르게 구현되도록 하거나 유성기어(120)들의 회전방향이 선기어(1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어 제1 축 부재(141)를 통해 유성기어(120)와 연결된 패들(143)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의 변화를 통해 산업부산물의 원활한 혼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에 의해서 회전축(101)이 구동되지 않더라도 유성기어(120)들이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속도 또는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부산물의 골재 크기나 투입량에 따라 각 교반부재(140)들의 교반정도를 달리 할 수 있게 되므로 산업부산물의 혼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은 회전축(101)과 동일하게 모터와 직접 연결되거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위한 벨트와 같은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혼합부(200)는 산업부산물이 회전부에 의해 교반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회전부(100) 및 덮개부(3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외부로부터 산업부산물 또는 알칼리 자극제가 유입된다.
그리고 혼합부(200) 내부에는 교반부재(140)가 위치되어 교반부재(140)에 의해 산업부산물이 교반되어 혼합되게 된다.
또한, 혼합부(200)는 덮개부(300)와 선택적으로 체결되기 위해 체결홈(210)을 포함한다.
체결홈(210)은 덮개부(300)의 돌출부(310)와 결합되되, 돌출부(3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한 물리적인 힘으로 인해서 돌출부(310)와의 결합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형상이란, 돌출부(310)가 삽입된 후 돌출부(310)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하 흔들림에 의해 돌출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물론 이러한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교반부재(140)에 의해 산업부산물이 교반 및 혼합되고 있는 과정에서 돌출부(3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다른 형상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덮개부(300)는 회전부(100)와 혼합부(200) 사이에 위치되고, 혼합부(200) 내에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가 유입되면, 회전부(100)에 의해 교반되는 산업부산물 또는 알칼리 자극제가 혼합부(200)를 이탈하여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부(300)는 복수 개의 유입구(321, 323) 및 돌출부(31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유입구(321, 323)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업부산물 또는 알칼리 자극제가 혼합부(200)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구로써 덮개부(300)의 상부에 형성된다.
돌출부(310)는 덮개부(300)가 혼합부(200)와 체결되면, 회전부(100)의 회전에 의해 덮개부(300)와 혼합부(200)의 체결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혼합부(200)의 체결홈(210)과 결합된다.
이러한 돌출부(310)는 덮개부(300)의 외주면에 위치됨으로써 혼합부(200)와의 착탈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을 통해 혼합장치는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가 유입되면 단시간에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교반 및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경화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는 비중 또는 밀도 차이에 의해 골재나 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의 일부가 상부에 뜨거나 하부에 가라앉더라도 높이가 서로 달리 구현되는 교반부재(140)에 의해 교반 및 혼합이 효율적으로 이루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와 마찬가지로, 산업부산물과 알칼리 자극제가 교반 및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00), 혼합부(200) 및 덮개부(300)로 구성된다.
이상에서의 구성 중 회전부(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모두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장치와 동일하거나 이로부터 충분히 유추가능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100)는 상술한 회전축(101), 선기어(110), 유성기어(120), 링 기어(130) 및 교반부재(140)를 포함하여, 교반부재(140)는 제1 축 부재(141), 패들(143), 제2 축 부재(150), 제1 관(160) 및 연결부재(17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 축 부재(141) 및 패들(14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2 축 부재(150), 제1 관(160) 및 연결부재(17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축 부재(150)는 연결부재(170)를 통해 제1 관(160)들과 연결되어 제1 관(160)들이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2 축 부재(150)는 선기어(110)와 연결되되 제1 축 부재(141)와는 달리 패들(143)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축 부재(150)는 선기어(110)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관(160) 및 연결부재(170)를 통해 유성기어(120)와 연결된 제1 축 부재(141)와 연결됨으로써, 제1 축 부재(141)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선기어(110)를 중심으로 하는 공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관(160)은 제1 축 부재(141)의 자전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각 제1 축 부재(141)들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축 부재(141)들이 휨 모멘트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1 축 부재(141)는 일단은 유성기어(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패들(143)과 연결되어 패들(143)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패들(143)이 산업부산물의 교반을 위해 자전하면서 공전할 때 단면적이 산업부산물과 직접 접촉된다.
그러면, 산업부산물의 저항에 의해 패들(143)에 가해지는 저항력만큼 패들(143)과 연결된 제1 축 부재(141)의 타단에 휨 모멘트가 가해지게 되어 제1 축 부재(141)가 파손될 위험이 증대된다.
따라서, 제1 관(160)은 중심이 관통된 대롱 형태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 축 부재(14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1 축 부재(14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170)는 제1 관(160)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일단은 제2 축 부재(1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관(160)과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70)는 제2 축 부재(150)와 복수의 제1 관(160)들을 연결하기 위해 제1 관(160)들과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다.
또한, 연결부재(170)는 제2 축 부재(150)와 제1 관(160)을 연결함으로써 제1 관(160)들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제2 축 부재(150)를 기반으로 제1 관(160)들을 지지하게 되므로 제1 관(160)과 마찬가지로 제1 축 부재(14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축 부재(150), 제1 관(160) 및 연결부재(170)는 서로 착탈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연결부재(170)들이 제2 축 부재(150)와 제1 관(160)들을 연결시켜 제1 관(160)들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제2 축 부재(150)가 마련되지 않고, 연결부재(170)들이 제1 관(160)과 다른 제1 관(160)을 직접 연결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01)이 아니더라도 별도의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과 연결되어 선기어(110)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유성기어(120)만이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유성기어(120)들이 유성기어용 회전축(미도시)을 통해 선기어(110)의 회전없이 회전되는 경우에는 서로 충돌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각의 제1 축 부재(141)들은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의 교반 및 혼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회전부 101 : 회전축
110 : 선기어 120 : 유성기어
130 : 링기어 140 : 교반부재
141 : 제1 축 부재 143 : 패들
150 : 제2 축 부재 160 : 제1 관
170 : 연결부재 200 : 혼합부
210 : 체결홈 300 : 덮개부
310 : 돌출부 321 : 제1 유입구
323 : 제2 유입구

Claims (6)

  1. 산업부산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가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산업부산물이 유입되어 혼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혼합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혼합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산업부산물의 혼합 시 상기 산업부산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력이 형성되는 선기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개별적으로 회전되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가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성기어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내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는 링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와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는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 및
    상기 제1 축 부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상기 산업부산물이 혼합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패들들;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혼합부와의 착탈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외주면에 상기 혼합부와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혼합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되, 상기 돌출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와의 결합이 해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간의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에 각기 연결된 상기 복수 개의 패들들간의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패들은,
    혼합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외주연을 갖는 'K'자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K'자의 'I'부분은 상기 제1 축 부재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패들의 지지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며, '<'부분은 상기 제1 축 부재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 내부의 산업부산물을 교반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패들의 지지력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산업부산물을 휘저을 때 상기 산업부산물에 의한 상기 패들의 변형 및 파손이 경감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축 부재와 상기 패들이 일체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체 혼합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기어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상기 유성기어가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성기어용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들들은,
    상기 회전부에 의해서 자전하는 회전방향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이동방향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체 혼합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재는,
    상기 선기어와 연결되는 제2 축 부재;
    내면에 상기 복수 개의 제1 축 부재들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제1 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관들과 상기 제2 축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축 부재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체 혼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산업부산물 및 알칼리 자극제가 외부로부터 상기 혼합부 내부로 유입되되 서로 다른 경로로 유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유입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체 혼합장치.
  6. 삭제
KR1020160051275A 2016-04-27 2016-04-27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KR101806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75A KR101806276B1 (ko) 2016-04-27 2016-04-27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75A KR101806276B1 (ko) 2016-04-27 2016-04-27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04A KR20170122404A (ko) 2017-11-06
KR101806276B1 true KR101806276B1 (ko) 2017-12-07

Family

ID=60384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275A KR101806276B1 (ko) 2016-04-27 2016-04-27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726A (ko) 2019-07-23 2021-02-02 임대경 컵 주위 물 고임 방지 홀더
CN111617671A (zh) * 2020-06-15 2020-09-04 杭州贤捷装饰装潢有限公司 一种基于离心力的高分子水性涂料生产用搅拌装置
CN111715092A (zh) * 2020-07-02 2020-09-29 广州德谷个人护理用品有限公司 一种茶麸滋润沐浴乳生产用混料装置
CN114334487A (zh) * 2021-12-26 2022-04-12 益阳艾华富贤电子有限公司 一种新型含浸设备
CN116808867B (zh) * 2023-08-30 2023-11-21 山东壹贰壹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速分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035A (ja) * 2008-03-17 2009-10-01 Moriyama:Kk プラネタリミキサ
US20120155215A1 (en) * 2010-12-17 2012-06-21 Verma Vishaal B Ring mixer
JP2016049474A (ja) * 2014-08-28 2016-04-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撹拌軸の駆動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035A (ja) * 2008-03-17 2009-10-01 Moriyama:Kk プラネタリミキサ
US20120155215A1 (en) * 2010-12-17 2012-06-21 Verma Vishaal B Ring mixer
JP2016049474A (ja) * 2014-08-28 2016-04-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撹拌軸の駆動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04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276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혼합장치
CN210758473U (zh) 耐火砖智能配料系统
CN106179165A (zh) 一种避免固体物料堆积的反应釜
CN207072024U (zh)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砂浆搅拌混合装置
KR101796079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경화체 제조장치
CN203874719U (zh) 一种自吸式混合器
CN202922747U (zh) 一种加气混凝土生产用铝粉搅拌机
CN212680799U (zh) 一种环保砖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212352420U (zh) 一种环保无尘的建筑用水泥砂石输送装置
CN214636426U (zh) 一种减水剂合成反应釜用搅拌装置
CN204485846U (zh) 一种带有底伸式搅拌装置的反应釜
CN209971129U (zh) 一种多重搅拌的建筑混凝土进料装置
CN208232006U (zh) 一种水泥砼预制构件流水式震动成型装置
CN208878395U (zh) 一种节能式化工加工装置
KR102235739B1 (ko) 비산재 혼합장치
CN205667834U (zh) 复合肥料浆混合釜
CN221066799U (zh) 一种预拌砂浆搅拌站外加剂上料装置
KR101649949B1 (ko)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경화체 혼합장치
CN204977033U (zh) 一种加气砖原料搅拌机
CN220719808U (zh) 砂浆搅拌设备
CN218314369U (zh) 一种建筑施工用搅拌装置
CN215428497U (zh) 一种可高均匀的自动配料用混合机
CN105817189A (zh) 一种带有底伸式搅拌装置的反应釜
CN211164643U (zh) 一种环保砖生产用配料装置
CN220176706U (zh) 石膏粉料均质化搅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