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269B1 -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 Google Patents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269B1
KR101806269B1 KR1020160017527A KR20160017527A KR101806269B1 KR 101806269 B1 KR101806269 B1 KR 101806269B1 KR 1020160017527 A KR1020160017527 A KR 1020160017527A KR 20160017527 A KR20160017527 A KR 20160017527A KR 101806269 B1 KR101806269 B1 KR 10180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nk
holding unit
blade
eccent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308A (ko
Inventor
김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알
Priority to KR102016001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26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3/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profiled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23D15/08Sheet shears with a blade moved in one plane, e.g.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좌우 커팅 동작과 다른 블레이드의 전후 커팅 동작을 동시에 연동시켜 구동케 하고, 커팅파트와 커팅파트 간의 케이스 이송 시 두 블레이드 연동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케이스의 회전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는, 좌우 나란히 배치되고 내부에 상하 관통형 공간부를 갖는 제1 및 제2 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공간부 상부 측에 위치한 하방 개구(開口)형 사각 케이스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1홀딩유닛; 상기 제2베이스의 공간부 상부 측에 위치한 케이스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2홀딩유닛; 상기 제1홀딩유닛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 상기 제2홀딩유닛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에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과 상기 제2블레이드에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게 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유닛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구동 시 상기 제1블레이드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TRIM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좌우 나란히 배치된 두 홀딩유닛에 의해 각각 지지된 2개의 케이스에서 좌측 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장변을, 우측 케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단변을 하나의 구동유닛에 의한 각 블레이드 연동 동작에 의해 동시 트리밍 커팅 동작이 가능한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5-0048185호(2015.05.06.공개)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최초로 펀치 커터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그 각형 통모양부의 절단 영역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그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함으로서, 균열이나 거스러미(burr, 깔쭉깔쭉한 부분)가 억제된 양호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이다.
문헌.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5-0048185호(2015.05.06.공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장변 커팅파트와 케이스의 단변 커팅파트 간의 각 블레이드를 하나의 구동부로 연동시켜 동시에 트리밍 커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각각의 구동부에 의해 각각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두 블레이드 커팅 동작형에서 하나의 블레이드에 의한 커팅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 블레이드에 의한 커팅 공정 측으로 이동 시 케이스를 90도 회전시켜야 하는 커팅 공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나의 커팅파트에서 다음 커팅파트로 이송되는 케이스가 하나의 구동부에 의한 두 블레이드의 연동 커팅 동작이 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회전되지 않고, 즉 비(非)회전된 상태에서 커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는,
좌우 나란히 배치되고 내부에 상하 관통형 공간부를 갖는 제1 및 제2 베이스;
상기 제1베이스의 공간부 상부 측에 위치한 하방 개구(開口)형 사각 케이스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1홀딩유닛;
상기 제2베이스의 공간부 상부 측에 위치한 케이스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2홀딩유닛;
상기 제1홀딩유닛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
상기 제2홀딩유닛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에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과 상기 제2블레이드에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게 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유닛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 구동 시 상기 제1블레이드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에 의해 케이스의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는,
케이스의 장변 커팅파트와 케이스의 단변 커팅파트 간의 각 블레이드를 하나의 구동부로 연동시켜 동시에 트리밍 커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두 블레이드에 의한 커팅 동작 제어가 용이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또 하나의 커팅파트에서 다음 커팅파트로 이송되는 케이스가 하나의 구동부에 의한 두 블레이드의 연동 커팅 동작이 가능한 메커니즘을 통해 회전되지 않고, 즉 비(非)회전된 상태에서 커팅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서, 케이스 회전에 따른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구동축, 바텀편심축 및 탑편심축을 보여주기 위한 입체 분해 구성도,
도 3은 구동축, 바텀편심축 및 탑편심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 공정도,
도 5는 도 1의 배면 입체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일부 평면 구성도,
도 7은 제1서브홀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8은 제2서브홀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제1베이스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제2베이스 측을 우부(右部) 또는 우방으로, 또 제1프론트링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제1리어링크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으로, 또 도 2를 기준으로 탑편심축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바텀편심축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케이스'는 셀 등 배터리 소재가 수납되는 캔(can) 타입으로서, 전기차(EV : Electronic Vehicle)에 사용되는 배터리 케이스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는,
크게 제1베이스(10), 제2베이스(20), 제1홀딩유닛(30), 제2홀딩유닛(40), 제1블레이드(50), 제2블레이드(60) 및 구동유닛(7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및 제2 베이스(10, 20)는
도 1,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나란히 배치되고 내부에 상하 관통되는 공간부(11, 21)
를 포함하는 사각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홀딩유닛(30)은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 위치한 하방 개구(開口)형 사각 케이스(1)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베이스(10) 상부면에서 상기 공간부(11)를 사이에 두고 전후에 배치되며 좌우 길이를 갖는 두 제1레일(31),
상기 각 제1레일(31) 좌단부(左端部)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두 제1레프트슬라이더(32),
상기 각 제1레일(31) 우단부(右端部)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두 제1라이트슬라이더(33),
상기 각 제1레프트슬라이더(32)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 제1라이트슬라이더(33)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두 제1홀더(34), 그리고
상기 각 제1홀더(34)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기 위한 두 제1구동부(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제1구동부(35)는 상기 각 제1홀더(34)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어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공지의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제1구동부(35)에 의해 상기 각 제1레프트슬라이더(32)와 각 제1라이트슬라이더(3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케이스(1)가 상기 각 제1홀더(34)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반대로 후진하게 되면 케이스(1)에 대한 지지 고정이 해제된다.
제2홀딩유닛(40)은
도 1,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20)의 공간부(21) 상부 측에 위치한 케이스(1)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베이스(20) 상부면에서 상기 공간부(21)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배치되며 전후 길이를 갖는 두 제2레일(41),
상기 각 제2레일(41) 전단부(前端部)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두 제2프론트슬라이더(42),
상기 각 제2레일(41) 후단부(後端部)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되는 두 제2리어슬라이더(43),
상기 각 제2프론트슬라이더(42)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각 제2리어슬라이더(43)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두 제2홀더(44), 그리고
상기 각 제2홀더(44)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기 위한 두 제2구동부(4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제2구동부(45)는 상기 각 제2홀더(44)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어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지의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제2구동부(45)에 의해 상기 각 제2프론트슬라이더(42)와 각 제2리어슬라이더(4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이들 사이에 위치한 케이스(1)가 상기 각 제2홀더(44)에 의해 지지 고정되고, 반대로 후진하게 되면 케이스(1)에 대한 지지 고정이 해제된다.
제1블레이드(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딩유닛(30)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1)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케이스(1)의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두 변을 커팅하기 위해 좌우 마주하는 두 변 중 한 변의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갖고 케이스(1)의 개구 보다 좌우 폭이 작은 사각날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2블레이드(60)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홀딩유닛(40)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1) 하부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케이스(1)의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두 변을 커팅하기 위해 전후 마주하는 두 변 중 한 변의 길이와 상응한 길이를 갖고 케이스(1)의 개구 보다 전후 폭이 작은 사각날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50, 60)에 의한 커팅 시, 케이스(1) 개구 측 단부에 균열이나 버어(burr)가 제거된 양호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동유닛(7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레이드(50)에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과 상기 제2블레이드(60)에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게 되는 것으로,
수직형 구동축(711)을 갖는 구동모터(71),
상기 구동축(711) 상단부(上端部)에 구비되는 바텀편심축(72),
상기 바텀편심축(72) 상단부에 구비되는 탑편심축(73),
상기 바텀편심축(72)의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제1블레이드(50)를 좌우 직선왕복운동케 하기 위한 제1링크부재(74), 그리고
상기 탑편심축(73)의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제2블레이드(60)를 전후 직선왕복운동케 하기 위한 제2링크부재(7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1)는 상기 구동축(711) 상단부에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원형 리세스(recess)(712)와, 상기 리세스(712)에 끼워져 볼트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원형 디스크(713)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텀편심축(72)은 상기 디스크(713)의 상부 중심에서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편심축(73)은 상기 바텀편심축(72) 상단부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상방 돌출되게 형성되는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바텀편심축(72)에서 이의 중심과 편심 방향을 잇는 가상선(L1)과 상기 탑편심축(73)에서 이의 중심과 편심 방향을 잇는 가상선(L2)과의 사잇각(θ)이 135도를 이룬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본 발명의 작동상태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편심축(72)과 후술할 제1프론트링크(741)의 상호 결합 부위에는 베어링 등이 개재(介在)될 수 있고, 또 상기 탑편심축(73)과 후술할 제2프론트링크(751)의 상호 결합 부위에도 베어링 등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74)는
우단부(右端部)가 상기 바텀편심축(72)에 끼워지고 좌우 길이를 갖는 제1프론트링크(741)와,
전단부(前端部)가 제1프론트핀(742)에 의해 상기 제1프론트링크(741) 좌단부(左端部)와 상호 결합되고 전후 길이를 갖는 제1미들링크(743)와,
좌단부가 제1리어핀(744)에 의해 상기 제1미들링크(743)의 후단부(後端部)와 상호 결합되고 우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1리어링크(745)와,
상기 제1리어링크(745) 우단부와 상기 제1블레이드(50)를 상호 연결하는 제1중계부(746)와,
상기 제1베이스(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리어링크(745)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747)와,
상기 제1미들링크(743) 중단부(中端部)에 수직으로 끼워져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홀딩샤프트(748)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리어링크(745)에서 제1리어핀(744)이 결합되는 핀홀(745a)이 전후 긴 장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홀딩샤프트(748)를 기준으로 상기 제1미들링크(743)가 좌우 회동 시, 상기 제1미들링크(743)에 연결된 상기 제1리어링크(745)가 좌우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전후 긴 장공의 상기 핀홀(745a) 내에서 상기 제1리어핀(744)이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중계부(746)는 상기 제1리어링크(745)와 상기 제1블레이드(5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블록 구조로 이루어지고, 볼트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서, 상기 제1블레이드(50)가 상기 제1리어링크(745)와 연동된다.
상기 제1가이드(747)는 상기 제1베이스(10) 하부에 상기 제1리어링크(745) 전후 측벽을 감싸는 형태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샤프트(748)는 상기 제1미들링크(743)의 중단부에 끼워져 상기 제1미들링크(743)가 좌우로 회동되게끔 유도하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이때 외부 프레임은 본 발명의 트리밍 장치가 설치되는 설비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장비 중 적정 개소(個所)에 위치한 프레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링크부재(75)는
전단부가 상기 탑편심축(73)에 끼워지고 전후 길이를 갖는 제2프론트링크(751)와,
전단부가 제2프론트핀(752)에 의해 상기 제2프론트링크(751)의 후단부와 상호 결합되며 후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20)의 공간부(2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리어링크(753)와,
상기 제2리어링크(753) 후단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60)를 상호 연결하는 제2중계부(754)와,
상기 제2베이스(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리어링크(753)의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755)
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중계부(754)는 상기 제2리어링크(753)과 상기 제2블레이드(6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블록 구조로 이루어지고, 볼트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됨으로서, 상기 제2블레이드(60)가 상기 제2리어링크(753)와 연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755)는 상기 제2베이스(20) 하부에 상기 제2리어링크(755) 좌우 측벽을 감싸는 형태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는 제1 및 제2 서브홀딩유닛(80, 9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1서브홀딩유닛(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홀딩유닛(30)의 두 제1홀더(34)가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두 제1홀더(34)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베이스(10) 하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1베이스(10)의 공간부(11)를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두 제1서브실린더(81)와,
상기 두 제1서브실린더(81) 각각에 내장되고 단부(端部)가 상기 제1베이스(1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는 두 제1서브피스톤(82)
을 포함하여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상기 각 제1서브피스톤(82)을 진퇴 동작케 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7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각 제1서브피스톤(82) 단부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1슬로프(8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홀딩유닛(30)의 각 제1홀더(34)에서 서로 마주하는 반대편 단부에 상기 제1슬로프(821)와 접하게 되는 제1대응슬로프(3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홀딩유닛(30)에서 제1구동부(35)에 의해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제1홀더(34)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각 제1서브실린더(81)에 의해 상승한 상기 각 제1서브피스톤(82)의 제1슬로프(821)가 상기 각 제1홀더(34)의 제1대응슬로프(341)를 가압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1블레이드(50)에 의한 케이스(1) 트리밍 커팅 시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각 제1홀더(34)의 후퇴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2서브홀딩유닛(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홀딩유닛(40)의 두 제2홀더(44)가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두 제2홀더(44)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베이스(20) 하부면에 장착되되 상기 제2베이스(20)의 공간부(21)를 사이에 두고 장착되는 두 제2서브실린더(91)와,
상기 두 제2서브실린더(91) 각각에 내장되고 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20)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노출되는 두 제2서브피스톤(92)
을 포함하여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상기 각 제2서브피스톤(92)를 진퇴 동작케 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8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각 제2서브피스톤(92) 단부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반대방향으로 상방 경사진 제2슬로프(9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홀딩유닛(40)의 각 제2홀더(44)에서 서로 마주하는 반대편 단부에 상기 제2슬로프(921)와 접하게 되는 제2대응슬로프(4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홀딩유닛(8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홀딩유닛(40)에서 제2구동부(45)에 의해 각각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제2홀더(44)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각 제2서브실린더(91)에 의해 상기 각 제2서브피스톤(92)의 제2슬로프(921)가 상기 각 제2홀더(44)의 제2대응슬로프(441)를 가압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2블레이드(60)에 의한 케이스(1) 트리밍 커팅 시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각 제2홀더(44)가 후퇴되어 밀리게 되는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별도의 이송장치 등에 의해 공급 이송되는 케이스(1)가 상기 제1홀딩유닛(30)의 각 제1홀더(34) 사이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홀딩유닛(30) 측에서 커팅 완료된 다른 케이스(1)가 상기 제2홀딩유닛(40) 측으로 이동되어 동시에 상기 제2홀딩유닛(40)의 각 제2홀더(44)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및 제2 홀딩유닛(30, 40) 측으로 2개의 케이스(1)가 동시에 진입하게 되고,
상기 제1구동부(35)에 의해 각 제1홀더(34)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여 케이스(1)를 지지 고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구동부(45)에 의해 각 제2홀더(44)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전진하여 다른 케이스(1)를 지지 고정하게 되며,
상기 구동유닛(70)의 구동모터(71) 구동에 따른 구동축(71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텀편심축(72)에 연결된 제1링크부재(74)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블레이드(50)가 좌우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탑편심축(73)에 연결된 제2링크부재(75)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2블레이드(60)가 전후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1홀딩유닛(30) 측의 케이스(1)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변이 커팅되고 상기 제2홀딩유닛(40) 측의 케이스(1)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변이 커팅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가공대상체인 케이스(1)는 전후로 긴 형태의 캔 구조로서,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변을 '장변',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변을 '단변'이라고 지칭한다.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축(711)이 1회전하게 될 때에 상하 2단 구조의 바텀편심축(72)과 탑편심축(73)에 의하여
45도 구간에서는 케이스(10)의 전방 측 단변이 커팅되고,
135도 구간에서는 케이스(10)의 후방 측 단변이 커팅되며,
225도 구간에서는 케이스(1)의 좌측 장변이 커팅되고,
315도 구간에서는 케이스(1)의 우측 장변이 커팅된다.
결국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축(711) 1회전 시, 상기 각 블레이드(50, 60)가 최초 위치(케이스(1)의 개구 측 중앙 위치)에서 마주하는 두 변을 진퇴 동작하면서 커팅한 후 최초 위치로 원위치하게 되는 1사이클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커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1홀딩유닛(30) 측에 위치한 케이스(1)는 별도의 이송장치 등에 의해 제2홀딩유닛(40) 측으로 이송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홀딩유닛(40) 측에 위치한 케이스(1)는 별도의 컨베이어에 의해 후(後)공정 측으로 이송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베이스
11 : 공간부
20 : 제2베이스
21 : 공간부
30 : 제1홀딩유닛
31 : 제1레일
32 : 제1레프트슬라이더
33 : 제1라이트슬라이더
34 : 제1홀더
341 : 제1대응슬로프
35 : 제1구동부
40 : 제2홀딩유닛
41 : 제2레일
42 : 제2프론트슬라이더
43 : 제2리어슬라이더
44 : 제2홀더
441 : 제2대응슬로프
45 : 제2구동부
50 : 제1블레이드
60 : 제2블레이드
70 : 구동유닛
71 : 구동모터
711 : 구동축 712 : 리세스
713 : 디스크
72 : 바텀편심축
73 : 탑편심축
74 : 제1링크부재
741 : 제1프론트링크 742 : 제1프론트핀
743 : 제1미들링크 744 : 제1리어핀
745 : 제1리어링크 746 : 제1중계부
747 : 제1가이드 748 : 홀딩샤프트
75 : 제2링크부재
751 : 제2프론트링크 752 : 제2프론트핀
753 : 제2리어링크 754 : 제2중계부
755 : 제2가이드
80 : 제1서브홀딩유닛
81 : 제1서브실린더
82 : 제1서브피스톤
821 : 제1슬로프
90 : 제2서브홀딩유닛
91 : 제2서브실린더
92 : 제2서브피스톤
921 : 제2슬로프

Claims (4)

  1. 좌우 나란히 배치되고 내부에 상하 관통형 공간부(11, 21)를 갖는 제1 및 제2 베이스(10, 20);
    상기 제1베이스(10)의 공간부(11) 상부 측에 위치한 하방 개구(開口)형 사각 케이스(1)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1홀딩유닛(30);
    상기 제2베이스(20)의 공간부(21) 상부 측에 위치한 케이스(1)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제2홀딩유닛(40);
    상기 제1홀딩유닛(30)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1블레이드(50);
    상기 제2홀딩유닛(40)에 의해 고정된 케이스(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블레이드(60); 및
    상기 제1블레이드(50)에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과 상기 제2블레이드(60)에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전달하게 되는 구동유닛(7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구동유닛(70)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50, 60) 구동 시 상기 제1블레이드(50)에 의해 케이스(1)의 개구 측 좌우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고, 상기 제2블레이드(60)에 의해 케이스(1)의 개구 측 전후 마주하는 두 변이 커팅되며,

    상기 구동유닛(70)은
    수직형 구동축(711)을 갖는 구동모터(71),
    상기 구동축(711) 상단부(上端部)에 구비되는 바텀편심축(72),
    상기 바텀편심축(72) 상단부에 구비되는 탑편심축(73),
    우단부(右端部)가 상기 바텀편심축(72)에 끼워지고 좌우 길이를 갖는 제1프론트링크(741)와, 전단부(前端部)가 제1프론트핀(742)에 의해 상기 제1프론트링크(741) 좌단부(左端部)와 상호 결합되고 전후 길이를 갖는 제1미들링크(743)와, 좌단부가 제1리어핀(744)에 의해 상기 제1미들링크(743)의 후단부(後端部)와 상호 결합되고 우단부가 상기 제1베이스(10)의 공간부(1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1리어링크(745)와, 상기 제1리어링크(745) 우단부와 상기 제1블레이드(50)를 상호 연결하는 제1중계부(746)와, 상기 제1베이스(1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리어링크(745)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747)와, 상기 제1미들링크(743) 중단부(中端部)에 수직으로 끼워져 외부 프레임에 고정되는 홀딩샤프트(748)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리어링크(745)에서 제1리어핀(744)이 결합되는 핀홀(745a)이 전후 긴 장공 형상인 제1링크부재(74), 그리고
    전단부가 상기 탑편심축(73)에 끼워지고 전후 길이를 갖는 제2프론트링크(751)와, 전단부가 제2프론트핀(752)에 의해 상기 제2프론트링크(751)의 후단부와 상호 결합되며 후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20)의 공간부(21) 하부 측에 배치되는 제2리어링크(753)와, 상기 제2리어링크(753) 후단부와 상기 제2블레이드(60)를 상호 연결하는 제2중계부(754)와, 상기 제2베이스(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리어링크(753)의 전후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755)로 이루어진 제2링크부재(7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편심축(72)에서 이의 중심과 편심 방향을 잇는 가상선(L1)과 상기 탑편심축(73)에서 이의 중심과 편심 방향을 잇는 가상선(L2)과의 사잇각(θ)이 135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딩유닛(30)에는 케이스(1)의 좌우 양단부(兩端部)를 지지하는 두 제1홀더(34)가 구비되고,
    상기 제2홀딩유닛(40)에는 케이스(1)의 전후 양단부를 지지하는 두 제2홀더(44)가 구비되며,
    상기 두 제1홀더(34)가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두 제1홀더(34)를 지지하게 되는 제1서브홀딩유닛(80)과, 상기 두 제2홀더(44)가 케이스(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두 제2홀더(44)를 지지하게 되는 제2서브홀딩유닛(9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4. 삭제
KR1020160017527A 2016-02-16 2016-02-16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KR10180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27A KR101806269B1 (ko) 2016-02-16 2016-02-16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27A KR101806269B1 (ko) 2016-02-16 2016-02-16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08A KR20170096308A (ko) 2017-08-24
KR101806269B1 true KR101806269B1 (ko) 2017-12-07

Family

ID=5975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27A KR101806269B1 (ko) 2016-02-16 2016-02-16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8B1 (ko) * 2019-07-08 2020-05-13 송익수 알루미늄 캔의 하부 커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120B1 (ko) 2017-07-28 2020-10-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 수지 공중합체 중의 아크릴산 함량의 분석방법
CN109909542B (zh) * 2019-04-04 2024-04-02 浙江铝师傅包装有限公司 一种全自动的铝泵套切割装置
CN112024747A (zh) * 2020-09-09 2020-12-04 董海飞 一种机床用五金冲压组件夹持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438A (ja) * 2001-03-30 2002-10-08 Asahi-Seiki Mfg Co Ltd クロス加工工具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438A (ja) * 2001-03-30 2002-10-08 Asahi-Seiki Mfg Co Ltd クロス加工工具の駆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078B1 (ko) * 2019-07-08 2020-05-13 송익수 알루미늄 캔의 하부 커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08A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269B1 (ko) 커팅 공정이 개선된 트리밍 장치
KR101704506B1 (ko) 흡착 클램핑형 이송 장치
CN203259067U (zh) 一种烟花组盆机
CN204431427U (zh) 吉他指板切割机
CN104493925A (zh) 吉他指板切割机
CN204584094U (zh) 一种自动送料冲管去毛刺机
CN109605507A (zh) 一种自动化破竹设备
CN103660368A (zh) 制袋机伺服飞刀切断装置
CN201092558Y (zh) 平板玻璃在线切桌
CN102581158A (zh) 一种三驱动六连杆夹具和设有这种夹具的壁板压弯成形机
CN103785887B (zh) 一种用于数控龙门刨的刨切机构
CN104816335A (zh) 一种超滤膜丝自动切割机构
CN103934504A (zh) 一种卷筒轴斜面锯切专用带锯床及其使用方法
CN109170938B (zh) 一种椰子切割刀具及其使用方法
CN204295826U (zh) 小骨加工机
CN106363785A (zh) 一种泡沫混凝土砌块切割生产线
CN206824843U (zh) 一种布中底切割机
CN203541676U (zh) 一种用于数控龙门刨的刨切机构
CN104742233A (zh) 一种泡沫混凝土保温板用直线式切割机
CN103801749B (zh) 一种数控龙门刨
CN217371338U (zh) 锂电池聚合物电芯铝塑膜冲壳机
CN104308942B (zh) 小骨制造装置
CN216682999U (zh) 胶囊线伺服脱模装置
CN104354212B (zh) 制造小骨的加工设备
CN219899858U (zh) 一种母线槽外壳两侧切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