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142B1 - 유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142B1
KR101806142B1 KR1020160021679A KR20160021679A KR101806142B1 KR 101806142 B1 KR101806142 B1 KR 101806142B1 KR 1020160021679 A KR1020160021679 A KR 1020160021679A KR 20160021679 A KR20160021679 A KR 20160021679A KR 101806142 B1 KR101806142 B1 KR 101806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tube
valve
valve tub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28A (ko
Inventor
강명원
Original Assignee
강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명원 filed Critical 강명원
Priority to KR1020160021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1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14Conveying liquids or viscous products by pu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연결관; 유체수용조에 연결되며 펌프가 장착된 제2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측부에 하나의 개방구를 가진 밸브관; 및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 중 하나에 선택연통되게 인접되도록, 상기 밸브관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로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FLOW PASSAGE}
본 발명은 유로 제어장치로서,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는 유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유체저장조가 복수 개로서 각각 다른 유체가 저장된 경우에는 원하는 유체만을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로를 제어하는 유로제어구조가 복잡해지며 제어과정도 복잡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에 각각 연결된 제1 이동관이 복수 개 배치되고, 유체수용조에 연결된 하나의 제2 이동관이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 개의 제1 이동관이 하나의 제2 이동관에 각각 이어지는 관이음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유로를 제어하도록 각각의 관이음부분에는 삼방변밸브가 장착됨에 따라, 유로를 제어하는 구성이 복잡해지는 한계점이 있다.
나아가, 상술된 유체이동라인에 더하여 유체순환라인이 설치되는 경우, 즉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이동된 유체를 다시 유체저장조로 이동시키기 위해 순환구조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삼방변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더욱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로 보내는 순환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삼방변밸브로 인한 복잡한 제어를 통하여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체의 유로를 간단한 기구적인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연결관; 유체수용조에 연결되며 펌프가 장착된 제2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측부에 하나의 개방구를 가진 밸브관; 및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 중 하나에 선택연통되게 인접되도록, 상기 밸브관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밸브관과 나란하게 배치된 스크류축; 상기 밸브관이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면서 스크류체결된 관브라켓; 및 상기 스크류축을 축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연결관, 밸브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라인 중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조로부터 상기 유체수용조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수용조로부터 상기 유체저장조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밸브관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각각의 상기 밸브관이 상기 관브라켓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상기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제1 연결관은,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선택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중공에 상기 밸브관이 관통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중공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측부홀에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이 각각 삽입고정된 허브관; 및 상기 중공에서 상기 밸브관과의 틈을 통한 상기 펌프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밸브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구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개방구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허브관에서 두 개의 상기 측부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밸브관은 상기 기밀부재가 끼움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는 실링 또는 오링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구동부재의 작동에 의한 밸브관의 간단한 기구적인 동작에 따라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복잡하지 않음으로써 제어설비의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나아가 이로 인하여 설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제1 연결관, 밸브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하나의 구동부재가 복수 개의 밸브관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동일한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각각의 연결라인에서의 제1 연결관에 동시에 선택연통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밸브관의 외주면에 장착되되 밸브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구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 기밀부재가 구성됨으로써, 허브관의 중공에서 밸브관과의 틈을 통한 펌프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기밀부재가 밸브관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손상되거나 노후화 시 구동부재로 밸브관을 허브관 외측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보수관리 및 교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로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로 제어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로 제어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허브관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의 유체는 일례로서 도금공정에서 소재의 화학적 에칭을 위해 사용되는 용액일 수 있으며, 이때 유체저장조는 용액을 저장하는 곳이고, 유체수용조는 용액이 소재를 화학적 에칭하는 곳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에서 각각 다르게 저장된 여러 가지의 용액 중, 원하고자하는 농도의 용액만을 유체수용조로 이동시켜 사용하도록,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로부터 하나의 유체수용조까지의 유로를 간단한 기구적 동작만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의 유체는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유동할 수 있는 유체의 유동루트, 즉 유로에 대한 제어가 필요한 설비라면 어떠한 설비에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유로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허브관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제1 연결관(10), 제2 연결관(20), 밸브관(30), 및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연결관(10)은 유체저장조(1)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는데, 상기 유체저장조(1)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과 연결되도록 복수 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20)은 유체수용조(2)에 연결되며, 제1 연결관(10)과 밸브관(30)에 유로가 이어지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관(30)은 제2 연결관(20)과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10)과는 유로가 이어지도록 측부에 개방구(30a)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관(30)은 제2 연결관(20)과는 길이방향 일단부가 연결고정되지만, 제1 연결관(10)과는 연결고정되지 않고 인접 시 연계되어 통하는 구조를 취하도록 측부에 개방구(3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20)에는 펌프(P)가 장착되는데, 펌프(P)가 작동되면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에서는 후술되는 순환구조로서 우측에 연결라인(L)이 하나 더 장착되는데, 유체수용조(2)가 밀폐구조인 경우 펌프(P)는 복수 개의 연결라인(L) 각각에 설치되지 않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라인(L)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펌프(P)는 일례로서 다이아프램 펌프, 자흡식 펌프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연결관(20)은 연결된 밸브관(30)이 구동유닛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 시, 이동거리를 보상할 수 있도록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길이가 충분하게 마련되거나 길이방향 플렉서블한 절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밸브관(30)의 개방구(30a)가 복수 개의 제1 연결관(10) 중 하나에 선택연통되게 인접되도록, 밸브관(30)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유닛은 스크류축(41), 관브라켓(42), 및 구동부재(4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크류축(41)은 밸브관(3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관브라켓(42)에 관통되면서 스크류체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43)는 스크류축(4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작동 시 스크류축(41)을 축회전시킨다.
아울러, 상기 관브라켓(42)은 밸브관(30)이 고정되는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43)의 작동 시 스크류축(41)이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축(4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고정된 밸브관(3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유로 제어장치에 따른 유로 제어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부재(43)를 작동시켜 스크류축(41)을 축회전시킴으로써, 밸브관(30)이 고정된 관브라켓(42)을 스크류축(41)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밸브관(30)을 이동시키면서, 복수 개의 제1 연결관(10) 중 하나의 제1 연결관(10), 즉 이동시키고자 하는 유체가 저장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제1 연결관(10)에, 밸브관(30)의 개방구(30a)를 인접하여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2 연결관(20)의 펌프(P)를 작동시켜,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가 제1 연결관(10), 밸브관(30), 및 제2 연결관(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조(2)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구동부재(43)의 작동에 의한 밸브관(30)의 간단한 기구적인 동작에 따라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복잡하지 않음으로써 제어설비의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나아가 이로 인하여 설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유체이동라인에 더하여 유체순환라인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관(10), 밸브관(30) 및 제2 연결관(2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연결라인(L) 중 하나는 유체를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부터 유체저장조(1)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제1 연결관(10), 밸브관(30) 및 제2 연결관(2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1)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에서, 구동부재(43)가 복수 개의 밸브관(30)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연결라인(L)에서의 각각의 밸브관(30)이 관브라켓(42)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제1 연결관(10)은,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밸브관(30)의 개방구(30a)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선택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하나의 구동부재(43)가 복수 개의 밸브관(30)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제1 연결관(10)에 동시에 선택연통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1)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가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도면부호 A, B, C, D, E, F로서 5개가 있는 경우, 하나의 유체저장조(1)의 유체가 유체수용조(2)로 이동되어 사용된 후 재활용을 위해 순환되는 경우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이동되어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 섞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허브관(50) 및 기밀부재(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허브관(50)은 중공(50a)에 밸브관(30)이 관통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중공(50a)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측부홀(50b)에 복수 개의 제1 연결관(10)이 각각 삽입고정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기밀부재(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관(30)의 외주면에 장착되되 밸브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구(30a)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되어, 허브관(50)의 중공(50a)에서 밸브관(30)과의 틈을 통한 펌프(P)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기밀부재(31)는 밸브관(30)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손상되거나 노후화 시 구동부재(43)로 밸브관(30)을 허브관(50) 외측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보수관리 및 교체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밀부재(31)는 개방구(30a)로부터의 거리가 허브관(50)에서 두 개의 측부홀(50b)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개방부가 하나의 제1 연결관(10)과 연통 시 허브관(50)의 중공(50a)과 밸브관(30)의 외면 사이의 틈을 통해 다른 제1 연결관(10)으로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이러한 기밀부재(31)를 밸브관(30)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밸브관(30)은 기밀부재(31)가 끼움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끼움홈(30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밀부재(31)는 실링 또는 오링이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90은 박스 프레임구조를 취하는 지지케이스로서, 내부에 스크류축(41)이 축회전되면서 위치고정되고, 허브관(50)이 위치고정되도록, 스크류축(41)과 허브관(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지케이스(90)의 상부에는 커버(91)가 장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43)의 작동에 의한 밸브관(30)의 간단한 기구적인 동작에 따라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복잡하지 않음으로써 제어설비의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나아가 이로 인하여 설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제1 연결관(10), 밸브관(30) 및 제2 연결관(2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1)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하나의 구동부재(43)가 복수 개의 밸브관(30)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제1 연결관(10)에 동시에 선택연통시킴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1)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밸브관(30)의 외주면에 장착되되 밸브관(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구(30a)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 기밀부재(31)가 구성됨으로써, 허브관(50)의 중공(50a)에서 밸브관(30)과의 틈을 통한 펌프(P)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기밀부재(31)가 밸브관(30)에 위치고정됨으로써, 손상되거나 노후화 시 구동부재(43)로 밸브관(30)을 허브관(50) 외측으로 이동시켜 간편하게 보수관리 및 교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유체저장조 2 : 유체수용조
10 : 제1 연결관 20 : 제2 연결관
P : 펌프 30 : 밸브관
30a : 개방구 30b : 끼움홈
31 : 기밀부재 41 : 스크류축
42 : 관브라켓 43 : 구동부재
50 : 허브관 50a : 중공
50b : 측부홀 90 : 지지케이스
91 : 커버 L : 연결라인

Claims (9)

  1.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연결관; 유체수용조에 연결되며 펌프가 장착된 제2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측부에 하나의 개방구를 가진 밸브관; 및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 중 하나에 선택연통되게 인접되도록, 상기 밸브관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밸브관과 나란하게 배치된 스크류축; 상기 밸브관이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면서 스크류체결된 관브라켓; 및 상기 스크류축을 축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관, 밸브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라인 중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조로부터 상기 유체수용조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수용조로부터 상기 유체저장조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재가 복수 개의 상기 밸브관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복수 개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각각의 상기 밸브관이 상기 관브라켓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2.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 연결관; 유체수용조에 연결되며 펌프가 장착된 제2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측부에 하나의 개방구를 가진 밸브관; 및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 중 하나에 선택연통되게 인접되도록, 상기 밸브관을 축방향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중공에 상기 밸브관이 관통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중공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측부홀에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이 각각 삽입고정된 허브관; 및 상기 중공에서 상기 밸브관과의 틈을 통한 상기 펌프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밸브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구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밸브관과 나란하게 배치된 스크류축;
    상기 밸브관이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면서 스크류체결된 관브라켓; 및
    상기 스크류축을 축회전시키는 구동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 밸브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라인 중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조로부터 상기 유체수용조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수용조로부터 상기 유체저장조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동일한 상기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제1 연결관은,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상기 밸브관의 개방구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선택연통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중공에 상기 밸브관이 관통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중공과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측부홀에 복수 개의 상기 제1 연결관이 각각 삽입고정된 허브관; 및
    상기 중공에서 상기 밸브관과의 틈을 통한 상기 펌프의 압력 및 유체의 누출을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관의 외주면에 장착된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밸브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개방구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개방구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허브관에서 두 개의 상기 측부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8.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관은 상기 기밀부재가 끼움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9.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실링 또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KR1020160021679A 2016-02-24 2016-02-24 유로 제어장치 KR10180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79A KR101806142B1 (ko) 2016-02-24 2016-02-24 유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79A KR101806142B1 (ko) 2016-02-24 2016-02-24 유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28A KR20170099528A (ko) 2017-09-01
KR101806142B1 true KR101806142B1 (ko) 2017-12-07

Family

ID=59924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679A KR101806142B1 (ko) 2016-02-24 2016-02-24 유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7131B (zh) * 2021-12-27 2023-06-16 温州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一种口腔科用自动石膏沉淀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96A (ja) * 1998-11-04 2000-05-16 Sumitomo Heavy Ind Ltd 複数受給口を有する機器への選択接続用配管ユニット
JP2002156055A (ja) * 2000-11-17 2002-05-31 Asuka Kogyo Kk タンク切換弁
JP2009066565A (ja) * 2007-09-18 2009-04-02 Seiko Epson Corp 流路切換器、液状体交換方法、液滴吐出装置
JP2011169390A (ja)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Materials Cmi Corp 四方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96A (ja) * 1998-11-04 2000-05-16 Sumitomo Heavy Ind Ltd 複数受給口を有する機器への選択接続用配管ユニット
JP2002156055A (ja) * 2000-11-17 2002-05-31 Asuka Kogyo Kk タンク切換弁
JP2009066565A (ja) * 2007-09-18 2009-04-02 Seiko Epson Corp 流路切換器、液状体交換方法、液滴吐出装置
JP2011169390A (ja)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Materials Cmi Corp 四方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28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167B1 (ko) 회전 절삭기
JP5322493B2 (ja) 振れ止め装置
CN110985707B (zh) 多通道分流阀
KR101806142B1 (ko) 유로 제어장치
JP2007275769A (ja) 流体用継手及び塗布装置
CN103328874B (zh) 用于与至少一个管连接的连接装置
US8309040B2 (en) Microfluid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5248997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方法
US8628628B1 (en) Auto-clean heat exchanger deep cleaning station
RU2678671C1 (ru) Крышка с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системой
WO2019026939A1 (ja) 液体混合装置及び液体混合方法
KR100948629B1 (ko) 개선된 약액 펌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약액 공급 장치
US10000371B2 (en) Connector and socket
CN102000649A (zh) 一种在物体表面涂底涂的涂头
CN101913549B (zh) 用于制造pet桶状容器的设备和方法
US20130118537A1 (en) Chemical bottle for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and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US11230114B2 (en) Valves with print substance and air channels
CN110997122B (zh) 液体混合装置和液体混合方法
CN216417075U (zh) 一种液体供给装置及清洁机器人
CN116748199B (zh) 一种cip自动清洗系统流体切换阀
KR20180035535A (ko) 유로 제어장치
KR20200099315A (ko) 진공밸브
WO2019026938A1 (ja) 液体貯留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CN109723863A (zh) 一种气动转阀柱塞泵的旋转阀
KR101605762B1 (ko) 다회전 틸트 노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