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535A - 유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535A
KR20180035535A KR1020160125751A KR20160125751A KR20180035535A KR 20180035535 A KR20180035535 A KR 20180035535A KR 1020160125751 A KR1020160125751 A KR 1020160125751A KR 20160125751 A KR20160125751 A KR 20160125751A KR 20180035535 A KR20180035535 A KR 20180035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nnection
valve
piston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원
Original Assignee
(주)엠앤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앤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2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535A/ko
Publication of KR2018003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유체수용조에 연결되고 상시 유체수용조 측 부위에 펌프가 장착된 메인관; 상기 메인관과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관; 상기 메인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홀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밸브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 중 하나만이 상기 메인관과 유체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로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OF FLOW PASSAGE}
본 발명은 유로 제어장치로서, 유체의 유로를 제어하는 유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유체저장조가 복수 개로서 각각 다른 유체가 저장된 경우에는 원하는 유체만을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키기 위해, 유로를 제어하는 유로제어구조가 복잡해지며 제어과정도 복잡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에 각각 연결된 연결관이 복수 개 배치되고, 유체수용조에 연결된 하나의 메인관이 배치되며, 아울러 복수 개의 연결관이 하나의 메인관에 각각 이어지는 관이음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유로를 제어하도록 각각의 관이음부분에는 삼방밸브가 장착됨에 따라, 유로를 제어하는 구성이 복잡해지는 한계점이 있다.
나아가, 상술된 유체이동라인에 더하여 유체순환라인이 설치되는 경우, 즉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이동된 유체를 다시 유체저장조로 이동시키기 위해 순환구조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삼방밸브가 설치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더욱더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로 보내는 순환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삼방밸브로 인한 복잡한 제어를 통하여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삼방밸브의 설치구조 측면에 있어서, 복수 개의 삼방밸브 간의 이격거가 길어져서, 복수 개의 삼방밸브 사이의 연결관에서의 잔량도 많아짐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끼리 혼합되어 품질이 크게 저하되고, 이를 대처하기 위해 유체사용량이 증가하는 한계점이 있다.
아울러, 소모품 교체 시 삼방밸브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유체의 유로를 간편하게 제어하고 소모품 구성을 원활하고 용이하게 교체하는 유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유체수용조에 연결되고 상시 유체수용조 측 부위에 펌프가 장착된 메인관; 상기 메인관과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관; 상기 메인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홀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밸브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 중 하나만이 상기 메인관과 유체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관은 길이방향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중공과 이어지면서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상기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메인관의 타측부에 설치된 밸브실린더; 피스톤헤드가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헤드로부터 상기 연결홀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을 가로질러 왕복이동하면서 피스톤단부가 상기 연결홀을 개폐하는 밸브피스톤; 및 상기 밸브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측으로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밸브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헤드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반대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에어공급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측으로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밸브실린더의 둘레에 장착되며, 자력으로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피스톤의 피스톤단부에는 패킹부재가 체결볼트(32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피스톤단부가 일측개구에 삽입걸림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단부가 상기 연결홀을 폐쇄 시 상기 연결홀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피스톤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체결볼트(326)는, 상기 체결홀의 타측개구에 볼트헤드가 삽입걸림되면서 상기 피스톤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23a)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연결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는 테프론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린더에서 상기 피스톤헤드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 측 단부에는 에어통과홀(31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과 메인관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라인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라인 중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조로부터 상기 유체수용조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수용조로부터 상기 유체저장조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 중에서, 동일한 상기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상기 밸브유닛을 동시에 개방시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 구조로 형성된 밸브유닛이 작동에 따라 유체의 유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복잡하지 않음에 따라 제어설비의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나아가 이로 인하여 설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연결관 및 메인관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수용조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제어부가 각각의 연결라인에서의 동일한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밸브유닛을 동시에 개방시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연결홀을 개폐하는 피스톤단부에 패킹부재가 체결볼트(326)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연결홀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고 나아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연결관과 메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연결관과 메인관의 일부가 절개된 것을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밸브유닛이 메인관의 연결홀을 폐쇄 및 개방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의 도 4의 I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연결관과 메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연결관과 메인관의 일부가 절개된 것을 나타낸 일부 절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유로 제어장치에서 밸브유닛이 메인관의 연결홀을 폐쇄 및 개방한 것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메인관(100), 복수 개의 연결관(200), 복수 개의 밸브유닛(3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관(100)은 유체수용조(2)에 연결되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10)과 제2 관(120)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관 구조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관(100)은 유체수용조(2) 측 부위에 펌프(P)가 장착되는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관(120)에 펌프(P)가 장착되어 펌프(P)가 작동되면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연결관(200), 메인관(100)을 순차적으로 거쳐서 유체수용조(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 1에서는 후술되는 순환구조로서 우측에 연결라인(L)이 하나 더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펌프(P)는 복수 개의 연결라인(L)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유체수용조(2)가 밀폐구조인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결라인(L)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펌프(P)는 일례로서 다이아프램 펌프(P), 자흡식 펌프(P)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200)은 메인관(100)과 유체저장조(1)를 연결하는데, 하나의 메인관(100)에 대해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 각각을 연결하도록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연결관(200)은 일례로서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메인관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유닛(300)은 메인관(100)에서 연결관(200)과 연결되는 연결홀(100b)을 개폐하는데, 복수 개의 연결관(200)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홀(100b)을 개폐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인관(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관(100)은 길이방향 중공(100a)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중공(100a)과 이어지면서 연결관(200)이 삽입되는 연결홀(100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관(100)은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중공(100a)이 일측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연결홀(100b)과 이어지는 구조로서, 유체저장조(1)로부터 연결관(200)을 통해 이동된 유체가 메인관(100)의 중공(100a)으로 유동하여 메인관(100)을 통해 유체수용조(2)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관(100)에는 밸브유닛(300)이 각각의 연결홀(100b)을 개폐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되는데, 상기 밸브유닛(3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린더(310), 밸브피스톤(320) 및 구동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밸브실린더(310)는 메인관(100)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실린더몸체(311)와 실린더커버(3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몸체(311)는 밸브피스톤(320)의 피스톤헤드(321)가 배치되는 헤드홈(311a)과, 밸브피스톤(320)의 피스톤바(322)가 배치되는 바홀(3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홈(311a)은 실린더몸체(311)의 상부에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홀(311b)은 이러한 헤드홈(311a)으로부터 메인관(100)의 일측부에 형성된 연결홀(100b) 측으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커버(312)는 실린더몸체(311)의 헤드홈(311a)을 덮도록 실린더몸체(311)의 상부에 체결되며, 후술되는 에어통과홀(31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피스톤(320)은 피스톤헤드(321)가 밸브실린더(310) 내에 배치되고 피스톤헤드(321)로부터 연결홀(100b) 측으로 연장되며, 중공(100a)을 가로질러 왕복이동하면서 연결홀(100b)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밸브피스톤(320)은 피스톤헤드(321), 피스톤바(322) 및 피스톤단부(3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피스톤헤드(321)는 실린더몸체(311)의 헤드홈(311a)에 배치되어 연결홀(100b)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구조를 취하며, 둘레에는 헤드홈(311a)의 내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제1 오링(341)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바(322)는 피스톤헤드(32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실린더몸체(311)의 바홀(311b)에 배치되어 피스톤헤드(321)와 함께 연결홀(100b)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바홀(311b)의 내측면에는 피스톤바(322)와 기밀하게 밀착되도록 제2 오링(342)과 제3 오링(343)이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단부(323)는 피스톤바(322) 하단에 형성되며, 메인관(100)의 중공(100a)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헤드(321) 및 피스톤바(322)와 함께 연결홀(100b) 측으로 왕복이동되는 구조를 취한다. 참고로, 상기 피스톤단부(323)는 직경이 비록 도면에는 연결홀(100b)의 직경보다 작게 도시되어 있지만, 연결홀(100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왕복이동하면서 연결홀(100b)을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피스톤단부(323)는 연결홀(100b) 측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연결홀(100b)을 개폐하는데, 연결홀(100b)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고 나아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패킹부재(324)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패킹부재(324)는 일정 정도 유연한 재질로서, 밸브피스톤(320)의 피스톤단부(323)가 연결홀(100b)을 폐쇄 시 연결홀(100b)의 상부 테두리를 압박밀착하면서 연결홀(100b)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324)는 밸브유닛(300)의 오랜 시간 작동으로 인하여 소모되는 부품으로서, 교체가 원활하면서도 용이해야 하는데 아래와 같은 피스톤단부(323)에 대한 체결구조를 취함으로써 교체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324)는 밸브피스톤(320)의 피스톤단부(323)에 체결볼트(326)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러한 패킹부재(324)는 피스톤단부(323)가 일측개구(325a)에 삽입걸림되는 체결홀(325)이 형성되고, 피스톤단부(323)가 연결홀(100b)을 폐쇄 시 연결홀(100b)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피스톤단부(323)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326)는 체결홀(325)의 타측개구(325b)에 볼트헤드가 삽입걸림되면서 피스톤단부(323)에 형성된 체결홈(323a)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324)는 상기 연결홀(100b)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을 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연결홀(100b)을 차단하기 위해 연결홀(100b) 측으로 일부가 인입 시 연결홀(100b)의 테두리에 접촉되면서 용이하게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패킹부재(324)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324)는 내약품성이 뛰어나서 산, 알칼리, 염 등 어떠한 유체에 접촉되어도 쉽게 변화하지 않고, 내열성 및 불연성이 우수하여 고온을 비롯한 넓은 온도범위에서도 특성이 변화하지 않으며, 내후성도 우수하여 목재처럼 쉽게 썩지도 않고 강재처럼 쉽게 녹슬지도 않음에 따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구동부(330)는 밸브실린더(310)에 설치되어 개폐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동부(330)는, 일 실시예로서 탄성부재(331)와 에어공급라인(332)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331)는 밸브실린더(310) 내에 배치되어, 피스톤헤드(321)를 연결홀(100b) 측으로 탄성압박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헤드(321)를 연결홀(100b) 측으로, 즉 도면상 하측으로 밀어내림으로써, 패킹부재(324)가 장착된 피스톤단부(323)가 연결홀(100b)을 폐쇄하기 위해 밸브피스톤(320)을 연결홀(100b)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연결홀(100b)을 폐쇄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탄성부재(331)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연결홀(100b)의 폐쇄는, 후술되는 에어공급라인(332)을 통해 공급된 에어가 배출되면서 에어압이 내려갈 수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공급라인(332)은 밸브실린더(310)와 연결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린더(310) 내에서 피스톤헤드(321)를 기준으로 탄성부재(331)의 반대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헤드(321)를 연결홀(100b)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공급라인(332)은 헤드홈(311a) 내에서 피스톤헤드(321)의 하측에 에어를 공급하여 피스톤헤드(321)를 연결홀(100b) 반대 측으로, 즉 도면상 상측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패킹부재(324)가 장착된 피스톤단부(323)가 연결홀(100b)을 개방하기 위해 밸브피스톤(320)을 연결홀(100b) 반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연결홀(100b)을 개방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에어공급라인(332)은 일례로서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공급제어 및 배출제어를 할 수 있는데, 구성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고압의 에어를 적정하게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구동부(330)는,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부재(331)와 전자석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탄성부재(331)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부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된 에어공급라인(33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밸브실린더(310)의 둘레에 장착되며, 자력으로 피스톤헤드(321)를 연결홀(100b)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전자석부는 자력으로 피스톤헤드(321)를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피스톤헤드(321)는 자력에 의해 이동되는 자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석부는 일례로서 밸브실린더(310)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전자석코일이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밸브실린더(310)에서 피스톤헤드(321)를 기준으로 탄성부재(331) 측 단부, 즉 도면 상 실린더커버(312)의 상부에는 에어통과홀(310a)이 형성되는데, 피스톤헤드(321)가 연결홀(100b) 측으로 왕복이동하는 과정에서 실린더몸체(311)의 헤드홈(311a) 내에서 피스톤헤드(321)의 상측 공간이 가변하면서 에어도 에어통과홀(310a)을 통해 외부로 유출 및 유입이 가능함으로써, 대기압이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에 따라 피스톤헤드(321)의 이동이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유체이동라인에 더하여 유체순환라인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관(200) 및 메인관(10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연결라인(L) 중 하나는 유체를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부터 유체저장조(1)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연결관(200) 및 메인관(10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1)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연결관(200) 중 하나만이 메인관(100)과 유체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밸브유닛(3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300) 중에서,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밸브유닛(300)을 동시에 개방시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가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관(200)을 통해 연결된 메인관(100)의 연결홀(100b)을 개폐하는 밸브유닛(300)을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1)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가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도면부호 A, B, C, D, E, F로서 5개가 있는 경우, 하나의 유체저장조(1)의 유체가 유체수용조(2)로 이동되어 사용된 후 재활용을 위해 순환되는 경우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이동되어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 섞이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실린더 구조로 형성된 밸브유닛(300)이 작동에 따라 유체의 유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로 제어구성이 복잡하지 않음에 따라 제어설비의 제작이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나아가 이로 인하여 설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상술된 연결관(200) 및 메인관(100)으로 이어지는 연결라인(L)을 단순히 복수 개로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유체저장조(1)로부터 유체수용조(2)로 그리고 다시 유체저장조(1)로 이동하는 순환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제어부가 각각의 연결라인(L)에서의 동일한 유체저장조(1)와 연결된 밸브유닛(300)을 동시에 개방시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1) 중 하나의 유체저장조(1)로부터 나온 유체를 유체수용조(2)로 이동시킨 후, 다시 동일한 유체저장조(1)로 보내는 순환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음에 따라, 서로 다른 유체저장조(1)의 유체와는 섞이지 않으면서 유체를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로 제어장치는 연결홀(100b)을 개폐하는 피스톤단부(323)에 패킹부재(324)가 체결볼트(326)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연결홀(100b)을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고 나아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유체저장조 2 : 유체수용조
100 : 메인관 100a : 중공
100b : 연결홀 110 : 제1 관
120 : 제2 관 130 : 연결브라켓
P : 펌프 200 : 연결관
300 : 밸브유닛 310 : 밸브실린더
310a : 에어통과홀 311 : 실린더몸체
311a : 헤드홈 311b : 바홀
312 : 실린더커버 320 : 밸브피스톤
321 : 피스톤헤드 322 : 피스톤바
323 : 피스톤단부 324 : 패킹부재
325 : 체결홀 325a : (체결홀의)일측개구
325b : (체결홀의)타측개구 326 : 체결볼트
330 : 구동부 331 : 탄성부재
332 : 에어공급라인 341 : 제1 오링
342 : 제2 오링 343 : 제3 오링
L : 연결라인

Claims (10)

  1. 유체수용조에 연결되고 상시 유체수용조 측 부위에 펌프가 장착된 메인관;
    상기 메인관과 복수 개의 유체저장조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관;
    상기 메인관에서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홀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밸브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연결관 중 하나만이 상기 메인관과 유체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관은 길이방향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중공과 이어지면서 상기 연결관이 삽입되는 상기 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유닛은,
    상기 메인관의 타측부에 설치된 밸브실린더;
    피스톤헤드가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헤드로부터 상기 연결홀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공을 가로질러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연결홀을 개폐하는 밸브피스톤; 및
    상기 밸브실린더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피스톤을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측으로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밸브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서 상기 피스톤헤드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반대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에어공급라인;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밸브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측으로 탄성압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밸브실린더의 둘레에 장착되며, 자력으로 상기 피스톤헤드를 상기 연결홀 반대 측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피스톤의 피스톤단부에는 패킹부재가 체결볼트(326)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피스톤단부가 일측개구에 삽입걸림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단부가 상기 연결홀을 폐쇄 시 상기 연결홀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상기 피스톤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체결볼트(326)는, 상기 체결홀의 타측개구에 볼트헤드가 삽입걸림되면서 상기 피스톤단부에 형성된 체결홈(323a)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연결홀 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테프론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린더에서 상기 피스톤헤드를 기준으로 상기 탄성부재 측 단부에는 에어통과홀(31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과 메인관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라인이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연결라인 중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저장조로부터 상기 유체수용조로 유동시키고, 다른 하나는 유체를 상기 유체수용조로부터 상기 유체저장조로 유동시키는 순환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밸브유닛 중에서, 동일한 상기 유체저장조와 연결된 각각의 상기 연결라인에서의 상기 밸브유닛을 동시에 개방시거나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로 제어장치.
KR1020160125751A 2016-09-29 2016-09-29 유로 제어장치 KR20180035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51A KR20180035535A (ko) 2016-09-29 2016-09-29 유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51A KR20180035535A (ko) 2016-09-29 2016-09-29 유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35A true KR20180035535A (ko) 2018-04-06

Family

ID=6197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51A KR20180035535A (ko) 2016-09-29 2016-09-29 유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53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96A (ja) * 1998-11-04 2000-05-16 Sumitomo Heavy Ind Ltd 複数受給口を有する機器への選択接続用配管ユニット
JP2001165339A (ja) * 1999-10-29 2001-06-22 Boc Group Plc:The 改良弁
JP2008267528A (ja) * 2007-04-23 2008-11-06 Ckd Corp 流体制御弁及び流体制御用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2011169390A (ja)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Materials Cmi Corp 四方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896A (ja) * 1998-11-04 2000-05-16 Sumitomo Heavy Ind Ltd 複数受給口を有する機器への選択接続用配管ユニット
JP2001165339A (ja) * 1999-10-29 2001-06-22 Boc Group Plc:The 改良弁
JP2008267528A (ja) * 2007-04-23 2008-11-06 Ckd Corp 流体制御弁及び流体制御用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2011169390A (ja) * 2010-02-18 2011-09-01 Mitsubishi Materials Cmi Corp 四方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494B2 (en) Runaway valve system for a pump
CN203670984U (zh) 具有内部通道的装置、致动器装置和设备
US10001787B2 (en) Controller for vacuum sewage system
JP2009154064A (ja) 液滴塗布ディスペンサ
US6629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induced mixing and blending of fluids and other materials
BRPI1104744A2 (pt) válvula de membrana eletromecanicamente acionada.
JP5486995B2 (ja) 開閉弁
US8309040B2 (en) Microfluid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180035535A (ko) 유로 제어장치
KR20110080986A (ko) 보충수밸브와 보충수연결배관 및 이들의 결합구조
US20220196006A1 (en) Reduced pressurization shift within diaphragm pump cavity
KR102035532B1 (ko)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US2536921A (en) Valve assembly
JP6400093B2 (ja) プリントヘッドへのインク流れの制御
CN106999880B (zh) 用于容积分配器机器的分配器装置的阀组件
KR101806142B1 (ko) 유로 제어장치
US20200157785A1 (en) Supply assembly for use with multiple lines of a hydrant
RU67214U1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10294929B2 (en) Liquid supply device
US11608487B2 (en) Fluid supply interface having a safety valve for a cell culture system, use of such a fluid supply interface for managing cell culture containers, and cell culture management system
CN110886963A (zh) 一种阀门与气瓶压力容器
KR101684910B1 (ko) 잠수정의 가변부력장치용 제어밸브
KR101876337B1 (ko) 고점도 용액용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샘방지능을 갖는 밸브시스템
KR101273090B1 (ko) 피스톤 표면처리장치
JP5986905B2 (ja) 液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