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874B1 -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 Google Patents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874B1
KR101805874B1 KR1020170069148A KR20170069148A KR101805874B1 KR 101805874 B1 KR101805874 B1 KR 101805874B1 KR 1020170069148 A KR1020170069148 A KR 1020170069148A KR 20170069148 A KR20170069148 A KR 20170069148A KR 101805874 B1 KR101805874 B1 KR 10180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ody
rope
coupling
elastic
m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욱
Original Assignee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filed Critical 박정욱
Priority to KR1020170069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Elastic body unit for mo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되, 로프로부터 인장력이 전달되는 부분이 와이어로 구성되므로 로프의 길이 방향 가변성과 측방향 가변성을 함께 제공하여 수심 또는 조류 변화로 인해 로프의 인장력 전달 방향이 변화되거나 탄성체 유닛의 측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변화된 힘의 방향에 대응한 안정적인 탄성 계류가 가능하도록 하며, 와이어 이동시 케이싱에 접촉되는 부위가 라운드 처리되므로 꺾임 등의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에 관한 것이다.
계류장치는 수상에서 부유체 등이 정위치를 벗어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특히 탄성력을 이용한 계류장치는 수위가 변화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계류길이(예, 부유체와 앵커를 연결하는 연결부 길이)가 가변되면서 안정적으로 부유체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탄성력을 이용한 계류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1491호의 "계류장력 완충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부유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부유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계류라인이 외력에 의하여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비선형스프링을 사용하여 부유구조물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점진적으로 완충함으로써 부유구조물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계류라인과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가 길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스프링 등에 의해 계류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나, 피스톤 로드의 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가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즉, 수심의 변화 또는 조류 변화 등에 의해 완충장치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이 피스톤 로드 또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연결부위에 작용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피스톤 로드는 힘을 분산하거나 전환하도록 하는 고려가 없으므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완충장치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계류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설치 구조물의 크기 등 다양한 조건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선형, 비선형 스프링을 이용하여야 하며, 특히 계류하려는 설치 구조물의 크기가 크거나 조류가 강하여 계류장치에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는 경우 탄성계수가 매우 큰 스프링을 이용하여 완충장치를 구성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낮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1491호 (2010년12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되, 로프로부터 인장력이 전달되는 부분이 와이어로 구성되므로 로프의 길이 방향 가변성과 측방향 가변성을 함께 제공하여 수심 또는 조류 변화로 인해 로프의 인장력 전달 방향이 변화되거나 탄성체 유닛의 측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변화된 힘의 방향에 대응한 안정적인 탄성 계류가 가능하도록 하며, 와이어 이동시 케이싱에 접촉되는 부위가 라운드 처리되므로 꺾임 등의 와이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측에 다른 탄성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 상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부 결합부;와, 상기 케이싱 하부 일측면에 상기 상부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부 결합부;와, 상기 케이싱 중앙부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사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3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앙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은, 상기 탄성체 유닛의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과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제3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결합봉;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상하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가 있는 결합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과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레일 상호 간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측면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또다른 탄성체 유닛과의 상호 결합시 상하 방향 결합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고리가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의 관통공에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의 돌출부가 삽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이 탄성 계수를 병렬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결합이며, 상기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탄성체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에 상호 결합되어 각각의 탄성체 유닛의 동일 측에 위치한 연결고리들이 하나의 로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고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고리는, 환형의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2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선형 부재의 양단부가 "11"자 형상을 갖도록 측면이 접촉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양단부의 일시적 접촉 해제가 이뤄지는 결합부;와, 상기 선형 부재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양단부의 접촉 해제를 제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고리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싱 타측에 형성된 연결고리는, 상기 케이싱 타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기둥부와 결합 가능한 위치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기둥부 및 연결부의 단부 외측에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단부 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는 연결고리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계류장치에 길이 방향 가변성과 측방향 가변성을 함께 제공하므로 로프의 인장력 전달 방향이 변화되거나 탄성체 유닛의 측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인 탄성 계류가 가능하며, 탄성체 유닛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 이상의 탄성체 유닛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이 내설된 탄성체 유닛을 사용하면서도 계류장치에 다양한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작은 크기의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으로도 매우 큰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의 결합을 통해 비선형 스프링을 이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을 이용한 부유체 계류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을 이용한 부유체 계류장치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R)에 연결되어 로프(R)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한다.
일예로, 조수 등으로 인해 수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수위가 높아질 때 로프(R)에 연결된 탄성체 유닛(10)의 연결 길이가 증가되어 수상 부유체(부호 미도시)가 일정 위치(범위)에 계류되도록 하는 길이(이하 계류 길이)가 증가되며, 수위가 낮아질 때 탄성체 유닛(10)의 연결 길이가 감소되면서 계류 길이가 감소된다.
일예로, 계류 길이는 로프 길이와 본 실시예의 탄성체 유닛(10)의 길이를 더한 길이로 볼 수도 있다.
이러한 계류 길이의 증가 또는 감소와 더불어 탄성체 유닛(10)에 구비된 탄성체(예, 스프링(600))에 의해 로프(R) 및 로프(R)와 연결된 수상 부유체를 당기는 힘의 평형이 이뤄지며 수상 부유체의 계류가 이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10)은 스프링(600)을 포함하는 계류 길이 가변 수단이 케이싱(100)에 내설되며, 케이싱(100) 일측과 가변 수단 일측이 로프(R)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로프(R)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500)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120)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142)을 갖는 입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142)은, 도 3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장치의 인장 방향과 탄성체 유닛(10)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의 차이에 의해 후술하는 이동체 와이어(420)가 휘어지면서 당겨지는 경우에 이동체 와이어(420)가 완만하게 구부러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입구부(140)가 각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이동체 와이어(420)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며, 국부적 마찰로 인해 이동체 와이어(420)가 손상을 입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와이어 출입홀(142)은,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140)의 내측이 케이싱의 외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출입홀(142)이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의 꺾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더욱 완만하게 라운딩 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100)의 타측에는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R)에 연결되는 연결고리(300)가 형성된다.
상기 계류 길이 가변 수단은 상기 이동체(500)와, 로프(R)와 연결되어 이동체(500)를 당기는 이동체 와이어(420) 및 이동체(5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0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이동체(500)는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되며, 일예로, 판형상으로 이뤄진다.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500)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142)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R)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440)가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는 금속선이나 금속선 다발로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또다른 연결고리(440)는 이동체 와이어(420)가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 와이어(420)의 타측(상기 이동체의 반대 측) 단부를 구부려서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의 하부측을 고리 잠금부(460)로 결합하는 형태로 연결고리(440)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와 별도의 환형 연결고리가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는 상기 로프(R)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50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입구부(140)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500)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의 외측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로프(R)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500)와 입구부(140)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스프링(600)은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500)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수상 부유체가 함께 상승하면서 계류장치의 로프(R)가 상측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로프(R)의 당기는 힘이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로 전달되며, 이동체 와이어(420)가 상기 이동체(500)를 케이싱(100)의 외측 방향, 즉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체(500)의 움직임에 의해 스프링(600)이 이동체(500)와 입구부(140)의 내측면에 의해 압축되면서 복원력이 저장되고, 계류 길이가 연장되고 탄성력을 유지하는 계류장치에 의해 수상 부유체가 안정적으로 계류된다.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 수상 부유체가 함께 하강하면서 계류장치의 로프(R)를 상측으로 당기던 힘이 해제되며, 상기 압축된 스프링(600)에 의해 저장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500)가 케이싱(100)의 내측 방향, 즉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위가 최대 높이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600)이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되어 최대 계류 길이가 형성되며, 수위가 최저 높이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600)이 최대로 이완된 상태가 되어 최소 계류 길이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위의 최대 상승 및 하강 높이를 고려하여 스프링(600)의 규격(예, 탄성계수, 길이 등)이나 이동체 와이어(420)의 길이 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기 제작된 탄성체 유닛(10)의 스프링(600)의 규격이나 이동체 와이어(420)의 길이가 수위의 최대 상승 및 하강 높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체 유닛(10) 상호 간의 결합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10)은 상기 연결고리(300, 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300, 440)가 연결고리(300, 440)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고리(300, 440)는 각각 계류장치의 로프(R)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탄성체 유닛(10) 상호 간의 결합이 이뤄지는 경우 하나의 탄성체 유닛(10)의 연결고리(300, 440)와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10)의 연결고리(300, 440) 상호 간의 결합이 이뤄질 수도 있다.
이때, 상호 결합되는 연결고리(300, 440)가 모두 개폐 불가능한 형태를 이루면 별도의 결합용 고리(860, 도 4 참조)로 연결고리(300, 440) 상호 간을 연결하거나 연결고리(300, 440)와 후술하는 결합고리(800)를 결합용 고리(860)를 통해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300, 440)가 연결고리(300, 440)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용 고리(860) 없이도 하나의 탄성체 유닛(10)의 연결고리(300, 440)와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10)의 연결고리(300, 440) 상호 간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에 직접 연결된 연결고리(300)가 연결고리 일측이 계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고리(440)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0) 타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00)는, 상기 케이싱(100) 타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기둥부(320)와, 연결부(340) 및 잠금부(3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연결부(340)는 상기 기둥부(320)로부터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기둥부(320)와 결합 가능한 위치로 연장된다.
상기 잠금부(360)는 상기 기둥부(320) 및 연결부(340)의 단부 외측에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부(360)는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340)의 단부 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잠금부(360)의 내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320) 및 연결부(340)의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36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측(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부(340)의 단부 측이 개방되면서 연결고리(300)가 개방되어 후술하는 결합고리(80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잠금부(36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측(연결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부(340)의 단부 측이 폐쇄되면서 연결고리(300)가 폐쇄되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기둥부(320)의 일측에는 결합홈(32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40)의 타측에는 연결고리(300)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32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342)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360)에 의한 연결부(340)의 단부 측 폐쇄 시 상기 결합돌기(342)가 결합홈(322)에 삽입되며, 계류장치의 로프(R)의 당겨짐에도 안정적인 결합상태 유지가 이뤄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이동체 와이어(4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결고리(440)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리 잠금부(46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고리 잠금부(460)의 분리 상태에서 상기 연결고리(440)가 개방되어 로프(R) 또는 또다른 탄성체 유닛(10)의 연결고리(300, 44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00)은 적어도 일측에 다른 탄성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20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200)은, 상기 케이싱(100) 상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관통공(22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부 결합부(220);와, 상기 케이싱(100) 하부 일측면에 상기 상부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관통공(24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부 결합부(240);와, 상기 케이싱 중앙부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220)와 하부 결합부(240) 사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3 관통공(26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앙 결합부(2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상부 결합부(220)와 하부 결합부(240)는 또다른 탄성체 유닛(10)의 중앙 결합부(260)와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일예로, 도 3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10)은 결합봉(700)을 더욱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결합봉(700)은 상기 탄성체 유닛(10a)의 제1 관통공(222) 및 제2 관통공(242)과 또다른 탄성체 유닛(10b)의 제3 관통공(262)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탄성체 유닛(10a, 10b) 상호 간의 결합 상태가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결합봉(700)은 횡방향으로 관통 또는 고정 삽입되는 고정핀(720)에 의해 탄성체 유닛(10)에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중앙 결합부(260)의 돌출면이 각진 형상으로 이뤄지도록 표현하였으나, 상기 중앙 결합부(260)의 돌출면이 곡면으로 이뤄져 상기 결합봉(70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중앙 결합부(260)가 상기 상부 결합부(220) 및 하부 결합부(240)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체 유닛(10a, 10b)이 연속적으로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표현하였으나, 반대 방향이 아닌 또다른 방향(다른 각도)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수(예, 3개)의 탄성체 유닛(10)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도 6의 (a), (b)는 후술하는 결합판(1240a)의 반대측(예, 케이싱 상측)으로 이동체 와이어(1420a)가 로프로부터 전달되는 인장력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탄성체 유닛(20a)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의 (c), (d)는 결합판(1240b) 측(예, 케이싱 하측)으로 이동체 와이어(1420b)가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탄성체 유닛(20b)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수단(1200a, 1200b)은, 상기 케이싱(1100a, 1100b)의 측면에 상하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1222a, 1222b)가 있는 결합레일(1220a, 1220b)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1200a, 1200b)에 의한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20a)과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20b)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레일(1220a, 1220b) 상호 간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이뤄진다.
상기 결합레일(1220a, 1220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각진 형상으로 이뤄져 탄성체 유닛(20a, 20b) 상호 간의 결합시 슬라이딩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체 유닛(20a, 20b)이 상호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 하나의 탄성체 유닛(20a)의 결합레일(1220a)에 형성되는 걸림부(1222a)와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20b)의 결합레일(1220b)에 형성되는 걸림부(1222b)가 상호 걸림이 이뤄지면서 슬라이딩 결합 상태가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결합수단(1200a, 1200b)은 또다른 탄성체 유닛과의 상호 결합시 상하 방향 결합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결합판(1240a, 1240b)을 더욱 포함한다.
즉, 상기 결합레일(1220a, 1220b)에 의해 슬라이딩 방향(상하 방향)으로만 결합이 이뤄지게 되므로, 상기 결합판(1240a, 1240b)에 의해 결합 위치를 제한하면 결합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판(1240a 또는 1240b)은 상기 케이싱(1100a 또는 1100b)의 측면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케이싱(1100b 또는 1100a)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고리(1300b 또는 1440a)가 계류장치의 로프(R)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260b 또는 1260a)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탄성체 유닛(20a, 20b)이 상호 결합될 때, 상기 관통공(1260a, 1260b)에 의해 연결고리(1300b, 1440a)가 외측으로 노출 및/또는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연결고리(1300b, 1440a)가 계류장치의 로프(R)나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연결고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수단(1200a, 1200b)은 상기 케이싱(1100a, 1100b)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260a, 1260b)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돌출부(1280a, 1280b)를 더욱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수단(1200a, 1200b)에 의한 탄성체 유닛(20a, 20b) 상호 간의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20a)의 관통공(1260a)에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20b)의 돌출부(1280b)가 삽입하여 끼움 결합됨으로써 더욱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 유닛(20a)과 또다른 탄성체 유닛(20b) 사이의 결합레일(1220a, 1220b) 및 결합판(1240a, 1240b)을 포함하는 결합수단(1200a, 1200b)을 통한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20a, 20b)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결고리(1440a, 1440b)가 동시에 상측으로 이동하거나 각각의 탄성체 유닛(20a, 20b)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고리(1300a, 1300b)가 동시에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힘의 전달면에서 바람직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실시예의 탄성체 유닛(20a, 20b) 상호 간의 결합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a) 및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a') 상호 간의 결합은 상기 결합수단(200, 1200a, 1200b)에 의해 이뤄지지 않고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a')에 구비되는 연결고리(300a, 440b, 1300a, 1440a')가 상호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연결고리(300a, 440b, 1300a, 1440a') 상호 간의 결합에 의한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a') 상호 간의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a')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이 탄성 계수를 직렬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결합이며, 이 경우 탄성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계류 길이의 가변성 범위가 일정 길이(예, 하나의 탄성체 유닛의 계류 가변 길이) 만큼 증가하게 된다.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a')에 구비되는 연결고리(300a, 440b, 1300a, 1440a') 상호 간의 결합은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300a, 440b, 1300a, 1440a')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연결고리(300a, 440b, 1300a, 1440a') 상호 간의 직접 결합에 의해 이뤄질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용 고리(86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수단(200, 1200a, 1200b)에 의한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b) 상호 간의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b)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이 탄성 계수를 병렬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결합이며, 이 경우 계류 길이의 가변성 범위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b)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b)의 동일 측에 위치한 연결고리(300a, 300b, 440a, 440b, 1300a, 1300b, 1440a, 1440b)들이 하나의 로프(R)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고리(800, 1800) 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결합고리(800, 1800)는 상기 결합수단(200, 1200a, 1200b)에 의해 결합된 탄성체 유닛(10a, 10b, 20a, 20b)의 상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440a, 440b, 1440a, 1440b)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300a, 300b, 1300a, 1300b)에 상호 결합된다.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고리(800)는 환형의 고리부(820)와 상기 고리부(820)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840)를 포함하며, 계류장치의 로프(R)가 상기 고리부(820)에 결합되고, 각각의 연결고리(440a, 440b)가 결합용 고리(860)를 통해 상기 결합부(84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결합고리(1800)는, 환형의 고리부(1820)와, 상기 고리부(1820)로부터 연장 형성된 2개의 선형 부재(186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선형 부재의 양단부가 "11"자 형상을 갖도록 측면이 접촉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양단부의 일시적 접촉 해제가 이뤄지는 결합부(1840)와, 상기 선형 부재(1860)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양단부의 접촉 해제를 제한하는 고정 부재(188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1880)가 분리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결고리(1440a 또는 1440b)를 상기 선형 부재(1860)의 일단부 측으로 힘을 주어 삽입하면 상기 선형 부재(1860)의 일단부가 일시적으로 접촉 해제되어 상기 연결고리(1440a 또는 1440b)가 결합부(184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결고리(1440a, 1440b)를 결합부(1840)에 삽입한 후 상기 고정 부재(1880)를 선형 부재(1860)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하면 상기 결합부(1840)가 폐쇄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로프(R)로부터 인장력이 전달되어 연결고리(1440a, 1440b)가 당겨지더라도 상기 선형 부재(1860)의 양단부가 접촉 상태(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의 결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유닛(10a', 10b', 10c')의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10a', 10b', 10c')을 직렬 및 병렬로 결합하여 이뤄진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R)와 결합고리(2800a)를 연결하고, 상기 결합고리(2800a)에 2개의 병렬 연결된 탄성체 유닛(10a', 10b')을 결합하며, 상기 병렬 연결된 탄성체 유닛(10a', 10b')을 또다른 결합고리(2800b)를 통해 또다른 탄성체 유닛(10c')과 직렬 결합하고, 상기 또다른 탄성체 유닛(10c')의 연결고리(2440c)에 로프(R)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탄성체 유닛(10a', 10b', 10c')의 직렬 및 병렬 결합은, 탄성력과 계류 길이의 가변성 범위가 함께 변경될 수 있도록 하며, 동일한 선형 스프링을 사용하면서도 비선형 스프링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10a, 10b, 10a', 10b', 10c', 20a, 20a', 20b: 탄성체 유닛
100, 1100a, 1100b: 케이싱 120: 공간부
140: 입구부 142: 와이어 출입홀
200, 1200a, 1200b: 결합수단 220: 상부 결합부
222: 제1 관통공 240: 하부 결합부
242: 제2 관통공 260: 중앙 결합부
262: 제3 관통공
300, 300a, 300b, 1300a, 1300a', 1300b, 2300a, 2300b, 2300c: 연결고리
320: 기둥부 322: 결합홈
340: 연결부 342: 결합돌기
360, 360a, 1360a, 2360a, 2360b, 2360c: 잠금부
420, 420a, 420b, 1420a, 1420b: 이동체 와이어
440, 440a, 440b, 1440a, 1440a', 1440b, 2440a, 2440b, 2440c: 연결고리
460, 460a, 460b, 1460a, 1460b: 고리 잠금부
500, 1500a, 1500b: 이동체 600, 1600a, 1600b: 스프링
700, 2700: 결합봉 720, 2720: 고정핀
800, 1800, 2800a, 2800b: 결합고리 820, 1820: 고리부
840, 1840: 결합부 860: 결합용 고리
1860: 선형 부재 1880, 2880a: 고정 부재
1220a, 1220b: 결합레일 1222a, 1222b: 걸림부
1240a, 1240b: 결합판 1260a, 1260b: 관통공
1280a, 1280b: 돌출부 R: 로프

Claims (12)

  1.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측에 다른 탄성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 상부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1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상부 결합부;와,
    상기 케이싱 하부 일측면에 상기 상부 결합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하부 결합부;와,
    상기 케이싱 중앙부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 결합부와 하부 결합부 사이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제3 관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중앙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고리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유닛의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과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제3 관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결합봉;을 더욱 포함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5.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측에 다른 탄성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상하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부가 있는 결합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과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레일 상호 간의 슬라이딩 결합에 의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측면 하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또다른 탄성체 유닛과의 상호 결합시 상하 방향 결합 위치를 제한하며, 상기 또다른 탄성체 유닛의 케이싱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고리가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결합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케이싱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크기의 외경을 갖는 돌출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은, 하나의 탄성체 유닛의 관통공에 또다른 하나의 탄성체 유닛의 돌출부가 삽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고리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9.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적어도 일측에 다른 탄성체 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한 탄성체 유닛 상호 간의 결합은 각각의 탄성체 유닛에 포함된 각각의 스프링이 탄성 계수를 병렬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결합이며,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 탄성체 유닛의 상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고리에 상호 결합되어 각각의 탄성체 유닛의 동일 측에 위치한 연결고리들이 하나의 로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고리;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결합고리는,
    환형의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2개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선형 부재의 양단부가 "11"자 형상을 갖도록 측면이 접촉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에 의해 양단부의 일시적 접촉 해제가 이뤄지는 결합부;와,
    상기 선형 부재의 양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양단부의 접촉 해제를 제한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고리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11. 수상 부유체용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어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탄성체 유닛으로서,
    상기 로프의 계류 길이에 가변성을 부여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내측에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와 연결되며 라운딩 처리된 와이어 출입홀을 갖는 입구부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연결고리가 타측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공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내설된 이동체;
    일측 단부에 상기 이동체가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 와이어 출입홀 외부에 위치하며 계류장치의 로프에 연결되는 또다른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계류 길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체 와이어; 및
    상기 입구부 내측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체 와이어의 외측에 삽입되며, 상기 로프로부터 인장력의 전달시 상기 이동체와 입구부에 의해 압축되며 상기 인장력의 해제시 상기 이동체에 계류 길이가 단축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 타측에 형성된 연결고리는,
    상기 케이싱 타측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기둥부와 결합 가능한 위치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기둥부 및 연결부의 단부 외측에서 상하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단부 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의 일측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타측에는 연결고리 폐쇄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고리 일측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KR1020170069148A 2017-06-02 2017-06-02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KR10180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48A KR101805874B1 (ko) 2017-06-02 2017-06-02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48A KR101805874B1 (ko) 2017-06-02 2017-06-02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874B1 true KR101805874B1 (ko) 2017-12-07

Family

ID=6092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48A KR101805874B1 (ko) 2017-06-02 2017-06-02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8692A (zh) * 2018-07-04 2018-10-19 扬州市海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生物治理的植物种植平台
CN117566567A (zh) * 2023-11-16 2024-02-20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77A (ja) 1999-05-10 2000-11-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係留・結合装置
CN202545669U (zh) * 2012-02-09 2012-11-21 顾宏余 缓冲器
KR101518382B1 (ko) * 2014-01-22 2015-05-07 (주) 씨플렉스코리아 안전로프가 구비된 탄성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77A (ja) 1999-05-10 2000-11-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構造物係留・結合装置
CN202545669U (zh) * 2012-02-09 2012-11-21 顾宏余 缓冲器
KR101518382B1 (ko) * 2014-01-22 2015-05-07 (주) 씨플렉스코리아 안전로프가 구비된 탄성계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8692A (zh) * 2018-07-04 2018-10-19 扬州市海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河道生物治理的植物种植平台
CN117566567A (zh) * 2023-11-16 2024-02-20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CN117566567B (zh) * 2023-11-16 2024-05-24 九力绳缆有限公司 深海系泊用组合索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874B1 (ko) 계류장치용 탄성체 유닛
ES2947638T3 (es) Amortiguador de vibración de torre
US9394712B2 (en) Aseismic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a panel to a beam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BR0215464B1 (pt) fixador de cabo, peça, dispositivo retentor de cabo, e artigo de fabricação para fixador de cabo.
CN104405303B (zh) 石油仪器吊装系统及吊装头
KR101245842B1 (ko)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US8657536B2 (en) Tensioning a riser
KR100972729B1 (ko)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101202418B1 (ko) 소켓정착부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장치
KR101316696B1 (ko) 지주구조물용 방진장치
EP1721640B1 (en) Spring arrangement for a recreational structure
KR101897621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KR20110061793A (ko) 계류장치
KR101092839B1 (ko) 추락방지 안전맨홀
US2229325A (en) Deep well bridge
BR112017003221B1 (pt) Membro de fixação para um tubo flexível
KR20140121697A (ko) 와이어 연결클립 및 이 연결클립이 적용된 망태 구조체
KR101465745B1 (ko)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GB2600608A (en) Coupling device for use in a moor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s
CN208845613U (zh) 异形弹簧
KR101978482B1 (ko)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US1725666A (en) Tubing or pipe pulling spider
RU2458275C1 (ru) Опора и ложемент опоры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GB2496506A (en) Riser tensioner system having articulated couplings for hydraulic cylin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