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482B1 -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 Google Patents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482B1
KR101978482B1 KR1020170115675A KR20170115675A KR101978482B1 KR 101978482 B1 KR101978482 B1 KR 101978482B1 KR 1020170115675 A KR1020170115675 A KR 1020170115675A KR 20170115675 A KR20170115675 A KR 20170115675A KR 101978482 B1 KR101978482 B1 KR 10197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dolphin
entry
step support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863A (ko
Inventor
한애리
Original Assignee
(유)아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하산업 filed Critical (유)아하산업
Priority to KR102017011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4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6Pontoon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에 설치되는 플로팅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시공되어 실내공간을 제공하고, 실내공간의 하부에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실내구조물;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와 지면을 연결하는 진출입로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내구조물로 연장되는 계단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계단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계단지지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커넥터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를 수면에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돌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FLOATING HOUSE}
본 발명은 수면에 설치되는 플로팅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과 함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돌핀부의 노출이 없이 설치될 수 있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팅 하우스는 대지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면에 설치되어 물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생활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플로팅 하우스는 저수지나 바다에 낚시를 위해 설치되는 좌대가 대표적이나 근래에는 레저 문화의 발달과 함께 주거공간의 다변화로 인하여 지면과 연결되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수면 구조물은 수중의 바닥면에 돌핀이 고정되는 고정형 돌핀타입과, 수면에 따라 상하로 계류할 수 있도록 돌핀이 슬라이드되는 승강형 돌핀계류 타입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통상적인 플로팅 하우스는 수면의 높낮이에 따라 계류할 수 있도록 돌핀계류 타입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플로팅 하우스는 돌핀이 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관련된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451호에 개시된 조립식 플로팅 하우스가 있다.
선행기술에 의한 플로팅 하우스는, 복수개의 주거모듈; 상기 각 주거모듈을 연결시켜 주거블록을 형성시키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주거모듈은 수면에 배치되어 부력을 발생시키는 플로팅부; 상기 플로팅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주거공간을 형성시키는 주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각 주거유닛의 플로팅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연결베이스; 상기 연결베이스의 양측에 고정된 연결프레임; 상기 각 연결프레임을 연결시키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이격 시 이를 완충시키는 완충부; 상기 연결프레임과 상기 주거유닛을 결합시키는 연장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수면에 뜬 상태로만 서로 연결되는 구성일 뿐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없는 구성이어서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술은 주거모듈만이 구성되어 있어서 차량이 진입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플로팅부를 연결하는 부위가 조류에 의해 늘어나면서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45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실내공간과 함께 주차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돌핀부의 노출이 없이 설치될 수 있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품들을 밀착시키면서 연결부위를 센터링시킴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조류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연결부위가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연결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는, 수면에 설치되는 플로팅 하우스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시공되어 실내공간을 제공하고, 실내공간의 하부에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실내구조물;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와 지면을 연결하는 진출입로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내구조물로 연장되는 계단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계단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계단지지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커넥터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를 수면에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돌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핀부는, 상기 베이스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의 저면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수중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되는 수형돌핀; 및 상기 수형돌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형돌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수형돌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암형돌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커넥터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마주보는 부재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계단지지부를 각각 밀착시킨 상태로 연결시키는 조립패널;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센터링돌기; 및 상기 센터링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센터릴돌기에 끼워지면서 상기 조립패널의 고정위치를 정위치시키는 돌기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진출입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지면의 거리에 따라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단위폰툰; 상기 단위폰툰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조류에 따라 절첩되거나 펴지는 경첩; 및 상기 경첩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경첩이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에 의하면, 진출입로가 구비되는 동시에 실내구조물의 하부에 주차공간이 형성되므로 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하며, 돌핀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돌핀, 가이드돌핀 및 슬라이딩돌핀이 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므로 기존에 비해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는 커넥터부를 구성하는 센터링돌기 및 돌기홀더에 의해 조립패널의 고정위치가 정위치되므로 조립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는 진출입로부를 구성하는 경첩이 연결체인에 의해 과도하게 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경첩의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경첩이 항상 절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논슬립면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나 사람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돌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출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 실내구조물(200), 진출입로부(300), 계단지지부(400), 커넥터부(500) 및 돌핀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본 발명 플로팅 하우스의 기초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폰툰(pontoon)이라 불리는 부력체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부력체들의 조합으로 형성되거나 단일체의 부력체로 형성되면서 소정의 면적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베이스부(100)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화물차량으로 운반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구조물(200)은 실내공간 및 주차공간을 베이스부(100)에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실내구조물(200)은 예컨대, 조립식 주택형태나 콘테이너형 주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조립시공되면서 실내공간을 형성하고, 실내공간의 하부에 차량의 주차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진출입로부(300)는 베이스부(100)와 지면을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진출입로부(300)는 베이스(100)부와 함께 'T'자 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진출입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폰툰(310), 경첩(320) 및 연결체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위폰툰(310)은 설정된 폭과 길이로 제작되며, 지면과 베이스부(100)의 거리에 따라 추가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경첩(320)은 단위폰툰(310)들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단위폰툰(310)들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경첩(320)은 조류에 따라 절첩되거나 펴지면서 단위폰툰(310)들의 연결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다.
연결체인(330)은 경첩(320)이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첩(320)의 파손을 방지하는 부재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320)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경첩(320)의 양단부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경첩(320)은 연결체인(330)의 길이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만 펴지게 되어 과도한 펴짐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경첩(320)은 연결체인(330)에 의해 항상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절곡부위가 상부를 향해 꺾인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첩(320)은 꺾인 부위를 통해 진출입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논슬립면을 제공함으로써 사람이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계단지지부(400)는 실내구조물(200)로 연결되는 계단(41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계단지지부(400)는 진출입로부(300)의 반대편에서 베이스부(1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부(500)는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넥터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패널(510), 센터링돌기(520) 및 돌기홀더(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립패널(510)은 마주보는 두 개의 부재를 밀착상태로 연결하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조립패널(510)은 미도시된 고정볼트나 리머 고정핀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센터링돌기(520) 및 돌기홀더(530)는 조립패널(510)의 고정위치를 정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한 조립을 도모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센터링돌기(520)는 베이스부(100)에 돌출되고, 돌기홀더(530)는 베이스부(100)에 대면하는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센터링돌기(520)에 끼워지면서 조립패널(510)의 고정위치를 정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센터링돌기(520)를 돌기홀더(530)에 삽입할 경우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조립위치가 정위치되므로 조립패널(510)의 고정을 통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돌핀부(600)는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를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하면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계류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돌핀부(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돌핀(650), 가이드돌핀(660) 및 슬라이딩돌핀(6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돌핀(650)은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돌핀(65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형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복수로 구성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베이스돌핀(650)은 중량을 갖는 금속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해 수중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베이스돌핀(6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평연결대(651)에 의해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돌핀(650)과 연결되면서 수평방향의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이스돌핀(650)은 수중의 바닥면에 박힌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면서 수평연결대(651)에 의해 보강되어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가 떠내려 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돌핀(660)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가 수면을 따라 계류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이드돌핀(660)은 베이스돌핀(650)에 대응하는 수량을 이루면서 각각의 베이스돌핀(650)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고정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 또는 봉형태로 형성되어 수면을 향해 연장된다.
여기서, 가이드돌핀(660) 및 베이스돌핀(6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미도시된 복수의 볼트를 통해 조립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돌핀(670)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에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돌핀(6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계류를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슬라이딩돌핀(670)은 가이드돌핀(660)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체형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저면에 상단부가 동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각각의 가이드돌핀(660)의 바깥쪽에 끼움결합되어 가이드돌핀(6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돌핀(670)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저면에 볼트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는 수면의 높이에 따라 슬라이딩돌핀(670)과 함께 가이드돌핀(6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돌핀(670)은 가이드돌핀(66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돌핀(66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할 수도 있다.
한편, 돌핀부(600)는 미도시된 승강제한봉이 구비되어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의 승강을 제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제한봉은 상단부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에 각각 나사결합된 상태로 슬라이딩돌핀(670)의 중심을 따라 연장되어 하단부가 가이드돌핀(660)의 중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돌핀(660)의 상단부의 중심에는 승강제한봉이 나사결합될 수 있는 결합공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승강제한봉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에 고정된 상태로 하단부가 가이드돌핀(660)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또는 계단지지부(400)가 승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핀부(6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형돌핀 및 암형돌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수형돌핀은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저면에 동일체로 고정되면서 수중의 바닥면을 향해 연장된다.
암형돌핀은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형돌핀의 고정위치에 대응하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수형돌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수형돌핀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는 수면의 높이에 따라 수형돌핀과 함께 암형돌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계류할 수 있다.
한편, 수형돌핀은 분할 형성되면서 벌어짐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고정봉의 삽입에 의해 벌어지면서 암형돌핀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수형돌핀은 필요에 따라 고정봉을 통해 암형돌핀에 고정됨으로써 승강이 방지된 상태로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는 진출입로부(300)가 구비되는 동시에 실내구조물(200)의 하부에 주차공간이 형성되므로 차량의 진출입이 가능하며, 돌핀부(600)를 구성하는 베이스돌핀(650), 가이드돌핀(660) 및 슬라이딩돌핀(670)이 베이스부(100)와 진출입로부(300) 및 계단지지부(400)의 저면에 설치되므로 기존에 비해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100 : 베이스부
200 : 실내구조물
300 : 진출입로부
310 : 단위폰툰
320 : 경첩
330 : 연결체인
400 : 계단지지부
410 : 계단
500 : 커넥터부
510 : 조립패널
520 : 센터링돌기
530 : 돌기홀더
600 : 돌핀부
650 : 베이스돌핀
651 : 수평지지대
660 : 가이드돌핀
670 : 슬라이딩돌핀

Claims (4)

  1. 수면에 설치되는 플로팅 하우스에 있어서,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수면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시공되어 실내공간을 제공하고, 실내공간의 하부에 주차공간을 형성하는 실내구조물;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와 지면을 연결하는 진출입로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부력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실내구조물로 연장되는 계단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계단지지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계단지지부를 각각 연결시키는 커넥터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를 수면에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돌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수중의 바닥면에 고정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베이스돌핀과, 상기 베이스돌핀의 상단부에 각각 조립되면서 수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돌핀, 및 상기 가이드돌핀보다 큰 내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핀을 바깥쪽에 끼워져서 상기 가이드돌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의 저면에 상단부가 동일체로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와 함께 승강하는 복수의 슬라이딩돌핀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돌핀 및 가이드돌핀은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복수의 볼트를 통해 조립 고정되며,
    상기 복수의 베이스돌핀은 복수의 수평연결대에 의해 이웃하는 또 다른 베이스돌핀과 연결되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양단부가 마주보는 부재에 걸쳐진 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계단지지부를 각각 밀착시킨 상태로 연결시키는 조립패널;
    상기 베이스부에 돌출되는 센터링돌기; 및
    상기 센터링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진출입로부 및 상기 계단지지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센터링돌기에 끼워지면서 상기 조립패널의 고정위치를 정위치시키는 돌기홀더를 포함하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출입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지면의 거리에 따라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단위폰툰;
    상기 단위폰툰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면서 조류에 따라 절첩되거나 펴지는 경첩; 및
    상기 경첩의 양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경첩이 과도하게 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체인을 포함하는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KR1020170115675A 2017-09-11 2017-09-11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KR10197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675A KR101978482B1 (ko) 2017-09-11 2017-09-11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675A KR101978482B1 (ko) 2017-09-11 2017-09-11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863A KR20190028863A (ko) 2019-03-20
KR101978482B1 true KR101978482B1 (ko) 2019-05-14

Family

ID=6603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675A KR101978482B1 (ko) 2017-09-11 2017-09-11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095B1 (ko) * 2021-01-11 2022-09-20 (주)지오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CN114291218B (zh) * 2021-11-24 2023-09-19 德清县建豪造船有限公司 一种餐饮趸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4999A1 (en) * 2005-09-29 2009-06-18 Jan Erland Syberg Floating Pi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8187A (ja) * 1997-06-05 1998-12-22 Hokkaido Kaihatsukyoku Kaihatsu Doboku Kenkyusho 浮体構造物の係留連結装置
KR101365451B1 (ko) 2012-02-21 2014-02-20 (주)바른교육 조립식 플로팅 하우스
KR101674453B1 (ko) * 2015-01-27 2016-11-10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54999A1 (en) * 2005-09-29 2009-06-18 Jan Erland Syberg Floating P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863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482B1 (ko)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KR101211491B1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687539B1 (ko) 수상 태양 광 발전 장치
ES2275910T3 (es) Conectores estructurales no concentricos de capacidad elevada.
KR20120002826U (ko) 승강식 가동보
KR101365451B1 (ko) 조립식 플로팅 하우스
KR20100005101U (ko) 계류구조물용 연결브라켓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CA2454407A1 (en) A bending-restricting anchoring arrangement and an anchored flexible pipe structure
KR200480039Y1 (ko) 조립식 텐트
KR102365694B1 (ko) 부잔교의 연결장치
KR101165417B1 (ko) 부유체에 연결가능한 부교형 육교
KR101619854B1 (ko) 해상풍력발전기의 자켓 하단부 선박 도킹을 위한 부력 구조물
CN104089227A (zh) 一种带应急装置的路灯
JP4276963B2 (ja) スライドゲート装置
JP6973732B2 (ja) ライザー管支持構造
EP1524387A1 (en) A swimming pool ladder
JPH0748849A (ja) 水中トンネル
JP4477984B2 (ja) 免震継手および免震配管構造
KR102596724B1 (ko)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102361308B1 (ko) 부유식 콘크리트 단위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콘크리트 구조체
KR102495585B1 (ko) 아치 트러스 수로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90231B1 (ko) 충격 완충장치가 형성된 부유식 수상구조물
KR101816835B1 (ko) 파일에 대한 횡방향 수평접근과 차단판 우선 설치를 이용한 피씨 하우스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