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5745B1 -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 Google Patents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5745B1
KR101465745B1 KR1020130046747A KR20130046747A KR101465745B1 KR 101465745 B1 KR101465745 B1 KR 101465745B1 KR 1020130046747 A KR1020130046747 A KR 1020130046747A KR 20130046747 A KR20130046747 A KR 20130046747A KR 101465745 B1 KR101465745 B1 KR 10146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elastic
bridge
transvers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064A (ko
Inventor
김문호
권영준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주)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주)
Priority to KR1020130046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4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only on one sid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의 외측면에 취부하기 위한 체결부가 일측면에 일정 크기로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원형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라운드형의 관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 안착부의 저면 전후 및 좌우 양측에는 안착되는 설치될 관(菅)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관악착부 상면에 안착된 관의 하단 외측면에 밀착되어 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구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Pipe Underpinning equiped with a wobble-preventing rack}
본 발명은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하부를 통과하는 관(管)을 교각의 일측에 고정설치할 때 관의 외경에 따라 받침대의 상면에 구비된 유동방지구가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어 다양한 크기의 관 받침대로 사용 가능한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관(管) 받침대는 대량의 유체를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원통형 관(管)을 받쳐주는데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이 속하는 관 받침대는 지하에 매설되거나 지상 노면에 설치되는 관에 사용되기보다는 교량이 설치된 지역을 통과하는 농업용수관, 상수도관, 우수관, 가스관 등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적합한 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구경이 작은 소형 관들이 교량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교량의 보 저면에 앵커 등을 설치하여 이 앵커에 소형 관(管)들을 매달아 설치하거나 교량의 프레임에 결속한 상태로 설치하였었다(도 1 참조).
또한, 구경이 비교적 커서 중량물 관인 경우에는 교량의 양측 교각 사이에 거치대를 설치하여 이 거치대 상부로 관을 안착시켜 교량이 설치된 지역을 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한다.
또한, 교량의 하부로 관 뿐만 아니라 각종 전력공급선, 통신케이블 등이 통과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수적인 설비들을 교량에 일체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우수관, 가스관(이하,‘관’으로 총칭함), 통신케이블, 전력공급선 등의 설치 거치대나 관을 일괄적으로 설계에 반영하여 교량설계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교량 설계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상승하며, 교량 설치작업시 작업공정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교량이 설치된 후에 교량과 별개로 교량의 교각이나 교량 하부에 각종 관을 설치하거나 통신케이블, 전력공급선 등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교량의 구조와 타입, 교량 설치장소, 교량의 길이나 높이 등에 따라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 되었고, 설치공사가 가능하더라도 외관상이나 안전상 및 시공상에 많은 불편함과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교량을 관리하는 기관과 각종 생활편의를 위해 설치되는 각종 관을 관리하는 지방 자치단체 간의 관리주체가 다르고, 교량의 안정상 문제로 관의 설치동의 또는 허가를 받기 어려워 교량을 우회하는 공사를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교량과 별개로 교량을 통과하는 각종 관을 설치하는 어려움으로 인해서 막대한 재정적 손실이 발생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지방자치단체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어 지역주민의 생활편의를 향상시키는 각종 건설 및 복지정책에 제동이 걸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일실시예와 같이, 교량이나 고정물에 설치되어 관이 고정될 수 있는 안착부(2)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부(2)의 외측으로 발판지지유닛(3)이 구비된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4)가 안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실시예의 경우, 관로가 설치되는 안착부(2)의 규격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설치된 관의 직경에 따라 각각 별도의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를 제작, 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원가 및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있었다.
즉, 종래의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4)는 교량하부를 통과하는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관을 설치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48147호(공개일:2009.05.13, 발명의 명칭: 관로 받침대) 한국 특허등록 제10-1181702호(등록일:2012.09.05, 발명의 명칭 :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한국 특허등록 제10-1235866호(등록일:2013.02.15, 발명의 명칭 :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본 발명은 교량 등에 다양한 종류의 관을 설치할 때 발생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될 관의 직경에 상관없이 하나의 관 받침대로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비의 단가를 줄이고 설치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 안착부에 안착된 관의 양쪽 외측을 관 받침대 상면에서 탄성적으로 동작되는 유동방지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설치된 관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의 유동시에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관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는 교각의 외측면 또는 교량의 하부에 설치된 측면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양측면에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양측 체결부 사이의 상면에 원형관을 안착하도록 형성된라운드형의 관 안착부; 상기 관 안착부의 전후 및 좌우측에서 설치될 관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공; 상기 관 악착부에 안착되는 관의 외측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상단부에 구비된 경사형 가압편과, 상기 경사형 가압편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에 끼움 설치되는 하부고정대와, 상기 하부고정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관 안착부에 안착되는 관의 외경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도록 관 안착부의 하방 전후면에 설치되는 탄성폭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유동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폭조절수단은 관 안착부의 하단 전후면에 내측으로 일정 깊이 오목하게 파여진 설치홈에 각각 수평설치되는 횡간바와, 상기 각 횡간바의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횡간바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대의 이동을 저지하는 한 쌍의 멈춤구와, 상기 각 횡간바의 양단 고정부와 하부고정대 사이의 횡간바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대를 관 안착부의 중앙부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더불어, 상기 관유동방지구의 상단 경사형 가압편 표면에는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횡간바의 외주연에 외감된 원통형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는 관이 안착되는 관 안착부가 라운드형으로 이루어지고, 라운드형의 관 안착부 상면에 관의 직경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는 유동방지구가 설치되어 있어서 교각을 따라 설치되는 다양한 용도의 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관의 설치시공성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관 받침대의 생산성 향상과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다.
즉, 농업용수관, 우수관, 상수도관, 가스관 등 교량을 통과하는 다양한 관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관 받침대를 사용해야 했던 종래의 불편함을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할 수가 있어서 교량을 따라 설치되는 간접설치물의 설치편리성을 대폭 향상시켜 작업성 향상과 시공기간의 단축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관 받침대의 하방 양측에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된 탄성폭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관 안착부 상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구의 탄성적인 가변을 통해 관의 고정 및 관 받침대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교량 하부에 관이 설치된 사진,
도 2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절단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가 교각의 측면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받침대가 교량의 하부면에 설치된 사용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의 외관사시도 및 그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管) 받침대(5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4는 관 받침대(50)의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관 받침대(50)의 길이방향에 대한 절단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관 받침대(50)가 교각(5)의 측면과 교량의 하부에 일정길이 설치된 측면지지대에 고정되어 관악착부에 관(7)이 매달아진 설치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 받침대(50)는 교각의 측면 또는 교량하부에 일측 또는 양측면이 별도의 체결구(앵커볼트 등) 등으로 고정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21b)이 구비된 체결부(20)가 양측면에 구비되고,상기 체결부(20) 사이의 상면 중앙부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원형관이 안찰될 수 있도록 라운드형의 곡면부(22a)를 갖는 관 안착부(22)가 일정길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 안착부(22)는 원형관이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중앙부에 라운드형의 곡면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22a)의 양 측단은 중앙부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면서 상면이 평평한 평면부(22b)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22b)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1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관 안착부(22)의 곡면부(22a)에는 전후 및 좌우측으로 각각 복수개의 장공(24)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공(24)은 관 안착부(22)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면서 관 악착부(22)에 안착되는 관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곡면부(22a)의 장공(24)에는 안착되는 관의 외측면 하단에 밀착되어 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구(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유동방지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형 또는 경사형으로 이루어져 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압편(32)과, 상기 가압편(32)의 하단으로는 일정 길이의 연장 형성된 하부고정대(34)와, 상기 경사형 가압편(32)의 표면에 부착되어 관의 외면과 접촉시 미끌림 방지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패드(33)가 덧대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고정대(34)는 상기 전후방 양측 장공(24)에 수직으로 끼움 설치되어 관 안착부(22)의 곡면부(22a) 상면으로 경사형 가압편(32)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그 하단은 관 받침대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탄성폭조절수단(40)에 고정되어 상기 장공(24) 내에서 장공의 형성방향에 따라 좌우로 수평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방지구(30)의 하부고정대(34)가 후술하는 탄성폭조절수단(40)의 횡간바(42)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그 하단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끼움공(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관 안착부(22)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탄성폭조절수단(40)은 관 악착부(22)의 전·후면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홈(26) 내측으로 설치되어 외부 장애물에 간섭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폭조절수단(4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관 안착부(22)의 전·후면에 형성된 설치홈(26) 내측에서 관 안착부(2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 횡간바(42)가 수평 설치되고, 그 횡간바(42)의 양단은 설치홈(26)의 내측 양단에 형성된 고정공(27)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설치홈(26)의 내측에 수평설치되는 상기 횡간바(42)의 중심부에서 좌우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횡간바(42)에 하단부가 끼움 고정되는 상기 유동방지구(30)의 하부고정대(34)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멈춤구(45)가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측 멈춤구(45)와 횡간바(42)의 양단 고정부 사이의 횡간바(42) 외주연에는 탄성스프링(44)이 설치되어 횡간바(42)에 끼움 고정된 하부고정대(34)를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4)은 원통형코일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횡간바의 외주연에 외감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관 받침대(50)는 관 안착부(22)의 상면으로 유동방지구(30)의 가압편(32)이 돌출 설치되고, 상기 가압편(32)을 지지하는 하부고정대(34)는 장공(24) 하부에서 상기 탄성폭조절수단(4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횡간바(42)에 설치된 탄성스프링(44)의 신장력에 의해 하부고정대(34)가 관 안착부(22)의 중심부로 밀리면서 관의 외면을 밀착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50)의 설치상태에 따른 측면도가 도 6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상태는 상기 관 받침대(50)가 교각(5)의 측면에 일측 체결부(20)가 고정 설치되어 교각(5)의 측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는 외팔보 형태로 설치되고, 관 안착부(22) 상면에 관이 안착된 상태이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50)는 교각 또는 고정물의 측면에 수직단면을 갖는 체결부(20)가 앵커볼트(28) 등으로 고정된 후에 돌출된 관 안착부(22)의 상면으로 농업용수관이나 우수관, 상수도관, 가스관 등이 설치된다.
상기 관 받침대(50)에 설치되는 관(7)은 일반적으로 그 용도에 따라 관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관 받침대(50)는 관 안착부(22)에 관(7)을 올려놓게 되면 관(7)의 무게에 의해 관 안착부(22)의 상면으로 돌출된 유동방지구(30)의 가압편(32)이 좌우측으로 벌려지면서 관 안착부(22)의 상면 중앙에 안착되고, 관 안착부(22)에 안착된 관(7)은 관(7)의 하단 양측면에 밀착된 가압편(32)의 가압력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면서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관 안착부(22)에 안착된 관(7)의 외측으로 상부고정밴드(55)를 둘러쳐서 그 양단을 관 안착부(22)의 평면부(22b)에 고정하여 관(7)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50)가 교량(6)의 하부에 설치된 사용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교량(6)의 하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50)를 설치할 때는 관 받침대(50) 양 측면의 체결부(20)에 교량(6) 하부에 고정된 일정길이의 측면지지대(70,71)를 고정하여 관 받침대(50)를 매단 후에 관 안착부(22)에 관(7)을 거치시키면 관 안착부(22)에 안착된 관(7)은 유동방지구(30)의 가압편(32)에 의해 그 하단이 고정 지지되고, 거치된 관(7)의 상부로 양측 측면지지대(70,71)에 양단이 고정되는 상부고정밴드(75)를 둘러쳐서 관(7)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밴드(75)는 관(7)을 둘러싸는 중앙부가 라운드형의 곡면부(76)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체결부(77)가 구비되어 볼트 등으로 측면지지대(70,71)에 양단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60)의 외관사시도 및 그 설치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60)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50) 외측으로 관리용 발판가드(64)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관 안착부(22)의 저면에서 체결부(20) 측으로 일정 높이의 보강부(62)가 추가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추가된 구성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른 관 받침대(60)는 발판가드(64)가 관 받침대(6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관 설치 후 관리자가 관의 외관 및 설치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관 받침대(60)로 올라가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및 작업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관 받침대(60)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올라가더라도 상기 관 받침대(60)가 관의 하중과 발판가드(64)에 올라탄 작업자의 체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며, 발판가드(64)의 외측으로는 일정 높이의 측면가드(65)가 동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의 관 받침대(60)는 발판가드(64)의 자체중량 뿐만 아니라 발판가드(64)에 올라탄 작업자의 체중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하중에 충분히 버틸 수 있는 내굴절 강도를 갖도록 상기 관 안착부(22)의 저면에서 교각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체결부(20) 사이에 보강부(62)가 추가되는 것이다.
상기 관 받침대(6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상기 발판가드(64)는 관 안착부(22)의 일측이나 저면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성과 조립성이 편리하고, 관 받침대의 설치장소에 따라 발판가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 : 교각 6 : 교량
7 : 관(管) 20 : 체결부
21 : 체결공 22 : 관 안착부
22a : 곡면부 22b : 평면부
24 : 장공 26 : 설치홈
27 : 고정공 28 : 앵커볼트
30 : 유동방지구 32 : 가압편
33 : 고무패드 34 : 하부고정대
35 : 끼움공 40 : 탄성폭조절수단
42 : 횡간바 44 : 탄성스프링
45 : 멈춤구 50,60 : 관 받침대
55 : 상부고정밴드 62 : 보강부
64 : 발판가드 65 : 측면가드
70,71 : 측면지지대 75 : 상부고정밴드
76 : 곡면부 77 : 체결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교각의 외측면 또는 교량의 하부에 설치된 측면지지대에 고정되도록 양측면에 구비되는 체결부; 상기 양측 체결부 사이의 상면에 원형관을 안착하도록 형성된라운드형의 관 안착부; 상기 관 안착부의 전후 및 좌우측에서 설치될 관의 직각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공; 상기 관 악착부에 안착되는 관의 외측 하단부에 밀착되도록 상단부에 구비된 경사형 가압편과, 상기 경사형 가압편의 하단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에 끼움 설치되는 하부고정대와, 상기 하부고정대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관 안착부에 안착되는 관의 외경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도록 관 안착부의 하방 전후면에 설치되는 탄성폭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유동방지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폭조절수단은 관 안착부의 하단 전후면에 내측으로 일정 깊이 오목하게 파여진 설치홈에 각각 수평설치되는 횡간바와,
    상기 각 횡간바의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횡간바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대의 이동을 저지하는 한 쌍의 멈춤구와,
    상기 각 횡간바의 양단 고정부와 하부고정대 사이의 횡간바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고정대를 관 안착부의 중앙부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구의 상단 가압편에는 일정 두께의 고무패드가 결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횡간바의 외주연에 외감된 원통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 안착부의 저면에서 체결부의 하단까지 일정 높이의 보강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상기 관 안착부의 외측단에는 발판가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KR1020130046747A 2013-04-26 2013-04-26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KR10146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747A KR101465745B1 (ko) 2013-04-26 2013-04-26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747A KR101465745B1 (ko) 2013-04-26 2013-04-26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064A KR20140128064A (ko) 2014-11-05
KR101465745B1 true KR101465745B1 (ko) 2014-12-01

Family

ID=5245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747A KR101465745B1 (ko) 2013-04-26 2013-04-26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59B1 (ko) * 2015-09-22 2016-12-28 서우실업 주식회사 벽돌 대체형 제수 밸브 보호통
CN109027431A (zh) * 2018-10-08 2018-12-18 禹超 一种油气运输管道安装固定装置
KR102092237B1 (ko) * 2019-08-22 2020-03-23 성환건설(주) 보온관 메달기 구조
CN117108827B (zh) * 2023-10-18 2024-01-09 浙江浙能迈领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lng船用加注装置以及加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155U (ko) * 1994-11-07 199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선관 고정클램프
KR200154407Y1 (ko) * 1996-12-28 1999-08-02 정몽규 파이프 고정구
KR100666012B1 (ko) * 2006-10-28 2007-01-10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KR101181702B1 (ko) * 2012-01-26 2012-09-19 (주)건교산업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155U (ko) * 1994-11-07 199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선관 고정클램프
KR200154407Y1 (ko) * 1996-12-28 1999-08-02 정몽규 파이프 고정구
KR100666012B1 (ko) * 2006-10-28 2007-01-10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KR101181702B1 (ko) * 2012-01-26 2012-09-19 (주)건교산업 관로 및 점검로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064A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745B1 (ko) 유동방지구가 구비된 관 받침대
KR200474388Y1 (ko) 조립식 해먹 스탠드장치
KR101880899B1 (ko) 수상 부유구조물
US10190273B2 (en) Manhole guard and attachable hoist device
KR100931545B1 (ko)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CN214999075U (zh) 一种桥架双向抗震支架
JP2008002261A (ja) 吊足場構造
CN210766873U (zh) 一种圆形管廊支架
KR102213741B1 (ko) 에어 휀스
KR101978482B1 (ko) 주차가능형 플로팅 하우스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CN212000605U (zh) 一种公路桥梁组合减震支座
KR200452039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20080003120U (ko) 케이블 받침대
US11118399B2 (en) Frame
CN212154222U (zh) 一种钢结构施工用安全带固定装置
KR102259385B1 (ko) 작업용 발판
KR20130134613A (ko) 비계용 안전발판 어셈블리
CN215891439U (zh) 一种高强度双壁缠绕管
KR200492777Y1 (ko) 개폐형 안전휀스
CN201613973U (zh) 一种用于固定打气筒的挂钩及可调整式打气筒固定装置
CN215763646U (zh) 一种用于室内装配式给排水管线敷设的抗震管道支架
CN205306443U (zh) 一种可快速调节锁紧的折叠式休闲躺椅
KR101497472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고정대
CN212407788U (zh) 一种便于维护的管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