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436B1 -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 Google Patents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436B1
KR101805436B1 KR1020160116328A KR20160116328A KR101805436B1 KR 101805436 B1 KR101805436 B1 KR 101805436B1 KR 1020160116328 A KR1020160116328 A KR 1020160116328A KR 20160116328 A KR20160116328 A KR 20160116328A KR 101805436 B1 KR101805436 B1 KR 10180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necting rod
bucket
driving unit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민
Original Assignee
박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민 filed Critical 박철민
Priority to KR102016011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7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ejecting or other unloa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캠축부, 캠축부의 캠과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간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 및 로드의 구간왕복운동에 의해 소정구간 회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몸체와 회동축에 의해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거름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거름체는 구동부 및 몸체와의 연결에 의해 나란히 배치되고,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해 구간왕복을 하되,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거름체는 서로 인접한 거름체와 다른 방향으로 구간왕복이 되는, 체버킷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SIEVING BUCKET AND HEAVY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는 특성상 작업조건에 따라 버킷을 이용한 굴삭, 덤프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브레이커를 이용한 암반굴삭, 건축물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 수거작업 등의 복합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부주행체에 대해 운전실 등을 구비한 상부선회체가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탑재되며, 상부선회체의 운전실 일측으로 실린더 구동으로 작동하는 붐이 장착되며, 붐의 단부에 아암실린더 구동으로 작동하는 아암이 장착되며, 아암의 단부에 버킷실린더 구동으로 기구적인 링크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는 레버에 버킷이 장착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버킷의 내부에는 소정크기의 배수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하고, 끝단부에는 버킷 이를 형성하여 굴삭작업을 도와준다. 이러한 구조의 버킷을 이용하여 다량의 굴삭물을 손쉽게 퍼올릴 수 있다. 특히, 해사나 모래 등을 채취할 경우에는 신속히 굴삭할 수 있는 건설 중장비이다. 이러한 굴삭기를 이용하여 폐기물 등을 수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을 담은 상태에서 흙이나 모래들을 폐기물과 분리하기 위해 체가 구비된 버킷으로 교체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킷에 체만 구비된 상태의 굴삭기를 이용하여 폐기물 수거작업을 실시하면 흙이나 모래 등이 폐기물과 섞여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체의 진동 등을 통해 모래 또는 흙을 걸러내는 공정은 중장비의 내구성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0-0024713 호 (2010. 03. 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진동되는 체를 통해 굴삭물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체버킷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체를 포함하여, 체의 파손 및 손상에 의해 교체가 요구될 때 이상이 있는 체만 교체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체버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체가 교번배치됨으로써 이웃한 체와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체버킷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캠축을 통한 회전운동의 전달에 의해 복수 개의 체가 진동 또는 회동하는 체버킷을 제공한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진동되는 체를 통해 굴삭물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체를 포함하여, 체의 파손 및 손상에 의해 교체가 요구될 때 이상이 있는 체만 교체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체가 교번배치됨으로써 이웃한 체와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캠축을 통한 회전운동의 전달에 의해 복수 개의 체가 진동 또는 회동하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캠축부, 캠축부의 캠과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간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 및 로드의 구간왕복운동에 의해 소정구간 회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몸체와 회동축에 의해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거름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거름체는 구동부 및 몸체와의 연결에 의해 나란히 배치되고,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해 구간왕복을 하되,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거름체는 서로 인접한 거름체와 다른 방향으로 구간왕복이 되는, 체버킷이 제공된다.
그리고,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거름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거름체, 제1거름체로부터 연장 배치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2거름체 및 하나 이상의 제3거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거름체 및 상기 제3거름체는 교번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거름체는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형성이 되고, 연장형성이 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복수 개의 리브는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타측과 몸체와의 연결은 결합축에 의한 연결이고, 복수 개의 거름체는 결합축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축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은 제1거름체, 제2거름체 및 제3거름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대, 제2연결대 및 제3연결대를 포함하고, 제1연결대 및 제2연결대는 회동축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거름체 및 제3거름체에 형성되는 장공형의 축공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축공은 결합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원심이 일치되는 중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은 제1거름체, 제2거름체 및 제3거름체와 각각 롤러를 통해 연결되는 제1연결대, 제2연결대 및 제3연결대를 포함하고, 회동축의 원심, 롤러의 원심 및 결합축의 원심이 동일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몸체;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캠축부, 캠축부의 캠과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력을 구간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 및 로드의 구간왕복운동에 의해 소정구간 회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구동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몸체와 회동축에 의해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거름체;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거름체는 구동부 및 몸체와의 연결에 의해 나란히 배치되고,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해 구간왕복을 하되,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거름체는 서로 인접한 거름체와 다른 방향으로 구간왕복이 되는, 체버킷을 장착할 수 있는, 중장비가 제공된다.
그리고, 중장비의 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동력은 유압(流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진동되는 체를 통해 굴삭물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체버킷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체를 포함하여, 체의 파손 및 손상에 의해 교체가 요구될 때 이상이 있는 체만 교체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체버킷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체가 교번배치됨으로써 이웃한 체와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체버킷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캠축을 통한 회전운동의 전달에 의해 복수 개의 체가 진동 또는 회동하는 체버킷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동 또는 진동되는 체를 통해 굴삭물을 입자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체를 포함하여, 체의 파손 및 손상에 의해 교체가 요구될 때 이상이 있는 체만 교체함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체가 교번배치됨으로써 이웃한 체와 상이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캠축을 통한 회전운동의 전달에 의해 복수 개의 체가 진동 또는 회동하는 체버킷을 포함하는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버킷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버킷의 절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거름체의 측면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거름체의 측면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공 및 중복공을 나타낸 도면, 3(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체의 축공과 몸체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거름체 내지 제3거름체의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들간의 결합은 핀, 나사 및 볼트 등의 수단과 같은 주지기술을 통한 결합이 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도면에서의 표시 또는 이하에서의 설명에는 기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체버킷은 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데, 상기 모터는 외부로부터의 별도의 전력 등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고, 중장비에 결합될 경우에는 중장비의 아암에 포함되는 유압실린더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동력제공 수단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변형실시는 이하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모터의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는 것 또한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버킷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체버킷은 몸체(100), 구동부(200) 및 거름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00)는 구동부(200) 및 거름체(300)가 고정 또는 결합되는 부재가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체버킷이 중장비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결합축(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축(110)은 거름체(300)가 몸체(100)에 결합되기 위한 일종의 결합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몸체(100)의 내측에 구동부(200)가 결합될 수 있는 수단, 즉, 관통공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등의 구성에 의해 볼트 결합이 될 수 있다.
그 외에 추가적으로 몸체(100)의 일측에는 소정크기의 통공이 형성됨으로써 굴삭물을 수용했을 때 상기 통공을 통해 굴삭물에 포함된 통공보다 작은 입자의 굴삭물을 체버킷 외부로 흘려보낼 수 있다.
몸체(100)와 결합되는 구동부(200)의 경우, 몸체(100)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고정부(211), 상기 고정부(211)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결합되는 모터(210)와 캠축부(220), 모터(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캠축부(220)는 캠축부(220)에 형성된 캠과 일측이 연결된 로드(230) 및 로드(230)의 타측에 연결된 회동축(2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축(250)은 제1연결대(251), 제2연결대(252) 및 제3연결대(2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셋 중 제1연결대(251)가 로드(230)의 타측과 결합하여 로드(230)의 운동을 회동축(250)에 전달하여 회동축(250)을 소정구간 회동시킬 수 있다. 로드(230)의 운동을 회동축(250)에 전달하기 위해 서로 결합되는 수단은 로드(230)의 타측에 포함되는 회전체가 될 수 있고, 상기 회전체는 로드(230)에 포함되는 베어링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력은 전달하지 않고 캠축부(220)에 의해 이동되는 폭만큼 구간왕복에 가까운 운동을 회동축(25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제2연결대(252) 및 제3연결대(253)는 회동축(25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형성지점은 회동축(250)의 외주면 상에서 180도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물론, 180도의 간격은 권장사항이며, 180도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구학적으로 이상 및 이하에서 설명되는 움직임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이격을 형성하는 점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연결대(252) 및 제3연결대(253)는 거름체(300)와 연결될 수 있다. 거름체(300)는 복수 개 마련되므로, 거름체(300)와 연결되는 제2연결대(252) 및 제 3연결대(253) 또한 거름테(300)와 대응되는 수가 마련되기 위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대(252, 253)는 거름체(300)와 고정적으로 결합되지 않아, 회동축(250)의 회동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의 전달을 위해 연결대(252, 253)는 거름체(300)와 롤러(25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롤러(255) 또한 거름체(300)의 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롤러(255)의 회전축이 연결대(252, 253)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롤러(255)는 소정각도 회동가능하여 거름체(300)로는 회동축(250)의 회동에 의한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전달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회동축(250)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연결대(252, 253)는 그 중 하나가 당기는 힘을 전달하면 동일한 힘으로 다른 하나에 미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움직임을 이루기 위하여 거름체는 제2연결대(252) 및 제3연결대(253)에 번갈아가며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름체(300)가 제1거름체(310), 제2거름체(320) 및 제3거름체(330)를 포함하고, 제2거름체(320) 및 제3거름체(330)는 복수 개 마련되어 서로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거름체(310)는 거름체(300)가 나란히 배열될 경우에 가장자리의 양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해 두 가장자리 중 하나의 위치에 제1거름체(310)가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또한, 제2연결대(252)에 연결된 거름체(300)를 제2거름체(320)라고 하고, 제3연결대(253)에 연결된 거름체(300)를 제3거름체(330)라고 할 때, 서로 다른 연결대(252, 253)에 각각 연결되어야 하므로, 각 연결대(252, 253)가 있는 위치로 거름체(300)는 형성된 각각의 연결부(323, 333)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동시에 연결대(252, 253)와 연결된 거름체(300)는 반대측이 몸체(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와의 결합은 결합축(110)이 거름체(300)에 형성된 축공(301)에 삽입된 후 몸체(100)에 결합축(110)을 고정하여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버킷의 부분절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분해된 체버킷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이며, 일측이 절개되어 내부가 보이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앞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체(100)는 리브(311, 321, 33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11, 321, 331)는 제1리브(311), 제2리브(321) 및 제3리브(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브(311, 321, 331)는 제1리브(311)와 나머지 리브(321, 331)로 구분할 수 있다. 제1리브(311)는 제1거름체(310)에 형성되는 리브(311)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거름체(310)는 가장자리에 있는 거름체(300)이므로 제1거름체(310)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리브(311)는 제1거름체(310)로부터 몸체(100)의 내벽을 향해 형성되는 리브와 제1거름체(310)로부터 인접한 다른 거름체(300)를 향해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거름체(300)가 상기 양측방 중 한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몸체(100)의 내벽면과 거름체(300) 사이에 리브가 없는 구조가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는 거르기 위한 입자를 걸러낼 수 없는 영역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거름체(300)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리브를 포함하는 거름체(300)가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 곳 이상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2리브(312) 및 제3리브(331)는 제1거름체(310)가 없는 가장자리를 향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거름체(300)의 구조를 가진 체버킷은 굴삭물을 수용한 후 거름체(300)의 구간왕복 또는 진동에 의해 흙 및 모래 등의 기 결정된 입자 이하의 크기에 해당하는 굴삭물을 걸러낼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은 모터(210)의 회전수가 기 결정된 수 이상이어서 회동부(250)가 소정구간 회동하는 속도가 증가되었을 때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상기 회동구간을 분당 60회 이상 왕복하는 경우를 진동이라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리브(311, 321, 331)는 길이 및 간격 등의 형상에 의해 거르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리브(311, 321, 331)를 포함한 거름체(300)의 손상 및 파손의 경우에도 하나의 거름체(300)단위로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다는 등의 편의성을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체(320, 330), 축공(301), 구동부(250)에 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거름체(330)의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거름체(320)의 측면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공(301; 301a, 301b) 및 중복공(301c)을 나타낸 도면, 3(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롤러(255, 255')가 결합된 거름체(330, 32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 중, 제3거름체(330)가 도시된 도 3(a)를 참조하면 제2거름체(320)와 결합되는 제2거름체롤러(255')가 도시되었고, 제3거름체(330)결합된 롤러(255) 및 축공(301a)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체버킷이 모터(210)가 구동되지 않고 대기상태라고 가정하면, 축공(301c)의 원심, 롤러(255)의 원심 및 제2거름체롤러(255')의 원심이 동일선(L)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앞서 설명한 회동축(250) 상에 위치한 연결대(252, 253)가 회동축(250)을 중심으로 180도 각도 간격을 두고 위치될 때, 동일한 회동구간을 기준으로 거름체(300)를 밀고 당기는 폭이 가장 크게 작용할 수 있는 이유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동일선(L)으로부터 형성되는 임의의 각(A)은 도 3(b)의 제2거름체(320)에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은 축공(301; 301a, 301b)을 중심으로 거름체(300)가 회동하는데는 롤러(255, 255')부터의 회동체(250)의 원심 또는 축공(301; 301a, 301b)과의 반경이 다르므로 기구학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해소하기 위해 축공(301; 301a, 301b)은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2거름체(320)에 형성되는 축공(301b) 및 제3거름체(330)에 형성되는 축공(301a)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장공의 형성방향은 상기 임의의 각(A)을 형성하며 위치될 수 있고, 두 장공 형태의 축공(301a, 301b)은 엇갈리게 배치되되, 일부공간은 중복될 수 있다. 여기서, 중복되는 중복공(301c)은 결합축(110)이 몸체(100)와 거름체(300)의 결합을 위해 관통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축공(301; 301a, 301b)이 차지하는 공간에서 중복공(301c)을 제외하면 거름체(300)가 회동축(250)의 회동에 의해 기구학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여유공간이 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c)의 임의의 각(A)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이너스 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되면 상술한 움직임을 도모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구동부(200)의 측면도로서, 두 롤러(255, 255')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상기 회동축(250)의 외주면 상에 회동축(250)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연결대(252, 253)를 의미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름체(300)의 축공(301; 301a, 301b)에 몸체(100)가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축공(301; 301a, 301b)에 결합축(110)이 관통 삽입되어 거름체(300)가 연결되고, 결합축(110)의 일부가 몸체(100)에 형성되는 오목한 축지지부(12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축지지부(120)는 장공형이 아닌 결합축(110)의 반경에 대응되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지지부(120)에 결합축(110)이 안착되면 축덮개부(121)에 의해 결합축(110)이 구속되고, 축덮개부(121) 및 축지지부(120)의 결합에 의해 결합축(110)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에 의해 결합축(110)이 고정됨으로써, 거름체(300)의 움직임은 축공(301; 301a, 301b)의 범위내에서 보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거름체(310a) 내지 제3거름체(330a)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리브(311, 321, 331)의 형상과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시되었다. 본 예시는 리브(311a, 321a, 331a)가 거름체(300a)로부터 양측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우선, 거름체(320a, 330a)로부터 리브(321a, 331a)가 양측방으로 형성되되, 양측방을 향해 번갈아가며 거름체(320a, 330a)가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리브(321a) 및 제3리브(331a)가 있다. 그리고, 제1리브(311a)의 경우에, 제1거름체(310a)가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양측방으로 형성되되, 인접한 거름체(330a)측으로는 리브(331a)와 마주하는 위치에서 형성되지 않고 두 개의 리브(331a) 사이에서 인접한 거름체(330a)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00)의 내면을 향하는 면으로 형성되는 제1리브(311a)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기 결정된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교번배치된 복수 개의 제2거름체(320a) 및 복수 개의 제3거름체(330a)가 움직임에 의해 하나의 리브가 인접한 다른 거름체(300a)에 형성된 리브와의 간격이 도 1의 예시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 리브형태에 따라 체버킷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몸체
101 : 연결부
110 : 결합축
120 : 축지지부
121 : 축덮개부
200 : 구동부
210 : 모터
211 : 고정부
220 : 캠축부
230 : 로드
250 : 회동축
251 : 제1연결대
252 : 제2연결대
253 : 제3연결대
255 : 롤러
255' : 제2거름체롤러
300, 300a : 거름체
301, 301a, 301b : 축공
301c : 중복공
310, 310a : 제1거름체
311, 311a : 제1리브
313 : 제1연결부
320, 320a : 제2거름체
321, 321a : 제2리브
323 : 제2연결부
330, 330a : 제3거름체
331, 331a : 제3리브
333 : 제3연결부
A : 임의의 각
L : 동일선

Claims (12)

  1.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는 캠축부, 상기 캠축부의 캠과 일측이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을 구간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상기 구간왕복운동에 의해 소정구간 회동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와 결합축에 의해 타측이 연결되는 복수 개의 거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거름체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몸체와의 연결에 의해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에 의해 구간왕복을 하되, 나란히 배치된 상기 복수 개의 거름체는 서로 인접한 거름체와 다른 방향으로 상기 구간왕복이 되는, 체버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나란히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거름체는,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1거름체, 상기 제1거름체로부터 연장 배치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2거름체 및 하나 이상의 제3거름체를 포함하는, 체버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거름체 및 상기 제3거름체는 교번배치되는, 체버킷.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거름체는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까지 연장형성이 되고,
    상기 연장형성이 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체버킷.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복수 개의 리브는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는, 체버킷.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측과 상기 몸체와의 연결은 결합축에 의한 연결이고,
    상기 복수 개의 거름체는 상기 결합축이 삽입되는 장공형의 축공을 포함하는, 체버킷.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제1거름체, 상기 제2거름체 및 상기 제3거름체와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대, 제2연결대 및 제3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대 및 상기 제2연결대는 상기 회동축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체버킷.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거름체 및 상기 제3거름체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형의 축공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축공은 상기 결합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원심이 일치되는 중복공을 포함하는, 체버킷.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제1거름체, 상기 제2거름체 및 상기 제3거름체와 각각 롤러를 통해 연결되는 제1연결대, 제2연결대 및 제3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축의 원심, 상기 각각 롤러의 원심 및 상기 결합축의 원심이 동일직선 상에 위치되는, 체버킷.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버킷이 장착가능한, 중장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의 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구동되는, 중장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동력은 유압(流壓)을 포함하는, 중장비.
KR1020160116328A 2016-09-09 2016-09-09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KR10180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28A KR101805436B1 (ko) 2016-09-09 2016-09-09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28A KR101805436B1 (ko) 2016-09-09 2016-09-09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436B1 true KR101805436B1 (ko) 2018-01-10

Family

ID=60998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28A KR101805436B1 (ko) 2016-09-09 2016-09-09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4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230A (ja) 2003-06-27 2005-01-20 Masami Kawan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JP3730748B2 (ja) 1997-03-28 2006-01-0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ふるい装置付きスケルトンバケット
JP2015530502A (ja) 2012-10-01 2015-10-15 ポーマコ ケイワイ バケット及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0748B2 (ja) 1997-03-28 2006-01-05 株式会社泉精器製作所 ふるい装置付きスケルトンバケット
JP2005016230A (ja) 2003-06-27 2005-01-20 Masami Kawan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JP2015530502A (ja) 2012-10-01 2015-10-15 ポーマコ ケイワイ バケット及びその使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675B1 (ko) 굴삭기 버킷의 진동장치
JP2660664B2 (ja) 作業用自走車の掘削篩い選別装置
FI123997B (fi) Kauha ja sen käyttö
EP3073019B1 (en) Bucket for crushing stones and the like
KR101640387B1 (ko) 회전장치를 갖는 굴착기용 암
JP3964831B2 (ja) 油圧ショベル機用バケット
JP6429098B2 (ja) 掘削機を用いた掘削装置
KR101805436B1 (ko) 체버킷 및 이를 포함하는 중장비
CA2849890C (en) A bucket for screening and crushing inert material
KR101584163B1 (ko) 에스 씨 더블유 공법에 사용되는 지중연속벽 시공용 지반굴착장치의 굴착로드 연결밴드
EP2761101B1 (en) Bucket for screening and crushing inert material having a balancing valve
JP3730748B2 (ja) ふるい装置付きスケルトンバケット
AU2014252789B2 (en) Riddling device for riddling materials and riddling bucket comprising said device
FI124431B (fi) Tärytinlaite, kauha ja menetelmä tärytykseen
JP3140148U (ja) バケット型ふるい装置
US3421235A (en) Excavating machine
JP3699979B2 (ja) 立坑掘削ケーシング
JPH01310089A (ja) シールド掘削機
SU1013582A1 (ru) Землеройный струг-метатель
US652395A (en) Excavator.
RU129492U1 (ru) Роторный метатель
EP3339515A1 (en) Bucket and method for screening inert material
JP2524940B2 (ja) 掘削装置
CN109853648A (zh) 铰链机构以及挖掘机
SU883271A1 (ru) Землеройный рабочий орган траншейного экскава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