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626B1 - 분류 장치 및 슬랫 - Google Patents

분류 장치 및 슬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626B1
KR101804626B1 KR1020150104954A KR20150104954A KR101804626B1 KR 101804626 B1 KR101804626 B1 KR 101804626B1 KR 1020150104954 A KR1020150104954 A KR 1020150104954A KR 20150104954 A KR20150104954 A KR 20150104954A KR 101804626 B1 KR101804626 B1 KR 10180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extruded
main body
guide
sl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968A (ko
Inventor
히로키 사와다
유키 시게마쓰
Original Assignee
오쿠라 유소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쿠라 유소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쿠라 유소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4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flat surfaces, e.g. platforms, grids,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bstract

물품을 적절히 분류할 수 있는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분류 장치는,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2)을 가지는 반송수단(3)을 구비한다. 반송수단(3)에는, 슬랫(2)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5)를 설치한다. 슬랫(2)은, 복수의 통 형상 부분(40)을 가지는 본체부(41)를 가진다. 본체부(41)의 상부에는, 물품을 싣는 재치판부(42)를 설치한다. 본체부(41)의 각 통 형상부분(40)에는, 압출체(5)를 안내하는 안내부(43)를 돌출 형성한다.

Description

분류 장치 및 슬랫{SORTING DEVICE AND SLAT}
본 발명은,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장치 및 이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slat)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분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분류 장치는, 예를 들면 물품을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이 반송 수단의 각 슬랫에는, 물품을 슬랫상에서 분기 반송 수단 상으로 밀어내어 분류하는 압출체가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74638 호
그리고, 이런 종류의 분류 장치에 있어서는, 반송 수단에 의한 반송 도중에, 압출체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물품이 적절히 분류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물품을 적절히 분류할 수 있는 분류 장치 및 슬랫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슬랫은,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slat)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얹어 놓여지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슬랫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슬랫에 있어서, 안내부는, 압출체의 피안내면에 접촉하고, 이 피안내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안내판 부분과, 본체부의 통 형상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부분을 가지고, 상기 안내판 부분은, 상기 안내부의 상기 연결 부분을 통하여 상기 통 형상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슬랫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슬랫에 있어서, 안내부는, 압출체의 피안내면에 있어서의 하면 및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슬랫은,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재치되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재치판부이며, 상기 재치판부는, 상기 압출체와의 계합에 의해 이 압출체의 상기 슬랫에 대한 상하 회동을 규제하는 단부분을 짧은쪽 방향 양단측에 가지고, 상기 단부분은, 상기 재치판부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우며, 그 판두께 치수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하고 있고, 그 선단부 상면이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슬랫은,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를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재치되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세워 설치되어서 상단부가 상기 재치부에 연결된 판 형상 부분과,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곡판 형상의 상기 연결 부분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연결 부분은, 2개의 원호 형상부 및 이들 양 원호 형상부끼리를 연결하는 평판 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평판 형상부의 짧은쪽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원호 형상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각 원호 형상부의 상단부가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슬랫은,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얹어 놓여지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통 형상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가상 원 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복수의 안내판 부분을 가지며, 상기 안내판 부분은,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분류 장치는, 청구항 1, 2 및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상기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함과 함께, 상기 슬랫에 대해서 회동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랫은, 반송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압출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랫은,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얹어 놓여지는 재치부와, 본체부의 복수의 통 형상 부분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기 때문에, 물품을 적절히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따른 분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은, 상기 분류 장치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분류 장치의 슬랫(컨베이어용 슬랫)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슬랫의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c)는, 상기 분류 장치의 압출체(슈)의 회동 설명도이다.
도 6은, 상기 슬랫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슬랫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슬랫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슬랫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슬랫의 변형예 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슬랫의 변형예 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내지 (e)는, 상기 슬랫 안내부 형상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1은 분류 장치이며, 이 분류 장치(1)는, 물품(W)을 반송하면서 그 반송 도중에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슬라이드 슈(shoe)식의 반송 분류 장치이다.
분류 장치(1)는, 물품(W)을 상면에 실어 반송 방향(A)으로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2)을 가지는 반송 수단(3)과, 이 반송 수단(3)의 반송 방향(A)과 교차, 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슬랫(2)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W)을 슬랫(2) 상에서 분기부인 분기 반송 수단(4) 상으로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슈)(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슬랫(2)은, 서로 근접한 상태로 반송 방향(A)을 따라서 나란히 위치하고 있고, 또, 각 압출체(5)는, 서로 이웃하는 양 슬랫(2)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슬랫(2)에 대하여 좌우 방향(반송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반송 수단(3)은, 서로 이간 대향하는 회행 가능한 좌우 한 쌍으로 2개의 무단체인 체인(11)을 가지고 있다. 체인(11)은, 복수의 회전체인 스프로킷(sprocket, 도시하지 않음)에 걸쳐져, 구동 수단인 모터(12)로부터의 동력에 기초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행한다.
체인(11)은, 외측 링크 및 내측 링크 등으로 구성된 무단 형상의 체인 본체부(13)를 가지고 있다. 체인 본체부(13)에는, 회행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축 지지부(14)가 내측쪽(슬랫(2)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축 지지부(14)의 기단측 외주에는, 체인(11)의 회행시에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 상을 회전하면서 주행하는 구름부(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체인(11)은, 반송 수단(3)의 프레임(16)의 커버부(17)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반송 수단(3)의 양 체인(11) 사이에는, 체인(11)의 회행에 기초하여 반송 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물품(W)을 반송하는 좌우 방향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의 반송체인 슬랫(2)이 가설(架設)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각 슬랫(2)의 길이방향(반송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의 각 단부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합성수지제의 복수(예를 들면 2개)의 연결체인 부시(21)만을 사이에 두고, 체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체인(11)과 슬랫(2)이, 통 형상 부재인 부시(1 종류의 부품)(21)만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부시(핀 부시)(21)는, 양 단면 개구 형상의 원통 형상부(22)를 가지고, 이 원통 형상부(22)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축 방향 중간부에는, 위치 결정용 링 형상의 플랜지부(2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원통 형상부(22)의 내측에는 끼워 맞춤 구멍부분(24)이 형성되고, 이 끼워맞춤 구멍부(24)에 체인(11)의 축 지지부(핀)(14)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 삽입되어 있다.
한편, 압출체(5)는, 반송 방향(A)으로 서로 이웃하는 전후 슬랫(2)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 양 슬랫(2)에서 끼워 지지된 피협지부(31)를 가지고 있다. 피협지부(31)의 전후면에는, 상방 측을 향한 단면 4분의 1 원 형상(대략 4분의 1 원 형상을 포함함)의 원호 형상면(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피협지부(31)의 상부에는, 슬랫(2) 상에 실린 물품(W)의 측면에 접촉하여 이 물품(W)을 슬랫(2) 상에서 분기 반송 수단(4) 상으로 밀어내는 압출부(33)가 설치되어 있다. 피협지부(31)의 하부에는, 안내 수단(37)으로 안내되는 피안내부(34)가 설치되고, 이 피안내부(34)는 베어링(35) 및 핀(3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 수단(37)은, 압출체(5)의 피안내부(34)를 반송 방향(A)을 따라서 안내하는 직진 안내 레일(38)과, 압출체(5)의 피안내부(34)를 반송 방향(A)에 대하여 경사하는 방향을 따라서 안내함으로써 그 압출체(5)를 슬랫(2)에 대하여 반송 방향(A)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분기 안내 레일(39)을 가지고 있다(도 1 참조).
또, 분기 안내 레일(39)의 안내 시작 단부의 상류에는, 압출체(5)의 피안내부(34)를 직진 안내 레일(38) 측으로 그대로 직진시키든지, 그 피안내부(34)의 이동 방향을 분기 안내 레일(39) 측으로 전환하는지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전환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환 수단은, 예를 들면 피안내부(34)를 안내하는 회동 안내체 및 이 회동 안내체를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회동시키는 구동체(로터리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랫(2)은, 복수, 즉 예를 들면 서로 이간 대향하는 전후 2개의 좌우 방향 직사각형 형상으로 원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40)을 가지는 본체부(41)와, 이 본체부(41) 상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물품(W)이 상면 상에 얹어 놓여 지는 좌우 방향 직사각형 형상으로 사각형 판 형상의 재치부인 재치판부(42)와, 본체부(41)의 각 통 형상 부분(40)의 외주면에 바깥쪽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슬라이딩 시 및 회동시에 압출체(5)를 안내하는 좌우 방향 직사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상의 안내부(43)를 가지고 있다.
즉, 각 슬랫(2)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등 금속의 압출 성형에 의하여 얇은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긴 물체이며, 본체부(41)와 재치판부(42)와 안내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재치판부(42)는, 압출체(5)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이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상하 회동을 규제하는 짧은 쪽 방향 양 단측의 단부분이 다른 부분(짧은 쪽 방향의 양 단부분을 제외한 중간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재치판부(42)는, 좌우 방향 직사각형 형상으로 사각형 판 형상의 재치판 본체 부분(46)과, 이 재치판 본체 부분(46)의 짧은 쪽 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어, 그 얇은 형상의 재치판 본체 부분(46)보다 두껍게 형성된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치판 본체 부분(46)의 판 두께 치수는, 이 재치판 본체 부분(46) 전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게,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의 판 두께 치수보다 작다. 한편,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의 판 두께 치수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하고 있고, 이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의 선단부 상면이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재치판 본체 부분(46)의 짧은 쪽 방향 단부의 상면과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의 상면은,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속하고 있지만, 재치판 본체 부분(46)의 짧은 쪽 방향 단부의 하면과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의 하면과의 사이에는 단차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재치판 본체 부분(46)은, 물품(W)의 하면과 접촉하는 상방 팽출 형상이며 단면 반원 형상(대략 반원 형상을 포함함)의 2개의 원호 형상부(46a)를 가지고, 이들 양 원호 형상부(46a)끼리가 곡판 형상의 연결판부(46b)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압출체(5)는, 슬랫(2)에 대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동작을 행한다. 도 5(a)는 슬랫(2)이 스프로킷에 이르렀을 때(이동 방향 변경시)에 캐리어측 또는 리턴측으로 진행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슬랫(2)이 반송 방향 또는 리턴측에서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5(c)는 슬랫(2)이 리턴 측의 카테나리(catenary)를 통과할 때(이동 방향 변경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에서는, 슬랫(2)의 재치판부(42)의 회동 규제용 단부분(47)과 압출체(5)의 압출부(33)와의 접촉 걸어맞춤 및 안내부(43)와의 접촉에 의해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회동이 규제된다.
도 5(b)에서는, 슬랫(2)의 재치판부(42)의 회동 규제용 단부분(47)과 압출체(5)의 피협지부(31)와의 접촉 걸어맞춤 및 원호 형상부(46a)의 압출부(33)와의 접촉 및 안내부(43)와 피협지부(31)와의 접촉에 의해, 압출체(5)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슈인 압출체(5)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에 안내판 부분(55)에 접촉함으로써, 그 압출체(5)의 기울어짐(덜거덕 거림)이 방지된다.
도 5(c)에서는 슬랫(2)의 재치판부(42)의 회동 규제용 단부분(47)과 압출체(5)의 피협지부(31)의 받이부와의 접촉 걸어맞춤 및 원호 형상부(46a)와 압출부(33)와의 접촉 및 안내부(43)와 피협지부(31)와의 접촉에 의해,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회동이 규제된다.
기체부(基體部)인 본체부(41)는, 반송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축 방향을 가지는 서로 평행한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양 단면 개구 형상의 원통 형상을 이루는 통 형상 부분(40)과, 이들 2개의 통 형상 부분(40)끼리를 연결하는 곡판 형상의 연결 부분(51)과, 각 통 형상 부분(40)의 상단부에 세워 설치되어 상단부가 재치판부(42)의 재치판 본체 부분(46)의 원호 형상부(46a)의 하면에 연결된 평판 형상의 판 형상 부분(52)을 가지고 있다.
통 형상 부분(40)은, 수평인 중심축선(축심) X를 중심으로 하는 진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슬랫(2)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길이방향 타단에 걸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통 형상 부분(40)의 축 방향의 각 단부의 내주 측에는 부시(21)의 원통 형상부(22)가 삽입되어 끼워 부착되고, 또 플랜지부(23)가 통 형상 부분(40)의 단면에 접촉하며, 이 접촉에 의해 부시(21)가 통 형상 부분(4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 이 위치 결정된 부시(21)의 끼워맞춤 구멍부(24)에는, 체인(11)의 축 지지부(14)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복수매 슬랫(2)의 각각은,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부시(21)만을 통하여 체인(1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슬랫(2)은, 양 체인(11) 사이에 부시(21)만을 통하여 가설되어 있다.
연결 부분(51)은, 단면 4분의 1 원 형상(대략 4분의 1 원 형상을 포함함)의 2개의 원호 형상부(51a)를 가지고, 이들 양 원호 형상부(51a)끼리가 평판 형상의 평판 형상부(51b)로 연결되어 있다. 평판 형상부(51b)는, 2개의 중심축선 X를 연결한 수평인 선 L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이 평판 형상부(51b)의 짧은 쪽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원호 형상부(51a)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이 각 원호 형상부(51a)의 상단부가 통 형상 부분(4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각 안내부(43)의 복수의 안내판 부분(55)은, 슬랫(2)에 대한 압출체(5)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즉,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슬라이딩시에는, 압출체(5)는, 안내부(43)와 재치판부(42)의 원호 형상부(46a)로 안내되면서 반송 방향(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랫(2)에 대하여 좌우 슬라이딩한다. 또,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회동시에는, 압출체(5)는, 안내부(43)로 안내되면서 통 형상 부분(40)의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여 슬랫(2)에 대하여 회동 슬라이딩한다.
또, 각 안내부(43)는, 본체부(41)의 통 형상 부분(40)의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 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압출체(5)를 안내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고, 이 각 안내판 부분(55)의 원호 방향 중앙부(폭 방향 중앙부)가, 통 형상 부분(40)의 지름 방향을 따른 평판 형상의 연결 부분(56)을 통하여 통 형상 부분(40)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2개의 안내판 부분(55) 중 한쪽 안내판 부분(55)은, 통 형상 부분(4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한 연결 부분(56)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그 통 형상 부분(4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2개의 안내판 부분(55) 중 다른 쪽 안내판 부분(55)은, 통 형상 부분(40)의 외측 단부로부터 돌출한 연결 부분(56)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그 통 형상 부분(40)의 외측 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양 안내판 부분(55)은, 압출체(5)의 피협지부(31)의 원호 형상면(32)과 면 형상으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한편, 원호 형상의 안내판 부분(55)의 원호 중심각은, 피협지부(31)의 원호 형상면(32)의 원호 중심각보다 작고, 예를 들면 대략 60도이다.
다음으로, 분류 장치(1)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물품(W)이 반송 수단(3) 상에 공급되면, 그 물품(W)은, 반송 방향(A)을 향하여 이동중 슬랫(2)의 재치판부(42) 상에 얹어 놓여져 반송 방향(A)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물품(W)이 분기 반송 수단(4) 상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 물품(W)은, 압출체(5)로 밀어내지 않고, 슬랫(2)에서 그대로 반송 방향(A)으로 반송된다.
한편, 물품(W)이 분기 반송 수단(4) 상으로 분류되는 것인 경우에는, 그 물품(W)은, 슬랫(2)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딩하는 압출체(5)에서 반송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밀어내어, 슬랫(2) 상으로부터 분기 반송 수단(4) 상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분류 장치(1)에 의하면, 반송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하여, 분류해야 할 물품(W)을 적절히 분류할 수 있다.
또, 슬랫(2)의 재치판부(42)는, 압출체(5)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이 압출체(5)의 슬랫(2)에 대한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이 재치판 본체 부분(46)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동 규제용 단부분(47)에서 압출체(5)의 회동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고, 압출체(5)의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슬랫(2)의 안내부(43)는,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 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한 단면 원호 형상의 복수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기 때문에, 압출체(5)를 슬랫(2)에 대하여 중심축선 X를 중심으로 원활히 회동시킬 수 있다.
또, 슬랫(2)은, 그 대략 전체(예를 들면 슬랫(2) 중 회동 규제용 단부분 (47) 이외의 부분)가 얇은 형상, 즉 예를 들면 판 두께 치수가 1.5㎜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슬랫(2)의 중량이 가볍고, 용이하게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슬랫(2)과 체인(11)이 염가의 부시(21)만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구성이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슬랫(2) 본체부(41)가 복수의 통 형상 부분(40)을 가지기 때문에, 슬랫(2)은 얇은 형상이라도 원하는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슬랫(2) 변형 등의 불편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랫(2) 본체부(41)는, 복수의 통 형상 부분(40)끼리를 연결하는 곡판 형상의 연결 부분(51)을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연결 부분에서 양 통 형상 부분(40)끼리를 연결한 구성 등에 비해, 강도가 강할 뿐만 아니라, 원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40)의 원의 정밀도가 양호하다.
예를 들면 도 6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에 의하여 슬랫(2)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의 단면도이며, 이 도면 중 60은 금속 소재를 넣을 수 있는 용기에 대하여 고정된 고정 금형으로, 61은 제 1 코어이며, 62는 제 2 코어이다.
그리고, 원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40) 중, 고정 금형(60)과 제 1 코어(61)과의 사이의 빈틈(도 6중, 세로줄을 실시한 부분)(a)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그 빈틈(a)으로부터 금속 소재가 안정되게 압출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가 나온다.
한편, 원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40) 중, 제 1 코어(61)과 제 2 코어(62)과의 사이의 빈틈(도 6중, 가로선을 실시한 부분)(b)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그 빈틈(b)으로부터의 금속 소재의 압출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가 나오기 어렵다.
따라서, 빈틈(a)를 길게 하고, 빈틈(b)를 짧게 함으로써, a와 b를 합한 통 형상 부분(40) 전체로서의 원의 정밀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이러한 것 때문에, 슬랫(2)의 본체부(41)의 연결 부분(51)은, 상방 측으로 구부러진 짧은 쪽 방향 양 단측의 원호 형상부(51a)와 이들 양 원호 형상부(51a) 사이의 평판 형상부(51b)로 이루어지는 곡판 형상으로 되어 있며, 그 결과, 원통 형상의 각 통 형상 부분(40)의 원의 정밀도가 양호하다.
한편, 슬랫(2)은,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형상이라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슬랫(2)에서는, 본체부(41)의 통 형상 부분(40)이 다각 통 형상, 예를 들면 4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예를 들면 통 형상 부분(40)을 타원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슬랫(2)에서는, 각 안내부(43)가, 단면 원호 형상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지 않고, 단면 정사각형 형상의 안내 부분(71)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안내 부분(71)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이나 원형 형상 등이라도 좋다.
도 9에 나타내는 슬랫(2)에서는, 본체부(41)의 통 형상 부분(40)이, 둘레방향의 복수개소에 절결부를 가지는 불연속인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각 통 형상 부분(40)에 돌출 형성된 안내부(43)가, 단면 ㄷ자 형상의 안내 부분(7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안내 부분(72)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U자 형상이나 V자 형상이라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연속한 통 형상의 통 형상 부분(40)의 외주면에 안내 부분(72)을 돌출 형성해도 좋다.
도 10에 나타내는 슬랫(2)에서는, 각 안내부(43)가, 단면 반원 형상(대략 반원 형상을 포함함)을 이루는 1개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슬랫(2)에서는, 각 안내부(43)가 복수, 예를 들면 2개의 단면 원호 형상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고, 이 각 안내판 부분(55)의 원호 방향 단부가 연결 부분(56)을 통하여 통 형상 부분(40)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 부분(56)은 판 형상이 아니고, 단면 삼각형 형상 등이라도 좋다.
또, 예를 들면 강도 향상을 위해서 슬랫(2)의 재치판부(42)의 전체가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고, 이 두꺼운 형상의 재치판부(42)가 본체부(41)의 통 형상 부분(40)의 상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체부(41)의 연결 부분(51)이 선 L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연결 부분(51)의 평판 형상부(51b)가 선 L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연결 부분(51)의 평판 형상부(51b)의 짧은 쪽 방향 단부로부터 원호 형상부(51a)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하여 연장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또, 예를 들면 원호 형상부(51a) 대신에 경사 형상부가 연장하여 통 형상 부분(40)의 상부에 연결된 구성 등이라도 좋다.
한편, 도 12는, 슬랫(2)의 안내부(안내체)(43)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칙으로서 슬랫(2)의 안내부(43)는, 압출체(5)의 원호 형상면(피안내면)(32)에 있어서의 하면 및 측면에 접촉하여 지지해 두고 싶다.
도 12(b) 및 (c)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은, 정반대 회동시(상하 회동시)에 압출체(5)와 접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영역이다. 한편, 도 12(b) 중 α는 예를 들면 대략 23도이며, 도 12(c) 중 β는 예를 들면 대략 5도이다.
그리고, 이들 양 사선 부분을 합체시켜, 최저, 도 12(d)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도 12(d)에 나타내는 사선 부분의 길이방향에 조금 예비를 가지게 하여, 도 12(e)에 나타내는 안내부(43)가 완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안내부(43)가 2개의 소정 길이의 안내판 부분(55)을 가지기 때문에, 압출체(5)의 부상(浮上), 빠짐 및 덜커덩 거림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를 적당히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분류 장치
2. 슬랫
3. 반송 수단
5. 압출체
11. 무단체인 체인
14. 축 지지부
21. 연결체인 부시
32. 피안내면인 원호 형상면
40. 통 형상 부분
41. 본체부
42. 재치부인 재치판부
43. 안내부
51. 연결 부분
51a. 원호 형상부
51b. 평판 형상부
52. 판 형상 부분
55. 안내판 부분
56. 연결 부분
W. 물품

Claims (8)

  1.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slat)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얹어 놓여지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압출체의 피안내면에 접촉하고, 이 피안내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안내판 부분과,
    본체부의 통 형상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부분을 가지고,
    상기 안내판 부분은, 상기 안내부의 상기 연결 부분을 통하여 상기 통 형상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부는, 압출체의 피안내면에 있어서의 하면 및 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4.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재치되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에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는, 직사각형 형상의 재치판부이며,
    상기 재치판부는, 상기 압출체와의 계합에 의해 이 압출체의 상기 슬랫에 대한 상하 회동을 규제하는 단부분을 짧은쪽 방향 양단측에 가지고,
    상기 단부분은, 상기 재치판부의 다른 부분보다 두꺼우며, 그 판두께 치수가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감소하고 있고, 그 선단부 상면이 만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5.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를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 및 이들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재치되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의 각각에 세워 설치되어서 상단부가 상기 재치부에 연결된 판 형상 부분과,
    상기 복수의 통 형상 부분끼리를 연결하는 곡판 형상의 상기 연결 부분을 가지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연결 부분은, 2개의 원호 형상부 및 이들 양 원호 형상부끼리를 연결하는 평판 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평판 형상부의 짧은쪽 방향의 각 단부로부터 상기 원호 형상부가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각 원호 형상부의 상단부가 상기 통 형상 부분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6. 물품을 반송하는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는 분류 장치에 이용되는 슬랫으로서,
    복수의 통 형상 부분을 가지는 본체부와,
    이 본체부에 설치되어, 물품이 얹어 놓여지는 재치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통 형상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가상 원 상에 간격을 두고 나란히 위치하여 상기 압출체를 안내하는 단면 원호 형상의 복수의 안내판 부분을 가지며,
    상기 안내판 부분은, 상기 슬랫에 대한 상기 압출체의 슬라이딩 및 회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수의 슬랫을 가지는 반송 수단과,
    이 반송 수단의 상기 슬랫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물품을 밀어내어 분류함과 함께, 상기 슬랫에 대해서 회동하는 복수의 압출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랫은, 반송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압출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장치.
  8. 삭제
KR1020150104954A 2014-09-24 2015-07-24 분류 장치 및 슬랫 KR101804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3572 2014-09-24
JP2014193572A JP5743361B1 (ja) 2014-09-24 2014-09-24 仕分装置およびスラ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68A KR20160035968A (ko) 2016-04-01
KR101804626B1 true KR101804626B1 (ko) 2017-12-04

Family

ID=5353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954A KR101804626B1 (ko) 2014-09-24 2015-07-24 분류 장치 및 슬랫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743361B1 (ko)
KR (1) KR101804626B1 (ko)
CN (1) CN105438806B (ko)
SG (1) SG10201506045VA (ko)
TW (1) TWI5762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8740A (zh) * 2018-04-20 2018-08-24 上海利来链条有限公司 一种链板模块
JP7229760B2 (ja) * 2018-12-26 2023-02-28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CN110404781A (zh) * 2019-09-02 2019-11-05 郑晓伟 一种残管分拣装置
KR102425593B1 (ko) * 2022-03-18 2022-07-27 인터랩스 주식회사 수직형 물품 분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638A (ja) * 2001-03-15 2002-09-25 Okura Yusoki Co Ltd 搬送仕分け装置
JP2002370820A (ja) 2001-06-13 2002-12-24 Okura Yusoki Co Ltd 搬送仕分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1948A (en) * 1965-05-31 1967-06-14 Scale Specialities Inc Conveyor switching device
US5333715A (en) * 1991-12-16 1994-08-02 Fki Industries, Inc. Sorting conveyor system and divert switch and crossover switch for said system
JP2952119B2 (ja) * 1992-10-09 1999-09-20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JP2929408B2 (ja) * 1993-11-30 1999-08-03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JPH09175645A (ja) * 1995-10-24 1997-07-08 Meidensha Corp 仕分け機
US6860376B1 (en) * 2002-04-08 2005-03-01 Intelligrated, Inc. Sortation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DE602004008581T2 (de) * 2003-02-07 2008-05-21 Intelligrated, Inc., Mason Latten-sortierförderer
JP4311121B2 (ja) * 2003-08-05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CN2695412Y (zh) * 2004-03-09 2005-04-27 湖州德马物流系统工程有限公司 物流配送板条输送机的滑动推块
JP4650306B2 (ja) * 2006-03-15 2011-03-16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KR101237315B1 (ko) * 2006-03-15 2013-02-2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반송설비
KR101508031B1 (ko) * 2010-07-07 2015-04-06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분류 수단
CA2809233A1 (en) * 2010-08-27 2012-03-01 Dematic Corp.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JP6258217B2 (ja) * 2011-12-23 2018-01-10 デマテ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Dematic Corp. ソータのスラットアタッチメン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638A (ja) * 2001-03-15 2002-09-25 Okura Yusoki Co Ltd 搬送仕分け装置
JP2002370820A (ja) 2001-06-13 2002-12-24 Okura Yusoki Co Ltd 搬送仕分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38806B (zh) 2018-08-07
TWI576298B (zh) 2017-04-01
JP2016064881A (ja) 2016-04-28
CN105438806A (zh) 2016-03-30
JP5743361B1 (ja) 2015-07-01
TW201612084A (en) 2016-04-01
SG10201506045VA (en) 2016-04-28
KR20160035968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626B1 (ko) 분류 장치 및 슬랫
JP4311121B2 (ja) 転換設備
CN102202990B (zh) 用于物品输送机的链条
EP2451730B1 (en) Belt conveyor with a centring assembly
US7530450B2 (en) Station for supporting a conveyor belt, and a conveyor including it
KR20120135272A (ko) 분절된 신장 워크피스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장치
US6382399B2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JP2001139122A (ja) 輸送装置
JP2009537425A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RU2369551C2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9146179B2 (en) Test piece transfer apparatus
US9555973B2 (en) Conveyor and method of producing a conveyor
EP2103555B1 (fr) Convoyeur équipé de supports pour le montage d' éléments tels qu'un rail de guidage latéral de charges
FR2761924A1 (fr) Dispositif d'insertion de bandes de papier dans une machine rotative a imprimer
US20020014394A1 (en) Conveyor, in particular an accumulating roller conveyor
US9637317B2 (en) Conveyor belt idler systems
JP2017159987A (ja) 仕分装置および案内ユニット
JP5550037B2 (ja) 搬送装置
JP5224724B2 (ja) 仕分装置
KR102169863B1 (ko) 타이어 층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및 방법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JP6691427B2 (ja) 案内装置および仕分装置
JP6787062B2 (ja) ストリップ巻回体形成装置
US11780678B1 (en) Modular conveyor belt with retained rollers
JP2006298651A (ja) 紙葉搬送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