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39B1 - 브리켓 장치 - Google Patents

브리켓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539B1
KR101804539B1 KR1020137002208A KR20137002208A KR101804539B1 KR 101804539 B1 KR101804539 B1 KR 101804539B1 KR 1020137002208 A KR1020137002208 A KR 1020137002208A KR 20137002208 A KR20137002208 A KR 20137002208A KR 101804539 B1 KR101804539 B1 KR 10180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driving
detector
hopp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717A (ko
Inventor
타케히코 히노
료우마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ocketed rollers, e.g. two co-operating pocket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5Control arrangements
    • B30B11/006Control arrangements for rolle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3/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 B30B3/04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rotary pressing members, e.g. rollers, rings, discs co-operating with one another, e.g. with co-operating c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는, 브리켓의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링의 외주면상의 포켓을 합치시킬 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10)는 제 1 롤(12) 및 제 2 롤(14)을 포함한다. 각각은 링 형상이다. 제 1 롤의 회전 축선 및 제 2 롤의 회전 축선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롤은 그 외주면에 포켓(28, 30)을 가지고 있어, 원료가 제 1 롤의 포켓 및 제 2 롤의 포켓 사이에서 압축된다.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10)는,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16)와,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 1 롤에 전달하는 제 1 커플링부(18)와, 제 2 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롤측 회전 부재(64)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롤측 회전 부재(64)의 회전 방향으로 롤측 회전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기구(86)와,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제 2 롤에 전달하는 제 2 커플링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브리켓 장치{BRIQUETTE MACHINE}
본 발명은, 브리켓을 제조하는 브리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퍼로부터 공급된 원료를 가압함으로써 원료를 고화하여 브리켓을 형성하는 한 쌍의 롤을 포함하는 브리켓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9-19289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6-55299호
그러나, 상기 브리켓 장치는 이하의 문제점을 갖는다. 즉, 롤의 각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 브리켓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브리켓에 어긋남이나 버(burr)가 발생하기 쉬워, 브리켓의 품질이 저하된다.
하나의 롤의 포켓을 다른 롤의 포켓에 합치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롤의 위치를 재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통상, 롤은 롤을 둘러싸는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롤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것은 롤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작업을 필요로 한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브리켓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하나의 롤의 포켓을 다른 롤의 포켓에 합치시키는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리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는, 각각 링 형상인 제 1 롤 및 제 2 롤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1 롤의 회전 축선 및 상기 제 2 롤의 회전 축선을 가지며, 각각 그 외주면(outer surface)에 포켓을 가지고 있어, 원료가 상기 제 1 롤의 포켓과 상기 제 2 롤의 포켓 사이에서 압축되는, 제 1 롤 및 제 2 롤과,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 1 롤에 전달하는 제 1 커플링부와, 상기 제 2 롤과 일체로 회전하는 롤측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대한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기구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 2 롤에 전달하는 제 2 커플링부를 구비하고 있다(이하, 제 1 발명이라 함).
제 1 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과 제 2 롤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포켓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 제 1 발명의 구조를 갖는 브리켓 장치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대해 롤측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롤측 회전 부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롤의 포켓을 제 2 롤의 포켓에 합치시킬수 있다. 이 위치 조절은 제 2 커플링부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 조절 기구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는 제 1 롤의 포켓과 제 2 롤의 포켓이 합치된 상태에서, 이 양 포켓의 협동 작업에 의해 원료를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의 품질이 유지된다.
또한, 제 1 커플링부 및 제 2 커플링부는, 통상 프레임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커플링부에 위치 조절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포켓을 합치시킬 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발명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위치 조절 기구가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중심에서 봤을 때 반경 방향 외측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변형된다. 상기 위치 조절 기구는,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접선 방향 또는 반경 방향에 평행하게 그 축선이 놓이도록 배치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선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롤측 회전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피가압부(pressed portion)로서,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됨에 따라 상기 볼트의 선단부에 의해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접선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는 피가압부를 포함한다(이하, 제 2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롤의 측면의 포켓이 합치되지 않는 경우,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 양 포켓을 합치시킬 수 있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먼저, 볼트의 회전량과,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대한 롤측 회전 부재의 회전량 사이의 수치 상관 관계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제 1 롤 및 제 2 롤에 의해 형성된 브리켓으로부터 얻어진 포켓의 어긋남량과, 상술한 상관 관계에 기초하여, 필요한 볼트의 회전량이 산출된다. 이와 같이 산출된 회전량에 의해 볼트를 회전시켜 볼트가 너트에 나사결합되면, 볼트의 단부에 의해 피가압부가 롤측 회전 부재의 접선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런 다음, 롤측 회전 부재가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대해 회전되어, 양 측면의 포켓이 합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료를 압축함으로써 형성된 브리켓을 조사하여 포켓을 합치시키는 작업에 비해, 양 포켓을 합치시키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이는 본 발명의 포켓을 합치시키는 작업이 브리켓의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 2 발명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위치 조절 기구가,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 내측 및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3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위치 조절 기구는, 롤측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 내측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외주면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롤측 회전 부재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가 회전하는 동안, 위치 조절 기구가 롤측 회전 부재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 외측의 대상물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제 2 및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제 1 롤 또는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축부를 지지하는 고정측 베어링 유닛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축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측 베어링 유닛과,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 및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와,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로서, 상기 제 1 롤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상기 제 1 롤의 반경과 상기 제 2 롤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상기 제 2 롤의 반경과 공통인 라인의 방향으로 그 축선이 위치결정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측에 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를 갖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과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과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기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압력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4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는 실린더 로드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의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된다.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기초하여,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변동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피더 스크류가 상기 원료를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5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피더 스크류가 원료를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된다.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기초하여,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변동하면, 압력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을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검출기가 압력 검출기인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6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는, 전류값에 의해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압력을 검출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구동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7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기초하여,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변동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의 구동 전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을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발명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검출기가 전류 검출기인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8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는, 압력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저비용이다.
제 1, 제 2 및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구동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9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예컨대, 구동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된다. 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따라,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변동하면, 소비 전력이 증가 또는 감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롤 및 제 2 롤 사이의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을 균일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9 발명에 따른 브리켓 장치는, 상기 검출기가 전력 검출기인 것으로 변형된다(이하, 제 10 발명이라 함).
이 브리켓 장치는, 압력 검출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저비용이다. 또한,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전류 검출기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소비 전력 검출기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에 따르면, 브리켓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동시에, 포켓을 합치시킬 때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브리켓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제 1 롤 및 제 2 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호퍼 및 피더 스크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제 1 롤 및 그 주변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 2 커플링부 및 그 주변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제 2 커플링부를 F-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브리켓 장치와는 다른 브리켓 장치의 고정 롤 및 가동 롤과 그 주변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고정 롤 및 가동 롤과 그 주변부의 일부 단면을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 동작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제 1 변형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의 브리켓 장치의 제 2 변형예이다.
도 15는 도 1의 위치 조절 기구의 변형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브리켓 장치(10)는, 제 1 롤(12), 제 2 롤(14), 구동부(16), 제 1 커플링부(18), 제 2 커플링부(20), 호퍼(22), 피더 스크류(24), 및 가변속 제어 모터(2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롤(12) 및 제 2 롤(14)은, 프레임(27)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롤(12) 및 제 2 롤(14) 모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 축선(L1, L2)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롤(12) 및 제 2 롤(14) 각각의 외주면(12A, 14A)에는, 복수의 포켓(28, 30)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롤(12)의 복수의 포켓(28)과, 제 2 롤(14)의 복수의 포켓(30)은, 롤의 링 형상의 둘레 방향을 따라 합치되도록, 각각 외주면(12A 및 14A)에서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6)는, 구동 모터(32)와, 감속기(34)를 구비하고 있다. 감속기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출력축(36, 38)을 포함한다. 제 1 커플링부(18)는, 일방의 출력축(36)을 제 1 롤(12)에 연결한다. 제 2 커플링부(20)는, 타방의 출력축(38)을 제 2 롤(14)에 연결한다.
호퍼(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롤(12) 및 제 2 롤(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피더 스크류(24)는, 호퍼(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피더 스크류(24)의 상방에는 종동 기구(39)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16)가 구동되면, 브리켓 장치(10)는, 제 1 커플링부(18) 및 제 2 커플링부(20)를 통해 제 1 롤(12) 및 제 2 롤(14)에 각각 전달되는 구동부(16)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제 1 롤(12) 및 제 2 롤(14)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가변속 제어 모터(26)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종동 기구(39)를 통해 피더 스크류(24)에 전달되어, 피더 스크류(24)가 회전되며 호퍼(22) 내의 원료가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로 밀어 내려진다. 그런 다음, 포켓(28 및 30)의 협동 작업에 의해 압축되어 고화된 원료로부터 브리켓이 생성된다.
제 1 롤(12)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부재(40)의 외주면(40A)에 고정 부재(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1 롤(12)의 축 방향 각 측의 회전축 부재(40)에는, 제 1 롤(12)과 동축인 축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부(44) 각각은, 가동측 베어링 유닛(4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롤(12)보다 제 1 커플링부(18)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일방의 축부(44)에는, 롤측 연결부(48)가 동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 괄호 내의 부호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롤(12)과 마찬가지로, 제 2 롤(14)은, 회전축 부재(50)의 외주면(50A)에 고정 부재(5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 2 롤(14)의 축 방향 각 측의 회전축 부재(50) 각각에는, 제 2 롤(14)과 동축인 축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부(54) 각각은, 고정측 베어링 유닛(5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2 롤(14)보다 제 2 커플링부(2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일방의 축부(54)에는, 롤측 연결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플링부(2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롤측 고정 부재(62)와, 롤측 회전 부재(64)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와, 구동부측 고정 부재(68)와, 슬리브(67, 69)를 포함한다. 이들 부재는, 동축으로 또는 서로 평행한 상이한 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측 회전 부재(66)는, 롤측 연결부(58)와 동축으로 또는 상이한 축, 즉 롤측 연결부(58)의 축에 평행한 축을 갖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측 회전 부재(66)는 롤측 연결부(58)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롤측 고정 부재(62)는, 롤측 연결부(58)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롤측 회전 부재(64)는, 롤측 고정 부재(62)에 걸림결합된 슬리브(67)에 볼트(70) 및 너트(72)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롤측 회전 부재(64)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위치에 대해 변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측 고정 부재(68)는, 구동부(16)의 출력축(38)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동부측 회전 부재(66)는, 구동부측 고정 부재(68)에 걸림결합된 슬리브(69)에 볼트(74) 및 너트(76)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롤측 회전 부재(64)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는, 볼트(78) 및 너트(80)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볼트(78)가 삽입 통과되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구멍(82)은, 원형이며, 볼트(78)가 삽입 통과되는 롤측 회전 부재(64)의 구멍(8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측 회전 부재(6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이다. 따라서, 볼트(78) 및 너트(80) 사이의 체결이 느슨해지면, 롤측 회전 부재(6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 내에서 볼트(78)가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롤측 회전 부재(64)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롤측 회전 부재(64)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위치에 대해 변위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커플링부(20)에는, 롤측 회전 부재(64)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66) 각각의 외주면(64A, 66A)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 조절 기구(86)가 위치되어 있다. 위치 조절 기구(86)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88)와, 볼트(90)와, 피가압부(92)를 포함한다.
롤측 회전 부재(64)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개구되는 오목부(94)를 가지며, 이 오목부 내에 너트(88) 및 볼트(90)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88)는, 제 2 커플링부(20)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고정 핀(96, 98)을 갖는다.
일방의 고정 핀(96)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형성된 걸림결합 구멍(100)에 걸림결합되어 있으며, 타방의 고정 핀(98)은, 슬리브(67)의 플랜지부(101)에 형성된 걸림결합 구멍(102)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너트(88)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 및 슬리브(67)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너트(88)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서의 회전 중심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축이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접선 방향이다. 볼트(90)는, 너트(88)에 걸림결합되어 있다.
피가압부(9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94)의 내벽부에 의해 형성되어 오목부(94)의 일부를 이룬다. 피가압부(92)는 롤측 회전 부재(6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피가압부(92)는 볼트(90)의 단부에 의해 가압된다.
위치 조절 기구(86)에 있어서, 볼트(90)가 너트(88)에 나사결합되면, 볼트(90)의 나사결합량에 비례하여 볼트(90)의 단부에서 롤측 회전 부재(64)의 접선 방향으로 가압력(F)이 발생된다. 따라서, 너트(78) 및 볼트(80) 사이의 체결이 느슨해진 상태에서, 볼트(90)가 너트(88)에 나사결합되면,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위치에 대해 롤측 회전 부재(64)의 회전 방향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측 베어링 유닛(46)은, 고정측 베어링 유닛(56)에 대해 제 1 롤(12) 및 제 2 롤(14)의 반경 방향(X-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고정측 베어링 유닛(56)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 고정측 베어링 유닛(56) 및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에는,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10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롤(12)과 제 2 롤(1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틈새는,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104)의 폭에 의해 조절된다.
가동측 베어링 유닛(46)을 사이에 두고 고정측 베어링 유닛(56)의 반대측에는, 유압 실린더(10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유압 실린더(106)는, 그 축선이 제 1 롤(12)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제 1 롤(12)의 반경 및 제 2 롤(14)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제 2 롤(14)의 반경과 공통인 라인의 방향으로 위치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106)는, 실린더 본체(108)와, 실린더 로드(110)를 갖고 있다. 실린더 본체(108)는, 고정측 베어링 유닛(56),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제 1 롤(12), 제 2 롤(14) 등을 포함하는 하우징(11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110)는,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 피스톤부(114)를 갖고 있으며, 이 피스톤부(114)는, 실린더 본체(108)에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110)의 일단에는, 나사부(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부(116)는, 조절 너트(118)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조절 너트(118)는, 실린더 본체(108)에서의 하우징(112)과 반대측의 벽면에 접촉된다. 이 나사부(116)와 조절 너트(118)는, 위치 조절부(120)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나사부(116)와 조절 너트(118)의 나사결합량을 제어함으로써, 실린더 로드(110)의 축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가동측 베어링 유닛(46)에서의 고정측 베어링 유닛(56)과 반대측에 위치결정된 측벽부에는, 압력 검출기(12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압력 검출기(124)는,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은, 압력 검출기(124)에 접촉된다.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에 생성된 압력은, 압력 검출기(124)에 의해 검출된다. 압력 검출기(1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가산기 및 증폭기를 통해 제어부(126)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브리켓 장치(10)는,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104)에 의해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설정된 틈새를 갖는다. 이때,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의 위치가 압력 검출기(124)에 접촉하도록 조절된다. 이때, 압력 검출기(1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없다. 다음으로, 실린더 본체(108)에서의 피스톤부(114)의 일측에 구동유를 주입함으로써, 실린더 로드(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원료가 공급되어,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에 발생한 압력이 압력 검출기(124)에 의해 검출된다. 압력에 대응하는 신호는, 가산기 및 증폭기(미도시)를 통해 제어부(126)에 입력된다(도 11의 단계 S1).
제어부(126)는, 압력 검출기(124)에 의한 검출값이 규정 범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11의 단계 S2). 검출값이 규정 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유지된다.
제어부(126)가, 압력 검출기(124)에 의한 검출값이 규정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도 11의 단계 S3),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감소되도록 가변속 제어 모터(26)가 제어된다(도 11의 단계 S4). 검출값이 규정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증가되도록, 가변속 제어 모터(26)가 제어된다(도 11의 단계 S5).
예컨대,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삽입되는 원료에 혼입된 일부 이물질로 인해,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임의의 이상 초과 압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초과 압력에 의한 충격이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라이너(122), 및 압력 검출기(124)를 통해 실린더 로드(110)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실린더 로드(110)가 유압의 저항력에 대항하여 이동됨으로써 그 충격이 흡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얻어진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롤(12) 및 제 2 롤(14) 각각의 외주면(12A 및 14A)에 형성된 포켓(28 및 30)이 합치하지 않은 경우, 본 브리켓 장치(10)는, 제 2 커플링부(20)에 구비된 위치 조절 기구(86)에 의해,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롤측 회전 부재(64)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포켓(28 및 30)을 합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브리켓 장치(10)는, 합치되어 있는 포켓(28 및 30)에 의해 원료를 압축하여 브리켓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브리켓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플링부(18) 및 제 2 커플링부(20)는, 통상, 프레임(27) 위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커플링부(20)에 위치 조절 기구(86)를 설치함으로써, 포켓(28 및 30)의 합치 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브리켓 장치(10)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켓(28 및 30)이 합치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하기 절차를 적용하여, 포켓(28 및 30)을 합치시킬 수 있다. 즉, 먼저, (1) 볼트(90)의 회전량과, (2)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한 롤측 회전 부재(64)의 회전량 사이의 수치 상관 관계를 얻는다. 다음으로, 제 1 롤(12) 및 제 2 롤(14)에 의해 제조된 브리켓으로부터 얻어진 포켓(28 및 30) 사이의 어긋남량과,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수치 상관 관계로부터, 필요한 볼트(90)의 회전량이 산출된다. 산출된 회전량만큼 볼트(90)를 회전시켜 너트(88)에 나사결합함으로써, 볼트(90)의 단부에서 피가압부(92)에 대해 롤측 회전 부재(64)의 접선 방향으로 가압력(F)이 가해지며, 롤측 회전 부재(64)가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회전되어, 포켓(28 및 30)이 합치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된 브리켓에 기초하여, 포켓(28 및 30)이 합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실제로 판단하지 않고 포켓(28 및 30)을 합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켓(28 및 30)을 합치시키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위치 조절 기구(86)는, 롤측 회전 부재(64)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66) 각각의 외주면(64A 및 66A)의 내측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 기구(86)는 롤측 회전 부재(64)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66)가 회전하는 동안, 롤측 회전 부재(64) 및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외측에 위치된 임의의 대상물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에 발생한 압력이,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따라 변동하는,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유지된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경우, 이 압력의 변화로 인해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증가 또는 감소된다. 이에 따라,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유지된 원료에 대한 압축력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검출기로서 사용된 압력 검출기(124)는, 전류를 이용하는 검출기보다 정확하게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일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실린더 로드(110)의 타단과 가동측 베어링 유닛(46) 사이의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하기 구조의 브리켓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제 1 롤(12)은, 제 2 롤(1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다. 또한, 제 2 롤(14)이 제 1 롤(12)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발생한 경우, 제 1 롤(12)이 유압 실린더(128)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된다. 호퍼(22)의 하단부에는, 피더 스크류(24)에 의해 원료가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로 밀어 내려질 때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기(1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검출기(130)에 의한 검출값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가변속 제어 모터(26)가 제어부(126)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형예의 브리켓 장치에 있어서, 호퍼(22)로부터 공급되는 원료의 밀도나 유동성에 따라 변동하는,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유지된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에 대응하여, 피더 스크류(24)에 의해 원료를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로 밀어 내리는 압력이 변화하는 경우, 이 압력의 변화로 인해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된다. 이에 따라, 제 1 롤(12) 및 제 2 롤(14) 사이에 유지된 원료에 대한 압축력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브리켓의 두께 형상 및 중량의 균일화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2)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기(132) 또는 구동 모터(32)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133)를, 제어부(126)와 구동 모터(32) 모두에 연결되어 그 사이에 위치결정된 검출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류 검출기(132) 또는 전력 검출기(133)에 의한 검출값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피더 스크류(24)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가변속 제어 모터(26)가 제어부(12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검출기로서 전류 검출기(132)를 사용하면, 압력 검출기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전력 검출기(133)를 사용하면, 압력 검출기가 사용된 경우에 비해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전압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력 검출기(133)는 전류 검출기(132)보다 정확한 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88)는 그 축선이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접선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피가압부(92)는 롤측 회전 부재(64)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88)는, 그 축선이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의 반경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피가압부(92)는 롤측 회전 부재(64)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다.
위치 조절 기구가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미리 산출된 회전량만큼 볼트(90)를 회전시켜 너트(88)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피가압부(92)에 대해 발생된 볼트(90)의 단부에서의 가압력의 분력(F; component force)이 얻어지며, 이 분력(F)은 롤측 회전 부재(64)의 접선 방향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분력(F)은 롤측 회전 부재(64)를 구동부측 회전 부재(66)에 대해 회전시켜, 포켓(28 및 30)이 합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조절 기구(86)를 갖는 제 2 커플링부(20)에 연결되는 롤로서, 고정측 베어링부(56)측의 제 2 롤(14)이 사용된다. 그러나, 가동측 베어링부(46)측의 제 1 롤(12)에 연결되는 제 1 커플링부에 배치되어 있는 위치 조절 기구(86)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포함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1년 2월 28일자로 출원된 일본 기초 특허 출원 제2011-42973호의 내용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의 목적으로만 기재된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출원인은, 개시된 실시형태의 어느 것도 공중에 헌상하려는 의도는 없다. 따라서, 개시된 변경, 변형 중, 본 특허청구범위 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 수 있는 것도, 균등론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명사 및 동일한 지시어의 사용은, 지시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제공된 모든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면, 「등 」)의 사용도,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용이하게 하려는 의도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은 아니다.
10 : 브리켓 장치
12 : 제 1 롤
14 : 제 2 롤
16 : 구동부
18 : 제 1 커플링부
20 : 제 2 커플링부
22 : 호퍼
24 : 피더 스크류
28, 30 : 포켓
32 : 구동 모터
44, 54 : 축부
46 : 가동측 베어링 유닛
56 : 고정측 베어링 유닛
64 : 롤측 회전 부재
66 : 구동부측 회전 부재
86 : 위치 조절 기구
88 : 너트
90 : 볼트
92 : 피가압부
104 :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
106 : 유압 실린더
110 : 실린더 로드
120 : 위치 조절부
124 : 압력 검출기
126 : 제어부
128 : 유압 실린더
130 : 압력 검출기(검출기)
132 : 전류 검출기(검출기)

Claims (10)

  1. 브리켓 장치로서, 각각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의 회전축선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브리켓을 협동하여 압축 형성하기 위한 포켓이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롤 및 제 2 롤과,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 1 롤에 전달하는 제 1 커플링부와,
    상기 제 2 롤과 일체로 회전되는 롤측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부측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대해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기구를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제 2 롤에 전달하는 제 2 커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조절 기구는,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 있어서의 회전 중심부에서 볼 때 지름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접선 방향 또는 지름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나사결합된 볼트와,
    상기 롤측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볼트의 선단부가 접촉되고, 또한, 상기 볼트가 상기 너트에 나사식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볼트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롤측 회전 부재의 접선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입력되는 피가압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위치 조절 기구는, 상기 롤측 회전 부재 및 상기 구동부측 회전 부재의 각각의 외주면보다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롤측 회전 부재와 구동부측 회전 부재에는, 각각 볼트(78)가 관통삽입되는 각 복수 개의 구멍(84)과 구멍(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84)은 롤측 회전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긴 구멍이고, 상기 구멍(82)은 원형 구멍이며, 그리고
    상기 롤측 회전 부재에는, 외주면에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에는, 위치 조절 기구의 너트(88) 및 볼트(90)가 수용되어 있으며, 위치 조절 기구의 피가압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벽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브리켓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 또는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축부를 지지하는 고정측 베어링 유닛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축부를 지지하며,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가동측 베어링 유닛과,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 및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틈새 조절용 스페이서와,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측 베어링 유닛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로서, 상기 제 1 롤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상기 제 1 롤의 반경과 상기 제 2 롤의 회전 축선에 수직인 상기 제 2 롤의 반경과 공통인 라인의 방향으로 그 축선이 위치결정되도록 배치되며, 일단측에 축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부를 갖는 실린더 로드를 구비한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과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 로드의 타단과 상기 가동측 베어링 유닛 사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기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구동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압력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압력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하여,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브리켓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피더 스크류가 상기 원료를 상기 제 1 롤과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압력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브리켓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압력 검출기인, 브리켓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구동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구동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브리켓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전류 검출기인, 브리켓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접근 및 이격 가능하며,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일방이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중 타방에 대해 압력을 인가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의 상방에 배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배치되며, 회전에 따라 상기 호퍼 내의 원료를 상기 제 1 롤 및 상기 제 2 롤 사이로 밀어 내리는 피더 스크류와,
    상기 피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가변속 제어 모터와,
    상기 구동부에 배치된 구동 모터의 소비 전력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값에 따라, 상기 피더 스크류의 회전수가 감소 또는 증가되도록, 상기 가변속 제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브리켓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전력 검출기인, 브리켓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37002208A 2011-02-28 2011-08-29 브리켓 장치 KR101804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42973A JP2014050844A (ja) 2011-02-28 2011-02-28 ブリケットマシン
JPJP-P-2011-042973 2011-02-28
PCT/JP2011/004791 WO2012117458A1 (en) 2011-02-28 2011-08-29 Briquette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717A KR20130138717A (ko) 2013-12-19
KR101804539B1 true KR101804539B1 (ko) 2017-12-04

Family

ID=4473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208A KR101804539B1 (ko) 2011-02-28 2011-08-29 브리켓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2014050844A (ko)
KR (1) KR101804539B1 (ko)
CN (1) CN103052497B (ko)
AU (1) AU2011361270B2 (ko)
BR (1) BR112013013562A2 (ko)
TW (1) TWI541126B (ko)
WO (1) WO2012117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5645A1 (ja) * 2013-08-20 2015-02-26 新東工業株式会社 ブリケットマシン
JP6455512B2 (ja) * 2014-06-23 2019-01-23 新東工業株式会社 ブリケットマシン
JP6614144B2 (ja) * 2014-06-23 2019-12-04 新東工業株式会社 片持ち式ブリケットマシン
CN104972686A (zh) * 2015-06-24 2015-10-14 孟如苗 一种煤球挤压机
ES2831502T3 (es) 2018-05-28 2021-06-08 Buehler Ag Dispositivo de trituració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7634A (en) * 1959-01-28 1963-02-19 Komarek Greaves And Company Briquetting roll structure with mold inserts
US3899274A (en) * 1974-02-19 1975-08-12 United States Steel Corp Adjustable stop block for timing spindle
US4111626A (en) * 1975-02-27 1978-09-05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wder compacting machine
JPS58128136A (ja) * 1982-01-27 1983-07-30 Hitachi Ltd 造粒機の制御方法
JPS61136431A (ja) * 1984-12-07 1986-06-24 Hitachi Ltd 造粒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3097883B2 (ja) 1992-08-07 2000-10-10 新東工業株式会社 ブリケットマシン
DE4226158C2 (de) * 1992-08-07 2003-04-10 Kloeckner Humboldt Wedag Verfahren und Anlage zur Druckbehandlung körnigen Gutes
DE9318843U1 (de) * 1993-12-08 1994-03-17 Koeppern & Co Kg Maschf Vorrichtung zum Heißbrikettieren von Eisenschwamm
JPH09192896A (ja) 1996-01-19 1997-07-29 Sintokogio Ltd ブリケットマシン
JP3592003B2 (ja) * 1996-10-25 2004-11-2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造粒装置の制御方法
WO1999052705A1 (fr) * 1998-04-09 1999-10-21 Freund Industrial Co., Ltd. Dispositif et procede pour traiter une substance pulverulente ou granulaire
CN1194078C (zh) * 2001-11-26 2005-03-23 日本国际成套设备株式会社 复合固体燃料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CN2787419Y (zh) * 2004-06-25 2006-06-14 陈依双 煤球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13562A2 (pt) 2016-10-11
WO2012117458A1 (en) 2012-09-07
AU2011361270B2 (en) 2015-03-12
AU2011361270A1 (en) 2013-05-02
JP2014050844A (ja) 2014-03-20
TWI541126B (zh) 2016-07-11
KR20130138717A (ko) 2013-12-19
CN103052497B (zh) 2016-10-12
TW201235202A (en) 2012-09-01
CN103052497A (zh)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539B1 (ko) 브리켓 장치
KR101804505B1 (ko) 브리켓 장치
AU201224090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forming Pipe Member
KR101820641B1 (ko) 전조 가공 장치
EP2314377A1 (en) Roll mill
KR20120040200A (ko) 미분기 일체형 스프링 조립체용 힘 모니터
JP2021519692A (ja) 粉砕装置のためのローラアセンブリ、粉砕装置、および方法
CN202383014U (zh) 柔性夹紧机构
CN202951506U (zh) 一种对辊破碎机
JP5400538B2 (ja) ロールミル
JP5375772B2 (ja) 材料試験機の軸心調整装置
JP6455513B2 (ja) ブリケットマシン
CN107000084A (zh) 用于调节横切金属带材的滚筒式剪切机的刀片间隙的设备和方法
CN105392624B (zh) 悬臂式压块机
CN203227521U (zh) 一种双辊破碎机的辊圈轴向找正定位调整机构
KR102502003B1 (ko) 사출성형기용 스러스트 베어링의 예압 조정 장치 및 예압 조정 방법
CN1220920A (zh) 用于轧辊的交叉移动装置
KR101722986B1 (ko) 고신뢰성 센서가 적용된 직렬 모터를 이용한 로드셀 일체식 액추에이터
CN103949479A (zh) 一种尺寸精密控制棒材轧机的偏心装置
JP2754894B2 (ja) ロールプレス
CN103753644B (zh) 一种模切机滑块轴向定位方法及一种模切机
JP2010172933A (ja) カリバーロールのセットアップ方法
CN104722598B (zh) 二十辊轧机的双偏心带凸度的横移式助卷辊
CN103978554A (zh) 一种游隙能够调节的托轮装置及搅拌车
CN103203260B (zh) 一种双辊破碎机的辊圈轴向找正定位调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