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097B1 -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097B1
KR101802097B1 KR1020160170077A KR20160170077A KR101802097B1 KR 101802097 B1 KR101802097 B1 KR 101802097B1 KR 1020160170077 A KR1020160170077 A KR 1020160170077A KR 20160170077 A KR20160170077 A KR 20160170077A KR 101802097 B1 KR101802097 B1 KR 10180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henolic
phenolic acid
extrac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만정
김영배
서찬
이현성
박형진
이성태
박경욱
Original Assignee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 순천천연물의약소재개발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16017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6Signal analysis
    • G01N30/8675Evaluation, i.e. decoding of the signal into analytical information
    • G01N30/8679Target compound analysis, i.e. whereby a limited number of peaks is analy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62Detect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30/72Mass spectrometers
    • G01N30/7206Mass spectrometers interfaced to gas chromatograp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01N30/88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 G01N2030/8809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 G01N2030/884Integrated analysis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groups G01N30/04 - G01N30/86 analysis specially adapted for the sample organ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1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송의 페놀산을 분석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와송의 채취 시기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와송의 10종의 페놀산 프로파일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와송의 채취 시기별 10종의 페놀산의 함량을 확인함으로써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예측 모델용 페놀산 프로파일을 수립하였으므로, 이를 통해 와송의 채취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Harvest Time detecting method of Orostachys japonicus using phenolic acid profile}
본 발명은 와송의 페놀산을 분석하는 방법과 이를 통해 와송의 채취 시기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와송(瓦松, Orostachys japonicus)”은 일명 바위솔로 불리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와송(Wa-song,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오래된 기와지붕 위나 깊은 산의 바위 위에 자라고 있는 돌나무과(Crassulaceae)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잎은 살이 찌고 버들잎 모양으로 줄기를 둘러싸고 무더기로 자라며, 여름~가을 중에 채취하여 뿌리를 제거한 지상부의 전초를 햇볕에 말려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기와지붕 위에서 자라는 모양이 소나무 잎이나 꽃을 닮아서 우리나라에서는 와송 또는 바위솔이라고 불린다. 와송은 한방고서에 항암효과, 해열, 지열, 간염, 습진, 화상 등에 특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 간염, 종기에 대한 면역작용, 지혈제 및 암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Kim JK. 1984). 특히, 간암, 유방암, 췌장암, 골수암, 식도암, 자궁암, 임파선암, 위암, 대장암, 당뇨병, 중풍, 관절염, 위장병, 팔 다리 아프고, 손발 저림, 변비, 구토, 각종 성인병 등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4), 234-238(2006),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4), 3.15-320(2004)). 상기와 같이 와송에 대하여 면역력 증진, 항염증, 항산화, 항균, 항 고지혈증, 항 당뇨, 항암, 간 기능 개선, 아토피 및 피부염 치료 등에 다양한 약리적 효과가 알려지면서 최근 식품으로 등재된 와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Korean J. Soc Food Sci Nutr. 43(1), 67-73(2014)).
와송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Park 등(Park HJ. et al 1991b)은 와송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균주를 사용한 실험에서 아플라톡신(aflatoxin) B1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작용이 있으며, 스테롤(sterols), 트리테르펜(triterpenes)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복합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와송 메탄올추출물은 마우스 시상하부 신경세포에서 H2O2에 의한 사멸에 방어효과를 내는데, 주된 생리활성 물질은 비극성 화합물이며 (Yoon Y. et al 2000), 와송 지상부의 물추출물은 HIV-1 단백분해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Park JG. etal 2000). Kwon과 Han (2004)은 와송이 생쥐의 비장 및 흉선세포이 생존율을 증가시켰으며, 백혈병 세포의 사멸(apoptosis)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Her와 Park (2006)은 와송의 지상부 추출물이 알콜 급이한 흰쥐의 간 알코올 대사에 효능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갈산(gallic acid)이 주요 유효물질인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한편, 페놀산은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이러한 페놀산에 대한 분석은 소수의 표적 화합물 분석에 의존하고 있고, 특히, 체계적인 와송의 페놀산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와송의 채취 시기별 페놀산 조성에 대한 연구는 시도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와송의 페놀산 분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와송의 페놀산 프로파일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채취 시기별 와송에 함유된 10종의 페놀산의 함량을 확인하여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예측 모델용 페놀산 프로파일을 수립하였다.
본 발명의 와송의 페놀산 분석방법은 와송에서 10종의 페놀산 함량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취 시기별 와송 내 페놀산 함량 프로파일을 확인함으로써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예측 모델용 페놀산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와송의 채취 시기를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페놀산의 TBDMS 유도체화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을 검출한 도이다:
1: salicylic acid;
2: 4-hydroxybenzoic acid;
3: vanillic acid;
4: m-coumaric acid;
5: Syringic acid;
6: p-coumaric acid;
7: protocatechuic acid;
8: ferulic acid;
9: gallic acid; 및
10: caffeic acid.
도 3은 채취 시기별 와송에서의 페놀산의 정규화 값 (프로파일)에 대한 스타 그래픽 패턴을 나타낸 도이다:
5: 5월 채취 와송;
7: 7월 채취 와송;
9: 9월 채취 와송; 및
10: 10월 채취 와송.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와송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단계; 및 와송 추출물의 와송 채취 시기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의 채취 시기는 5월, 7월, 9월 또는 10월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 추출물은 와송의 잎 및 줄기를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증류수에 넣고 초음파로 추출한 물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와송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송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와송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와송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및 증기 추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 프로파일은 상기의 와송 추출액에서 디에틸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페놀산을 추출하고, TBDMS(tert-butyldimethylsilyl) 유도체화한 뒤,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기로 페놀산 프로파일을 분석하여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을 분석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은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4-하이드록시벤조산(hydroxybenzoic acid), 바닐산(vanillic acid), m-쿠마르산(coumaric acid), 시링산(syringic acid), p-쿠마르산,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갈산(gallic acid) 및 카페익산(caffe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 추출물의 갈산 함량이 10 내지 60ng/400㎍이고 카페익 산 함량이 5 내지 10ng/400㎍이면 5월에 채취한 와송, 갈산 함량이 10 내지 60ng/400㎍이고 카페익 산 함량이 2 내지 5ng/400㎍이면 7월에 채취한 와송, 갈산 함량이 60 내지 150ng/400㎍이고 4-하이드록시벤조산 함량이 0.2 내지 0.7ng/400㎍이면 9월에 채취한 와송, 갈산 함량이 60 내지 150ng/400㎍이고 4-하이드록시벤조산 함량이 0.8 내지 2.0ng/400㎍이면 10월에 채취한 와송인 것으로 판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 추출물의 페놀산 프로파일을 본 발명의 표 1의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예측 모델용 페놀산 프로파일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와송의 채취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와송의 페놀산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페놀산 분석 방법은 와송 추출물을 제조하고, 디에틸에테르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페놀산을 추출하며, TBDMS(tert-butyldimethylsilyl) 유도체화하고,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기로 페놀산 프로파일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와송 추출물에서 페놀산을 추출하기 전에 pH를 2 이하의 산성으로 조절하고 NaCl로 포화시키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TBDMS 유도체화는 100℃에서 40~80분 동안 반응하여 추출물 내의 페놀산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100℃에서 60분 동안 반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와송 물 추출물의 구조 규명을 통한 함유 페놀산 종류 확인
와송의 페놀산에 대한 프로파일을 TBDMS 유도체로서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와송의 채취 시기별 페놀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5월, 7월, 9월 및 10월에 채취한 와송(Orostachys japonicus) (순천 봉화산 와송, 전라남도 순천시 용당동 419-4)의 잎 및 줄기를 흐르는 물에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였다. 분쇄물에 0.2 g/mL가 되도록 증류수 (250-300 mL)를 넣어서 초음파 추출을 30분간 진행한 뒤 filteration 후 135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와송 물 추출물에 pH 4.5 phosphate buffer를 넣고, NaCl 0.8g을 넣어 포화를 시킨 다음, 10% 황산을 0.1ml을 넣어 pH를 2 이하의 산성으로 조절한 뒤,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3ml 및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2ml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40℃ 온도조건에서 질소 기류하에 휘발 건조하였다. 그리고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위해 메틸렌클로라이드 0.1ml을 넣고 질소 기류 하에 한번 더 휘발 건조하였다. 건조 후 남아 있는 잔사에 N methyl-N-(tert-butyldimethylsilyl) trifluoroacetamide(20㎕), Triethylamine (TEA, 5㎕)및 톨루엔 (15㎕)을 반응시켜 남아있는 활성 수소를 TBDMS(tert-butyldimethylsilyl) 유도체로 전환하였다 (도 1). 그 후, 전환된 TBDMS 유도체를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와송 물 추출물의 구조 규명을 통한 페놀산 프로파일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일시마즈(Dong-il shimazhu)사의 GCMS-TQ8040을 이용하였으며, 이온화 방법은 전자충격법(EI)이며 이온원의온도는 230℃이었다. 컬럼은 Ultra 2 (길이 25m, 내경 0.25㎜, 필름 두께 0.11㎛)를 사용하였고, 이동상 기체로는 헬륨이었으며, 유속은 0.5㎖/min이었다. 시료의 주입 방식은 분할 형식(분할율10:1)을 이용하였다. 컬럼의 온도는 초기에 180℃에서 1분간 머무른 후, 15℃/min 속도로 300℃까지 승온시키고, 최종적으로 300℃에서 5분 동안 머물게 하였다. 시료주입구의 온도는 260℃이었으며, 연결장치의 온도는 300℃이었다. CID 가스는 질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와송 물 추출물에서 총 10종의 페놀산 (1: salicylic acid, 2: 4-hydroxybenzoic acid, 3: vanillic acid, 4: m-coumaric acid, 5: Syringic acid, 6: p-coumaric acid, 7: protocatechuic acid, 8: ferulic acid, 9: gallic acid, 10: caffeic acid)이 발견되었다 (도 2).
실시예 2. 채취 시기별 와송 물 추출물의 페놀산 정량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5월, 7월, 9월 및 10월에 채취한 와송 추출물에 함유된 10종의 페놀산을 채취 시기별로 정량하여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예측 모델용 페놀산 프로파일을 수립하였다. 최적의 분석조건에서 표준시약에 대한 검정곡선을 작성한 후, 실제 와송에서 확인된 페놀산을 검정곡선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No. 페놀산 함량 (ng/400mg, mean ± sd)
5월 7월 9월 10월
1 salicylic acid 1.29 ± 0.02 1.47 ± 0.25 1.15 ± 0.07 1.70 ± 0.42
2 4-hydroxybenzoic acid 0.69 ± 0.23 1.14 ± 0.24 0.44 ± 0.23 1.27 ± 0.42
3 vanillic acid 0.56 ± 0.02 0.55 ± 0.02 0.52 ± 0.02 0.62 ± 0.04
4 m-coumaric acid 0.37 ± 0.04 0.46 ± 0.05 0.41 ± 0.03 0.35 ± 0.06
5 syringic acid 0.95 ± 0.06 0.95 ± 0.03 0.91 ± 0.01 0.98 ± 0.03
6 p-coumaric acid 0.85 ± 0.02 0.79 ± 0.06 0.53 ± 0.02 0.80 ± 0.03
7 protocatechuic acid 2.56 ± 0.17 3.03 ± 0.22 2.59 ± 0.12 2.43 ± 0.12
8 ferulic acid 1.79 ± 0.05 1.44 ± 0.05 1.86 ± 0.11 2.02 ± 0.08
9 gallic acid 15.89 ± 3.35 23.67 ± 12.61 104.51 ± 32.73 105.53 ± 27.07
10 caffeic acid 7.75 ± 0.76 3.56 ± 0.32 9.18 ± 0.61 6.37 ± 0.68
그 결과, 와송을 채취한 시기별로 10종의 페놀산 함량이 서로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표 1).
실시예 3. 채취 시기별 와송 물 추출물의 페놀산 함량의 상대적 비교
상기 실시예 2에서 정량한 와송 물 추출물의 채취 시기별 10종의 페놀산 함량을 상대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5월에 채취한 와송에서의 페놀산 정량값을 1로하여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또한, 채취 시기별 와송에서의 페놀산의 정규화 값 (프로파일)에 대한 스타 그래픽 패턴을 확인하였다 (도 3).
No. 페놀산 정규화 값
5월 7월 9월 10월
1 salicylic acid 1.0 1.1 0.9 1.3
2 4-hydroxybenzoic acid 1.0 1.7 0.6 1.9
3 vanillic acid 1.0 1.0 0.9 1.1
4 m-coumaric acid 1.0 1.2 1.1 1.0
5 syringic acid 1.0 1.0 1.0 1.0
6 p-coumaric acid 1.0 0.9 0.6 0.9
7 protocatechuic acid 1.0 1.2 1.0 0.9
8 ferulic acid 1.0 0.8 1.0 1.1
9 gallic acid 1.0 1.5 6.6 6.6
10 caffeic acid 1.0 0.5 1.2 0.8
그 결과, 상기 표 2와 같이 채취 시기별 10종의 페놀산 함량이 서로 상이하였고, 특히, 5월과 7월에 채취한 와송은 caffeic acid 함량이 2배 가량 차이가 았고, 7월과 9월에 채취한 와송은 gallic acid 함량이 4배 이상 차이가 났으며, 9월과 10월에 채취한 와송은 4-hydroxybenzoic acid 함량이 약 3배 차이가 났고, 5월과 10월에 채취한 와송은 gallic acid 함량에서 6배 넘게 차이가 났다.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와송 물 추출물에 10종의 페놀산인 4-hydroxybenzoic acid와 protocatechuic acid, gallic acid, salicylic acid, vanillic acid, m-coumaric acid,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및 ferulic acid가 함유되어 있고, 이들의 함량이 채취 시기에 따라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와송의 물 추출물의 페놀산 함량을 확인하고 상대적 함량을 비교함으로써 채취 시기를 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와송 물 추출물의 10종의 페놀산에 대한 프로파일과 이들의 패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와송의 페놀산 프로파일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Claims (8)

1) 채취시기별 와송 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얻은 채취시기별 와송 물 추출물을, 디에틸에테르 및 에틸아세테이트 혼합용매로 페놀산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얻은 페놀산에 MTBSTFA (N methyl-N-(tert-butyldimethylsilyl) trifluoroacetamide)를 처리하여, 페놀산의 하이드록시기를 TBDMS(tert-butyldimethylsilyl)로 치환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TBDMS 치환된 페놀산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프-텐덤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여, 와송에 포함된 10종의 페놀산에 대한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4)에서 얻은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10종의 페놀산 중에서 얻고자 하는 1종의 페놀산이 가장 많이 함량된 와송의 채취시기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0종의 페놀산은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 4-하이드록시벤조산(hydroxybenzoic acid), 바닐산(vanillic acid), m-쿠마르산(coumaric acid), 시링산(syringic acid), p-쿠마르산, 프로토카테츄산(protocatechuic acid), 페룰산(ferulic acid), 갈산(gallic acid) 및 카페익산(caffe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종의 페놀산 중에서 얻고자 하는 1종의 페놀산이 가장 많이 함량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와송 물 추출물은 와송의 잎 및 줄기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60170077A 2016-12-14 2016-12-14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KR10180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77A KR101802097B1 (ko) 2016-12-14 2016-12-14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077A KR101802097B1 (ko) 2016-12-14 2016-12-14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097B1 true KR101802097B1 (ko) 2017-11-28

Family

ID=6081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077A KR101802097B1 (ko) 2016-12-14 2016-12-14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0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7055A (zh) * 2019-03-29 2019-06-21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王不留行与炒王不留行饮片、标准汤剂、配方颗粒的质量检测及鉴别方法
CN110840876A (zh) * 2019-11-18 2020-02-28 青海民族大学 圆孢蘑菇中的没食子酸在cdc25磷酸蛋白酶上应用
KR102083419B1 (ko) * 2018-08-24 2020-03-02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19종 페놀 화합물의 동시 분석 방법
KR20200074363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내부표준법을 사용한 페놀산 화합물의 정량분석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Fd Hyg. Safety 14(2), 140-145(1999)*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4):234-238(2006)*
와송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의 구명 및 바이오식품 개발(정부과제 최종보고서, (2014), pp 1-212.)*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419B1 (ko) * 2018-08-24 2020-03-02 재단법인 남원시화장품산업지원센터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19종 페놀 화합물의 동시 분석 방법
KR20200074363A (ko) * 2018-12-14 2020-06-2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내부표준법을 사용한 페놀산 화합물의 정량분석 방법
KR102145623B1 (ko) 2018-12-14 2020-08-21 대한민국 내부표준법을 사용한 페놀산 화합물의 정량분석 방법
CN109917055A (zh) * 2019-03-29 2019-06-21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王不留行与炒王不留行饮片、标准汤剂、配方颗粒的质量检测及鉴别方法
CN109917055B (zh) * 2019-03-29 2021-07-27 四川新绿色药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王不留行与炒王不留行饮片、标准汤剂、配方颗粒的质量检测及鉴别方法
CN110840876A (zh) * 2019-11-18 2020-02-28 青海民族大学 圆孢蘑菇中的没食子酸在cdc25磷酸蛋白酶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097B1 (ko)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Vlase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of Allium fistulosum L. and A. ursinum L.
Boukhris et al. A dereplication strategy for the identification of new phenolic compounds from Anvillea radiata (Coss. & Durieu)
Golembiovska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different parts of Prunella vulgaris L.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ion
JP2022545288A (ja) 呼吸器疾患の予防、改善又は効果がある茶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薬学組成物
Roslida et al. Suppression of DMBA/croton oil-induced mouse skin tumor promotion by Ardisia crispa root hexane extract
Demirci Kayiran et al. Comprehensive analysis of an uninvestigated wild edible medicinal garlic species from Turkey: Allium macrochaetum Boiss. & Hausskn.
Zafeiropoulou et al. Sea fennel: Phytochemical analysis of Greek wild and cultivated Crithmum maritimum L. populations, based on HPLC-PDA-MS and NMR methods
Kučinskaitė et al. Evalu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in roots and rhizomes of Rhodiola rosea L. cultivated in Lithuania
Srivastava et al. Pharmacognostic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Hyssopus officinalis L.(Lamiaceae) collected from Kashmir Himalayas, India
Kim et al.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Ecklonia cava extracts
KR102115669B1 (ko) 벤조피렌의 생성은 억제되면서 사포닌은 증진되고 플라티코딘 d가 저감되는 흑도라지의 제조방법
CN109453234A (zh) 桑白皮制品及其制备方法
CN113546112B (zh) 一种从牡丹叶和根中分类提取酚类化合物的方法
KR101433771B1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베타아사론이 다량 함유된 창포 오일 추출 방법
KR20160063632A (ko) 도라지차 및 그의 제조방법
Lee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luteolin and luteoloside in dandelions using HPLC
CN112813111B (zh) 微发酵技术制备抗氧化功能性生姜粉的方法
El-Desouky et al.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pomegranate peel against sterigmatocystin toxicity in rat
CN1943647B (zh) 一种枇杷叶三萜酸提取物的制备方法
KR101319829B1 (ko) 생더덕과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11016B1 (ko) 항산화 및 면역 기능을 갖는 조성물
Hussein et al.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Caffeic, Chlorogenic and Ferulic Acids in Aerial Parts of Capparis spinosa wildly grown in Iraq
KR100645994B1 (ko)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Gupta Phytopharmacognostic investigation of Bauhinia tomentosa Lin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