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994B1 -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994B1
KR100645994B1 KR1020050066360A KR20050066360A KR100645994B1 KR 100645994 B1 KR100645994 B1 KR 100645994B1 KR 1020050066360 A KR1020050066360 A KR 1020050066360A KR 20050066360 A KR20050066360 A KR 20050066360A KR 100645994 B1 KR100645994 B1 KR 10064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okalcon
licorice
ethanol
solvent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성
신현경
박정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뉴트라
Priority to KR1020050066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7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2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9/255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ether groups, groups, groups, or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를 100 내지 250℃ 에서 80 내지 120 분 동안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얻는 단계, 및 노르말헥산과 에탄올를 20 : 1 내지 5: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구운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감초의 주요 활성성분인 리코칼콘A를 추출함에 있어, 감초의 가공시간 및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리코칼콘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 분획의 수득율을 높이고, 식품가공 허용용매를 이용함으로써 가공 추출산물이 식품소재로의 이용 한계범위를 넓힐 수 있고, 동시에 잔존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감초, 비극성 화합물군, 리코칼콘A, 노르말헥산, 에탄올

Description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THE METHOD FOR EXTRECTION OF NON-POLAR COMPONENTS INCLUDING LICOCHALCONE A BY THERMAL PROCESSING AND SOLVENT}
도 1은 실험예 1에 따라 측정된 HPLC 측정 그래프이다.
도 2는 HPLC방법으로 검출하여 얻은 리코칼콘 A의 검량곡선이다.
도 3은 비교예 1 및 실시예 9, 및 11 내지 15에 대하여 측정한 HPLC 그래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로부터 항균 및 항암작용을 가지는 리코칼콘A를 다량으로 신속하게 분획하고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감초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의 경우 단맛을 나타내는 약초로써 감미료, 약재로 사용되며 한방에서는 모든 처방에 골고루 쓰이는 식물이다. 감 초의 주요성분 중 하나인 리코칼콘 A는 최근 항균 및 항암작용을 가지는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화합물로 밝혀졌다.
감초의 주요성분인 리코칼콘A는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효능을 가지며, 멜라닌색소 활성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 리코칼콘 A는 일본 특허공개번호 1994-122623호에 의하면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일본 특허공개번호 2001-163718호에 의하면 안드로겐 수용체 결합 저해작용 및 테스토스테론-5α-리덕타아제 저해작용을 하고, 일본 특허공개번호 1992-297418호에 의하면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감초는 통상적으로 세절하여 유통됨에 따라 그 성상만으로는 종의 구별이 쉽지 않고, 리코칼콘A의 함량이 높은 종을 구별해 내는 것도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 및 항암효과가 뛰어난 감초추출물의 비극성 성분인 리코칼콘 A의 추출율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열조건 및 특정의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리코칼콘 A를 다량함유하는 추출물을 손쉽게 얻어내고, 리코칼콘 A를 순수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초를 100 내지 250℃ 에서 80 내지 120 분 동안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얻는 단계, 및 노르말헥산과 에탄올을 20 : 1 내지 5: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구운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 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감초를 100 내지 250℃에서 8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얻는 단계, 및 에탄올 80 내지 95 중량부, 및 물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구운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은 원주상인데 주근은 매우 길고 거칠고 크며, 외피는 적갈색에서 암갈색이다. 감초의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되며, 동양약물학에서 많은 복합처방에 빈번히 응용되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한약재다.
감초의 근과 근경에는 트리테르펜(triterpene) 사포닌(saponin), 글리시르히진(glycyrrhizin)이 함유되어 있다.
감초 추출물(Glycyrrhizae radix extract)은 리퀴리틴(liquirit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리퀴리틴 아피오시드(liquiritin apioside), 이소리퀴리틴(isoliquritin), 이소리퀴리틴 아피오시드(isoliquiritin apioside), 아글리콘(aglycones)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및 항암작용이 뛰어난 리코칼콘A(licochalcone A)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초의 예로는 자연상태의 감초와 물을 묻혔다가 불에 구운감초가 있다. 구운감초는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는 작용이 있어 주로 소화기계통에 쓰일 때에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감초 추출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다. 상기 유기 용매의 바람직한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에테르, 노르말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며, 에탄올, 노르말 헥산 및 에탄올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탄올추출은 물추출과 달리 극성이 큰 물질은 물론 비극성물질도 추출되는 특징을 보인다. 리코칼콘A는 비극성물질이므로 에탄올추출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리코칼콘 A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에탄올보다 더 비극성인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한국에서 식품가공에 허용되는 용매로는 물, 에탄올, 및 노르말-헥산 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비극성 화합물군의 추출을 위해서는 노르말-헥산이 유력하나, 순수한 노르말-헥산만으로는 리코칼콘 A가 용해하지 않아 추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르말-헥산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리코칼콘 A가 효과적으로 추출될 수 있는 용매 조건을 확인 한 결과 노르말-헥산에 에탄올을 포화시킨 용매가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리코칼콘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이하 '리코칼콘 A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이전에 감초를 특정 시간동안 특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리코칼콘 A의 추출율을 높힐 수 있다.
상기 감초의 가열온도는 100 내지 250℃인 것이 바람직하며, 130 내지 2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00℃ 미만인 경우는 리코칼콘 A의 추출율이 현저히 낮아 지고, 2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감초의 구성성분들이 분해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 시간은 50 내지 150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가열시간이 50분 미만인 경우 추출율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150분 초과인 경우에는 감초의 구성성분들이 열에 의하여 파괴될 염려가 있다.
상기 가열 후 구운감초는 용매를 이용하여 초음파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리코칼콘 A 추출물의 분획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시 온도는 20 내지 6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추출시 감초와 용매의 혼합중량비는 1:10 내지 1:20(감초:용매)일 수 있다. 초음파의 주파수는 2만 내지 4만 Hz일 수 있음, 추출시간은 30 분 내지 2시간일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된 리코칼콘 A 추출물은 종래의 방법으로 추출된 감초 추출물보다 리코칼콘 A를 다량 함유한다.
또한,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상기 리코칼콘 A 추출물로부터 리코칼콘 A의 분획을 분리해내고, 상기 분획을 정제함으로써 리코칼콘 A의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의 예로는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또는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등이 있고, 그 중에서도 HPLC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HPLC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일종으로 고정상(column내 충진제)의 입자 크기를 10㎛이하의 것을 사용하고, 이동상(solvent)이 흐를 수 있도록 수십기압 의 압력을 가하여 물질을 분리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상기 HPLC는 Rf값이 작아 오픈칼럼으로 분리하기 힘든 화합물을 순수한 컴파운드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시간도 많이 절약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분리된 리코칼콘A의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A만을 얻기위한 정제과정을 거친다.
상기 정제과정은 원심분리크로마토그래피(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CPC)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PC법을 시행하여 정제된 리코칼콘 A에 대하여 EIMS, 1H-NMR, 및 13C-NMR 등을 측정하여 상기 정제된 물질이 리코칼콘 A임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된 리코칼콘 A를 다시 HPLC법으로 측정하여 리코칼콘 A의 표준검량곡선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표준검량곡선을 이용하여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분획의 리코칼콘 A 함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CPC방법을 이용한 정제과정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예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크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헥산 등이 있으며,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층분리가 형성되는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수 800 내지 1200rpm, 유속 2 내지 10ml/min, 검출파장 220 내지 500nm의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 니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 가열처리한 감초를 이용한 리코칼콘 A 추출
중국 신강에서 재배된 말린 감초를 동일한 크기로 골라 10g씩 나누어 회전식 중탕기에 넣고, 하기 표 1과 같은 온도 조건으로 중탕하여 가열하였다.
실시예 가열조건
실시예 1 150℃, 20min
실시예 2 150℃, 50min
실시예 3 150℃, 100min
실시예 4 250℃, 10min
실시예 5 250℃, 20min
실시예 6 250℃, 30min
비교예 1 가열처리안함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조건으로 가열된 감초(이하, '구운감초' 라고 함) 및 비교예 1의 감초를 한약분쇄기로 분쇄한 가루 10 g을 95 중량% 에탄올과 5 중량%의 물의 혼합용매 100 g 에 넣고 초음파세척기(화신 Powersonic 420 Ultrasonic)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30분간 2만Hz의 초음파를 조사하여 각각 리코칼콘 A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0 : 노르말헥산과 에탄올 혼합용매를 이용한 리코칼콘 A 추출
실시예 3와 같은 온도조건으로 처리한 구운감초 가루 10g을 하기 표 2와 같은 중량비의 노르말헥산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노르말헥산 : 에탄올 (중량비)
실시예7 20:1
실시예8 15:1
실시예9 10:1
실시예10 5:1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2: 노르말헥산과 에탄올 혼합용매를 이용한 리코칼콘 A 추출
하기 표 3과 같은 가열조건으로 감초를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제조하고, 노르말헥산 및 에탄올을 10: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 10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가열조건 추출조건 및 방법
실시예 11 150℃, 20min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실시예 12 150℃, 50min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실시예 13 250℃, 10min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실시예 14 250℃, 20min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실시예 15 250℃, 30min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비교예 2 가열처리안함. 노르말헥산 : 에탄올(10:1), 초음파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추출된 리코칼콘 A 추출물을 HPLC로 분획하여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분획을 분리하였다.
상기 HPLC 측정에 사용된 용매는 2% 아세트산(acetic acid, 이하 AA라 함)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이하 AN이라 함)의 혼합용매이며, 처음 5분 동안은 AA:AN의 중량비를 80:2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5분부터 55분까지는 AN의 함량을 점차 늘려 55분에는 AA:AN의 중량비가 10:9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얻어진 분획 중 리코칼콘 A 를 포함하는 분획은 하기 실험예 2에 따라 결정되는 검량곡선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PC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얻어진 리코칼콘 A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 A를 정제하였다.
상기 CPC 방법에 사용된 용매는 노르말 헥산:에틸아세테이트:노르말 부탄올:물 (3:7:4:5 의 부피비)이며, 윗층(upper phase)을 고정상으로, 아랫층(lower solvent phase)를 이동상으로 이용하고, 유속 1.5ml/min, 800rpm, UV 364nm로 하였다.
상기 추출된 리코칼콘 A에 대하여 FR-IR(KBr), UV, λmax(nm), EIMS, 1H-NMR, 13C-NMR data로부터 리코칼콘 A를 확인하였다.
상기 측정장비를 이용한 리코칼콘A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IR (KBr) (cm-1) : 3437(OH), 1637, 1603, 1560(aromatic ring C=C), 1215, 1166(C-O); EI-MS m/z : 338([M]+, 70), 308(60), 307(100), 121(95), 93(20%); UV lmax(nm) 378, 305, 263 (CH3OH), 451, 348, 252 (CH3ONa), 39, 313, 261(AICI3), 381, 311, 260(NaOAc), 380, 315, 264(NaOAc/H3BO3); 1H-NMR σH(ppm): σ6.59(1H, s, H-3), 9.52(OH), 7.56(1H, s, H-6), 7.64(1H, d, α), 8.02(1H, α, β), 7.97(1H, d, H-2'), 6.93(1H, d, H-3'), 9.52(OH), 6.93(1H, d, H-5'), 7.97(1H, d, H-6'), 6.27(1H, dd. H-''), 5.12(1H, dd, H-3''), 5.07(1H, dd, H-3''), 1.45(3H, s, H-4''), 1.45(3H, s, H-5''), 3.85(OCH3); 13C-NMR dC(ppm) : 115.8(C-1), 159.7(C-2), 101.0(C-3), 160.0(C-4), 126.8(C-5), 129.3(C-6), 119.4(α), 140.0(β), 131.5(C-1'), 131.7(C-2'), 116.0(C-3'), 162.3(C-4'), 116.0(C-5'), 131.7(C-6'), 40.6(C-1''), 148.6(C-2''), 110.8(C-3''), 27.4(C-4''), 27.4(C-5''),55.9(OCH3),188.5(C=O)
상기 HPLC를 이용한 분획 및 CPC를 이용한 정제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추출된 리코칼콘 A 추출물에 포함된 리코칼콘 A의 함량을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함량(mg/100g건조) 실시예 함량(mg/100g건조)
실시예1 2.8 실시예9 38.5
실시예2 7.9 실시예10 37.8
실시예3 13.8 실시예11 10.2
실시예4 7.2 실시예12 22.6
실시예5 15.1 실시예13 40.3
실시예6 2.1 실시예14 20.3
실시예7 32.1 실시예15 9.9
실시예8 37.2 비교예 1 2.5
- - 비교예 2 9.5
상기 표 4에 나타나듯이, 노르말헥산-에탄올 용액을 사용하여 초음파 추출을 실시한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15가 에탄올 수용액만을 사용하여 추출한 실시예 1 내지 6의 경우보다 리코칼콘 A 수득율이 높았다. 또한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경우 150℃, 100분의 조건으로 가열한 실시예 3에서 리코칼콘 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바 150℃, 100분의 가열조건에 의하여 리코칼콘 A을 포함하는 분획의 추출량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노르말헥산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를 사용한 실시예 7 내지 10의 추출물 중에서도 실시예 9의 추출물이 가장 높은 리코칼콘 A의 함량을 나타냈으므로 노르말헥산 및 에탄올의 혼합비가 중량비로 10:1인 경우에 리코칼콘 A의 추출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노르말헥산에 에탄올을 포화시켜 사용하는 혼합비로 10:1 이하에서는 에탄올의 양이 부족하여 추출율이 떨어지게 되며, 5:1 인 경우는 10:1과 동일한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의 경우보다 실시예 13의 경우 리코칼콘 A의 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시예 13의 경우 200℃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높은 온도에 의하여 내부구성물질의 탄화 또는 변화가 우려되며, 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실시예 9의 가열조건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험예 1: 리코칼콘 A포함 분획의 추출위치 판별
하기 표 5과 같이 감초 10g, 구운감초 10g를 준비하여 물 100ml 또는 에탄올 100ml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감초에 함유된 성분인 이소리퀴리딘 0.01mg/ml(sigma-aldrich), 글리시르히진 0.01mg/ml(sigma-aldrich), 리코칼콘 A를 각각 준비한 후 HPLC방법 (조건은 상기 HPLC조건과 동일) 으로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
시료 1 감초 물추출물10mg/ml
시료 2 구운감초 물추출물10mg/ml
시료 3 감초 에탄올추출물10mg.ml
시료 4 구운감초 에탄올추출물10mg/ml
시료 5 이소리퀴리딘0.01mg/ml
시료 6 글리시르히진0.01mg/ml
시료 7 리코칼콘 A 0.01mg/ml
상기 각 추출방법에 따른 구성 성분에 대하여 검출파장 254nm에서 HPLC 패턴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나듯이, 시료 1, 2의 물추출에 있어서는 감초와 구운감초 모두 앞쪽에서만 피크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극성이 큰 물질 위주로만 추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시료 3, 4의 에탄올추출의 경우에는 앞쪽뿐만 아니라, 뒤쪽에서도 피크가 발견되는 바 비극성물질도 추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초의 추출에 있어서, 35min 부근에서 추출되는 분획에는 리코칼콘A가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2: 리코칼콘 A의 검량곡선의 결정
HPLC정량법으로 리코칼콘 A의 검량곡선을 결정하였으며, 상기 검량곡선을 도 2에 나타내었다.
리코칼콘 A의 검량곡선을 구하기 위하여 리코칼콘 A 표품을 HPLC용 메탄올에 각각 1.0 mg/ml, 0.1 mg/ml, 0.01 mg/ml, 0.001 mg/ml의 농도로 만든 후, 위에서 제시한 HPLC 조건으로 크로마토그램을 얻은 후, 피크 면적과 농도간의 일차방정식을 구한다. 여기서 구하여진 일차방정식은 면적(Y) = 197.93 X 농도(X) + 0.0799로 얻어졌으며 직선성을 나타내는 R값이 1로서 완전히 일차방정식을 만족하는 면적과 농도의 비례식이 만들어졌다. 따라서, 여기에 각각 시료에서 구해지는 피크의 면적값을 대입하여 시료에 함유되어 있는 리코칼콘A의 함량을 구한다.
여기에 나타난 각 점들은 비교표품인 리코칼콘A의 각 농도에서 얻어지는 각 피크의 면적값과 그 농도가 만나는 점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상기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리코칼콘A 추출물과 실시예 9, 및 11 내지 15에서 얻어진 리코칼콘 A 추출물에 대하여 HPLC장비(HPLC-UV, Dionex. USA)를 이용하여, 254nm파장의 조건으로 HPLC(이외의 조건은 상기와 동일함)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났듯이, 실시예 9, 및 11 내지 15에서 얻어진 리코칼콘 A 추출물의 HPLC 피크가 가열처리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추출물의 피크보다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가열처리하는 경우 리코칼콘A 포함 분획의 수득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3 내지 15의 조건과 같이 250℃의 고온 처리군의 경우는 감초에 전달되는 온도가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코칼콘의 함량이 불안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초의 주요 활성성분인 리코칼콘A를 추출함에 있어, 선가열처리 또는 노르말헥산에 에탄올을 포화시킨 식품가공 허용용매를 이용함으로써 감초로부터 리코칼콘A를 과량함유하는 분획을 얻고, 순도가 높은 리코칼콘A를 손쉽게 분리 할 수 있는 방법과 유기용매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잔존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리코칼콘 A 및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을 증가시킬 것을 목적으로 감초를 100 내지 250℃ 에서 80 내지 120 분 동안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얻는 단계;
    노르말헥산과 에탄올을 20 : 1 내지 5: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혼합용매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구운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상기 리코칼콘 A 추출물로부터 리코칼콘 A의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리코칼콘 A의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 A를 원심분리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정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리코칼콘 A의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 A를 정제하는 단계는 원심분리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는 것인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4. 감초를 100 내지 250℃에서 8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여 구운감초를 얻는 단계; 및
    에탄올 80 내지 95 중량부, 및 물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용매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구운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상기 리코칼콘 A 추출물로부터 리코칼콘 A의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리코칼콘 A의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 A를 원심분리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정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리코칼콘 A의 분획으로부터 리코칼콘 A를 정제하는 단계는 원심분리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는 것인 리코칼콘 A의 추출방법.
KR1020050066360A 2005-07-21 2005-07-21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4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60A KR100645994B1 (ko) 2005-07-21 2005-07-21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360A KR100645994B1 (ko) 2005-07-21 2005-07-21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994B1 true KR100645994B1 (ko) 2007-04-16

Family

ID=3818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360A KR100645994B1 (ko) 2005-07-21 2005-07-21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9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96B1 (ko) 2009-11-09 2012-01-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CN115260024A (zh) * 2022-08-12 2022-11-01 守正创新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从胀果甘草中制备高纯度甘草查尔酮a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81A (ko) * 2003-02-14 2004-08-21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유용성 감초엑스 함유 외용제 조성물 및 그의 안정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681A (ko) * 2003-02-14 2004-08-21 마루젠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유용성 감초엑스 함유 외용제 조성물 및 그의 안정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96B1 (ko) 2009-11-09 2012-01-04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CN115260024A (zh) * 2022-08-12 2022-11-01 守正创新生物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从胀果甘草中制备高纯度甘草查尔酮a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smin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dvanced processing technology: Phaleria macrocarpa (sheff.) Boerl, a review
Thani et al.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ai noni/Yor (Morinda citrifolia Linn.) leaf extract
Woźniak et al. Belamcandae chinensis rhizoma–a review of phytochemistry and bioactivity
Wożniak et al. Antimutagenic and antiradical properties of flavones from the roo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ang et al. Anti-ulcer and anti-Helicobacter pylori potentials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L. var. franchetii (Solanaceae) in rodent
Sheng et al. Rubus chingii Hu: An overview of botany,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Choudhary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Rhodiola imbricata, a Trans-Himalayan food crop having antioxidant and anticancer potential
Cho et al. Sesquiterpene lactones and scopoletins from Artemisia scoparia Waldst. & Kit. and their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Peng et al. Changes in levels of phenylethanoid glycosides, antioxidant activity, and other quality traits in Cistanche deserticola slices by steam processing
Su et al. The processing method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Gastrodia elata Bl.: A comprehensive review
Kaur et al. Antimutagenic potential of extracts isolated from Terminalia arjuna
KR101802097B1 (ko) 페놀산 프로파일을 이용한 와송의 채취 시기 판별 방법
KR100645994B1 (ko) 가열 및 혼합용매를 이용하여 감초로부터 리코칼콘 a를포함하는 비극성 화합물군을 추출하는 방법
El Baakili et al.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for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oroccan Retama sphaerocarpa L. leaves: Simultaneous optimiz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characterization by HPLC/ESI-MS analysis
Al-Jumaily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olyphenol compounds of Cyperus rotundus L. rhizomes
Abdollahnezhad et al.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ucosterol and stigmasterol from Prangos ferulacea
Kaur et al. Metabolic fingerprinting of different populations of Phyllanthus niruri L. from Punjab using 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ESI–MS)
KR100902669B1 (ko) 황기로부터 칼리코신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Alim et al. Application of ultrasound on the extraction of vitexin from Ficus deltoidea leaves
CN113546112B (zh) 一种从牡丹叶和根中分类提取酚类化合物的方法
Bhadoriya et a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flavonoids from Zanthoxylum budrunga W. optimization of extraction process
KR100313323B1 (ko) 작약씨로부터 트란스-레스베라트롤 성분의 추출방법
Johari et al. Prenylated flavonols from the leaves of Macaranga gigantea (Rchb. F. & Zoll.)
Sulaiman et al.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fruit extracts of three medicinal plan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negative 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KR100863217B1 (ko) 황기로부터 포르모노네틴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