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518B1 - 양두 밀링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양두 밀링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518B1
KR101801518B1 KR1020170082384A KR20170082384A KR101801518B1 KR 101801518 B1 KR101801518 B1 KR 101801518B1 KR 1020170082384 A KR1020170082384 A KR 1020170082384A KR 20170082384 A KR20170082384 A KR 20170082384A KR 101801518 B1 KR101801518 B1 KR 101801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plate
flat plate
direction mov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운
이종래
Original Assignee
박승운
이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운, 이종래 filed Critical 박승운
Priority to KR1020170082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4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3Surface milling of plates,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2/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composed of metals, alloys or metal matrices
    • B23C2222/04Aluminium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를 향해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될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양두 밀링 가공장치{Processing for two heads milling}
본 발명은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 장치와 같은 가공 장치는 커터를 회전시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이다. 이러한 밀링 장치는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는 커터의 종류에 따라 공작물을 면 가공, 홈 가공 따위를 하게 된다.
종래 기술(공개특허 10-2012-0117308호)을 살펴보면, 베이스부의 상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타고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송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송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가공부, 상기 절삭가공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공작물을 지지하는 공작물 지지부,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 절삭가공부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 및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에 연결된 조작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절삭가공부, 그리고 공작물 지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이러한 기술에는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위치 이동 부재의 위치 이동이 각각 별도의 동력부재로 구현되는 바, 가공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부피 및 구성요소 증가로 가공 장치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구성 요소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를 향해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될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전방면에 상기 가공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가공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폭방향레일부는, 상기 평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폭방향레일 및 상기 평판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폭방향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폭방향레일과 연결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2 폭방향레일과 연결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2 기둥부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홀을 제공하는 연장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연장부의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중공홀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가압본체부, 상기 가압본체부와 연결된 채, 상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이동부 및 상기 가압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이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측정부는,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제4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5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5 위치에서 가공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이격 거리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4 위치에서 일측 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일측 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과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폭방향이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제2 폭방향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 및 제2 길이방향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의 접촉위치가 상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접촉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촉부를 매개하며,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평판부 상에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전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평판부 상에서의 안착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 전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중공홀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와 접촉되되, 상기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해 형태 변형되는 완충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감쇠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의하면, 피가공물(플레이트)의 평판부 상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위치 이동 부재의 위치 이동이 하나의 동력부재로 구현되도록 하여, 가공 장치의 부피 및 구성요소 감소로 가공 장치의 제작비용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폭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위치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길이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폭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1, 이하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P)(알루미늄)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는, 평판부(10), 폭방향레일부(20), 길이방향레일부(30), 가공부(60) 및 위치결정부(70)를 포함한다.
평판부(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일종의 테이블이다.
폭방향레일부(20)는, 평판부(10) 상면에 연결되며, 평판부(10)의 폭방향(Y)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폭방향레일(21) 및 평판부(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폭방향레일(23)로 구성된다.
길이방향레일부(30)는 평판부(10)의 측면에 연결되며, 평판부(10)의 길이방향(X)을 따라 형성되며, 평판부(10)의 높이방향(Z)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레일 및 제2 길이방향레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레일부(30)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방향이동부(50)의 크기에 따라 평판부(10)의 높이방향(Z)을 따라 3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폭방향이동부(40)는, 폭방향레일부(20)를 따라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폭방향이동부(40)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를 구비한다.
이하, 제1 폭방향이동부(40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2 폭방향이동부(40b)에 관한 설명은 제1 폭방향이동부(4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폭방향레일(21)과 연결되는 제1 기둥부(41), 제2 폭방향레일(23)과 연결되는 제2 기둥부(43) 및 제1 기둥부(41)와 제2 기둥부(43)를 연결하는 연결부(47)를 구비한다. 제1 기둥부(41)와 제2 기둥부(43)는 연결부(47)에 의해 연결된 채, 연동된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연결부(47)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가공장치(1)를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안착되는 안착부(49)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가공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공장치(1)의 각 구성의 상태 확인 및 각 구성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길이방향(X)으로 위치 이동된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 및 제2 길이방향이동부(50b)를 구비한다.
이하,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제2 길이방향이동부(50b)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2 길이방향이동부(50b)에 관한 설명은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51), 제1 위치동부와 연결되는 보조레일부(53) 및 보조레일부(53)를 따라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55)를 구비한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공부(60)는, 길이방향이동부(50)에 연결된 채, 길이방향이동부(50)와 연동되며 평판부(10)의 상면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측면을 가공한다.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와 연결되며, 평판부(10)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평판부(10)를 향해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와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제2 위치에서 평판부(10)의 상면에 안착될 플레이트(P)의 안착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결정부(70)는, 이하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위치결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와 연결되는 체결부(71), 플레이트(P)의 측면과 접촉되어 플레이트(P)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접촉부(73) 및 체결부(71)와 접촉부(73)를 매개하며, 접촉부(73)를 지지하는 지지부(75)를 구비한다.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와 체결부(71)에 의해 연결되어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또한,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를 기준으로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된다.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에 종속된 채, 폭방향이동부(40)와 연동되어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며, 폭방향이동부(40)를 기준으로 높이방향(Z)을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결정부(70)는, 평판부(10) 상에 플레이트(P)가 안착되기 전에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플레이트(P)의 평판수 상에서의 안착 위치가 결정되면,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의 측면 가공 전에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여기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은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폭방향이동부(40)의 폭방향(Y) 위치 이동이 구현되어 폭방향이동부(40)의 위치가 결정되면, 폭방향이동부(40)의 위치는 고정된 채, 위치결정부(70)가 제1 위치에서 제1 위치보다 높이방향(Z)으로 낮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제2 위치에 위치한 위치결정부(70)는 평판부(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2 위치에 위치한 위치결정부(70)를 기준으로 측면 가공이 구현될 플레이트(P)가 평판부(10) 상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P)는 평판부(10) 상에서 위치결정부(70)에 의해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므로, 사용자는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접촉부(73)와 접촉된 상태로 배치하여 평판부(10) 상에서의 플레이트(P)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접촉부(73)는, 길이방향(X)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P)의 일측면과 접촉되어,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의 가공면의 대향 각도가 평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부(70)는, 폭방향이동부(4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판부(10) 상면의 법선벡터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플레이트(P)의 가공부(60)와의 대향 각도를 변화시켜 플레이트(P)의 가공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정밀한 가공을 위한 플레이트(P)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위치에 위치한 위치결정부(70)에 의해 플레이트(P)의 위치가 결정되면, 위치결정부(7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는 연결부(47)에 연결되며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80)를 더 포함한다.
가압부(80)는, 연결부(47)와 연결되는 가압본체부(81), 가압본체부(81)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이동부(83) 및 가압이동부(83)와 연결되어 가압이동부(83)에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85)를 구비한다.
가압본체부(81)는, 적어도 일부분이 연결부(47)에 의해 포위된 채, 연결부(47)에 고정된다.
가압이동부(83)는, 가압본체부(81)를 기준으로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상측에 위치한 플레이트(P)의 상측을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이동부(83)의 위치 이동은 실린더부(85)에 의해 구현된다. 실린더부(85)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유압/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장치(1)는 플레이트(P)의 일측면을 가공하기 위하여, 먼저 제1 위치에 위치한 위치결정부(7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 상의 플레이트(P)의 위치를 결정하고, 위치결정부(70)를 기준으로 플레이트(P)의 위치가 결정되면, 가압이동부(83)가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상측에 위치한 플레이트(P)의 상측을 가압한다.
여기서, 가압이동부(83)는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 측면 가공 시, 플레이트(P)와 가공부(60)에 의한 접촉에 따른 진동/충격에 의한 플레이트(P)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플레이트(P) 측면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길이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길이방향이동부(50)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51), 제1 위치이동부(51)와 연결되는 보조레일부(53) 및 보조레일부(53)를 따라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55)를 구비한다.
길이방향레일부(30)는, 평판부(10)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0a) 및 제2 길이방향레일부(30b)로 구성된다.
제1 길이방향레일부(30a)와 제2 길이방향레일부(30b)는 평판부(10)의 측면에 높이방향(Z)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길이방향레일부(30a) 및 제2 길이방향레일부(30b)에 연결된 제1 위치이동부(51)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0a)와 제2 길이방향레일부(30b)에 동시에 연결된 채,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길이방향(X)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보조레일부(53)는 제1 위치이동부(51)에 연결되되, 평판부(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보조레일부(53)와 제1 길이방향레일부(30a)는 수직 관계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위치이동부(55)는 보조레일부(53)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를 기준으로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즉, 제2 위치이동부(55)는 길이방향레일부(30)와 연결된 제1 위치이동부(51)에 의해 길이방향(X)으로 위치 이동되며, 보조레일부(53)에 의해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제2 위치이동부(55)는, 전방면에 가공부(60)와 연결되는 프레임(551), 프레임(551)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P)와 가공부(60)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553) 및 프레임(551)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폭방향(Y)이동부(40)에 삽입되는 삽입부(555)를 구비한다.
측정부(553)는, 일측 끝단이 프레임(551)의 전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4 위치에서 일측 끝단이 프레임(551)의 전방면과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5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측정부(553)는 평판부(10)의 상면에 플레이트(P)가 안착되기 전에, 제4 위치에서 측정 대기 상태에 있으며, 평판부(10) 상의 플레이트(P) 안착이 완료되면, 제4 위치에서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 상에 안착된 플레이트(P)와 제2 위치이동부(55)의 이격 거리를 측정한다. 명확하게는, 플레이트(P)의 측면과 가공부(60)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측정부(553)는,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 측면 가공 시, 제2 위치이동부(55)가 이동되어야 할 위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제2 위치이동부(55)의 보조레일부(53)를 통한 위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553)는, 제2 위치이동부(55)가 이동되어야 할 위치 이동 거리 산출이 완료되면, 제5 위치에서 제4 위치로 복귀되어 제2 위치이동부(55)의 폭방향(Y) 위치 이동 시, 플레이트(P)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측정부(553)의 제4 위치에서 제5 위치 또는 제5 위치에서 제4 위치의 위치 이동은 폭방향(Y)으로의 위치 이동이다.
제2 위치이동부(55)는 제1 위치이동부(51)가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일측단 상의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폭방향(Y)이동부(40)와 연결되어 폭방향이동부(40)와 연동되며, 제1 위치이동부(51)가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폭방향(Y)이동부(40)와 연결 해제되어 폭방향(Y)이동부(40)와 연동되지 않는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2 기둥부(43)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삽입부(555)가 삽입되는 중공홀(h1)을 제공하는 연장부(45)를 구비하여, 제2 위치이동부(55)의 삽입부(555)가 삽입되는 경우, 제2 위치이동부(55)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이동부(51)가 제3 위치에 도달하면, 삽입부(555)는 연장부(45)의 중공홀(h1)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2 위치이동부(55)의 보조레일부(53)를 통한 폭방향(Y) 위치이동에 연동되어 위치 이동된다.
또한, 제1 위치이동부(51)가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중공홀(h1)에 삽입된 삽입부(555)는 중공홀(h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폭방향(Y)이동부(40a)와 제2 위치이동부(55)는 연결부(47)재가 부재(不在)하게 되어, 서로 연동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0a)에 의해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되고,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2 길이방향이동부(50b)에 의해 폭방향(Y)으로 위치 이동된다.
또한, 제1 폭방향이동부(40a)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이격 거리에 따라 평판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P)와 제1 폭방향이동부(40a)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접촉위치가 상이해진다.
즉, 평판부(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레이트(P)의 폭은 가공될 플레이트(P)의 종류에 따라 그 폭의 너비가 상이한 바, 플레이트(P)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P)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가압 위치가 증가하도록 하고, 폭이 좁은 플레이트(P)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가압 위치가 감소하도록 하여야 보다 효율적으로 플레이트(P)를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장치(1)는, 플레이트(P)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80)재인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폭방향(Y) 위치 이동을 구현토록 하기 위하여, 제1 폭방향이동부(40a) 또는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결된 별도의 동력원을 제공하는 구성을 배제하고, 플레이트(P) 측면 가공을 위한 가공부(6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길이방향이동부(50)를 통해 폭방향이동부(4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가공장치(1)의 구성 요소를 줄여 기계를 단순화하며, 복잡한 기계 구성에 따른 고장율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삽입부(555)는 프레임(551)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55a) 및 고정부(555a)로부터 돌출되며 중공홀(h1)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555b)를 구비한다.
고정부(555a)는 돌출부(555b)가 중공홀(h1)에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45)와 접촉된다. 고정부(555a)는 연장부(45)와의 접촉에 의해 형태 변형되는 완충부재로 형성되어 연장부(45)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감쇠되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양두 밀링 가공장치
P: 플레이트
10: 평판부
20: 폭방향레일부
30: 길이방향레일부
40: 폭방향이동부
50: 길이방향이동부
60: 가공부
70: 위치결정부
80: 가압부

Claims (10)

  1.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와 제1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를 향해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될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 위치이동부, 상기 제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보조레일부 및 상기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3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 위치이동부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이동부는,
    전방면에 상기 가공부와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가공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폭방향이동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레일부는, 상기 평판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폭방향레일 및 상기 평판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폭방향레일을 구비하며,
    상기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폭방향레일과 연결되는 제1 기둥부, 상기 제2 폭방향레일과 연결되는 제2 기둥부, 상기 제2 기둥부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중공홀을 제공하는 연장부 및 상기 제1 기둥부와 상기 제2 기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연장부의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중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가압본체부, 상기 가압본체부와 연결된 채, 상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압이동부 및 상기 가압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압이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경우, 제4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향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5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5 위치에서 가공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이격 거리의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제4 위치에서 일측 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5 위치에서 상기 일측 끝단이 상기 프레임의 전방면과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이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제2 폭방향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 및 제2 길이방향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에 의해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의 이격 거리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와의 접촉위치가 상이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는 체결부,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접촉부 및 상기 체결부와 상기 접촉부를 매개하며,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평판부 상에 상기 플레이트가 안착되기 전에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평판부 상에서의 안착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 전에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중공홀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연장부와 접촉되되, 상기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해 형태 변형되는 완충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감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20170082384A 2017-06-29 2017-06-29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1801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84A KR101801518B1 (ko) 2017-06-29 2017-06-29 양두 밀링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84A KR101801518B1 (ko) 2017-06-29 2017-06-29 양두 밀링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518B1 true KR101801518B1 (ko) 2017-11-27

Family

ID=6081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84A KR101801518B1 (ko) 2017-06-29 2017-06-29 양두 밀링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3186A (zh) * 2022-03-31 2022-06-10 宝鸡合力叉车有限公司 一种数控双头龙门铣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72B1 (ko) 2011-04-28 2011-11-11 (주)알루코 양두 밀링 가공 장치
CN104339210A (zh) 2014-10-23 2015-02-11 太仓威格玛机械设备有限公司 卧式双头加工中心
KR101710838B1 (ko) 2016-08-22 2017-02-27 고정완 양두밀링장치
KR101730053B1 (ko) 2016-06-13 2017-04-26 주식회사 성도 에프에이 표면가공처리된 스테인레스 금속판재의 모서리 버어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72B1 (ko) 2011-04-28 2011-11-11 (주)알루코 양두 밀링 가공 장치
CN104339210A (zh) 2014-10-23 2015-02-11 太仓威格玛机械设备有限公司 卧式双头加工中心
KR101730053B1 (ko) 2016-06-13 2017-04-26 주식회사 성도 에프에이 표면가공처리된 스테인레스 금속판재의 모서리 버어 제거 장치
KR101710838B1 (ko) 2016-08-22 2017-02-27 고정완 양두밀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03186A (zh) * 2022-03-31 2022-06-10 宝鸡合力叉车有限公司 一种数控双头龙门铣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0323B (zh) 整形裝置及其定位機構
TWI510325B (zh) 整形裝置
EP1961492B1 (en) Method of adjusting nozzle clearance of liquid coater and liquid coater
US20100119317A1 (en) Machining apparatus and machining method
US6677691B2 (en) Stage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90055305A (ko)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1082972B1 (ko) 양두 밀링 가공 장치
KR102155096B1 (ko) 위치결정 장치
KR101801518B1 (ko)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1510175B1 (ko) 기판의 홈 가공 툴 및 홈 가공 장치
JP6351053B2 (ja) 工作機械
JPH11221737A (ja) 工作機械テーブル上でワークピースを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10002163U (ko) 공작기계
US3835594A (en) Toolmaker{40 s vise
JPH06206109A (ja) 形鋼加工機の寸法補正装置
CN116511791B (zh) 一种轴流风机外壳焊接装置
KR20200125984A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JP6262565B2 (ja) マルチサイズワーククランプトレイ
CN112720076B (zh) 加工机构和加工设备
EP2632621A1 (en) Device for clamping a fixture attachment to a wire saw cutting machine
CN205703851U (zh) 一种可定位压具的限位系统
US7281462B2 (en) Tool guiding device
KR20180103492A (ko) 판재 가공장치
CN217995700U (zh) 金属片滑动进料装置
WO2020082578A1 (zh) 可调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