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305A - 양두 밀링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양두 밀링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305A
KR20190055305A KR1020170151622A KR20170151622A KR20190055305A KR 20190055305 A KR20190055305 A KR 20190055305A KR 1020170151622 A KR1020170151622 A KR 1020170151622A KR 20170151622 A KR20170151622 A KR 20170151622A KR 20190055305 A KR20190055305 A KR 20190055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longitudinal direction
mov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이종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래 filed Critical 이종래
Priority to KR102017015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305A/ko
Publication of KR2019005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4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20Milling external areas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mill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제2 폭방향이동부를 구비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측정하는 폭측정부 및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압부 또는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가압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두 밀링 가공장치{Processing for two heads milling}
본 발명은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 장치와 같은 가공 장치는 커터를 회전시켜 공작물을 절삭하는 공작기계이다. 이러한 밀링 장치는 테이블에 공작물을 고정하고, 회전하는 커터의 종류에 따라 공작물을 면 가공, 홈 가공 따위를 하게 된다.
종래 기술(공개특허 10-2012-0117308호)을 살펴보면, 베이스부의 상판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상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을 타고 상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송되는 슬라이딩 가이드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이송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절삭가공부, 상기 절삭가공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공작물을 지지하는 공작물 지지부, 상기 상판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 및 절삭가공부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부 및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반과, 상기 제어반에 연결된 조작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가이드부, 절삭가공부, 그리고 공작물 지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비되어 있다.
다만, 종래의 이러한 기술에는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위치 이동 부재의 위치 이동이 각각 별도의 동력부재로 구현되는 바, 가공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부피 및 구성요소 증가로 가공 장치의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구성 요소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제2 폭방향이동부를 구비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측정하는 폭측정부 및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압부 또는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가압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 및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 및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길이방향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 상기 제1-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제1 보조레일부 및 상기 제1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1 위치이동부, 상기 제2-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제2 보조레일부 및 상기 제2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2 위치이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1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고,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2-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이하인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서만 가압되도록 하며,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 또는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1 길이는 50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길이방향레일부와 평행한 가상의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1-2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2 위치이동부의 초기 설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가공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의 상기 평판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며, 상기 각측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중 상기 평판부의 일측과 인접한 영역이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1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중 상기 평판부의 타측과 인접한 영역이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2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우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이동거리만큼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경우인 경우, 상기 제2 각도를 기초로 산출된 제2 이동거리만큼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를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상기 제1 이동거리(M1), 상기 제1 각도(A1) 및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L1)는, M1 = L1 x sin A1의 식을 만족하며, 상기 제2 이동거리(M2), 상기 제2 각도(A2) 및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L1)는, M2 = L1 x sin A2 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는 상기 가공부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의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와 대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가공부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의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의하면, 피가공물(플레이트)의 평판부 상에서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여,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피가공물을 가압하는 가압부재의 가압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피가공물의 가공을 위한 위치 이동 부재의 위치 이동이 하나의 동력부재로 구현되도록 하여, 가공 장치의 부피 및 구성요소 감소로 가공 장치의 제작비용이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폭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길이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1-2 위치이동부 및 제2-2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폭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1, 이하 가공장치)는 적층된 플레이트(P, 알루미늄)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는, 평판부(10), 폭방향레일부(20), 길이방향레일부(30), 폭방향이동부(40), 길이방향이동부(50), 가공부(60), 제1 가압부(71), 제2 가압부(72), 폭측정부(8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평판부(1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일종의 테이블이다.
폭방향레일부(20)는, 평판부(10) 상면에 연결되며, 평판부(1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평판부(10)의 일측(Q1)에 형성되는 제1 폭방향레일(21) 및 평판부(10)의 타측(Q2)에 형성되는 제2 폭방향레일(23)로 구성된다.
길이방향레일부(30)는 평판부(10)의 측면에 연결되고, 평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1) 및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를 구비한다.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는, 평판부(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1 길이방향레일(311) 및 제1-2 길이방향레일(312)로 구성되며,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는, 평판부(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1 길이방향레일(321) 및 제2-2 길이방향레일(322)로 구성된다.
여기서, 길이방향레일부(30)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이동하는 길이방향이동부(50)의 크기에 따라 평판부(10)의 높이방향을 따라 3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폭방향이동부(40)는, 폭방향레일부(20)를 따라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폭방향이동부(40)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를 구비한다.
이하, 제1 폭방향이동부(40a)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나,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2 폭방향이동부(40b)에 관한 설명은 제1 폭방향이동부(4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폭방향레일(21)과 연결되는 제1-1 기둥부(41), 제2 폭방향레일(23)과 연결되는 제1-2 기둥부(43) 및 제1-1 기둥부(41)와 제1-2 기둥부(4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7)를 구비한다. 제1-1 기둥부(41)와 제1-2 기둥부(43)는 제1 연결부(47)에 의해 연결된 채, 연동된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연결부(47)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가공장치(1)를 위한 제어부(70)가 안착되는 안착부(49)를 더 구비한다.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1 폭방향레일(21)과 연결되는 제2-1 기둥부(45), 제2 폭방향레일(23)과 연결되는 제2-2 기둥부(46) 및 제2-1 기둥부(45)와 제2-2 기둥부(46)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8)를 구비한다. 제2-1 기둥부(45)와 제2-2 기둥부(46)는 제2 연결부(48)에 의해 연결된 채, 연동된다.
제어부(70)는, 가공장치(1)의 각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 장치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공장치(1)의 각 구성의 상태 확인 및 각 구성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길이방향레일부(3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1) 및 제2 길이방향이동부(52)를 구비한다.
제1 길이방향이동부(51)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제2 길이방향이동부(52)는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제1 길이방향이동부(51)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511), 제1-1 위치동부와 연결되는 제1 보조레일부(512) 및 제1 보조레일부(512)를 따라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513)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길이방향이동부(52)는,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1 위치이동부(521), 제2-1 위치동부와 연결되는 제2 보조레일부(522) 및 제2 보조레일부(522)를 따라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2 위치이동부(523)를 구비한다.
길이방향이동부(50)는,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공부(60)는, 길이방향이동부(50)에 연결된 채, 길이방향이동부(50)와 연동되며 평판부(10)의 상면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측면을 가공한다. 가공부(60)는, 길이방향이동부(50)의 평판부(10)의 일측(Q1)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 중에 플레이트(P)의 측면을 가공한다.
제1 가압부(71)는,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상면을 가압한다.
또한, 제2 가압부(72)는,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상면을 가압한다.
제1 가압부(71)와 제2 가압부(72)는 이격되어 배치된 채,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상면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다.
폭츠정부(80)는,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를 측정한다.
제어부(70)는, 폭츠정부(80)에 의해 측정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를 기초로, 제1 가압부(71) 또는 제2 가압부(72)에 의한 플레이트(P)의 가압 여부를 결정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로 제어부(70)에 의한 길이방향이동부(50), 제1 가압부(71) 및 제2 가압부(72)의 제어 기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제1 가압부(71)는, 제1 연결부(47)에 연결되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상면을 가압한다.
제1 가압부(71)는, 제1 연결부(47)와 연결되는 제1 가압본체부(711), 제1 가압본체부(711)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가압이동부(713) 및 제1 가압이동부(713)와 연결되어 제1 가압이동부(7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실린더부(715)를 구비한다.
제1 가압본체부(711)는,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연결부(47)에 의해 포위된 채, 제1 연결부(47)에 고정된다.
제1 가압이동부(713)는, 제1 가압본체부(711)를 기준으로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상측에 위치한 플레이트(P)의 상측을 가압한다. 여기서, 제1 가압이동부(713)의 위치 이동은 제1 실린더부(715)에 의해 구현된다. 제1 실린더부(715)는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유압/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제1 가압이동부(713)는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 측면 가공 시, 플레이트(P)와 가공부(60)에 의한 접촉에 따른 진동/충격에 의한 플레이트(P)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여, 플레이트(P) 측면의 정밀한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 가압부(72)는, 제2 연결부(48)와 연결되는 제2 가압본체부, 제2 가압본체부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가압이동부 및 제2 가압이동부와 연결되어 제2 가압이동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실린더부를 구비한다.
제어부(70)는, 폭츠정부(80)에 의해 측정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에 따라, 평판부(10)에 안착된 플레이트(P)가 제1 가압부(71)에 의해서만 가압될지, 제1 가압부(71)와 제2 가압부(72)에 의해 가압될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는 폭츠정부(80)에 의해 측정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이하인 경우, 플레이트(P)가 제1 가압부(71)에 의해서만 가압되도록 하며, 폭츠정부(80)에 의해 측정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이상인 경우, 플레이트(P)가 제1 가압부(71) 및 제2 가압부(72)에 의해 가압되도록 제1-2 위치이동부(513) 또는 상기 제2-2 위치이동부(52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압부(71)의 위치는 제1-2 위치이동부(513)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가압부(72)의 위치는 제2-2 위치이동부(52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는 50mm 내지 60mm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길이는 50mm 일 수 있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1)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2 길이방향이동부(52)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방향이동부(51)의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일측(Q1)단 상의 제1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동되며, 상기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2 길이방향이동부(52)의 제2-2 위치이동부(523)는, 제2-1 위치이동부(521)가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일측(Q1)단 상의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결되어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동되며, 제2-1 위치이동부(521)가 제2 길이방향레일부(32)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동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부(70)가 제1-2 위치이동부(513) 또는 제2-2 위치이동부(523)위 위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제1 폭방향이동부(40a) 또는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1 가압부(71) 또는 제2 가압부(72)의 평판부(10)를 기준으로 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평판부(10)의 상측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즉, 5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의 가공 중, 가공부(60)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플레이트(P)가 위치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플레이트(P)의 측면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평판부(10)의 상측에 안착된 플레이트(P)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즉, 50mm 이하인 경우에는, 플레이트(P)의 상면을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71)와 제2 가압부(72)의 이격 거리가 너무 가까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가압부(71)와 제2 가압부(72)의 충격에 따른 제1 가압부(71), 제2 가압부(72) 및 인접 부재의 파손 위험이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길이방향이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의 제1 길이방향이동부(51)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511), 제1 -1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제1 보조레일부(512) 및 제1 보조레일부(512)를 따라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513)를 구비한다.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는, 평판부(10)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1 길이방향레일(311) 및 제1-2 길이방향레일(312)으로 구성된다.
제1-1 길이방향레일(311)과 제1-2 길이방향레일(312)은 평판부(10)의 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1 길이방향레일(311) 및 제2 길이방향레일에 연결된 제1-1 위치이동부(511)는 제1 길이방향레일과 제2 길이방향레일에 동시에 연결된 채,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구현될 수 있다.
제1 보조레일부(512)는 제1-1 위치이동부(511)에 연결되되, 평판부(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1 보조레일부(512)와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는 수직 관계에 위치하게 된다.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제1 보조레일부(512)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를 기준으로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즉,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31)와 연결된 제1-1 위치이동부(51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제1 보조레일부(512)에 의해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전방면에 가공부(60)와 연결되는 프레임(513a), 프레임(513a)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플레이트(P)와 가공부(60)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513b) 및 프레임(513a)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폭방향이동부(40)에 삽입되는 삽입부(513c)를 구비한다.
거리측정부(513b)는, 일측 끝단이 프레임(513a)의 전방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3 위치에서 일측 끝단이 프레임(513a)의 전방면과 다른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4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거리측정부(513b)는 평판부(10)의 상면에 플레이트(P)가 안착되기 전에, 제3 위치에서 측정 대기 상태에 있으며, 평판부(10) 상의 플레이트(P) 안착이 완료되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평판부(10) 상에 안착된 플레이트(P)와 제1-2 위치이동부(513)의 이격 거리를 측정한다. 명확하게는, 플레이트(P)의 측면과 가공부(60)와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거리측정부(513b)는,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 측면 가공 시, 제1-2 위치이동부(513)가 이동되어야 할 위치 이동 거리를 산출하여, 제1-2 위치이동부(513)의 제1 보조레일부(512)를 통한 위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측정부(513b)는, 제1-2 위치이동부(513)가 이동되어야 할 위치 이동 거리 산출이 완료되면,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되어 제1-2 위치이동부(513)의 폭방향 위치 이동 시, 플레이트(P)와의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거리측정부(513b)의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 또는 제4 위치에서 제3 위치의 위치 이동은 폭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다.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평판부(10)의 일측(Q1)단 상의 제1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결되어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동되며,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제1 길이방향레일부(31)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제1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결 해제되어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연동되지 않는다.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1 기둥부(41)의 하측단에 연결되어 삽입부(513c)가 삽입되는 중공홀(h1)을 제공하는 연장부(45)를 구비하여, 제1-2 위치이동부(513)의 삽입부(513c)가 삽입되는 경우, 제1-2 위치이동부(513)와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삽입부(513c)는 연장부(45)의 중공홀(h1)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2 위치이동부(513)의 제1 보조레일부(512)를 통한 폭방향 위치이동에 연동되어 위치 이동된다.
또한, 제1-1 위치이동부(511)가 제1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중공홀(h1)에 삽입된 삽입부(513c)는 중공홀(h1)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 경우,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제1-2 위치이동부(513)는 연결부재가 부재(不在)하게 되어, 서로 연동되지 않는다.
정리하면, 제1 폭방향이동부(40a)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51)에 의해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제2 길이방향이동부(52)에 의해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된다.
제2 길이방향이동부(52)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는 상술한 제1 길이방향이동부(51) 및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제2 길이방향이동부(52) 및 제2 폭방향이동부(40b)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제1 길이방향이동부(51) 및 제1 폭방향이동부(40a)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가공장치(1)는, 플레이트(P)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인 제1 폭방향이동부(40a)와 제2 폭방향이동부(40b)의 폭방향 위치 이동을 구현토록 하기 위하여, 제1 폭방향이동부(40a) 또는 제2 폭방향이동부(40b)와 연결된 별도의 동력원을 제공하는 구성을 배제하고, 플레이트(P) 측면 가공을 위한 가공부(6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길이방향이동부(50)를 통해 폭방향이동부(4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함으로써, 가공장치(1)의 구성 요소를 줄여 기계를 단순화하며, 복잡한 기계 구성에 따른 고장율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삽입부(513c)는 프레임(513a)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13d) 및 고정부(513d)로부터 돌출되며 중공홀(h1)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돌출부(513e)를 구비한다.
고정부(513d)는 돌출부(513e)가 중공홀(h1)에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45)와 접촉된다. 고정부(513d)는 연장부(45)와의 접촉에 의해 형태 변형되는 완충부재로 형성되어 연장부(45)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감쇠되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제1-2 위치이동부 및 제2-2 위치이동부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두 밀링 가공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1)는 길이방향레일부(30)와 평행한 가상의 제1 직선(R1)과 플레이트(P)의 측면이 형성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측정부(9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70)는, 각측정부(90)에 의해 측정된 각도에 따라 제1-2 위치이동부(513) 및 제2-2 위치이동부(523)의 초기 설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각측정부(90)는, 플레이트(P)의 측면 중 평판부(10)의 일측(Q1)과 인접한 영역이 제1 길이방향레일부(31)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1 경우에 있어서, 제1 직선(R1)과 플레이트(P)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1 각도(A1)를 측정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각측정부(90)는, 플레이트(P)의 측면 중 평판부(10)의 타측(Q2)과 인접한 영역이 제1 길이방향레일부(31)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2 경우에 있어서, 제1 직선(R1)과 플레이트(P)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2 각도(A2)를 측정할 수 있다(도 14 참조).
제어부(70)는, 제1 경우인 경우, 제1 각도(A1)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이동거리(M1)만큼 제1-2 위치이동부(513)를 플레이트(P)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이동거리(M1), 제1 각도(A1) 및 플레이트(P)의 길이(L1)는, M1 = L1 x sin A1 의 식을 만족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제2 경우인 경우, 제2 각도(A2)를 기초로 산출된 제2 이동거리(M2)만큼 제2-2 위치이동부(523)를 플레이트(P)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가공부(60)에 의한 플레이트(P)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이동거리(M2), 제2 각도(A2) 및 플레이트(P)의 길이(L1)는, M2 = L1 x sin A2 의 식을 만족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70)에 의한 제1-2 위치이동부(513) 및 제2-2 위치이동부(523)의 초기 위치 설정은, 평판부(10)에 안착된 채, 가공부(60)에 의해 가공되는 플레이트(P)의 일측면 및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이 평행하게 가공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가공부(60)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P)의 제1 길이방향이동부(51)와 대향하는 제1 측면과 가공부(60)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P)의 제2 길이방향이동부(52)와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양두 밀링 가공장치
P: 플레이트
10: 평판부
20: 폭방향레일부
30: 길이방향레일부
40: 폭방향이동부
50: 길이방향이동부
60: 가공부
70: 제어부
71: 제1 가압부
72: 제2 가압부
80: 폭측정부
90: 각측정부

Claims (10)

  1. 적층된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기 위한 양두 밀링 가공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평판을 제공하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 상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폭방향레일부;
    상기 평판부의 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평판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길이방향레일부;
    상기 폭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폭방향이동부 및 제2 폭방향이동부를 구비하는 폭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길이방향이동부;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에 연결된 채,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평판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된 채,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
    상기 평판부에 안착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측정하는 폭측정부; 및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제1 가압부 또는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가압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레일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길이방향레일부 및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길이방향이동부 및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상기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길이방향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1-1 위치이동부, 상기 제1-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제1 보조레일부 및 상기 제1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는,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는 제2-1 위치이동부, 상기 제2-1 위치이동부와 연결되는 제2 보조레일부 및 상기 제2 보조레일부를 따라 상기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2 위치이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1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1-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1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고,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는,
    상기 제2-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평판부의 일측단 상의 제2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며, 상기 제2-1 위치이동부가 상기 제2 길이방향레일부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결 해제되어 상기 제2 폭방향이동부와 연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 이하인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서만 가압되도록 하며, 상기 폭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플레이트의 폭의 길이가 제1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도록 상기 제1-2 위치이동부 또는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는,
    5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레일부와 평행한 가상의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각도에 따라 상기 제1-2 위치이동부 및 상기 제2-2 위치이동부의 초기 설정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길이방향이동부의 상기 평판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이동 중에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을 가공하며,
    상기 각측정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중 상기 평판부의 일측과 인접한 영역이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1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1 각도를 측정하거나,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중 상기 평판부의 타측과 인접한 영역이 상기 제1 길이방향레일부 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2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직선과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이 형성하는 제2 각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경우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를 기초로 산출된 제1 이동거리만큼 상기 제1-2 위치이동부를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경우인 경우, 상기 제2 각도를 기초로 산출된 제2 이동거리만큼 상기 제2-2 위치이동부를 상기 플레이트 측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가공부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의 측면 가공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거리(M1), 상기 제1 각도(A1) 및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L1)는,
    M1 = L1 x sin A1
    의 식을 만족하며,
    상기 제2 이동거리(M2), 상기 제2 각도(A2) 및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L1)는,
    M2 = L1 x sin A2
    의 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의 상기 제1 길이방향이동부와 대향하는 제1 측면과 상기 가공부에 의해 측면 가공된 플레이트의 상기 제2 길이방향이동부와 대향하는 제2 측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20170151622A 2017-11-14 2017-11-14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201900553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22A KR20190055305A (ko) 2017-11-14 2017-11-14 양두 밀링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22A KR20190055305A (ko) 2017-11-14 2017-11-14 양두 밀링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305A true KR20190055305A (ko) 2019-05-23

Family

ID=66681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622A KR20190055305A (ko) 2017-11-14 2017-11-14 양두 밀링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3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375B1 (ko) * 2019-07-31 2019-11-06 주식회사 별랑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KR102041377B1 (ko) * 2019-08-01 2019-11-27 주식회사 별랑 이동절삭부의 치수제어 이동에 의해 정밀가공이 가능한 양두밀링장치
KR102096105B1 (ko) * 2020-01-10 2020-04-01 주식회사 별랑 양두밀링장치의 제어시스템
CN113927318A (zh) * 2021-11-08 2022-01-14 沈阳强力达机械制造厂 一种龙门式双转台数控铣床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375B1 (ko) * 2019-07-31 2019-11-06 주식회사 별랑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KR102041377B1 (ko) * 2019-08-01 2019-11-27 주식회사 별랑 이동절삭부의 치수제어 이동에 의해 정밀가공이 가능한 양두밀링장치
KR102096105B1 (ko) * 2020-01-10 2020-04-01 주식회사 별랑 양두밀링장치의 제어시스템
CN113927318A (zh) * 2021-11-08 2022-01-14 沈阳强力达机械制造厂 一种龙门式双转台数控铣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5305A (ko) 양두 밀링 가공장치
KR101082972B1 (ko) 양두 밀링 가공 장치
KR20150064175A (ko) 펀칭 갭을 설정하는 방법 및 공구 유닛
EP4023392A1 (en) Apparatus for deburring and trimming the edges of slab-shaped objects
CN106002566A (zh) 一种直线导轨滑块的复合加工磨床
EP3017899A1 (en) Panel saw machine
KR101801518B1 (ko) 양두 밀링 가공장치
JP2000326029A (ja) 形鋼加工機
WO2012055052A1 (en) Device for clamping a fixture attachment to a wire saw cutting machine
JPH06206109A (ja) 形鋼加工機の寸法補正装置
CN103692261A (zh) 一种双工位铣双槽钻孔专用夹装装置
IL169432A (en) Tool guiding device
KR20200125984A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CN205703851U (zh) 一种可定位压具的限位系统
CN217995700U (zh) 金属片滑动进料装置
KR101913279B1 (ko) 판재가공장치 및 판재가공방법
EP3915743A1 (en) Machine for processing components of wood or the like
CN220741509U (zh) 一种全自动木板六面钻设备
CN219403435U (zh) 镜脚加工板材上料装置
CN210359776U (zh) 一种可快速准确定点的碰焊送件装置
CN219632876U (zh) 激光切割机的拼接机架
CN214769418U (zh) 一种切割装置
CN217070367U (zh) 压力机和冲孔设备
CN214641385U (zh) 一种附墙导座的焊接定位装置
JP7113574B1 (ja) 開先加工機、治具及び治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