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375B1 -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 Google Patents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375B1
KR102041375B1 KR1020190093539A KR20190093539A KR102041375B1 KR 102041375 B1 KR102041375 B1 KR 102041375B1 KR 1020190093539 A KR1020190093539 A KR 1020190093539A KR 20190093539 A KR20190093539 A KR 20190093539A KR 102041375 B1 KR102041375 B1 KR 102041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workpiece
table body
base body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별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별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별랑
Priority to KR102019009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4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70Stationary or movable members for carrying working-spindles for attachment of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70/00Details of milling machines, milling processes or mill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2270/08Clamping mechanisms or provision for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 상단에 피가공물을 올려 놓고 한 쌍의 절삭체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양면을 절삭 가공함에 있어서 피가공물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제1확장베이스체와 제2확장베이스체에 의해 피가공물을 쉽고 용이하게 지지하여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로 인입하여 가공함은 물론 가공된 피가공물을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에 대한 밀링작업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제1확장베이스체와 제2확장베이스체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확장베이스체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피가공물의 치수보정이 가능하여 정교한 밀링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피가공물의 밀링가공에 따른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two heads milling with expansion type bracket}
본 발명은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가공물에 대한 치수제어가 용이하고 피가공물을 절삭체측으로 투입함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장치라 함은 절삭기를 회전시켜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밀링장치의 테이블 위에 피가공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삭가공체를 회전시켜 절삭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평면절삭, 곡면절삭, 각종 홈 절삭 등의 절삭가공을 수행한다.
이러한 밀링장치 중 2개의 절삭기가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는 밀링장치를 양두밀링장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양두밀링장치는 2개의 절삭기가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응되게 위치되어 있고 이들 사이로 피가공물을 위치시켜 고정한 다음 2개의 절삭기를 각각 전/후진 가이드레일을 타고 전후진시키면서 피가공물을 절삭하는 방식으로, 2개의 절삭기에 의해 피가공물의 양면에 대한 절삭가공이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절삭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양두밀링장치는 피가공물의 상면 중심부분만을 가압하여 피가공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삭가공을 수행하기 때문에 피가공물이 움직여서 절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무거운 피가공물을 가공체측으로 밀어넣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측의 절삭기보다 폭이 더 큰 피가공물을 절삭하기 위한 보조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폭이 큰 피가공물에 대한 절삭작업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밀링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 20-0477624호인 확장형 베이스체가 구비된 양두밀링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제1좌우측이동체와 상기 제1좌우측이동체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좌우측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좌우측이동체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베이스와 상기 제1베이스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전후진가이드와 상기 제1전후진가이드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후진가이드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제1절삭가공체와 상기 제1좌우측이동체와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2좌우측이동체와 상기 제2좌우측이동체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좌우측이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2좌우측이동체에 의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전후진가이드와 상기 제2전후진가이드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전후진가이드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제2절삭가공체로 이루어진 양두밀링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베이스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제1절삭가공체와 제2절삭가공체가 서로에 대해 벌어짐 간격을 벗어난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확장형베이스체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확장형베이스체는, 상기 제1베이스의 상단에 밀착되어 이 제1베이스와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단에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보강대와, 상기 보강대의 연결프레임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과 볼트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위치구멍과 제2위치구멍이 각각 통공되며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면과 볼트 결합되되 상기 안착프레임의 제1위치구멍이 하부측에 위치되어 제1위치구멍의 상부측으로 제1위치결정봉을 승하강시켜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피가공물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1위치결정봉에 걸려 위치되도록 하는 제1승하강체와, 상기 안착프레임의 하면과 볼트 결합되되 상기 안착프레임의 제2위치구멍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위치구멍의 상부측으로 제2위치결정봉을 승하강시켜 상기 안착프레임에 안착된 피가공물의 일측 끝단이 상기 제2위치결정봉에 걸려 위치되도록 하는 제2승하강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2개의 절삭가공체가 구비되는 양두밀링장치에 확장형 브라켓을 더 구비하여 2개의 절삭가공체의 벌어짐 간격 내에 위치되는 피가공물의 절삭가공은 물론 2개의 절삭가공체의 벌어짐 간격을 벗어나는 피가공물에 대해서도 절삭가공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확장브라켓에 의해 피가공물의 벌어짐 간격을 조절하여 절삭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확장브라켓을 밀링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77624호(2015.06.25. 등록)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10838호(2017.02.21. 등록)
본 발명은 제1밀링체와 제2밀링체가 구비되고 고정확장베이스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고정베이스측으로 이동되는 이동확장베이스를 구비하여 이동확장베이스에 의해 피가공물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밀링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피가공물을 인입시킴이 용이하여 작업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는,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체와 상기 베이스체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체의 선후단부까지 연장되며 폭방향 상면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가공물의 양단부를 절삭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 측으로 피가공물을 인입시키거나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로부터 피가공물을 인출시키는 고정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테이블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 일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베이스체측으로 근접하거나 고정베이스체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확장베이스체와;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 타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측으로 근접하거나 제1확장베이스체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확장베이스체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에 올려지는 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와 제2확장베이스체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피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측으로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입하거나 전방테이블체 및 후방테이블체로부터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 상단에 피가공물을 올려 놓고 한 쌍의 절삭체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양면을 절삭 가공함에 있어서 피가공물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제1확장베이스체와 제2확장베이스체에 의해 피가공물을 쉽고 용이하게 지지하여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로 인입하여 가공함은 물론 가공된 피가공물을 전방테이블체와 후방테이블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에 대한 밀링작업성은 물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제1확장베이스체와 제2확장베이스체의 이동이 용이하여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확장베이스체에 구비된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피가공물의 치수보정이 가능하여 정교한 밀링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피가공물의 밀링가공에 따른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제1확장베이스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제1확장베이스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제1확장베이스체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센서작동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제2확장베이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제2확장베이스체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고정베이스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의 고정베이스체 작용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체(1)와 상기 베이스체(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체(1)의 선후단부까지 연장되며 폭방향 상면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이 마련된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와 상기 가이드레일(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가공물의 양단부를 절삭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체(5)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 측으로 피가공물을 인입시키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가공물을 인출시키는 고정베이스체(50)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 상단에 피가공물을 올려 놓고 고정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절삭체(50)를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피가공물의 양단부를 밀링가공하는 것으로, 이는 공지된 양두밀링장치의 작용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에 올려지는 피가공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쉽고 용이하게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어 인입하고 가공 후 다시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빼내어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전방테이블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 일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 근접하거나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확장베이스체(3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 타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 근접하거나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확장베이스체(4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에 올려지는 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제2확장베이스체(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피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입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즉,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제1확장베이스체(30)를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제2확장베이스체(40)를 동시에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 이동시켜 피대상물이 제1확장베이스체(30)과 고정베이스체(50) 상단에 올려져 받쳐지거나 또는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제2확장베이스체(40) 및 고정베이스체(50) 상단에 올려져 받쳐지도록 한 후 피가공물을 쉽고 용이하게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어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대한 밀링가공작업성은 물론 작업자의 편의성과 함께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제2확장베이스체(40) 및 고정베이스체(50)에 피가공물이 받쳐진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피가공물을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피가공물이 떨어져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피가공물이 떨어져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작업자의 발이나 발등이 낙하된 피가공물에 의해 부딪히게 되어 상해가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확장베이스체(30)는, 제1확장베이스부(31)와 제1상단슬라이딩구(32), 제1전면슬라이딩구(33), 제1구름가이드(34), 제1위치감지센서부(35), 센서작동부(36) 및 덮개(3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는, 상단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름부수용공간(311)이 구비되고 상단 타측에 균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 제1연결편(312)이 볼트연결되며 하향 수직연장되는 가이드지지편(313)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확장플레이트(314)가 연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 제1연결편(312)의 상단에는 덮개(37)가 볼트 연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덮개(37)가 제1연결편(312)에 볼트 연결되어 제1확장베이스체(30)의 상부를 차단하기 때문에 밀링 가공할 때 발생되는 이물질이 제1확장베이스체(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상단슬라이딩구(32)는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의 하면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에 끼움연결되고, 상기 제1전면슬라이딩구(33)는 상기 가이드지지편(313)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에 끼움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를 작업자가 손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1상단슬라이딩구(32)가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고 상기 제1전면슬라이딩구(33)가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기 때문에 제1확장베이스체(30)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름가이드(34)는, 상기 제1구름부수용공간(311)에 인입되어 수용되고 피대상물이 올려져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이 인입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이 인출될 때 피대상물의 인출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제1구름볼(341)이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름볼(34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구름가이드(34) 상면에 돌출되도록 끼워져 구비될 때 제1구름볼(341)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의 제1구름가이드(34)에 구비되는 복수개 제1구름볼(341)에 안착되는 피가공물을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어 인입시키는 작업성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제1확장베이스체(30)를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 밀어주어 피가공물이 견고하게 안착 지지되도록 함은 물론 안착된 피가공물이 제1구름가이드(34)에 구비된 복수개 제1구름볼(341)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밀어지면서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인입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는,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로부터 돌출되거나 제1확장베이스부(31)측으로 인입되는 것으로, 제1구름가이드(34)의 제1구름볼(341)에 올려진 피가공물이 제1위치감지센서부(35)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피가공물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때 제1위치감지센서부(35)는 제어부(미부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위치감지센서부(35)에 감지된 피가공물의 치수를 제어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는, 센서작동부(36)에 의해 제1확장베이스부(31)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또한 제1확장베이스부(31)에 대해 승하강된다.
본 발명의 센서작동부(36)는, 상기 제1확장플레이트(314)에 볼트고정되는 서브하우징(361)과, 상기 서브하우징(36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스크류(362)가 연결되어 상기 제1스크류(362)를 회전시키는 제1서브모터부(363)와, 스크류연결부(364a)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연결부(364a)가 제1스크류(362)에 축설되고 제1스크류(36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서브하우징(3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서브이동플레이트(364)와, 상기 서브이동플레이트(364)와 볼트연결되고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와 실린더고정편(365b)이 구비되는 센서지지플레이트(365)와, 상기 센서지지플레이트(365)의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승하강가이드(366a)가 양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의 하단이 볼트연결되는 승하강플레이트(366)와, 상기 실린더고정편(365b)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66)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1승하강실린더(36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가 제1서브모터부(363)에 의해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서브모터부(363)가 작동되면 상기 제1스크류(362)가 회전되고 이와 같이 제1스크류(362)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스크류(362)에 축설된 스크류연결부(364a)를 갖는 서브이동플레이트(364)가 제1스크류(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또한 서브이동플레이트(364)가 볼트연결된 상기 센서지지플레이트(365) 및 이 센서지지플레이트(365)의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에 승하강가이드(366a)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진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66)가 제1스크류(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이에 따라 승하강플레이트(366)와 연결되는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가 제1스크류(3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는 상기 제1승하강실린더(367)의 작동에 의해 제1확장베이스부(31)에 대해 승하강되어 제1확장베이스부(31)로부터 볼출되는 것으로, 이는 제1승하강실린더(367)가 승강되면 상기 제1승하강실린더(367)의 상단이 연결된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66)가 승강되고 이에 따라 승하강플레이트(366)와 연결되는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가 승하강되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66)는 상기 센서지지플레이트(365)에 구비되는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에 상기 승하강가이드(366a)가 수직연결된 상태로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승하강플레이트(366)의 승하강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센서작동부(36)에 의해 제1위치감지센서부(35)의 위치를 가변시켜 피가공물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대한 정교한 치수측정이 가능하다.
즉, 피가공물을 제1구름가이드(34)의 제1구름볼(341)에 올려놓은 후 상기 센서작동부(36)의 센서작동부(36)의 제1승하강실린더(367)를 이용하여 제1위치감지센서부(35)를 하강시켜 피가공물의 끝단부에 근접되어 위치시킨 다음, 제1위치감지센서부(35)를 다시 센서작동부(36)의 제1승하강실린더(367)을 이용하여 승강시킨 상태에서 제1위치감지센서부(35)를 상기 제1서브모터부(363)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끝단측으로 이동시켜 피가공물의 끝단에 제1위치감지센서부(35)가 밀착되도록 하여 피가공물의 치수를 측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제2확장베이스체(40)는,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구름부수용공간(411)이 구비되고 하향 수직연장되는 가이드지지바(412)가 구비되는 제2확장베이스부(41)와,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의 하면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에 끼움연결되는 제2상단슬라이딩구(42)와, 상기 가이드지지바(412)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에 끼움연결되는 제2전면슬라이딩구(4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확장베이스체(40)를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 밀어주면 상기 제2상단슬라이딩구(42)가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고 상기 제2전면슬라이딩구(43)가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기 때문에 제2확장베이스체(40)의 슬라이딩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확장베이스체(40)는, 상기 제2구름부수용공간(411)에 인입되어 수용되고 피대상물이 올려져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이 인입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이 인출될 때 피대상물의 인출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제2구름볼(441)이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 제2구름가이드(4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2구름볼(44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구름가이드(44) 상면에 돌출되도록 끼워져 구비될 때 제2구름볼(441)이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확장베이스체(40)의 제2구름가이드(44)에 구비되는 복수개 제2구름볼(441)에 안착되는 피가공물을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어 인입시키는 작업성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제2확장베이스체(40)를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 밀어주어 피가공물이 견고하게 안착 지지되도록 함은 물론 안착된 피가공물이 제2구름가이드(44)에 구비된 복수개 제2구름볼(441)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밀어지면서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인입될 수 있어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확장베이스체(40)는,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와 상기 가이드지지바(412)을 연결하여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강플레이트(45)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확장베이스체(40)가 제1확장베이스체(30)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상기 보강플레이트(45)에 의해 제2확장베이스부(41)측으로 하중전달이 상기 보강플레이트(45)에 의해 분산되어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를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제2확장베이스체(4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베이스체(50)는, 상기 베이스체(1)의 전방테이블체(3) 일측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배치되는 고정베이스하우징(51)과, 상기 고정베이스하우징(51)의 상단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제3구름볼(521)이 구비되는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와,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로부터 돌출되거나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측으로 인입되는 제2위치감지센서부(53)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부(53) 하단과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승하강구동시켜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로부터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돌출시키거나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측으로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인입시키는 제2승하강실린더(541)가 구비된 제2승하강부(54)와, 상기 고정베이스하우징(51)에 볼트연결되고 상기 제2승하강부(54)가 연결되는 제2스크류(551)가 축설되어 상기 제2승하강부(54)를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서브모터부(5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피가공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승하강실린더(541)와 제2서브모터부(55)를 이용하여 제2위치감지센서부(53)의 위치를 가변시켜 피가공물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가공물에 대한 정교한 치수측정이 가능하다.
즉, 피가공물을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의 제3구름볼(521)에 올려놓은 후 상기 제2승하강부(54)의 제2승하강실린더(541)를 이용하여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하강시켜 피가공물의 끝단부에 근접되어 위치시킨 다음,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다시 제2승하강부(54)의 제2승하강실린더(541)을 이용하여 승강시킨 상태에서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상기 제2서브모터부(55)를 이용하여 피가공물의 끝단측으로 이동시켜 피가공물의 끝단에 제2위치감지센서부(53)가 밀착되도록 하여 피가공물의 치수를 측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 상단에 복수개 제3구름볼(521)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베이스체(50)의 복수개 제3구름볼(521)에 안착되는 피가공물을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밀어 넣어 인입시키는 작업성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 때 상기 제3구름볼(521)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 상면에 돌출되도록 끼워져 구비될 때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베이스체 2 : 가이드레일
3 : 전방테이블체 4 : 후방테이블체
5 : 절삭체
10 :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 20 :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
30 : 제1확장베이스체 31 : 제1확장베이스부
311 : 제1구름부수용공간 312 : 제1연결편
313 : 가이드지지편 314 : 제1확장플레이트
32 : 제1상단슬라이딩구 33 : 제1전면슬라이딩구
34 : 제1구름가이드 341 : 제1구름볼
35 : 제1위치감지센서부 36 : 센서작동부
37 : 덮개 361 : 서브하우징
362 : 제1스크류 363 : 제1서브모터부
364 : 서브이동플레이트 364a : 스크류연결부
365 : 센서지지플레이트 365a : 승하강가이드홈부
365b : 실린더고정편 366 : 승하강플레이트
366a : 승하강가이드 367 : 제1승하강실린더
40 : 제2확장베이스체
41 : 제2확장베이스부 411 : 제2구름부수용공간
412 : 가이드지지바 42 : 제2상단슬라이딩구
43 : 제2전면슬라이딩구 44 : 제2구름가이드
441 : 제2구름볼 45 : 보강플레이트
50 : 고정베이스체 51 : 고정베이스하우징
52 ; 고정베이스플레이트 521 : 제3구름볼
53 : 제2위치감지센서부 54 : 제2승하강부
541 : 제2승하강실린더 55 : 제2서브모터부
551 : 제2스크류

Claims (4)

  1. 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체(1)와 상기 베이스체(1)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체(1)의 선후단부까지 연장되며 폭방향 상면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이 마련된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와 상기 가이드레일(2)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면서 가공물의 양단부를 절삭 가공하는 한 쌍의 절삭체(5)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 측으로 피가공물을 인입시키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가공물을 인출시키는 고정베이스체(50)를 갖는 양두밀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테이블체(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 일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 근접하거나 고정베이스체(5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의 좌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 타측에 각각 끼움 연결되어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과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 근접하거나 제1확장베이스체(30)측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확장베이스체(40)가 구비되어,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에 올려지는 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와 제2확장베이스체(4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피대상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입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을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장베이스체(30)는,
    상단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구름부수용공간(311)이 구비되고 상단 타측에 균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 제1연결편(312)이 볼트연결되며 하향 수직연장되는 가이드지지편(313)이 구비되며 하단에 제1확장플레이트(314)가 연장되는 제1확장베이스부(31)와;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의 하면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에 끼움연결되는 제1상단슬라이딩구(32)와;
    상기 가이드지지편(313)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에 끼움연결되는 제1전면슬라이딩구(33)와;
    상기 제1구름부수용공간(311)에 인입되어 수용되고 피대상물이 올려져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이 인입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이 인출될 때 피대상물의 인출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제1구름볼(341)이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 제1구름가이드(34)와;
    상기 제1확장베이스부(31)로부터 돌출되거나 제1확장베이스부(31)측으로 인입되는 제1위치감지센서부(35)와;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를 제1확장베이스부(31)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를 제1확장베이스부(31)에 대해 승하강시키는 센서작동부(36)와;
    상기 복수개 제1연결편(312)의 상단과 볼트 연결되어 덮어지는 덮개(37)로 구비되고,
    상기 센서작동부(36)는,
    상기 제1확장플레이트(314)에 볼트고정되는 서브하우징(361)과;
    상기 서브하우징(361)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제1스크류(362)가 연결되어 상기 제1스크류(362)를 회전시키는 제1서브모터부(363)와;
    스크류연결부(364a)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연결부(364a)가 제1스크류(362)에 축설되고 제1스크류(362)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서브하우징(3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서브이동플레이트(364)와;
    상기 서브이동플레이트(364)와 볼트연결되고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와 실린더고정편(365b)이 구비되는 센서지지플레이트(365)와;
    상기 센서지지플레이트(365)의 승하강가이드홈부(365a)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는 승하강가이드(366a)가 양측에 연장되고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부(35)의 하단이 볼트연결되는 승하강플레이트(366)와;
    상기 실린더고정편(365b)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승하강플레이트(366)에 상단이 고정되는 제1승하강실린더(367)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확장베이스체(40)는,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구름부수용공간(411)이 구비되고 하향 수직연장되는 가이드지지바(412)가 구비되는 제2확장베이스부(41)와;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의 하면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상단베이스가이드레일(10)에 끼움연결되는 제2상단슬라이딩구(42)와;
    상기 가이드지지바(412)에 볼트연결되어 상기 전면베이스가이드레일(20)에 끼움연결되는 제2전면슬라이딩구(43)와;
    상기 제2구름부수용공간(411)에 인입되어 수용되고 피대상물이 올려져 상기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측으로 피대상물이 인입되거나 전방테이블체(3) 및 후방테이블체(4)로부터 피대상물이 인출될 때 피대상물의 인출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제2구름볼(441)이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된 제2구름가이드(44)와;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와 상기 가이드지지바(412)을 연결하여 상기 제2확장베이스부(41)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강플레이트(4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체(50)는,
    상기 베이스체(1)의 전방테이블체(3) 일측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배치되는 고정베이스하우징(51)과;
    상기 고정베이스하우징(51)의 상단에 안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제3구름볼(521)이 구비되는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와;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로부터 돌출되거나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측으로 인입되는 제2위치감지센서부(53)와;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부(53) 하단과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승하강구동시켜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로부터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돌출시키거나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측으로 제2위치감지센서부(53)를 인입시키는 제2승하강실린더(541)가 구비된 제2승하강부(54)와;
    상기 고정베이스하우징(51)에 볼트연결되고 상기 제2승하강부(54)가 연결되는 제2스크류(551)가 축설되어 상기 제2승하강부(54)를 상기 고정베이스플레이트(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2서브모터부(5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KR1020190093539A 2019-07-31 2019-07-31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KR102041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39A KR102041375B1 (ko) 2019-07-31 2019-07-31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539A KR102041375B1 (ko) 2019-07-31 2019-07-31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375B1 true KR102041375B1 (ko) 2019-11-06

Family

ID=6854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539A KR102041375B1 (ko) 2019-07-31 2019-07-31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13B1 (ko) * 2020-08-11 2020-11-09 주식회사 별랑 롤링리프팅 지지체가 구비된 양두밀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260A (ja) * 2004-05-12 2005-11-24 Chuo Seiki:Kk 両頭側面フライス盤
KR20150049103A (ko) * 2013-10-29 2015-05-08 (주)알루코 절단 겸용 직교방향 가공장치
KR200477624Y1 (ko) 2014-10-06 2015-07-01 김병진 확장형 베이스체가 구비된 양두밀링장치
KR101710838B1 (ko) 2016-08-22 2017-02-27 고정완 양두밀링장치
KR20190055305A (ko) * 2017-11-14 2019-05-23 이종래 양두 밀링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4260A (ja) * 2004-05-12 2005-11-24 Chuo Seiki:Kk 両頭側面フライス盤
KR20150049103A (ko) * 2013-10-29 2015-05-08 (주)알루코 절단 겸용 직교방향 가공장치
KR200477624Y1 (ko) 2014-10-06 2015-07-01 김병진 확장형 베이스체가 구비된 양두밀링장치
KR101710838B1 (ko) 2016-08-22 2017-02-27 고정완 양두밀링장치
KR20190055305A (ko) * 2017-11-14 2019-05-23 이종래 양두 밀링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713B1 (ko) * 2020-08-11 2020-11-09 주식회사 별랑 롤링리프팅 지지체가 구비된 양두밀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838B1 (ko) 양두밀링장치
CN104249196B (zh) 履带板销孔加工设备
KR102041375B1 (ko) 개량형 확장베이스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CN107214787B (zh) 砧板双端自动铣槽机
CN204525092U (zh) 自适应芯棒沟槽磨削设备
CN110803494A (zh) 工件校正系统
KR20130058963A (ko) 자동 이송장치가 구비된 잉곳 블록 가공장비
CN204546172U (zh) 芯棒磨削装置
CN204546174U (zh) 芯棒磨削设备
CN204546178U (zh) 沟槽位置可调芯棒沟槽磨削设备
CN204546177U (zh) 芯棒沟槽加工装置
CN210649751U (zh) 一种液压叉车秤生产用装夹设备
KR102176716B1 (ko) 승하강식 하부클램프체를 갖는 양두밀링장치
CN218701949U (zh) 立式丝印机工件定位装置
CN111299636A (zh) 一种钻孔机床的可调节主钻头机构
CN104772673A (zh) 自动磨柄机
CN104759965A (zh) 芯棒沟槽加工装置
CN204546171U (zh) 夹紧宽度可调芯棒磨削机
CN204546188U (zh) 沟槽位置可调沟槽加工机
CN204546175U (zh) 芯棒沟槽磨削设备
CN204546179U (zh) 沟槽位置可调沟槽磨削机
CN204546187U (zh) 沟槽位置可调芯棒沟槽磨削装置
CN204546186U (zh) 沟槽位置可调芯棒沟槽加工机
CN204546173U (zh) 芯棒沟槽磨削机
CN204525093U (zh) 自动磨柄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