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454B1 -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454B1
KR101800454B1 KR1020150076819A KR20150076819A KR101800454B1 KR 101800454 B1 KR101800454 B1 KR 101800454B1 KR 1020150076819 A KR1020150076819 A KR 1020150076819A KR 20150076819 A KR20150076819 A KR 20150076819A KR 101800454 B1 KR101800454 B1 KR 10180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eight
polypropylene
female terminal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333A (ko
Inventor
박호준
Original Assignee
박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준 filed Critical 박호준
Priority to KR1020150076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4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블록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블록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에 대응되는 제1 수단자를 포함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 암단자와 제1 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가 구비되는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FOR AUDI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장치들, 즉 스피커 및 마이크는 상호간 긴 선과 단부의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하나의 (+) 또는 (-) 단자에 복수 개의 (-) 또는 (+)단자가 여러 개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선의 단부에 연결된 커넥터는 3개의 핀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암구조와 돌출 형태의 수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음향 장치들은 공연 등의 무대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자주 이동되어야 하고, 마이크와 스피커간 간격이 길어져 선이 길어져서 상호간 긴 선으로 구성된 커넥터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긴 선이 사용되어야 하므로, 이동이 필요할 때 여러 개의 긴 선을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또한 주변 환경에 의하여 선이 손상될 위험이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07802호 '커넥터 멀티박스' 등록특허공보 제10-1387723호 '음향진동 체감의자의 배선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막고, 암수 커넥터의 필요 수량만큼 자유롭게 연결가능한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블록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블록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에 대응되는 제1 수단자를 포함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 암단자와 제1 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중앙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클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상기 제1 클립부에 대응되도록 중앙 영역에 대한 반대인 외측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클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 클립부에 끼워지도록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 제3 클립부가 형성된 제1 보조 본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보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제3 클립부에 대응되는 제4 클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단자 및 수단자는 케논 암단자 및 수단자, 모노 또는 스테레오 암단자 및 수단자, 스피콘 암단자 및 수단자, RCA(Radio Corporation of America) 암단자 및 수단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3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dl/g)는 135℃, 데칼린 용액하에 3 내지 8dl/g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5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막고, 암수 커넥터의 필요 수량만큼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 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고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100)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체부(110), 제1 단자부(121, 122) 및 제2 단자부(123, 124)를 포함한다.
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100)는 마이크(미도시)와 스피커(미도시) 등과 같은 음향 장치 간에 기존의 선 연결을 대신하여 블록을 통하여 연결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 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고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구비된 케이스 본체로서, 수용 공간에는 제1 단자부(121, 122)의 제1 암단자와 제2 단자부(123, 124)의 제1 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판(111)과 하판(112),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에 구비된 네 개의 측벽들(113~116)로 구성되어 각각의 볼트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부(110)의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의 케이스의 재질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단자부(121, 122)는 블록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단자부(123, 124)는 제1 단자부(121, 122)의 반대편인 블록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에 대응되는 제1 수단자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암단자 및 제1 수단자는 케논 암단자 및 수단자, 모노 또는 스테레오 암단자 및 수단자, 스피콘 암단자 및 수단자, RCA(Radio Corporation of America) 암단자 및 수단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케논 암단자는 마이크쪽에 끼우는 암단자로서 XLR(f)라고도 불리우며, 케논 수단자는 믹서 IN쪽에 끼우는 수단자로서 XLR(m)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모노 또는 스테레오 암단자 및 수단자는 팁에 검은 선의 개수에 따라 모노 또는 스테레오 단자로 분류된다. 또한, 상기 스피콘 암단자 및 수단자는 스피콘 잭 단자이고, RCA는 CDP, TV 등에 연결되는 단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100)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막고,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 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고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상판(111)의 테두리 영역에는 중앙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클립부(11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판(112)의 테두리 영역에는 제1 클립부(1111)에 대응되도록 중앙 영역에 대한 반대인 외측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클립부(111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다중 연결 커넥터가 더 필요할 때 제1 클립부(1111)와 제2 클립부(1112)를 이용하여 다중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보내고 받기 위하여, 본체부(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각각 여러 개의 블록(즉,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200))을 결합하여 다수 개의 음향 장치 간에 여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200)의 본체(210)의 상판 및 하판에 제1 클립부(1111)와 제2 클립부(1112)와 동일한 원리로 제3 클립부(미도시)와 제4 클립부(미도시)를 형성하여, 각각 대응되는 클립부들 간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기존의 음향 장치간의 선 연결을 블록화하여 선의 손상을 막고, 암수 커넥터의 필요 수량만큼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음향 장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고 간편하게 연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는 암수 커넥터의 필요 수량만큼 연결하여 복수 개의 음향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 210)의 케이스는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3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dl/g)는 135℃, 데칼린 용액하에 3 내지 8dl/g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50,000 내지 2,000,000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합체들은 중합 단계에서 혼합된 수지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적절한 정도의 내열성을 부여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전제 중량에 대해 70 내지 9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함량이 70중량% 미만이면 최종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강성이 저하되어 최종 제품의 요구특성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95중량%를 초과하면 중합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낮아 내충격 특성이 발현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제조한 후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중합하여 제조되며, 본 발명의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5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 특성이 발현되지 않고, 30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되어 제품의 최종 요구특성을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한 에틸렌 함량은 30 내지 7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 내에서 에틸렌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중합되는 블록 공중합체에서 충격을 향상시키는 무정형 부분이 감소해 내충격 특성이 감소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결정성 폴리에틸렌 성분이 많이 중합되어 연속상과의 상용성이 감소하여 충격시 계면 박리로 인해 내충격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는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dl/g) 가 3내지 8dl/g일 수 있다. 고유 점도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4g에 대해 135℃, 데칼린 용액에서 추출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고유점도가 3 미만이면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낮아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8을 초과하면 반응기내에서 중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50,000 내지 2,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이 250,000 미만이면 분자량이 낮아 강성이 저하되고 충격 흡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2000,000을 초과하면 반응기내에서 중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0.3 내지 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0.3g/10분 미만이면 압출 가공 공정에서 수지 흐름 특성이 저하되며, 10g/10분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낮아져, 최종 제품의 내충격 특성 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비스브레이킹 비율(visbreaking ratio)이 2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비스브레이킹 비율이 2 미만이면 비스브레이크에 의한 용융지수의 상승효과가 발현되기 어렵고 50을 초과하면 휘발성물질의 증가로 성형물 제조 시 가공성 저하로 바람직하지 않다. 비스브레이킹(visbreaking)은 viscosity breaking의 약칭으로 액상에서 행하는 온화한 열분해이며 중질, 고점의 수지를 적당한 점도와 유동점을 갖도록 변화시키는데 이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반응온도는 200℃ 정도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방지제, 촉매중화제, 안료, 분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탈크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한편, 본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의 본체부의 외표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다. 상기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Å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오염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적용되는 기재는 유리, 수지, 세라믹 및 금속 재료 그리고 기재 표면상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이 코팅되어 있는 재료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리재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침적법, 스프레이법, 플로우법 또는 러빙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기재의 크기가 크고 곡면의 대량생산 제조공정에 응용할 경우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 조성물에 의한 코팅이 이루어진 경우 기재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 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 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한편, 기재상에 도포된 막의 제거에는 세정제로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방법으로서는 세정수조에서의 침적, 초음파 장치에 의한 제거 및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압스프레이에 의한 분사방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110, 210: 본체부
111: 상판 112: 하판
113~116: 측벽들 121, 122, 221, 222: 제1 단자부
123, 124: 제2 단자부 1111: 제1 클립부
1112: 제2 클립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이 구비된 본체부;
    상기 블록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를 포함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블록의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암단자에 대응되는 제1 수단자를 포함하는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 암단자와 제1 수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PCB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는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조성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70 내지 95 중량%; 및 30 내지 70중량%의 에틸렌을 포함하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 5 내지 30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의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dl/g)는 135℃, 데칼린 용액하에 3 내지 8dl/g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충격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이 250,000 내지 2,000,000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0.3 내지 10g/10분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비스브레이킹 비율(visbreaking ratio)이 2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용 커넥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중앙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클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는 상기 제1 클립부에 대응되도록 중앙 영역에 대한 반대인 외측 영역을 향하여 절곡되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클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용 커넥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제1 클립부에 끼워지도록 하면의 테두리 영역에 제3 클립부가 형성된 제1 보조 본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보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제3 클립부에 대응되는 제4 클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용 커넥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 및 수단자는 케논 암단자 및 수단자, 모노 또는 스테레오 암단자 및 수단자, 스피콘 암단자 및 수단자, RCA(Radio Corporation of America) 암단자 및 수단자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용 커넥터 장치.
  5. 삭제
KR1020150076819A 2015-05-30 2015-05-30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KR10180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819A KR101800454B1 (ko) 2015-05-30 2015-05-30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819A KR101800454B1 (ko) 2015-05-30 2015-05-30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333A KR20160141333A (ko) 2016-12-08
KR101800454B1 true KR101800454B1 (ko) 2017-11-23

Family

ID=5757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819A KR101800454B1 (ko) 2015-05-30 2015-05-30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98A (ja) 2005-12-21 2007-07-05 Sumitomo Wiring Syst Ltd 積層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802B1 (ko) 2009-04-16 2011-01-14 박운학 커넥터 멀티박스
KR101387723B1 (ko) 2012-06-07 2014-04-25 (주) 아쿠브 음향진동 체감의자의 배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98A (ja) 2005-12-21 2007-07-05 Sumitomo Wiring Syst Ltd 積層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333A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44345B (zh) 具有改善的涂料附着力的聚合物组合物
JP2011522923A5 (ko)
US11485815B2 (en) 4-methyl-1-pentene polymer p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4-methyl-1-pentene resin
JP5511685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成形体および容器
RU2012155043A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модального полиэтилен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изделий литьем под давлением
JP2008520779A5 (ko)
KR20140134836A (ko) 전력 케이블
TWI540161B (zh) 駐極體片
JP6920084B2 (ja) 4−メチル−1−ペンテン共重合体組成物
TW440584B (en) TPO blends containing multimodal elastomers
JP6690040B1 (ja) 立体造形装置用樹脂成形材料および立体造形装置用フィラメント
JP2015113363A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自動車外装部材
KR20150035589A (ko) 코팅된 도체를 위한 중합체 코팅
KR20200037827A (ko) 섬유 수속제, 무기 강화재,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TW396188B (en) Partially cross-linked elastomeric polyolefin mixtures
KR101800454B1 (ko) 음향 장치용 커넥터 장치
JPWO2019176403A1 (ja) 樹脂組成物ならびに単層および多層フィルム
Elyashevich et al. Composite membranes with conducting polymer microtubules as new electroactive and transport systems
WO2017130895A1 (ja) ブテン系重合体、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10997795B (zh) 高劲度聚丙烯抗冲共聚物
KR20100065118A (ko) 가교성 실릴기를 함유하는 실란-그라프트된 α-올레핀-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그의 제조 방법, 및 케이블 또는 라인용 절연 또는 외장 재료의 제조를 위한 용도
JP2004083889A (ja) 自動車用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体
JP6394473B2 (ja) 押出ラミネート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積層体
CN114651044B (zh) 树脂组合物和成型体
JP2019123770A (ja) ブテ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