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114B1 -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114B1
KR101800114B1 KR1020160036684A KR20160036684A KR101800114B1 KR 101800114 B1 KR101800114 B1 KR 101800114B1 KR 1020160036684 A KR1020160036684 A KR 1020160036684A KR 20160036684 A KR20160036684 A KR 20160036684A KR 101800114 B1 KR101800114 B1 KR 10180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vehicle
moved
steering wheel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692A (ko
Inventor
요시아키 마에쿠보
이치로 야마모토
다이치 히노
다미오 하라다
히로시 오히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19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과제)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한다.
(해결수단) 스티어링 휠 (10) 에서는, 목부재 (22) 와 내측 부재 (36) 사이에 피스 (24) 가 배치됨과 함께, 목부재 (22) 와 피스 (24) 사이에 가죽 (38) 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목부재 (22) 에 대한 하중의 입력에 의해,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경동되어, 목부재 (22) 로부터 가죽 (38) 을 개재하여 피스 (24) 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가 변형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수지체와 가식체 (加飾體) 사이에 배치 부재가 배치되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수지층에 목재 등의 비피혁 부재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티어링 휠에서는, 수지층과 비피혁 부재 사이에 배치 부재가 배치된 것이 있다.
여기서, 이 스티어링 휠에서는, 비피혁 부재가 배치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 비피혁 부재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43736호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가식체 (加飾體) 가 배치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휠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수지제인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는 가식체와, 상기 수지체와 상기 가식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식체가 상대 변위되었을 때 상기 가식체에 의해 이동되는 배치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변형되어 이동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배치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의 장착이 해제되어 상기 배치 부재가 이동되는 장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파단되어 이동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기울어져서 이동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배치 부재의 외주측부만이 상기 수지체를 가압한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1 ∼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이동된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수지제인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는 가식체와, 상기 수지체와 상기 가식체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 부재와, 상기 배치 부재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가식체와 상기 배치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식체가 상기 배치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되는 피복재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은, 청구항 8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상기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된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가식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체와 가식체 사이에 배치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식체가 배치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가 변형되어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배치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배치 부재에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배치 부재가 장착부에서 장착된다.
여기서,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의 장착부에 있어서의 장착이 해제되어 배치 부재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배치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가 파단되어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배치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가 기울어져서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배치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이동되는 배치 부재의 외주측부만이 수지체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가식체에 의한 배치 부재의 이동이 수지체에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이동된다. 이 때문에, 승객으로부터 가식체에 하중이 입력되어, 가식체가 수지체에 대하여 승객과는 반대측으로 변위됨으로써, 가식체로부터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가식체에 의해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이동됨으로써,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가식체가 형성되어 있고, 수지체와 가식체 사이에 배치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피복재가 배치 부재를 피복하고 있고, 피복재의 삽입부가 가식체와 배치 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가식체가 배치 부재에 대하여 변위되었을 때, 가식체에 의해 삽입부가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스티어링 휠에서는, 가식체에 의해 삽입부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승객으로부터 가식체에 하중이 입력되어, 가식체가 수지체에 대하여 승객과는 반대측으로 변위됨으로써, 가식체로부터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가식체에 의해 삽입부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됨으로써, 가식체의 배치 부재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차량 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차량 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피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단면도) 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다.
도 7 의 (A) ∼ (C)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도중을 나타내고, (B)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C) 는 목부재 (木部材) 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피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이며, (A) 는 장착 상태를 나타내고, (B) 는 목부재의 경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0) 이 차량 후측에서 본 정면도로 나타나 있고, 도 2 에는, 스티어링 휠 (10) 의 내부 구조가 차량 후측에서 본 정면도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차량 전측 (前側) 을 화살표 (FR) 로 나타내고, 차량 우측을 화살표 (RH) 로 나타내고, 상측을 화살표 (UP) 로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0) 은, 차량 후측에 있어서 차량의 운전석에 대향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 (10) 은, 운전석에 착좌하는 승객 (운전수) 의 차량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10) 에는, 골격 부재로서의 금속제의 심금 (芯金) (12) 이 형성되어 있고, 심금 (12) 의 중앙 부분에는, 중앙부로서의 판상의 보스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 (14) 는, 지지축으로서의 원주상의 스티어링 샤프트 (16) 의 차량 후측 단 (상단) 에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 (10) (심금 (12)) 은, 스티어링 샤프트 (16) 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객이 스티어링 휠 (10) 을 둘레 방향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스티어링 샤프트 (16) 가 축 둘레로 회전되어, 차량이 조타된다.
보스부 (14) 의 외주에는, 접속부로서의 장척 판상의 스포크부 (18) 가 3 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스포크부 (18) 는, 보스부 (14) 로부터 차량 우측, 차량 좌측 및 하측 (스티어링 휠 (10) 및 스티어링 샤프트 (16) 의 직경 방향 외측) 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포크부 (18) 의 연신 방향 중간부에는, 판상의 연장부 (18A)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 (18A) 는, 스포크부 (18) 의 연신 둘레 방향 전체에 있어서 스포크부 (18) 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3 개의 스포크부 (18) 의 연신 선단에는, 외주부 (고정부) 로서의 정면에서 보아 원환상의 림부 (20)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림부 (20) 의 상측, 차량 우측 비스듬히 하측 및 차량 좌측 비스듬히 하측에는, 가식체로서의 원통상의 목부재 (22) (본목재) 가 고정되어 있고, 목부재 (22) 는, 림부 (20) 의 연신 방향 (길이 방향) 을 따라 연신되어 만곡됨과 함께, 림부 (20) 의 연신 둘레 방향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도 2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림부 (20) 에는, 각 목부재 (22) 의 길이 방향 양측에 있어서, 배치 부재로서의 대략 원통상의 피스 (24) 가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 (24) 는, 경질의 수지제 (예를 들어 ABS 수지제) 이고, 강성이 높게 되어 있다. 피스 (24) 는, 차량 전측과 차량 후측의 대략 반원통상의 구성체 (24A)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피스 (24) 는, 1 쌍의 구성체 (24A) 가 서로 고정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착) 되어, 림부 (20) 의 연신 둘레 방향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피스 (24) 에는, 목부재 (22) 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있어서, 장착부로서의 대략 원통상의 소직경부 (26) 가 형성되어 있고, 소직경부 (26) 의 내주면이 림부 (20) 의 외주면에 고정 수단으로서의 접착제 (28) 에 의해 고정 (접착) 되어, 피스 (24) 가 소직경부 (26) 에 있어서 림부 (20) 에 장착되어 있다. 접착제 (28) 의 접착력은 크게 되어 있으며, 접착제 (28) 에 의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는 높게 되어 있다.
피스 (24) 에는, 목부재 (22) 측의 부분에 있어서, 대향부로서의 대략 원통상의 대직경부 (30) 가 형성되어 있으며, 대직경부 (30) 는, 소직경부 (26) 에 비해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대직경부 (30) 는, 소직경부 (26) 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있고, 대직경부 (30) 는, 소직경부 (26) 에 비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대직경부 (30) 의 목부재 (22) 측 단에는, 원환판상의 단벽 (30A) 이 형성되어 있고, 단벽 (30A) 과 목부재 (22) 의 피스 (24) (대직경부 (30)) 측의 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대향됨과 함께, 사이에 간극 (32) 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 (24) 에는, 소직경부 (26) 와 대직경부 (30)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연결부로서의 단차부 (34) 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 (34) 는, 소직경부 (26) 측으로부터 대직경부 (30) 측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서서히 크게 되어 (원환판상으로 되어도 된다), 소직경부 (26) 와 대직경부 (30) 를 연결하고 있다. 단차부 (34) 는, 소직경부 (26) 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있고, 단차부 (34) 는, 소직경부 (26) 에 비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포크부 (18) 의 연장부 (18A) 와 목부재 (22) 간의 1 쌍의 피스 (24) 사이에는, 수지체로서의 정면에서 보아 대략 T 자상의 내측 부재 (36) 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부재 (36) 는, 연질의 수지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제) 이고, 강성이 피스 (24) 에 비해 낮게 되어 있다.
내측 부재 (36) 는, 스포크부 (18) 의 연장부 (18A) 까지 연신되어 있고, 내측 부재 (36) 는, 스포크부 (18) 및 연장부 (18A) 에 고정됨과 함께, 스포크부 (18) 의 연신 둘레 방향 전체를 피복하여, 외주면이 연장부 (18A) 의 외주면과 면일 (面一) 하게 되어 있다. 또, 내측 부재 (36) 는, 1 쌍의 피스 (24) 간의 림부 (20) 에 고정되어 있고, 내측 부재 (36) 는, 림부 (20) 의 연신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만곡됨과 함께, 림부 (20) 의 연신 둘레 방향 전체를 피복하고 있다. 또한, 내측 부재 (36) 는, 피스 (24) 의 소직경부 (26) 및 단차부 (34) 까지 연신되어 있고, 내측 부재 (36) 는, 소직경부 (26) 및 단차부 (34) 에 고정됨과 함께, 소직경부 (26) 및 단차부 (34) 의 둘레 방향 전체를 피복하여, 외주면이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의 외주면과 면일하게 되어 있다. 내측 부재 (36) 는, 수지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부재 (36) 가 성형될 때에는,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와 단차부 (34) 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수지의 버 제거가 실시된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부재 (36), 스포크부 (18) 의 연장부 (18A) 및 목부재 (22) 간의 1 쌍의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는, 피복재로서의 가죽 (38) 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가죽 (38) 의 내측 부재 (36) 연신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예를 들어 봉제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가죽 (38) 의 스포크부 (18) 측 단부 및 목부재 (22) 측 단부에는, 삽입부 (40) 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 (40) 는, 스포크부 (18) 의 연장부 (18A) 보다 보스부 (14) 측 및 목부재 (22) 와 피스 (24) 사이의 간극 (32) 에 삽입되어 있다. 삽입부 (40) 에는, 예를 들어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의 봉제에 의해 통부 (40A) 가 형성되어 있고, 통부 (40A) 내에는, 끈체로서의 장척의 실 (42) 이 삽입 통과되어 있다.
스포크부 (18) 의 연장부 (18A) 보다 보스부 (14) 측에서는, 삽입부 (40) 및 실 (42) 이 스포크부 (18) 의 주위에 배치되어, 실 (42) 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가죽 (38) 의 스포크부 (18) 측의 삽입부 (40) 가 스포크부 (18) 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다. 목부재 (22) 와 피스 (24) 사이의 간극 (32) 에서는, 삽입부 (40) 및 실 (42) 이 림부 (20) 의 주위에 배치되어, 실 (42) 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가죽 (38) 의 목부재 (22) 측의 삽입부 (40) 가 림부 (20) 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죽 (38) 은, 가열 처리되어 수축되어 있고, 가죽 (38) 에는 장력이 작용되고 있다. 또,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는,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변형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스티어링 휠 (10) 에서는, 목부재 (22) 와 내측 부재 (36) 사이에 피스 (24) 가 배치됨과 함께, 목부재 (22) 와 피스 (24) (대직경부 (30)) 사이의 간극 (32) 에 가죽 (38) 의 삽입부 (40) 가 삽입되어 있다.
그런데,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는, 승객이 목부재 (22) 에 차량 후측으로부터 간섭하여, 목부재 (22) 에 승객으로부터 차량 전측에 대한 하중 (충격) 이 입력됨으로써, 심금 (12) 의 림부 (20) 가 목부재 (22) 와 피스 (24) 사이에 있어서 굴곡 변형되어,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 (변위) 될 가능성이 있다 (도 7 의 (C) 참조).
여기서, 피스 (24) 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변형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변형되어 이동된다. 이 때문에,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강도를 낮게 하여,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를 변형하기 쉽게 하는 것만으로,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의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의 강도를 낮게 하였다. 그러나,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만의 강도를 낮게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의 강도를 낮게 하였다. 그러나, 대직경부 (30) 만 또는 단차부 (34) 만의 강도를 낮게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5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5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50) 에서는, 피스 (24) 의 소직경부 (26) 의 내주면이 심금 (12) 의 림부 (20) 의 외주면에 고정 수단으로서의 접착제 (52) 에 의해 고정 (접착) 되어, 피스 (24) 가 소직경부 (26) 에 있어서 림부 (20) 에 장착되어 있다. 접착제 (52)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접착제 (28) 에 비해 건조 후의 강성이 낮게 되어 접착력이 작게 되어 있고,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낮게 되어 있다. 또, 접착제 (52) 에 의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은,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 (52) 의 접착력이 작게 되어, 접착제 (52) 에 의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가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접착제 (52) 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어 피스 (24)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접착제 (52) 의 접착력을 작게 하여,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작게 하는 것만으로, 피스 (24) 를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피스 (2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낮게 하였다. 그러나,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만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낮게 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6 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6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6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60) 에서는, 피스 (24) 의 소직경부 (26) 의 내주면에 고정 수단으로서의 리브 (26A) 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리브 (26A) 는, 각각 소직경부 (26) 의 둘레 방향 전체로 연신됨과 함께, 소직경부 (26) 의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리브 (26A) 는, 단면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리브 (26A) 는, 심금 (12) 의 림부 (20) 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선단이 찌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소직경부 (26) 가 림부 (20) 에 복수의 리브 (26A) 에 의해 고정되어, 피스 (24) 가 소직경부 (26) 에 있어서 림부 (20) 에 장착되어 있고,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낮게 되어 있다. 또, 복수의 리브 (26A) 에 의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은,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피스 (24) 의 소직경부 (26) 가 림부 (20) 에 리브 (26A) 에 의해 고정되어,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가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리브 (26A) 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어 피스 (24)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소직경부 (26) 를 림부 (20) 에 리브 (26A) 에 의해 고정시켜, 소직경부 (26)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작게 하는 것만으로, 피스 (24)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피스 (2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낮게 하였다. 그러나, 소직경부 (26) 의 차량 전측 부분만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를 낮게 해도 된다.
[제 4 실시형태]
도 7 의 (B) 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7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7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70) 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에, 장착 수단을 구성하는 단면 L 자상의 장착 볼록부 (72) (도 7 의 (A) 참조) 가 1 쌍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볼록부 (72) 는, 피스 (24) 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신되어 있다. 장착 볼록부 (72) 는, 차량 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장착 볼록부 (72) 의 선단측 부분은, 피스 (24)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에는, 목부재 (22) 측의 단부에 있어서, 기둥상의 스토퍼 (74) (도 7 의 (A) 참조)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스토퍼 (74) 는, 차량 전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에는, 장착 수단을 구성하는 장착부로서의 단면 L 자상의 장착 오목부 (76) 가 1 쌍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오목부 (76) 는, 피스 (24) 내로 개방됨과 함께, 피스 (24) 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신되어 피스 (24) 의 축 방향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장착 오목부 (76) 에는, 목부재 (22) 측으로부터 장착 볼록부 (72) 의 선단측 부분이 삽입되어 있고,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은, 스토퍼 (74) 에 목부재 (22) 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맞닿아, 목부재 (22) 측으로의 이동 (슬라이드) 이 걸려 있다. 이것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에 장착 볼록부 (72) 및 장착 오목부 (76) 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스토퍼 (74) 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은,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및 림부 (20) 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피스 (24) 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대략 강도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장착 오목부 (76) 가 장착 볼록부 (72) 로 안내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스토퍼 (74) 가 내측 부재 (36) 측으로 경동 변형되면서,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에 대하여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장착 오목부 (76) 가 장착 볼록부 (72) 에 대하여 이동되어 피스 (24)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및 차량 전측 부분에 각각 장착 볼록부 (72) 및 장착 오목부 (76)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피스 (24)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피스 (2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8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8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8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80) 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에, 단차부 (34) 의 대직경부 (30) 와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저강도부로서의 박육부 (82) 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 (34) 는, 소직경부 (26) 측으로부터 박육부 (82) 를 향함에 따라 두께 치수가 서서히 작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박육부 (82) 는, 단차부 (34) 의 박육부 (82) 이외의 부분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또, 박육부 (82) 는,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대직경부 (30) 및 차량 후측 부분의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피스 (24) 의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대직경부 (30)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에 박육부 (82)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직경부 (30)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대직경부 (30)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되는 대직경부 (30) 의 외주부 (피스 (24) 의 외주 단부) 만이 내측 부재 (36) 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목부재 (22) 에 의한 대직경부 (30) 의 이동이 내측 부재 (36) 에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만 박육부 (82)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에 박육부 (82) 를 형성해도 된다.
[제 6 실시형태]
도 9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9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9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9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90) 에서는, 피스 (24) 의 단차부 (34) 에, 대직경부 (30) 측으로부터 소직경부 (26) 측을 향하게 하여, 원환판상의 제 1 단차부 (34A), 원통상의 제 2 단차부 (34B) 및 원통상의 제 3 단차부 (34C)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차부 (34A) 의 외주에는, 대직경부 (30) 가 연결되어 있고, 제 1 단차부 (34A) 의 내주측 단부에는, 제 2 단차부 (34B) 가 연결되어 있다. 제 2 단차부 (34B) 의 외주에는, 제 3 단차부 (34C) 가 연결되어 있고, 제 3 단차부 (34C) 는, 소직경부 (26) 의 외주 전체에 연결되어 있다.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에는, 제 2 단차부 (34B) 와 제 3 단차부 (34C)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저강도부로서의 박육부 (82) 가 형성되어 있고, 박육부 (82) 는, 단차부 (34) 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또, 박육부 (82) 는,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박육부 (82) 를 제외하고,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피스 (24) 의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에 박육부 (82)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대직경부 (30), 제 1 단차부 (34A) 및 제 2 단차부 (34B)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만 박육부 (82)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에 박육부 (82) 를 형성해도 된다.
[제 7 실시형태]
도 10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0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0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10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00) 에서는, 피스 (24) 에 있어서, 대직경부 (30) 의 목부재 (22) 측과는 반대측 단에, 원환판상의 내벽 (30B) 이 형성되어 있고, 내벽 (30B) 은, 대직경부 (30) 의 단벽 (30A) 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로 대향되어 있다. 단벽 (30A) 및 내벽 (30B)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에는, 차량 후측면에 있어서, 위치 맞춤 수단을 구성하는 삼각추상의 핀 (102) 이 형성되어 있고, 핀 (102) 은, 차량 후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벽 (30A) 및 내벽 (30B)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에는, 차량 전측면에 있어서, 위치 맞춤 수단을 구성하는 삼각추상의 핀 구멍 (104) 이 형성되어 있고, 핀 구멍 (104) 은, 차량 전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핀 (102) 은, 핀 구멍 (104) 에 끼워 넣어져 (압입되어) 둘레면이 찌부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과 차량 후측 부분의 위치가 맞춰져 있다.
내측 부재 (36) 의 성형시에,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와 단차부 (34) 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수지의 버 제거가 실시될 때에는, 대직경부 (30) 에 직경 방향 양 외측 (특히 차량 전후 방향 양 외측) 으로부터 압력이 작용된다. 여기서, 핀 (102) 은, 당해 압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또한, 핀 (102) 은,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단차부 (34) 의 대직경부 (30) 측 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원통상으로 되어 있고, 단차부 (34) 는, 소직경부 (26) 의 외주 전체에 연결되어 있다.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는, 단차부 (34) 의 축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저강도부로서의 박육부 (82) 가 형성되어 있고, 박육부 (82) 는, 단차부 (34) 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은, 박육부 (82) 보다 대직경부 (30) 측에 있어서, 대략 반원통상의 이동부 (34D) 로 되어 있고, 이동부 (34D) 의 대직경부 (30) 측 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외주면은, 단차부 (34) 의 박육부 (82) 보다 소직경부 (26) 측 부분의 내주면에 대하여 직경 방향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박육부 (82) 는,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박육부 (82) 를 제외하고,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0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이동부 (34D)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가,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피스 (24) 의 박육부 (82) 및 핀 (102) 이 파단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대직경부 (30) 및 이동부 (34D)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에 박육부 (82)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직경부 (30) 및 이동부 (34D)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대직경부 (30) 및 이동부 (34D)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이동부 (34D) 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이동부 (34D) 가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만 박육부 (82) 및 이동부 (34D)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에 박육부 (82) 및 이동부 (34D) 를 형성해도 된다.
[제 8 실시형태]
도 11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1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1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1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10) 에서는, 피스 (24) 의 단차부 (34) 에, 대직경부 (30) 측으로부터 소직경부 (26) 측을 향하게 하여, 원통상의 제 4 단차부 (34E) 및 원환판상의 제 5 단차부 (34F) 가 형성되어 있다. 제 4 단차부 (34E) 의 외주에는, 대직경부 (30) 가 연결되어 있고, 제 5 단차부 (34F) 의 외주에는, 제 4 단차부 (34E) 가 연결됨과 함께, 제 5 단차부 (34F) 의 내주에는, 소직경부 (26) 가 연결되어 있다. 단차부 (3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는, 대직경부 (30) 와 제 4 단차부 (34E) 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 저강도부로서의 박육부 (82) 가 형성되어 있고, 박육부 (82) 는, 단차부 (34) 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 치수가 작게 되어, 강도가 낮게 되어 있다. 또, 박육부 (82) 는,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파단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피스 (24) 에서는, 박육부 (82) 를 제외하고, 대직경부 (30) 및 단차부 (34) 가 소직경부 (26) 와 두께 치수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강도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의 부분)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피스 (24) 의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박육부 (82) 가 파단되어 대직경부 (30) 가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에 박육부 (82) 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대직경부 (30)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대직경부 (30)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대직경부 (3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되는 대직경부 (30) 의 외주부 (피스 (24) 의 외주 단부) 만이 내측 부재 (36) 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목부재 (22) 에 의한 대직경부 (30) 의 이동이 내측 부재 (36) 에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만 박육부 (82) 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에 박육부 (82) 를 형성해도 된다.
[제 9 실시형태]
도 12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2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2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1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20) 에서는, 피스 (24) 가 원환판상으로 되어 있고, 피스 (24) 의 축 방향 치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피스 (24) 의 내주면은, 림부 (20) 의 외주면에 고정 수단으로서의 접착제 (도시 생략) 에 의해 고정 (접착) 되어 있고, 피스 (24) 는, 내주면에 있어서, 림부 (20) 에 장착되어 있다. 피스 (24)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 강도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낮게 되어 있고, 피스 (24) 의 림부 (20) 에 대한 고정은, 가죽 (38) 에 작용되는 장력에 의해서는 해제되지 않는 강도로 되어 있다.
도 13 에 상세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에는, 내주측 또한 내측 부재 (36) 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경사면 (122) 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 (122) 은, 내측 부재 (36) 측을 향함에 따라 피스 (24)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에는, 내주측 또한 목부재 (22) 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동일한 경사면 (122) 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 (122) 은, 목부재 (22) 측을 향함에 따라 피스 (24) 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도 12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를 개재하여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차량 전측의 구성체 (24A)) 이, 피스 (24) 의 차량 후측 부분 (차량 후측의 구성체 (24A)) 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내측 부재 (36) 측으로 기울어져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가 기울어져서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를 경사 가능하게 하는 것만으로, 피스 (24) 가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피스 (24) 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내측 부재 (36)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 내주측 또한 내측 부재 (36) 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경사면 (12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사면 (122) 이 목부재 (22) 에 의한 피스 (24) 의 경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에 경사면 (122) 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에만 경사면 (122) 을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 제 3 실시형태 및 제 5 실시형태 ∼ 제 9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된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이 목부재 (22) 에 의해 이동되어도 된다.
[제 10 실시형태]
도 14 의 (A) 에는,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30) 의 주요부가 단면도 (도 1 의 4-4 선 위치 단면도) 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3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도 1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휠 (130) 에서는, 피스 (24) 의 대직경부 (30) 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벽 (30A) 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피스 (24) 내가 목부재 (22) 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피스 (24) 와 목부재 (22) 사이의 간극 (32) 의 치수는 확대되어 있고, 간극 (32) 에서는, 가죽 (38) 의 삽입부 (40) (통부 (40A) 를 포함한다) 가 가죽 (38) 의 내부측에 감겨져, 삽입부 (40) 의 가죽 (38) 축 방향 치수가 확대되어 있다.
여기서, 도 14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차량의 긴급시 (예를 들어 충돌시) 에, 목부재 (22) 가 피스 (24) 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경동되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가죽 (38) 의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 에 하중 (충격)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목부재 (22) 에 의해,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피스 (24) 내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목부재 (22) 에 피스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어,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목부재 (22) 에 의해 삽입부 (40) 가 피스 (24) 내로 이동된다. 이 때문에, 피스 (24) 내를 목부재 (22) 측으로 개방시키는 것만으로, 삽입부 (40) 가 피스 (24) 내로 이동할 수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삽입부 (40) 를 피스 (24)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피스 (24) 내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으로부터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도, 목부재 (22) 의 차량 전측 부분에 의해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피스 (24) 내로 이동됨으로써, 목부재 (22) 의 피스 (24) 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의 내부를 목부재 (22) 측으로 개방시켰다. 그러나, 피스 (24) 의 차량 전측 부분만의 내부를 목부재 (22) 측으로 개방시켜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이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내로 이동된다. 그러나, 삽입부 (40) 의 차량 전측 부분 및 차량 후측 부분이 목부재 (22) 에 의해 피스 (24) 내로 이동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 ∼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피스 (24) 를 1 쌍의 구성체 (24A) 에 의해 구성하였다. 그러나, 피스 (24) 를 3 개 이상의 구성체 (24A) 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 ∼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가식체를 목제의 목부재 (22) 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식체를 죽제 등으로 해도 되고, 또 피가식체의 표면이 나뭇결풍이나 대나무풍 등의 가식재로 피복된 것으로 해도 된다.
10 : 스티어링 휠
22 : 목부재 (가식체)
24 : 피스 (간극 형성 부재)
26 : 소직경부 (장착부)
36 : 내측 부재 (수지체)
38 : 가죽 (피복재)
40 : 삽입부
50 : 스티어링 휠
60 : 스티어링 휠
70 : 스티어링 휠
76 : 장착 오목부 (장착부)
80 : 스티어링 휠
90 : 스티어링 휠
100 : 스티어링 휠
110 : 스티어링 휠
120 : 스티어링 휠
130 : 스티어링 휠

Claims (9)

  1. 수지제인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는 가식체와,
    상기 수지체와 상기 가식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식체가 차량 전측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가식체에 의해 이동되는 배치 부재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변형되어 이동되는 스티어링 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부재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배치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의 장착이 해제되어 상기 배치 부재가 이동되는 장착부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파단되어 이동되는 스티어링 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가 기울어져서 이동되는 스티어링 휠.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배치 부재의 외주측부만이 상기 수지체를 가압하는 스티어링 휠.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배치 부재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이동되는 스티어링 휠.
  8. 수지제인 수지체와,
    상기 수지체로부터 이간되어 형성되는 가식체와,
    상기 수지체와 상기 가식체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 부재와,
    상기 배치 부재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가식체와 상기 배치 부재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식체가 상기 배치 부재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상기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되는 피복재를 구비한 스티어링 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식체에 의해 상기 삽입부의 승객과는 반대측 부분이 상기 배치 부재 내로 이동되는 스티어링 휠.
KR1020160036684A 2015-04-06 2016-03-28 스티어링 휠 KR101800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7904 2015-04-06
JP2015077904A JP6371734B2 (ja) 2015-04-06 2015-04-06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92A KR20160119692A (ko) 2016-10-14
KR101800114B1 true KR101800114B1 (ko) 2017-11-21

Family

ID=5566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684A KR101800114B1 (ko) 2015-04-06 2016-03-28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49988B2 (ko)
EP (1) EP3078566B1 (ko)
JP (1) JP6371734B2 (ko)
KR (1) KR101800114B1 (ko)
CN (1) CN1060434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5926B1 (fr) * 2013-05-27 2017-01-13 Autoliv Dev Volant de vehic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336A (ja) * 2011-07-11 2013-01-31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JP2014151863A (ja) * 2013-02-13 2014-08-25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4205373A (ja) * 2013-04-10 2014-10-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132Y2 (ja) * 1979-05-25 1985-09-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3479423B2 (ja) * 1996-11-28 2003-12-1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3518996B2 (ja) 1998-07-29 2004-04-12 ミドリ安全株式会社 皮革を被覆した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360632B1 (en) * 2000-02-15 2002-03-26 Trw Inc. Vehicle steering wheel
JP4487390B2 (ja) * 2000-06-23 2010-06-23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10213799C1 (de) 2002-03-27 2003-08-14 Draexlmaier Lisa Gmbh Lenkrad
KR100999246B1 (ko) * 2008-09-02 2010-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림
US20100199802A1 (en) * 2009-02-09 2010-08-12 Guillaume Carlo F Steering Wheel Enhancement Apparatus
JP5273026B2 (ja) * 2009-11-30 2013-08-2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RU2608696C2 (ru) * 2012-01-13 2017-01-23 Интер Икеа Системз Б.В.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мебели
CN202463887U (zh) * 2012-02-10 2012-10-03 十堰合达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汽车方向盘
KR20140125091A (ko) * 2013-04-18 2014-10-2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부를 지닌 조향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8336A (ja) * 2011-07-11 2013-01-31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構造
JP2014151863A (ja) * 2013-02-13 2014-08-25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4205373A (ja) * 2013-04-10 2014-10-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71734B2 (ja) 2018-08-08
EP3078566B1 (en) 2019-08-14
KR20160119692A (ko) 2016-10-14
EP3078566A1 (en) 2016-10-12
JP2016196271A (ja) 2016-11-24
US20160288815A1 (en) 2016-10-06
CN106043405B (zh) 2018-11-16
US10449988B2 (en) 2019-10-22
CN106043405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796B2 (en) Steering wheel airbag cover
US8286766B2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for steering wheel
JP648862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9243483A (ja) 樹脂トルクロッド
KR101800114B1 (ko) 스티어링 휠
US9463832B2 (en) Spoile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067032B2 (ja) オーナメントを備えたエアバッグカバー
EP3299252B1 (en) Steering wheel decorative member
JP436348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構造
JP4492572B2 (ja) 車両用開閉扉の支持構造
US8505410B2 (en) Two-piece steering wheel back-cover for improved safety performance
JP4862633B2 (ja) カウルルーバ構造
FR2965241A1 (fr) Sous-ensemble, notamment de vehicule, a peau externe et structure interne fixees par cordon de colle.
JP2008074350A (ja) 車両用樹脂部品
JP2008149760A (ja) 車両用内装部品
CN101024403A (zh) 翼子板结构
JP5003973B2 (ja) 衝撃吸収部材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ドアトリム
EP2105375B1 (fr) Traverse inférieure de baie perfectionnée pour protéger les occupants du véhicule en cas de choc frontal
JP2003260904A (ja) 強化リム
US20130140798A1 (en) Ageing-resistant mounting for inflatable airbag module
EP1718100B1 (fr) Agencement d'une grille de haut-parleur
JP2011105093A (ja) 車両用内装パネル
US20100314858A1 (en) Bearing member including an airbag housing
US10377427B2 (en) Instrument panel reinforcement
KR10086077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로워 브라켓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