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084B1 -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084B1
KR101800084B1 KR1020150147931A KR20150147931A KR101800084B1 KR 101800084 B1 KR101800084 B1 KR 101800084B1 KR 1020150147931 A KR1020150147931 A KR 1020150147931A KR 20150147931 A KR20150147931 A KR 20150147931A KR 101800084 B1 KR101800084 B1 KR 101800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signal
predetermined condition
normally closed
contact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840A (ko
Inventor
데츠야 후쿠모토
도시유키 히구치
고헤이 무라카미
사토시 후지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01H47/00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using plural redundant serial connected relay operated contacts in controll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8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making use of an electromagnetic wav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3Fault detection by injection of an auxiliary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인다.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과는 다른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Description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RELAY UNIT, CONTROL METHOD OF RELAY UNIT}
본 발명은 계전 유닛에 관한 것이다.
부하에의 통전 및 비통전을 전환하는 계전 유닛(릴레이 유닛이라고도 함)에는, 노멀리 오픈 접점(a 접점) 및 노멀리 클로즈 접점(b 접점)을 갖는 기계식의 개폐 소자가 설치된다.
유럽 특허 EP1202313A1(2000년 10월 23일 공개) 일본 실용 신안 공보 실개 평5-55435(1993년 7월 23일 공개)
이러한 계전 유닛에서는, 비통전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송신한 신호의 상태에 의해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모니터(진단)할 수 있지만, 모니터 시에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혼입된 노이즈에 의해 이상(예를 들어,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ON 고장)이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이 문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계전 유닛은,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과는 다른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진단 신호와 제2 진단 신호가 다르고, 제1 소정 조건과 제2 소정 조건이 다르므로,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모두 ON 고장이고, 또한 모니터 시에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 각각으로부터 제1 진단 신호와 유사한 노이즈가 제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으로부터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a)∼(c)는 본 실시 형태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비통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의 (a)∼(c)는 본 실시 형태의 계전 유닛의 구성(부하에 통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의 (a)∼(d)는 본 실시 형태의 계전 유닛의 구성(모니터 기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의 (a)∼(d)는 본 실시 형태의 계전 유닛이 ON 고장인 경우의 모니터 기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의 (a)∼(d)는 본 실시 형태의 계전 유닛이 ON 고장이고, 또한 노이즈가 침입한 경우의 모니터 기간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계전 유닛(10)은, 제어부(2)와, 전환 회로(3)와, 전원 회로(9)와,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와, 부하 연동/리셋 회로(17)와, 보조 출력 회로(18)와, 표시등 회로(19)를 구비한다. 제1 입력 회로(14)는 외부의 제1 입력 스위치(12)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제2 입력 회로(15)는 외부의 제2 입력 스위치(13)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고, 부하 연동/리셋 회로(17)는 외부의 리셋 스위치(16)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외부 전원(24)(직류 전원)은, 제어부(2)에 접속하는 전원 회로(9)를 포함하는, 계전 유닛(10)의 각 부에 급전을 행한다.
제어부(2)는, 도 1의 (b)·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로서 기능하는 1개 또는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로 구성된다.
전환 회로(3)는,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와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와, 4개의 절연 콘덴서(C1∼C4)를 구비한다.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는, a1 접점 및 b1 접점(제1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SW1)와, a2 접점 및 b2 접점(제2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SW2)와, 릴레이 코일(7)을 구비하는 2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7)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자력에 의해 스위치(SW1·SW2)를 전환한다. 즉, a1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1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1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고, a2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2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2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6)는, a3 접점 및 b3 접점(제3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3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SW3)와, a4 접점 및 b4 접점(제4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는 기계식의 스위치(SW4)와, 릴레이 코일(8)을 구비하는 2극 릴레이형이며, 릴레이 코일(8)의 여자에 의해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이 전자력에 의해 기계식 스위치(SW3·SW4)를 전환한다. 즉, a3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3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3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3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고, a4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b4 접점이 폐쇄 상태로 되고, a4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b4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b1 접점은 절연 콘덴서(C1)를 통해 제어부(2)와 접속되고, b3 접점은 절연 콘덴서(C3)를 통해 제어부(2)와 접속되고, b2 접점은 절연 콘덴서(C2)를 통해 제어부(2)와 접속되고, b4 접점은 절연 콘덴서(C4)를 통해 제어부(2)와 접속된다. 또한, a1 접점 및 a3 접점의 사이에는, 부하(21)와 부하용의 부하 전원(23)(교류 전원)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a2 접점 및 a4 접점의 사이에는, 부하(22)와 부하용의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된다.
제어부(2)는, 전환 회로(3)의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 각각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a1 접점, a3 접점, a2 접점 및 a4 접점(이하, a1∼a4 접점이라고 약기)이 개방 상태이며 b1 접점, b3 접점, b2 접점 및 b4 접점(이하 b1∼b4 접점이라고 약기)이 폐쇄 상태로 되는 부하(21) 및 부하(22)에의 비통전 상태(도 1)와, a1∼a4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b1∼b4 접점이 개방 상태로 되는 부하(21) 및 부하(22)의 통전 상태(도 2)를 전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21) 및 부하(22)에의 비통전 상태에서는, b1 접점 및 b3 접점이 접속되고, 제어부(2)의 단자(X1)로부터, 절연 콘덴서(C1), b1 접점, b3 접점 및 절연 콘덴서(C3)를 거쳐 단자(Y1)에 이르는 채널(1)이 형성되고, 또한 b2 접점 및 b4 접점이 접속되고, 제어부(2)의 단자(X2)로부터, 절연 콘덴서(C2), b2 접점, b4 접점 및 절연 콘덴서(C4)를 거쳐 단자(Y2)에 이르는 채널(2)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 상태에서는, a1 접점 및 a3 접점 및 부하(21) 및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되고, 또한 a2 접점 및 a4 접점 및 부하(22) 및 부하 전원(23)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를 직렬로 배치하고 있는 것은, 한쪽의 유접점 릴레이 회로에 ON 고장(a 접점이 상시 폐쇄 상태로 되는 고장)이 발생해도 부하(21) 및 부하(22)를 비통전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용장 목적)이다.
계전 유닛(10)의 동작의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 전원(24)이 OFF,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FF, 리셋 스위치(16)가 OFF, 부하(21) 및 부하(22)가 비통전 상태(도 1)이며,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N(양 부하는 비통전)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24)(외부 전원)이 ON되면 제어부(2)가 기동한다. 이어서, 안전 상태가 확보되어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되면, 제1 입력 회로(14) 및 제2 입력 회로(15)가 ON된다. 이어서, 수동의 리셋 스위치(16)를 눌러 이격하면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ON→OFF로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2)는,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가 모두 ON임과 함께, 부하 연동/리셋 회로(17)가 OFF인 것, 즉,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이 가능한 상태인 것을 인식한다.
이어서, 제어부(2)는, 도 3과 같이, 단자(X1)로부터 b1 접점 및 b3 접점을 포함하는 채널(1)에 진단 신호(MS1)[도 3의 (d) 참조]를 송신하고, 진단 신호(MS1)의 귀환 상황을 단자(Y1)로 검출함으로써 b1 접점 및 b3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함과 함께, 단자(X2)로부터 b2 접점 및 b4 접점을 포함하는 채널(2)에 진단 신호(MS2)[도 3의 (d) 참조]를 송신하고, 진단 신호(MS2)의 귀환 상황을 단자(Y2)로 검출함으로써 b2 접점 및 b4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단 신호(MS1·MS2)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서로 주기가 다르고, 또한 일정 기간 내의 펄스수가 다르고, 또한 듀티비가 다르다.
여기서, 진단 신호(MS1)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진단 신호(MS2)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는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예를 들어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임과 함께,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예를 들어 주기에 대해서는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임과 함께,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서는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말한다.
또한,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및 그 제1 상한 역치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및 그 제1 상한 역치는 진단 신호(MS1)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및 그 제2 상한 역치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및 그 제2 상한 역치는 진단 신호(MS2)의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진단 신호(MS1·MS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성이 다른 펄스 신호이며, 제1 소정 조건과 제2 소정 조건은 서로 다르다. 즉,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와,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고,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로 규정되는 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는다.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5·6)가 정상인 경우에는, 채널(1)의 진단 신호(MS1) 및 채널(2)의 진단 신호(MS2)가 모두 귀환하고, 제1 소정 조건 및 제2 소정 조건 모두 만족되므로, 정상이라고 판정된다.
한편, 진단 신호(MS1)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진단 신호(MS2)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도 4와 같이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가 ON 고장나 있는 경우에는, 진단 신호(MS1) 및 진단 신호(MS2)가 모두 귀환하지 않고, 제1 소정 조건 및 제2 소정 조건 모두 만족되지 않으므로, 이상이라고 판정된다.
b1∼b4 접점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고, a1∼a4 접점을 폐쇄 상태, b1∼b4 접점을 개방 상태로 한다(도 2). 이에 의해, 부하 전원(23)에 의한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전원 공급)이 행해진다.
그리고, 제1 입력 스위치(12) 및 제2 입력 스위치(13) 중 적어도 하나가 OFF되면(안전이 확보되지 않게 되면), 제어부(2)는, 릴레이 코일(7) 및 릴레이 코일(8)의 전류를 제어하여 a1∼a4 접점을 개방 상태, b1∼b4 접점을 폐쇄 상태로 하고,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을 정지한다(도 1). 또한, 보조 출력 회로(18)는, 제어부(2)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부하(21) 및 부하(22)에의 통전 또는 비통전의 정보를 외부의 시퀀서 등에 통지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전 유닛(10)에 따르면, 진단 신호(MS1)와 진단 신호(MS2)가 다르고, 제1 소정 조건(제1 역치) 및 제2 소정 조건(제2 역치)이 다르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가 ON 고장(b1 접점 및 b2 접점이 항상 ON으로 되는 상태)나고, 또한 모니터 시에 채널(1·2) 각각으로부터 진단 신호(MS1)와 유사한 노이즈(NS)가 제어부(2)의 단자(Y1·Y2)에 침입한 경우라도, 단자(Y2)에서의 검출 결과[진단 신호(MS2)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이상[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5)의 ON 고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계전 유닛에 있어서의 노멀리 클로즈 접점의 모니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점, 가령 진단 신호(MS2)가 진단 신호(MS1)와 동일(제1 소정 조건 및 제2 소정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진단 신호(MS1)에 유사한 노이즈(NS)가 단자(Y1·Y2)에 침입한 경우에 정상이라고 오판단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제어부(2)를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한쪽의 마이크로컴퓨터가 릴레이 코일(7)을 제어함과 함께, 다른 쪽이 릴레이 코일(8)을 제어하고,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 각각이, 진단 신호(MS1)의 귀환 상황을 단자(Y1)로 검출함으로써 b1 접점 및 b3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함과 함께, 진단 신호(MS2)의 귀환 상황을 단자(Y2)로 검출함으로써 b2 접점 및 b4 접점의 모니터(진단)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를 이러한 용장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령 한쪽의 마이크로컴퓨터가 고장나도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소정 조건으로서 주기 및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주기 내의 ON(High) 기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듀티비에 대해, 듀티비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및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제1 소정 조건으로 하고, 듀티비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및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제2 소정 조건으로 해도 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환 회로(3)를 제어하는 제어부(2)에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1개 또는 2개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에 3개 이상의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종 기능을 갖는 회로를 조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제어부(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계전 유닛은,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진단 신호와 제2 진단 신호가 다르므로,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모두 ON 고장이고, 또한 모니터 시에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 각각으로부터 제1 진단 신호와 유사한 노이즈가 제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이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한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주기, 듀티비 및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주기에 대해,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주기에 대해,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이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이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듀티비에 대해, 듀티비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듀티비에 대해, 듀티비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이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상기 전환 회로는,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고, 상기 비통전 상태에서는, 제1 및 제3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접속됨과 함께, 제2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진단 신호는, 제1 및 제3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경유하여 제어부로 귀환하고, 상기 제2 진단 신호는, 제2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경유하여 제어부로 귀환한다.
본 계전 유닛의 이어지는 구성에서는, 제1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3 노멀리 오픈 접점의 사이에 부하 및 부하용 전원이 직렬로 배치되고, 제2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의 사이에 다른 부하 및 상기 부하용 전원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은,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제어부를 구비한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과는 다른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상이라고 판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형태를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적절히 변경한 것이나 그들을 조합하여 얻어지는 것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관한 계전 유닛은, 부하에의 통전 제어가 필요한 기기에 적합하다.
2 : 제어부
3 : 전환 회로
5 : 제1 유접점 릴레이 회로
6 : 제2 유접점 릴레이 회로
7·8 : 릴레이 코일
10 : 계전 유닛
21·22 : 부하
23 : 부하 전원
24 : 외부 전원
a1∼a4 : 접점(제1∼제4 노멀리 오픈 접점)
b1∼b4 : 접점(제1∼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
C1∼C4 : 절연 콘덴서

Claims (9)

  1.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과는 다른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모두 ON 고장이고 상기 제1 진단 신호와 유사한 노이즈가 제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 결과는 상기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정상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주기, 듀티비 및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주기에 대해, 주기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주기에 대해, 주기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에 대해, 일정 시간 내의 펄스수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단 신호는 모두 펄스 신호이며,
    상기 제1 소정 조건이라 함은, 듀티비에 대해, 듀티비의 제1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1 상한 역치 이하이며,
    상기 제2 소정 조건이라 함은, 듀티비에 대해, 듀티비의 제2 하한 역치 이상 또한 그 제2 상한 역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회로는,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3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3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고,
    상기 비통전 상태에서는, 제1 및 제3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접속됨과 함께, 제2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접속되고,
    상기 제1 진단 신호는, 제1 및 제3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경유하여 제어부로 귀환하고, 상기 제2 진단 신호는, 제2 및 제4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경유하여 제어부로 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3 노멀리 오픈 접점의 사이에 부하 및 부하용 전원이 직렬로 배치되고, 제2 노멀리 오픈 접점 및 제4 노멀리 오픈 접점의 사이에 다른 부하 및 상기 부하용 전원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
  9.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과,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개방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폐쇄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비통전 상태로 되고, 제1 및 제2 노멀리 오픈 접점이 폐쇄 상태이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개방 상태일 때에 부하에의 통전 상태로 되는 전환 회로와, 제어부를 구비한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비통전 상태 시에, 상기 제1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상기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에 제1 진단 신호와는 다른 제2 진단 신호를 송신하고, 또한 송신한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을 행하고,
    제1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과,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의 결과가 제1 소정 조건과는 다른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상이라고 판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노멀리 클로즈 접점이 모두 ON 고장이고 상기 제1 진단 신호와 유사한 노이즈가 제어부에 침입한 경우라도, 제2 진단 신호의 귀환 상황의 검출 결과는 상기 제2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KR1020150147931A 2015-02-02 2015-10-23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KR101800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8896A JP6435891B2 (ja) 2015-02-02 2015-02-02 継電ユニット、継電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JP-P-2015-018896 2015-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840A KR20160094840A (ko) 2016-08-10
KR101800084B1 true KR101800084B1 (ko) 2017-11-21

Family

ID=54325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931A KR101800084B1 (ko) 2015-02-02 2015-10-23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9491B2 (ko)
EP (1) EP3051555B1 (ko)
JP (1) JP6435891B2 (ko)
KR (1) KR101800084B1 (ko)
CN (1) CN1058468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9573B2 (ja) * 2015-02-02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継電ユニット
KR102058198B1 (ko) * 2016-12-12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시 전원 공급을 위한 병렬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199850B (zh) * 2018-11-16 2022-04-19 中车唐山机车车辆有限公司 固态继电器电路
KR20200066247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678006A (zh) * 2019-04-10 2021-11-19 Ls电气株式会社 保护继电器检查装置
JP7243608B2 (ja) * 2019-12-12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イッチの異常判定方法
JP7298534B2 (ja) * 2020-04-24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の制御装置
CN111813088B (zh) * 2020-07-16 2021-10-01 国核自仪系统工程有限公司 Di通道的诊断电路及方法
CN112986814A (zh) * 2021-04-28 2021-06-18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的故障诊断装置和方法
CN116540084B (zh) * 2023-05-10 2023-12-12 江苏斯菲尔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力仪表继电器功能自动测试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1835A1 (en) * 2006-11-10 2009-10-08 Cedes Ag Safety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435A (ja) 1991-08-27 1993-03-05 Mitsubishi Denki Eng Kk 半導体集積回路のパツケージ
JPH0555435U (ja) 1991-12-26 1993-07-23 サンクス株式会社 出力スイッチの状態検出回路
US5586111A (en) * 1994-09-21 1996-12-17 The Whitaker Corporation In-line test switch for communications network
JPH09293440A (ja) 1996-04-25 1997-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継電器の制御方法
EP1202313A1 (de) 2000-10-23 2002-05-02 Safecom Ag Einrichtung in der Sicherheitstechnik zur Kontrolle der Schaltstellung mechanischer Schaltkontakte
DE102005014125A1 (de) * 2005-03-22 2006-09-28 Pilz Gmbh & Co. Kg Sicherheitsschaltvorrichtung zum sicheren Abschalten eines elektrischen Verbrauchers
DE102006054877A1 (de) * 2006-11-20 2008-05-21 Endress + Hauser Wetzer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Schaltereinheit
DE102007045989B4 (de) * 2007-09-26 2011-03-31 Siemens Ag Sicherheitsschaltgerät und Verfahren zum sicherheitsgerichteten Schalten
EP2362408B1 (en) * 2010-02-19 2017-04-05 Rockwell Automation Germany GmbH & Co. KG Safety switching device with universal signal input
WO2012128039A1 (ja) * 2011-03-22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磁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1835A1 (en) * 2006-11-10 2009-10-08 Cedes Ag Safety swi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39491B2 (en) 2018-04-10
JP6435891B2 (ja) 2018-12-12
CN105846806A (zh) 2016-08-10
JP2016143566A (ja) 2016-08-08
US20160223614A1 (en) 2016-08-04
EP3051555A1 (en) 2016-08-03
KR20160094840A (ko) 2016-08-10
EP3051555B1 (en)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084B1 (ko)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KR101811925B1 (ko) 계전 유닛, 계전 유닛의 제어 방법
US9477212B2 (en) Safety switching device for the failsafe shutdown of an electrical load
US8154835B2 (en) Power and control unit for a low or medium voltage apparatus
CN101292320A (zh) 自检电路中断装置
US20070182255A1 (en) Safety switching module
EA015184B1 (ru) Способ и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хема для надеж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исполнитель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датчиками и/или потребителями в электроприборе, в частности в бытовом электроприборе
KR101785160B1 (ko) 계전 유닛 및 계전 회로의 제어 방법
EP2256565A2 (en) System for sending signals between modules
US20060158794A1 (en) Control device for safety-critical compon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US8934208B2 (en) Trip circuit supervision relay for low and medium voltage applications
US8988844B2 (en) Drive circuit for an electromagnetic relay
CN109585219B (zh) 安全开关
EP2407992B1 (en) A power and control unit for a low or medium voltage apparatus
CN109155517B (zh) 断路器
US11249527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an aircraft
WO20160071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switching circuitry
JP2002084169A (ja) ディジタル信号入力装置およびその健全性監視方法
JP2018100151A (ja) 昇降機制御装置および昇降機制御方法
JPH03256499A (ja) 選択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