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666B1 -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 Google Patents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666B1
KR101799666B1 KR1020160019534A KR20160019534A KR101799666B1 KR 101799666 B1 KR101799666 B1 KR 101799666B1 KR 1020160019534 A KR1020160019534 A KR 1020160019534A KR 20160019534 A KR20160019534 A KR 20160019534A KR 101799666 B1 KR101799666 B1 KR 10179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flexible
detent
flexible structure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353A (ko
Inventor
피에르 퀴쟁
Original Assignee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6010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1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nstruction of the lever or the escape whe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5/00Escapements
    • G04B15/06Free escap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04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04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 G04B17/045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with oscillating blade spr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3/00Protecting clockworks by shields or other means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magnetic fields
    • G04B43/002Component shock prot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04Oscillators acting by spring tension
    • G04B17/10Oscillators with torsion strips or springs acting in the same manner as torsion strips, e.g. weight oscillating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machine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진 바퀴와 협동하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공명기는 단일-부품이며, 관성 부재 및 탄성을 제공하고 공명기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는 제 1 가요성 구조물을 포함하며, 멈춤쇠는 단일-부품이며, 언로킹 스프링 및 멈춤쇠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는 제 2 가요성 구조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OSCILLATOR WITH A DETENT ESCAPEMENT}
본 발명은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멈춤쇠 탈진기 시스템은 직접적인 충격과 마찰에 대한 낮은 민감도를 부여함으로써 18 세기의 항해용 시계에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충격에 민감하고 조절하는데 특히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특정한 항해용 시계는 진공에서, 사막에서, 또는 심지어 어떠한 충격으로 인한 트리핑 (tripping) 의 전달, 즉 시계의 작동을 방해하기 쉬운 탈진 바퀴 톱니의 하나씩의 통과 대신에 우발적인 두 개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한 짐벌 서스펜션 (gimbal suspension) 에 장착되었다. 따라서, 충격에 대한 민감도와 그와 같은 조립에 요구되는 공간을 고려하면, 신뢰성 있는 멈춤쇠 탈진기를 손목시계에 실행하는 것을 예상하는 것은 현재로선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있고, 소형이며, 트리핑이 쉽지 않으며, 그의 기구들이 서로 관련하여 매우 정밀하게 위치되는,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발진기를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단점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은 탈진 바퀴와 협동하는 멈춤쇠를 포함하는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명기가 단일-부품 (one-piece) 이며 관성 부재 및 공명기에 탄성을 제공하고 공명기의 가상 피봇 축을 형성하는 제 1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멈춤쇠가 또한 단일-부품으로 만들어지며 탈진 바퀴와 협력하는, 로킹-스톤 (locking-stone) 또는 로킹-팰릿 (locking-pallet) 을 형성하는 몸체, 멈춤쇠의 가상 피봇 축을 형성하는 제 2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 및 멈춤쇠의 몸체의 한 단부에 형성되는 정지 부재와 협동하는 언로킹 스프링을 포함하며, 관성 부재가 탈진 바퀴와 협동하는 임펄스-팰릿과 언로킹 스프링과 협동하는 해제-팰릿 (discharging-pallet)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발진기가 장착을 위한 매우 적은 구성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따라서 명백한데, 이는 이들이 대부분 단일-부품 구성요소이기 때문이며, 이는 또한 구성요소의 소자가 서로 관련하여 이미 완전하게 배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발진기는 피봇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요구되는 두께를 감소시키고 본질적으로 트리핑의 제거를 초래하는 단일 관절 구조물 (monolithic articulated structure) 로도 또한 지칭되는 가요성 구조물의 사용으로 인해 초소형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발진기는 스위스 레버 탈진기 (Swiss lever escapement) 를 사용하는 발진기에 비해서 전체 발진기 효율을 감소시킴이 없이 공명기의 주파수를 유리하게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발진기는 손목시계에의 적용에 고려하기에 충분히 소형이고 신뢰성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변형에 따라서,
- 단일-부품 공명기는 제 1 및 제 2 일체형 레벨에 형성되며, 제 1 레벨은 임펄스-팰릿이 제공되는 관성 부재를 포함하며 제 2 레벨은 제 1 가요성 구조물 및 해제-팰릿을 포함한다.
-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는 링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링의 주변부 표면은 임펄스-팰릿을 포함한다.
- 제 1 가요성 구조물은 가요성 수단을 통해서, 가로대 (crosspiece)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와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가로대의 중심에 공명기의 상기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 가요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을 통해서, 각각 두 개의 아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 (base) 를 포함한다.
-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는 바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섹터에 의해 형성되며, 섹터 중의 하나의 주변부 표면은 임펄스-팰릿을 포함한다.
- 제 1 가요성 구조물은 가요성 수단을 통해서 가로대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와 일체인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가로대의 중심에 공명기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 가요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을 통해서, 각각 두 개의 아크와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를 포함한다.
- 둘 다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가요성 구조물은 공명기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 단일-부품 멈춤쇠는 제 1 및 제 2 일체형 평면에 형성되며, 제 1 평면은 로킹-스톤을 포함하는 측 표면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며 제 2 평면은 제 2 가요성 구조물, 언로킹 스프링 및 정지 부재를 포함한다.
- 제 2 가요성 구조물은 가요성 수단을 통해서 기저부 소자와 일체인 적어도 두 개의 고착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기저부 소자의 중심에 상기 멈춤쇠의 상기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 제 2 가요성 구조물의 가요성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을 포함한다.
- 언로킹 스프링은 상기 기저부 소자와 일체이며, 공명기의 제 1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멈춤쇠의 몸체를 그대로 놔두고 공명기의 제 2 회전 방향으로는 공명기의 해제-팰릿과의 협동을 통해서 멈춤쇠를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정지 부재와 협동한다.
- 단일-부품 공명기와 단일-부품 멈춤쇠는 공명기와 멈춤쇠가 서로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는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단일 판으로 형성된다.
- 두 개의 판 중 하나는 탈진 바퀴가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와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도록 탈진 바퀴를 수용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 두 개의 판 중 하나는 주요 판 상에 발진기를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착 수단을 포함한다.
- 발진기는 멈춤쇠의 움직임의 진폭을 제한하도록 배열되는 언로킹-방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
- 발진기는 심지어 멈춤쇠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라도 제 2 가요성 구조물을 응력 하에 놓도록 배열되는 선응력 수단 (prestress means) 을 더 포함한다.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도 1 을 뒤집은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최대 진폭의 발진기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4 는 도 2 의 부분도이며,
도 5 는 고착 수단에 집중된 도 2 의 부분도이며,
도 6 은 공명기와 멈춤쇠 사이의 상호작용 구역에 집중된 도 2 의 부분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발진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8 은 도 7 을 뒤집은 도면이며,
도 9 는 도 8 의 부분도이며,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기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며,
도 11 은 멈춤쇠에 집중된 도 9 의 부분도이다.
본 발명은 시계용 발진기, 즉 예를 들어 탈진기 시스템과 같은 분배 및 유지 시스템과 결합되는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발진기는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를 포함한다. 멈춤쇠 탈진기는 탈진 바퀴와 협동하는 멈춤쇠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공명기는 단일-부품이다. 따라서, 공명기는 단일 부품으로 관성 부재와 제 1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제 1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은 공명기에 탄성을 제공하며 일반적인 베어링과 피봇의 사용을 막는 공명기의 가상 피봇 축을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공명기의 진폭은 제 1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의 최대 움직임 범위로 제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움직임의 제한은 공명기가 트립핑되는 것을 본질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며, 이는 설계에 의해서 멈춤쇠 탈진기 기구를 일반적으로 불리하게 하는 주요 문제점을 해결해준다.
게다가, 멈춤쇠도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부품이다. 그러므로, 멈춤쇠는 몸체, 제 2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 및 멈춤쇠 몸체의 한 단부에 형성되는 정지 부재와 협동하는 언로킹 스프링을 단일 부품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본 발명에 따른 단일-부품의 양태는 조립체의 위치선정 정밀도와 관련하여 유리하다.
멈춤쇠 몸체에는 탈진 바퀴와 협동하는 단일-부품의 로킹-스톤 또는 로킹 팰릿이 제공되며, 이는 추가의 임펄스 핀의 사용 및 멈춤쇠 몸체와 상이한 평면에서 탈진 바퀴과 접촉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 2 가요성 구조물 몸체는 멈춤쇠의 가상 피봇 축을 형성한다. 제 1 가요성 구조물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가요성 구조물은 일반적인 베어링과 피봇의 사용 필요성을 막는다. 결국, 언로킹 스프링은 멈춤쇠 몸체의 한 단부에 형성되는 정지 부재와 협동한다.
소형화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 관성 부재에는 임펄스-팰릿이 직접적으로 제공되고, 즉, 임펄스-팰릿은 관성 부재와 단일-부품이다. 게다가, 임펄스-팰릿은 탈진 바퀴와 직접적으로 협동한다. 관성 부재와 탈진 바퀴 사이에는 개재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는 일반적인 멈춤쇠 탈진 기구보다 충격을 훨씬 더 직접적이게 만든다는 것이 이해된다.
결국, 관성 부재에도 또한, 해제-팰릿이 직접적으로 제공되고, 즉, 해제-팰릿도 또한, 관성 부재와 단일-부품이다. 게다가, 해제-팰릿은 언로킹 스프링과 직접적으로 협동한다. 임펄스-팰릿과 유사하게, 따라서 관성 부재와 언로킹 스프링 사이에도 개재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며, 이는 일반적인 멈춤쇠 탈진기 시스템에 비해 언로킹을 더욱 소형화하고 훨씬 더 직접적 (direct) 이게 만든다는 것이 이해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부품 공명기가 제 1 및 제 2 일체형 레벨에 형성되며 단일-부품 멈춤쇠가 제 1 및 제 2 일체형 평면에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레벨은 각각 제 1 및 제 2 평면과 공동 평면을 이루거나 그로부터 오프셋된다. 최종 조립체의 두께는 일반적인 멈춤쇠 탈진기 시스템과 협동하는 일반적인 용수철 저울을 사용하는 발진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 부품 공명기 및 단일 부품 멈춤쇠는 공명기와 멈춤쇠가 서로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될 수 있는 단일 부품 발진기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단일 판 또는 웨이퍼로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따라서 이해된다. 이는 준수되어야 할 어떠한 특별한 사전조치 또는 미세 조정을 요구함이 없이 시계 무브먼트에 단일 부품으로 장착되는 완벽하게 참조되는 조립체라는 즉각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절연체 기판 상의 규소 (또한, "S.O.I" 로도 지칭됨) 와 같은 결합된 규소계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절연체 기판 상의 규소와 같이, 서로에 고정되고 이후에 면-대-면 에칭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장점을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도 1 내지 도 11 에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6 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발진기 (1) 는 단지 제 1 및 제 2 일체형 판 (2,4) 에서 단일-부품 공명기 (5) 와 단일 부품-멈춤쇠 (7) 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3) 를 포함한다. 게다가, 발진기 (1) 는 제 2 판 (4) 의 구멍 (6) 내에 놓이는 탈진 바퀴 (9) 를 포함한다.
단일-부품 공명기 (5) 는 제 1 및 제 2 일체형 레벨에 형성되며, 제 1 레벨은 임펄스-팰릿 (12) 이 제공되는 관성 부재 (11) 를 포함하며 제 2 레벨은 제 1 가요성 구조물 (13) 및 해제-팰릿 (14) 을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4 에서 볼 수 있듯이, 임펄스-팰릿 (12) 은 링에 의해 형성된 관성 부재 (11) 의 주변부 표면과 단일-부품이다.
제 1 가요성 구조물 (13) 은, 가요성 수단 (15) 을 통해서, 가로대 (19)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 (17,18)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6)6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 (15) 은 가로대 (19) 의 중심에 공명기 (5) 의 가상 피봇 축선 (A1) 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가요성 수단 (15) 은 각각 두 개의 아크 (17,18)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6) 을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21,21',22,22',23,23',24,24') 을 통해서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 (20,20') 를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도 5 에서 더욱 명확히 볼 수 있듯이, 단지 하나의 고착 수단 (16) 이 사용됨에 주목해야 한다. 제 2 판 (4) 과 일체인 고착 수단 (16) 이 격자 (trellis) (25) 에 의해 가요성 스트립 (21,22) 에 연결된다. 도 2 에서 볼 수 있듯이, 가요성 스트립 (21',22') 이 판 (2,4) 상의 일정한 지점이 아닌 관성 부재 (11) 에 연결됨을 주목해야 한다. 결국, 도 2, 도 3 및 도 4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요성 구조물 (13) 은 공명기 (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6) 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26,27) 를 더 포함한다.
제 1 가요성 구조물 (13) 의 최대 이동의 예가 도 3 에 도시된다. 공명기 (5) 진폭의 이러한 극단 위치에서, 에지 (28) 와 정지 부재 (27) 에 더하여 가요성 스트립 (21-23), 가요성 스트립 (21'-23'), 고착 수단 (16) 및 정지 부재 (26) 가 접촉되게 진입하며 공명기 (5) 에게 관성 부재 (11) 의 8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고정 각을 부여한다. 실제로, 다른 회전 방향에서 공명기 (5) 진폭의 다른 극단 위치에서, 에지 (28') 와 정지 부재 (26) 에 더하여 가요성 스트립 (22-24), 가요성 스트립 (22'-24'), 고착 수단 (16) 및 정지 부재 (27) 가 접촉되게 진입됨이 이해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성 부재 (11) 의 최대 진폭은 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부품 멈춤쇠 (7) 가 제 1 및 제 2 일체형 평면에 형성되며, 제 1 평면은 로킹-스톤 (34) 을 포함하는 측 표면을 갖는 몸체 (33) 를 포함하며 제 2 평면은 제 2 가요성 구조물 (35), 언로킹 스프링 (37) 및 정지 부재 (36) 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4 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가요성 구조물 (35) 은 가요성 수단 (39) 를 통해서 기저부 소자 (41)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38,40)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 (39) 은 기저부 소자 (41) 의 중심에 멈춤쇠 (7) 의 가상 피봇 축선 (A2) 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가요성 수단 (39) 은 고정 수단 (38,40) 과 기저부 소자 (41)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42,44) 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6 에서 더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언로킹 스프링 (37) 은 기저부 소자 (41) 와 일체이며, 공명기 (5) 의 제 1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멈춤쇠 (7) 의 몸체 (33) 를 그대로 놔두고 공명기 (5) 의 제 2 회전 방향으로는 공명기 (5) 의 해제-펠릿 (14) 과의 접촉을 통해서 멈춤쇠 (7) 를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형상으로 정지 부재 (36) 와 협동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6 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성 부재 (11) 의 회전 방향 (S1) 으로는 해제 팰릿 (14) 이 정지 부재 (36) 를 구동시킴이 없이, 그리고 부수적으로 멈춤쇠 (7) 의 몸체 (33) 를 자유롭게 놔둔 채로 언로킹 스프링 (37) 의 L-형상 단부에 맞닿을 것이다. 그러나, 방향 (S1) 과 반대인 관성 부재 (11) 의 회전 방향 (S2) 으로는 해제 팰릿 (14) 이 언로킹 스프링 (37) 의 L-형상 단부에 맞닿아서 상기 L-형상 단부를 정지 부재 (36) 의 U-형상 노치 (notch) 의 내측으로 밀어붙여서 정지 부재를 구동시키고 부수적으로, 멈춤쇠 (7) 의 몸체 (33) 를 피봇시킬 것이다.
도 2 및 도 3 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판 (2,4) 중 하나는 탈진 바퀴 (9) 가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3) 와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도록 탈진 바퀴 (9) 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45)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 에 예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발진기 (101) 는 단지 제 1 및 제 2 일체형 판 (102,104) 에서 단일-부품 공명기 (105) 와 단일-부품 멈춤쇠 (107) 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103) 를 포함한다. 게다가, 발진기 (101) 는 제 2 판 (104) 의 구멍 (106) 내에 놓이는 탈진 바퀴 (109) 를 포함한다.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부품 공명기 (105) 는 제 1 및 제 2 일체형 레벨에 형성되며, 제 1 레벨은 임펄스-팰릿 (112) 이 제공된 관성 부재 (111) 를 포함하며 제 2 레벨은 제 1 가요성 구조물 (113) 과 해제-팰릿 (114) 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 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성 부재 (11) 는 바 (110)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섹터 (108,108') 에 의해 형성되며, 섹터 (108,108') 중의 하나의 섹터 (108') 의 주변부 표면은 임펄스-팰릿 (112) 을 포함한다.
제 1 가요성 구조물 (113) 은, 가요성 수단 (115) 을 통해서, 가로대 (119)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 (117,118)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착 부재 (116,116') 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 (115) 은 가로대 (119) 의 중심에 공명기 (105) 의 가상 피봇 축선 (A3) 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게다가, 가요성 수단 (115) 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21,121',122,122',123,123',124,124') 을 통해서 각각 두 개의 아크 (117,118) 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16,116') 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 (120,120') 를 포함한다. 제 2 판 (104) 과 일체인 고착 수단 (116,116') 은 가요성 스트립 (121,121',122,122') 에 각각 연결된다. 결국, 도 8, 도 9 및 도 10 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요성 구조물 (113) 은 공명기 (10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16,116') 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126,127,126',127') 를 더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공명기 (105) 진폭의 제 1 극단 위치에서, 가요성 스트립 (121-123), 가요성 스트립 (122'-124'), 고착 수단 (116,116') 및 정지 부재 (126',127) 가 접촉되게 진입하며 관성 부재 (111) 의 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최대 고정 각을 공명기 (5) 에 부여한다. 실제로, 다른 회전 방향에서 공명기 (105) 진폭의 다른 극단 위치에서, 가요성 스트립 (121'-123'), 가요성 스트립 (122-124), 고착 수단 (116,116') 및 정지 부재 (126,127') 가 접촉되게 진입됨이 이해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 (111) 의 최대 진폭은 실질적으로 8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단일-부품 멈춤쇠 (107) 가 제 1 및 제 2 일체형 평면에 형성되며, 제 1 평면은 로킹-스톤 (134) 을 포함하는 측 표면을 갖는 몸체 (133) 를 포함하며 제 2 평면은 제 2 가요성 구조물 (135), 언로킹 스프링 (137) 및 정지 부재 (136) 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1 에서 볼 수 있듯이, 제 2 가요성 구조물 (135) 은 가요성 수단 (139) 를 통해서 기저부 소자 (141)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138,140)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 (139) 은 기저부 소자 (141) 의 중심에 멈춤쇠 (107) 의 가상 피봇 축선 (A4) 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제 2 실시예에서, 가요성 수단 (139) 은 고정 수단 (138,140) 과 기저부 소자 (141)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142,144) 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1 에서 더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언로킹 스프링 (137) 은 기저부 소자 (141) 와 일체이며, 공명기 (105) 의 제 1 회전 방향으로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멈춤쇠 (107) 의 몸체 (133) 를 그대로 놔두고 공명기 (105) 의 제 2 회전 방향으로는 공명기 (105) 의 해제-펠릿 (114) 과의 접촉을 통해서 멈춤쇠 (107) 를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복잡한 형상으로 정지 부재 (136) 와 협동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11 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성 부재 (111) 의 회전 방향 (S3) 으로는 해제 팰릿 (114) 이 정지 부재 (136) 를 구동시킴이 없이, 그리고 부수적으로 멈춤쇠 (107) 의 몸체 (133) 를 자유롭게 놔둔 채로 언로킹 스프링 (137) 의 L-형상 단부에 맞닿을 것이다. 그러나, 회전 방향 (S3) 과 반대인 관성 부재 (111) 의 회전 방향 (S4) 으로는 해제 팰릿 (114) 이 언로킹 스프링 (137) 의 L-형상 단부에 맞닿아서 상기 L-형상 단부를 정지 부재 (136) 의 U-형상 노치의 내측으로 밀어붙여서 정지 부재를 구동시키고 부수적으로, 멈춤쇠 (107) 의 몸체 (133) 를 피봇시킬 것이다.
도 8 에서 볼 수 있듯이, 두 개의 판 (102,104) 중 하나는 탈진 바퀴 (109) 가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103) 와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도록 탈진 바퀴 (109) 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145) 을 포함한다. 게다가, 두 개의 판 (102,104) 중의 하나는 발진기 (101) 를 주요 판에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146,147) 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 에 예시된 예에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146,147) 은 각각 판 (102) 의 재료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구멍 (148,149) 을 포함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어떤 실시예이든 발진기 (1,101) 는 또한, 멈춤쇠 (7,107) 의 움직임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한 언로킹-방지 수단 (151)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 의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언로킹-방지 수단 (151) 은 예를 들어, 멈춤쇠 (107) 의 몸체 (133) 와 일체이고 언로킹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 탈진 바퀴 (109) 에 대해 멈춤쇠 (107) 를 로킹하도록 배열되는 안전 아암 (152) 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어떤 실시예이든 발진기 (1,101) 는 또한, 베어링 힘이 항상 정지 부재에 대해 유지되도록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을 응력 하에 놓도록 배열되는 선응력 수단 (161) (prestress means) 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은 탈진 바퀴 (109) 에 대한 당김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복귀 토크를 제공하는 회전 강성 (angular stiffness) 을 가진다.
도 6 내지 도 11 의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비-제한적인 예에서, 선응력 수단 (161) 은 제 2 가요성 구조물 (135) 상의 응력을 선택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멈춤쇠 (107) 의 몸체 (133) 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는 편심 캠 (163) 을 포함한다.
발진기 (1,101) 의 작동이 이후에 도 1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발진기 (1,101) 는 예를 들어, 전술한 고정 수단 (146,147) 을 포함할 수 있는 고정 시스템의 도움으로 시계 무브먼트에 부가될 수 있다. 발진기 (1,101) 는 예를 들어, 배럴 (barrel) 에 의해 응력하에 놓이고 탈진 바퀴 (109) 와 맞물리는 기어 열 (gear train) 을 갖춘 주요 판에 부가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탈진 바퀴 (109) 가 주요 판에 끼워 맞춰지는 베어링과 베어링 (45,145) 사이에서 피봇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공명기 (5,105) 의 작은 진폭을 고려하면, 발진기 (1,101) 는 단순히 흔들어줌으로써 시동될 수 있다. 그러나, 최종 시계의 구성에 따라서 발진기 (1,101) 를 수동으로 시동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로서, 편심 캠 (163) 의 아버 (arbor) 는 로킹-스톤 (34,134) 이 에너지를 배럴로부터 탈진 바퀴 (9,109) 를 통해서 관성 부재 (11,111) 로 제공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경사지도록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 에서 볼 수 있듯이 관성 부재 (11,111) 의 제 1 회전 방향 (S1,S3) 으로는, 해제-팰릿 (14,114) 이 해제-팰릿 (14,114) 의 경사로 인해서 정지 부재 (36,136) 로부터 먼쪽으로 점진적으로 회전 방향 (S1,S3) 으로 이동하여 언로킹 스프링 (37,137) 의 L-형상 단부에 맞닿게 될 것이다. 따라서, 회전 방향 (S1,S3) 에서는 진동이 줄어들며, 즉 공명기 (5,105) 가 어떠한 에너지도 수용하지 않음이 이해된다.
결과적으로, 회전 방향 (S1,S3) 에서 관성 부재 (11,111) 는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를 실질적으로 부동상태로 둔다. 따라서, 기저부 소자 (41,141) 에 대한 스프링 (37,137) 의 정지 위치로의 복귀는 멈춤쇠 (7,107) 의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때문에 로킹-스톤 (34,134) 에 의한 탈진 바퀴 (9,109) 의 언로킹을 초래하지 않을 것이다.
관성 부재 (11,111) 는 공명기 (5,105) 의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및 가능하다면 정지 부재 (26,27,126,127') 가 그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공명기 (5,105) 의 진폭의 제 1 극단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 공명기 (5,105) 의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반대 방향 (S2,S4) 으로 다시 두도록 관성 부재 (11,111) 를 압박한다.
관성 부재 (11,111) 의 회전 방향 (S2,S4) 으로는, 해제-팰릿 (14,114) 이 해제-팰릿 (14,114) 의 어깨부 (shoulder) 로 인해서 언로킹 스프링 (37,137) 의 L-형상 단부의 정면에 회전 방향 (S2,S4) 으로 맞닿게 될 것이다. 해제-팰릿 (14,114) 이 통과하는 순간에, 언로킹 스프링 (37,137) 의 L-형상 단부의 접촉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접촉 표면을 부여하며, 이는 언로킹 스프링이 멈춤쇠 (7,107) 의 정지 부재 (36,136) 의 U-형상 노치 내측으로 이상적으로 지향될 수 있게 함이 이해된다. 정지 부재 (36,136) 가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와 단일-부품이기 때문에, 해제-팰릿 (14,114) 은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과 반대로 멈춤쇠 (7,107) 를 구동할 것이며, 부수적으로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를 피봇시킬 것이다.
기저부 소자 (41,141) 에 대한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의 피봇팅은 로킹-스톤 (34,134) 의 슬리핑 언로킹 (slipping unlocking) 에 의한 탈진 바퀴 (9,109) 의 톱니의 해제로 탈진 바퀴 (9,109) 가 반동 없이 회전될 수 있게 할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라서 탈진 바퀴 (9,109) 의 당김이 해제-팰릿 (14,114) 에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해제-팰릿은 직선적이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으로 멈춤쇠 (7,107) 의 가상 축선 (A2,A4) 에 중심 맞춰진 미리 결정된 반경으로 곡선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라서, 로킹-스톤 (34,134) 으로부터 탈진 바퀴 (9,109) 를 해제하기 위한 언로킹의 각도는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에 의해 인가된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의 전체 각도보다 실질적으로 2 배 미만이다. 그 후 해제된 탈진 바퀴 (9,109) 는 공명기 (5,105) 의 진동을 유지할 수 있게 배럴로부터 공명기 (5,105) 로 에너지의 일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성 부재 (11,111) 의 임펄스-팰릿 (12,112) 을 따라간다. 동시에, 탈진 바퀴 (9,109) 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공명기 (5,105) 의 진동을 나타내도록 배럴로부터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어 열에 의해 시간이 계시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은 해제-팰릿 (14,114) 을 통해서 한 번에 탈진 바퀴 (9,109) 의 단지 하나의 톱니만을 해제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조정은 제작 및 조립의 분산 (dispersion) 에 의해 어렵게 이루어진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제작 및 위치선정이 매우 정밀하기 때문에, 언로킹은 탈진 바퀴 (9,109) 의 형상에 의해 그리고 가능하다면 선응력 수단 (161) 의 조정에 의해서 간단하게 조절될 수 있다.
관성 부재 (11,111) 는 공명기 (5,105) 의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및 가능하다면 정지 부재 (26,27,126',127) 가 그의 움직임을 제한할 때 공명기 (5,105) 의 진폭의 제 2 극단 위치에 도달한다. 그 후 공명기 (5,105) 의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반대 방향 (S1,S3) 으로 다시 두도록 관성 부재 (11,111) 를 압박한다. 그 후 공명기 (5,105) 는 하나의 완전한 진동을 만들며 위에서 설명된 운동을 반복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구성요소들이 대개 단일-부품이기 때문에, 따라서 발진기 (1,101) 가 조립에 요구되는 매우 적은 구성요소만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단지 두 개의 (단일-부품의 발진기 조립체 (3,103) 및 탈진 바퀴 (9,109)) 또는 세 개의 (단일-부품의 공명기 (5,105), 단일-부품의 멈춤쇠 (7,107) 및 탈진 바퀴 (9,109)) 구성요소가 시계 무브먼트의 조립에 요구된다는 것이 따라서 이해된다. 부수적으로, 두 개 또는 세 개의 구성요소로의 제한은 또한 이들 구성요소의 소자가 서로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참조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발진기 (1,101) 는 (천공된 스톤 (pierced stone) 과 같은) 고전적인 베어링과 피봇의 사용을 제거함으로써 필요한 두께를 감소시키는 단일 관절 구조물로도 지칭되는 가요성 구조물 또는 베어링의 사용으로 인해 초소형이다. 가요성 구조물은 또한 공지된 멈춤쇠 시스템의 주요 단점, 즉 트리핑 (tripping) 을 설계에 의해 제거하는데 또한 유리하게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발진기 (1,101) 는 손목시계에의 적용용으로 고려하기에 충분히 소형이며 신뢰성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나타나게 될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적용에 따라서 공명기 (5,105) 및/또는 멈춤쇠 (7,107) 는 특히, 그들의 형상 (관성 부재, 멈춤쇠) 또는 그들의 가요성 구조물에 관하여 수정될 수 있다.
게다가, 언로킹-방지 수단 (anti-unlocking means) (151) 은 안전 아암 (152) 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언로킹이 바람직하지 않을 때 멈춤쇠 (7,107) 를 차단하도록 배열되는 관성-방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시계에 의해 수용된 모든 충격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서 발진기 (1,101) 와 그의 고정 시스템 사이에 충격 흡수제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두 개의 실시예가 서로 조합될 수 있는 것도 또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제 1 실시예의 공명기 (5) 가 제 2 실시예의 멈춤쇠 (107) 와 협동하거나 제 2 실시예의 선응력 수단 (161) 이 제 1 실시예에 병합되는 것도 예상할 수 있다.
결국, 탈진 바퀴 (9,109) 가 관성 부재 (11,111) 의 임펄스-팰릿 (12,112) 을 따라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탈진 바퀴 (9,109) 는 무브먼트의 기어 열에 연결되는 그의 톱니와 피니언 사이에 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와 같은 탈진 바퀴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EP 2,455,821 호에 설명된 에너지 전달 바퀴 세트 실시예 중의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문헌은 본원에 참조된다.

Claims (21)

  1. 탈진 (escape) 바퀴 (9,109) 와 협동하는 멈춤쇠 (7,107) 를 포함하는 멈춤쇠 탈진기와 협동하는 관성-탄성 형태의 공명기 (5,105) 를 포함하는 발진기 (oscillator; 1,101) 로서,
    상기 공명기 (5,105) 는, 단일-부품이며 그리고 관성 부재 (11,111) 및 탄성을 제공하고 상기 공명기의 가상 피봇 축선 (A1,A3) 을 형성하는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을 포함하며,
    상기 멈춤쇠 (7,107) 는, 단일-부품이며 그리고 상기 탈진 바퀴 (9,109) 와 협동하는 로킹-스톤 (34,134) 을 형성하는 몸체 (33,133), 상기 멈춤쇠의 가상 피봇 축선 (A2,A4) 을 형성하는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및 상기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의 한 단부에 형성되는 정지 부재 (36,136) 와 협동하는 언로킹 스프링 (37,137) 을 포함하며,
    상기 관성 부재 (11,111) 는 상기 탈진 바퀴 (9,109) 와 협동하는 임펄스-팰릿 (12,112) 및 상기 언로킹 스프링 (37,137) 과 협동하는 해제-팰릿 (discharging-pallet; 14,114)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기 (5,105) 는 제 1 및 제 2 레벨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레벨은 상기 임펄스-팰릿 (12,112) 이 제공되는 상기 관성 부재 (11,111)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및 상기 해제-팰릿 (14,1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 (11,111) 는 링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링의 주변부 표면은 상기 임펄스-팰릿 (12,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가요성 수단 (15,115) 을 통해서, 가로대 (crosspiece; 19,119)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 (17,18,117,118)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6,116,116')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가로대 (19,119) 의 중심에 상기 공명기 (5,105) 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상기 공명기 (5,10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26,27,126,126',127,1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의 가요성 수단 (15,115) 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21,21',22,22',23,23',24,24',121,121',122,122',123,123',124,124') 을 통해서 각각 두 개의 아크 (17,18,117,118) 와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 (20,20',120,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상기 공명기 (5,10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26,27,126,126',127,1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 (11,111) 는 바 (110)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섹터 (108,108') 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섹터 (108,108') 중의 하나의 주변부 표면은 상기 임펄스-팰릿 (12,112) 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가요성 수단 (15,115) 을 통해서, 가로대 (19,119) 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아크 (17,18,117,118)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 (16,116,116')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가로대 (19,119) 의 중심에 상기 공명기 (5,105) 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상기 공명기 (5,10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26,27,126,126',127,1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의 가요성 수단 (15,115) 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21,21',22,22',23,23',24,24',121,121',122,122',123,123',124,124') 을 통해서 각각 두 개의 아크 (17,18,117,118) 와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을 각각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저부 (20,20',120,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요성 구조물 (13,113) 은 상기 공명기 (5,105) 의 진폭을 제한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고착 수단과 접촉되게 진입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부재 (26,27,126,126',127,12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부품 멈춤쇠 (7,107) 는 제 1 및 제 2 일체형 평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은 로킹-스톤 (34,134) 을 포함하는 측 표면을 갖는 몸체 (33,133)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평면은 상기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상기 언로킹 스프링 (37,137) 및 상기 정지 부재 (36,1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은 가요성 수단 (39,139) 을 통해서 기저부 소자 (41,141) 와 일체로 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38,40,138,140) 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수단은 기저부 소자 (41,141) 의 중심에 멈춤쇠의 가상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의 가요성 수단 (39,139) 은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스트립 (42,44,142,1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 스프링 (37,137) 은 상기 기저부 소자 (41,141) 와 일체이며, 상기 공명기 (5,105) 의 제 1 회전 방향 (S1,S3) 으로는 구속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멈춤쇠 (7,107) 의 몸체 (33,133) 를 그대로 놔두고 상기 공명기 (5,105) 의 제 2 회전 방향 (S2,S4) 으로는 상기 공명기 (5,105) 의 해제-팰릿 (14,114) 과의 접촉을 통해서 멈춤쇠 (7,107) 를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정지 부재 (36,136) 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7.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부품 상기 공명기 (5,105) 와 단일-부품 상기 멈춤쇠 (7,107) 는 상기 공명기 (5,105) 와 상기 멈춤쇠 (7,107) 가 서로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는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3,103) 를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두 개의 단일 판 (2,4,102,104) 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판 (2,4,102,104) 중 하나는 탈진 바퀴가 단일-부품 발진기 조립체 (3,103) 와 관련하여 이상적으로 참조되도록 상기 탈진 바퀴 (9,109) 를 수용하기 위한 베어링 (45,14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판 (2,4,102,104) 중 하나는 주요 판 상에 상기 발진기 (1,101) 를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 수단 (146,14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상기 멈춤쇠 (7,107) 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배열되는 언로킹-방지 수단 (151) 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상기 제 2 가요성 구조물 (35,135) 을 응력 하에 놓도록 배열되는 선응력 수단 (161) (prestress means) 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 101).
KR1020160019534A 2015-02-20 2016-02-19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KR10179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55874.9 2015-02-20
EP15155874 2015-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353A KR20160102353A (ko) 2016-08-30
KR101799666B1 true KR101799666B1 (ko) 2017-11-20

Family

ID=5257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34A KR101799666B1 (ko) 2015-02-20 2016-02-19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65362B2 (ko)
EP (1) EP3059641B1 (ko)
JP (1) JP6209230B2 (ko)
KR (1) KR101799666B1 (ko)
CN (1) CN105911845B (ko)
CH (1) CH710759A2 (ko)
TW (1) TWI6752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2351A1 (en) * 2014-12-09 2016-06-15 LVMH Swiss Manufactures SA Timepiece mechanism, timepiece movement and timepiece having such a mechanism
EP3147725B1 (fr) * 2015-09-28 2018-04-04 Nivarox-FAR S.A. Oscillateur a detente tournante
CH711573A2 (en) * 2015-09-29 2017-03-31 Patek Philippe Sa Geneve Watch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guiding system.
CH713069A2 (fr) * 2016-10-25 2018-04-30 Eta Sa Mft Horlogere Suisse Montre mécanique avec résonateur rotatif isochrone, insensible aux positions.
EP3316046B1 (fr) * 2016-10-25 2019-07-31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ouvement d'horlogerie optimisé
CH713150A2 (fr) * 2016-11-23 2018-05-31 Eta Sa Mft Horlogere Suisse Mécanisme régulateur à résonateur rotatif à guidage flexible entretenu par un échappement libre à ancre.
FR3059792B1 (fr) * 2016-12-01 2019-05-24 Lvmh Swiss Manufactures Sa Dispositif pour piece d'horlogerie, mouvement horloger et piece d'horlogeri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N108732905B (zh) * 2017-04-25 2023-12-01 天津海鸥表业集团有限公司 可变换陀飞轮位置的机械手表机芯的设计方法及手表机芯
CH714093A2 (fr) * 2017-08-29 2019-03-15 Swatch Group Res & Dev Ltd Pivot isochrone pour résonateur d'horlogerie.
NL2020384B1 (en) * 2018-02-06 2019-08-14 Flexous Mech Ip B V Mechanical watch oscillator
EP3525046A1 (fr) * 2018-02-12 2019-08-1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scillateur d'horlogerie insensible aux accelerations angulaires du porte
US10895845B2 (en) * 2018-06-25 2021-01-1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Timepiece oscillator with flexure bearings having a long angular stroke
CH715438A1 (fr) 2018-10-08 2020-04-15 Mft Et Fabrique De Montres Et Chronometres Ulysse Nardin Le Locle S A Oscillateur mécanique et mouvement horloger le comprenant.
EP3663869B1 (fr) 2018-12-06 2021-06-16 Montres Breguet S.A. Mecanisme de sonnerie d'horlogerie a marteau suspendu
CH714992A9 (fr) * 2019-01-24 2020-01-15 Csem Centre Suisse Delectronique Et De Microtechnique Sa Régulateur horloger mécanique.
US20220317628A1 (en) * 2019-07-12 2022-10-06 Patek Philippe Sa Geneve Method for adjustment of a flexute pivot timepiece oscillator
CH716827A1 (fr) * 2019-11-22 2021-05-31 Csem Ct Suisse Delectronique Microtechnique Sa Rech Developpement Régulateur mécanique horloger comportant un échappement à force constan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6617A1 (fr) * 2009-07-17 2011-01-20 Franck Muller Watchland S.A. Tourbillon a roue d'echappement fixe
JP2011059081A (ja) * 2009-09-14 2011-03-24 Seiko Instruments Inc 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それを有する機械式時計
JP2012083332A (ja) * 2010-09-14 2012-04-26 Seiko Instruments Inc 時計用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機械式時計
JP2013524173A (ja) * 2010-04-01 2013-06-17 ロレッ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 歯車用固定装置
JP2013531257A (ja) * 2010-07-19 2013-08-01 ニヴァロックス−ファ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弾性ピボット及びエネルギ伝達のための可動要素を有する発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506A (en) * 1908-10-22 1910-07-26 Frederic Ecaubert Compensating balance for timepieces.
US20050012622A1 (en) * 2003-05-19 2005-01-20 Sutton William R. Monitoring and control of sleep cycles
CH699813B1 (fr) * 2004-03-25 2010-05-14 Pierre Kunz S A Roue destinée à venir en contact avec un élément mobile ou fix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CH708113B1 (de) * 2007-09-13 2014-12-15 Stéphane Von Gunten Anker für eine Uhrenhemmung.
EP2104008A1 (fr) 2008-03-20 2009-09-23 Nivarox-FAR S.A. Organe régulateur monobloc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P2105807B1 (fr) * 2008-03-28 2015-12-02 Montres Breguet SA Spiral à élévation de courbe monobloc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5366318B2 (ja) * 2009-09-14 2013-12-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デテント脱進機の作動レバーの製造方法
JP5441168B2 (ja) * 2010-03-10 2014-03-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デテント脱進機と機械式時計
EP2455821B2 (fr) 2010-11-18 2018-11-14 Nivarox-FAR S.A. Mobile de transmission d'énergie
EP2410387B1 (fr) * 2010-07-19 2016-07-06 Nivarox-FAR S.A. Balancier à réglage d'inertie sans insert
EP2450757B1 (fr) * 2010-11-04 2014-10-15 Nivarox-FAR S.A. Dispositif anti-galop pour mécanisme d'échapp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6617A1 (fr) * 2009-07-17 2011-01-20 Franck Muller Watchland S.A. Tourbillon a roue d'echappement fixe
JP2011059081A (ja) * 2009-09-14 2011-03-24 Seiko Instruments Inc 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それを有する機械式時計
JP2013524173A (ja) * 2010-04-01 2013-06-17 ロレックス・ソシエテ・アノニム 歯車用固定装置
JP2013531257A (ja) * 2010-07-19 2013-08-01 ニヴァロックス−ファ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弾性ピボット及びエネルギ伝達のための可動要素を有する発振機構
JP2012083332A (ja) * 2010-09-14 2012-04-26 Seiko Instruments Inc 時計用デテント脱進機、および機械式時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53789A (ja) 2016-08-25
TW201702769A (zh) 2017-01-16
US9465362B2 (en) 2016-10-11
US20160246257A1 (en) 2016-08-25
TWI675267B (zh) 2019-10-21
EP3059641B1 (fr) 2021-08-11
KR20160102353A (ko) 2016-08-30
CN105911845B (zh) 2018-10-02
JP6209230B2 (ja) 2017-10-04
CN105911845A (zh) 2016-08-31
CH710759A2 (fr) 2016-08-31
EP3059641A1 (fr) 201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666B1 (ko) 멈춤쇠 탈진기를 갖춘 발진기
KR101710288B1 (ko) 타임피스 이스케이프먼트용 팰릿 메카니즘
US9599961B2 (en) Tourbillon mechanism
CN110389519B (zh) 钟表谐振器机构、钟表振荡器机构、钟表机芯和手表
US8764281B2 (en) Anti-trip balance-spring for a timepiece escapement
KR101944586B1 (ko) 회전 멈춤쇠를 구비한 오실레이터
JP2013531257A (ja) 弾性ピボット及びエネルギ伝達のための可動要素を有する発振機構
CN111158230B (zh) 用于具有旋转柔性轴承的谐振器机构的抗震保护
EP2781969B1 (fr) Composant monobloc indémontable d'horlogerie
US9016934B2 (en) Anti-trip balance spring for a timepiece
US11460811B2 (en) Mechanism for a timepiece and timepiece comprising such a mechanism
US20120201105A1 (en) Watch movement part
US20140029390A1 (en) Timepiece balance spring
US20230176522A1 (en) Shock protection of a resonator mechanism with rotary flexure bearing
JP2017187483A (ja) てんぷ停止機構、時計用ムーブメント、時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