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189B1 -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189B1
KR101799189B1 KR1020160032019A KR20160032019A KR101799189B1 KR 101799189 B1 KR101799189 B1 KR 101799189B1 KR 1020160032019 A KR1020160032019 A KR 1020160032019A KR 20160032019 A KR20160032019 A KR 20160032019A KR 101799189 B1 KR101799189 B1 KR 101799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ceramics
blend
casting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318A (ko
Inventor
강태이
Original Assignee
강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이 filed Critical 강태이
Priority to KR1020160032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189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8Slip ca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ceramic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도자기 제조에 따른 캐스팅 방법이나 핸드빌딩 방법을 통해서는, 실제 꽃잎의 두께와 다른 두꺼운 꽃잎을 가진 도자기 꽃을 제조할 수 밖에 없었지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도자기 제조에 있어서도 얇은 꽃잎의 섬세함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 flower}
본 발명은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소지(도자기 제조용 점토 혼합물로서, 점토, 장석, 규석, 납석, 도석 등이 포함됨)를 성형하고 소성하여 경화시킨 제품을 말한다. 도자기 생산 방법에는 슬립캐스팅, 압력주입성형, 지거링 등이 있고, 이 중에서도 슬립캐스팅(slip casting)이란, 슬립(slip)을 석고틀 등과 같은 몰드에 슬립을 충전한 후 건조 및 소성하여 최종적으로 도자기를 얻는 방법이다. 슬립은 도자기 제조용 소지에 물과 해교제(규산소다)를 배합하여 침전이 되지 않으면서도 뻑뻑하고 유동성이 좋은 시럽과 같은 현탁액 상태의 흙물 또는 점토 슬러지를 말한다. 슬립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해교제(침전물이나 응집체를 분산시켜 안정한 콜로이드 용액으로 되게 하는 데 쓰는 물질)인 규산소다의 사용이며, 적절한 규산소다의 혼합은 슬립을 만드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감소시켜 주며, 무거운 점토 입자의 침전을 지연시켜주고 점토 입자가 잘 떠 있게 하여 항상 같은 농도를 유지시켜 주어, 주입/배출시 유동성을 좋게 한다.
근래에 들어 친환경 소재에 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예로부터 전승되어온 우리 전통 소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도자기를 이용한 생활용품이나 예술작품 등의 접목에 대한 시도가 되고 있다.
한편, 도자기를 이용하여 꽃을 제조할 시, 기존의 방법에서는 직접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 꽃잎이나 꽃송이를 빚고 이를 건조한 후 소성하거나, 꽃잎 또는 꽃송이 모양의 몰드에 캐스팅용 슬립을 이용하여 성형한 후 이를 건조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 꽃잎이 갖는 섬세함을 표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캐스팅용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해 얇은 꽃잎의 느낌이 세밀하게 표현된 도자기 꽃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2952호 (발명의 명칭 : 유리를 이용한 꽃 제조 방법, 출원인 : 홍태식, 등록일 : 1992.07.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0703호 (발명의 명칭 : 도자기의 제조방법, 출원인 : 최윤석, 등록일 : 2000.01.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091호 (발명의 명칭 : 박지형 도자기 제조용 소지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지형 도자기 제조방법, 출원인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2.03.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5981호 (발명의 명칭 : 유기물 몰드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출원인 : 최인규, 등록일 :2013.09.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068호 (발명의 명칭 : 한지소지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출원인 :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5.04.1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798호 (발명의 명칭 : 도자기 장신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장신구, 출원인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개일 : 2010.12.22)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슬립(slip)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1단계) 캐스팅용 슬립과 조화를 준비하는 단계;
(2단계) 상기 조화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하는 단계;
(3단계)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는 단계; 및,
(4단계) 건조된 조화를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1단계의 캐스팅용 슬립은 도자기 제조용 소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10 중량부 및 규산소다(해교제) 0.05~3 중량부가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캐스팅용 슬립에 염료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슈퍼화이트, 백자토, 실크소지, 밀양백토, 자기토 및 고려도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계의 조화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이들의 혼방직물, 종이 및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기 전에, 조화의 각각의 꽃잎에 스며들고 남은 슬립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단계의 소성 조건은 1000~1300℃에서 8~10시간일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소성된 조화에 유약을 바르고 재소성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재소성 조건은 800~1300℃에서 8~10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도자기꽃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함침은 조화를 구성하는 소재, 즉, 섬유(천), 종이 또는 고분자 수지의 겉표면에 슬립이 골고루 코팅되는 현상을 표현한다.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되는 캐스팅용 슬립은, 도자기 제조분야에서 몰드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게 제조된 점토 슬러지를 말한다. 도자기 캐스팅에 사용되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라면 어떤 것이든지 슬립 제조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상기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는, 바람직하게는, 슈퍼화이트, 백자토, 실크소지, 밀양백토, 자기토 및 고려도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슈퍼화이트는 세리사이트(왕점토):뉴질랜드 카오린:K20함유장석(인도장석):산화알루미늄(Al2O3):와목점토가 8:30:51:8:3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다. 슈퍼화이트나 백자토는 백색자기토의 제조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091호 등에서도 이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캐스팅용 슬립은 도자기 제조용 소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10 중량부 및 규산소다(해교제) 0.05~3 중량부가 포함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캐스팅용 슬립에 도자기 제조용 염료가 적량 추가될 수 있으며, 이 때 염료의 종류 및 첨가량은 표현하려는 색상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염료는 도자기 제조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염료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수분이 약 25~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30~40 중량%가 함유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은 상기 도자기 제조용 소지, 물, 규산소다를 혼합하여 2~6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규산소다를 더 첨가하여 교반한 후 슬립 제조를 마칠 수도 있다. 규산소다는 해교제(침전물이나 응집체를 분산시켜 안정한 콜로이드 용액으로 되게 하는 데 쓰는 물질)로서 사용되는데, 규산소다가 정해진 양보다 초과해서 사용될 경우에는 제조된 슬립이 미끈거리고 묵같이 응고되어 유동성이 떨어지며 조화를 함침시키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규산소다가 정해진 양 미만으로 사용되어도 슬립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도자기꽃을 제조하여도 꽃잎이 쉽게 부스러질 수 있다. 도자기 제조용 소지, 물 및 규산소다를 혼합하고 교반한 후, 슬립이 제조되면 이를 체에 걸러 도자기 제조용 소지가 뭉쳐있는 것을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에서 준비된 조화는 시판된 조화의 원형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조화에서 꽃대, 줄기, 잎 등을 분리 및 제거하고 얻은 꽃송이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꽃대는 꽃을 구성하는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 등이 배열되어 있는 꽃의 축 부분을 말한다. 상기 1단계에서 사용하는 조화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인조섬유, 이들의 혼방직물, 종이 및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상기 합성섬유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천연섬유로는 면, 마, 모 및 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조섬유로는 레이온 및 아세테이트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혼방직물은 합성섬유 간의 혼방직물, 천연섬유 간의 혼방직물, 인조섬유 간의 혼방직물일 수도 있으며, 합성섬유와 천연섬유 및 인조섬유가 각각 2종 이상 혼합된 혼방직물일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에서 조화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하기 전에 조화에 묻어있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단계에서 조화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할 때, 상기 조화의 꽃잎을 각각 벌린 후 꽃잎 각각에 슬립이 잘 흡수되도록 슬립을 꽃잎에 세밀하게 바르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단계에서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할 때는 바람직하게는 그늘진 곳에 두는 것이 좋다. 햇빛이 드는 곳에서 조화를 건조하게 되면 급격하게 건조되어 슬립이 갈라질 수 있다. 이 때 조화는 상온 또는 실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으며, 15~35℃에서 건조하는 것이 좋다. 건조된 조화는 소성을 위해 슬립에 균열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운반하여 도자기 제조용 로(노) 또는 가마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상기 4단계의 소성 온도는 1000~1300℃이며, 바람직하게는 1200~1300℃, 더 바람직하게는 1250℃인 것이 좋다. 상기 4단계의 소성 과정을 통해 슬립이 함침된 조화는 고온의 온도에 녹아 사라지게 되며, 슬립만이 꽃 형태의 도자기로 소성된다. 이 때의 소성 온도는 도자기 제조시 단재벌하는 온도이다. 통상적으로 초벌구이하는 800~900℃에서의 소성은 생략할 수 있는데, 도자기 꽃을 초벌구이하는 온도로 소성하게 되면, 도자기 꽃의 꽃잎이 부스러지거나 깨질 수 있으며 특히 유약을 바르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꽃잎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즉, 상기 소성 온도가 1000℃ 미만일 경우나 1300℃ 초과할 경우 도자기 꽃의 꽃잎이 부스러지거나 깨질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소성 시간은 8~1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성 시간이 8시간 미만이거나 10시간을 초과할 때에도 역시 도자기 꽃의 꽃잎이 부스러지거나 깨질 수 있다. 상기 4단계를 통해, 슬립 내부의 조화는 고온에서 모두 소화 또는 탄화되고, 슬립만이 남아 꽃 형태를 가진 도자기로 소성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건조된 조화를 소성한 후, 필요에 따라 조화의 꽃송이에 채색을 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 때 채색용 염료는 도자기 제조에 사용되는통상의 채색용 염료라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건조된 조화를 소성한 후, 유약을 바르고 재소성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재소성 조건은 800~1300℃에서 8~10시간일 수 있다. 저화도유약을 사용하였을 경우 800~999℃, 고화도 유약을 사용하였을 경우 1000~1300℃에서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의 재소성 조건은 유약의 특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유약을 바르지 않고 소성된 도자기꽃과 유약을 바르고 소성된 도자기꽃은 도자기가 갖는 질감 또는 물성을 다르게 하여 각각 다른 미적 효과나 내구성 등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약은 도자기 제조에 사용되는 유약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목회나 석회 등을 매용제로 이용한 약 1250℃ 이상에서 녹는 고화도 유약인 회유, 산화칼륨/산화나트륨 등을 매용제로 한 유약인 알칼리유, 산화연을 매용제로 이용한 800~1000℃에서 녹는 저화도 유약인 연유, 납연과 주석을 매용제로 이용한 저화도 유약인 석유, 정색제로서 산화동을 이용한 유약인 동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소성을 이용한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도자기 제조에 따른 캐스팅 방법이나 핸드빌딩 방법을 통해서는, 실제 꽃잎의 두께와 다른 두꺼운 꽃잎을 가진 도자기 꽃을 제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얇은 꽃잎의 섬세함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으면서도, 캐스팅 몰드를 제거하거나 꽃의 모양을 수작업으로 빚는 번거로운 과정 또한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529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507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59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306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3798호 등에 각종 도자기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들에 본 발명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도자기 꽃을 제조하는 방법은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자기꽃의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자기꽃의 제조단계에서, 조화를 준비하고(도 2A) 이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한 후(도 2B),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고(도 2C) 소성하여 최종적인 도자기꽃(도 2D)을 제조한 과정을 나타내는 각각의 사진들이다.
도 3은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이 함침된 조화의 꽃잎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상단 그림의 꽃잎을 a-a'로 절단한 것의 단면을 하단에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양한 형태의 도자기 꽃의 사진이다. 도 4A는 유약처리가 되지 않은 도자기 꽃의 사진이며, 이 중에서도 파란색을 나타내는 도자기꽃은 슬립 제조시 염료(스테인)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다. 도 4B는 유약처리된 도자기 꽃의 사진이며, 이 중에서 분홍색을 나타내는 도자기꽃은, 슬립 제조시 염료(스테인)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거나, 슬립 제조시 염료를 첨가하지는 않았지만 재소성 전에 분홍색을 띄게 하는 유약을 발라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자기꽃의 제조 i>
물 0.78kg을 교반기에 넣고,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서 슈퍼화이트 10kg(수분함량 33 중량%)을 준비한 후 상기 슈퍼화이트를 잘게 잘라 교반기에 넣었다. 슈퍼화이트가 물에 어느 정도 풀어지면 규산소다 0.01kg을 혼합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다시 슬립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해교제를 추가로 0.01kg 첨가하였다. 교반을 마친 후 이를 고운 체로 걸러내어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을 준비하였다. 또한 상기 슬립을 일부 덜어내어 색상을 띄는 도자기꽃의 제조를 위해 분홍색 또는 파란색을 띄는 스테인 염료를 적량 첨가하였다.
다음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꽃잎을 갖는 조화 200송이를 준비하였고, 꽃대와 줄기 및 잎을 분리 및 제거하고 조화의 꽃송이만을 남겼다. 이 후 상기 꽃대와 줄기 및 잎이 분리되고 남은 조화(꽃송이)를 준비된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하였다. 이를 위해 슬립에 조화를 넣고 슬립을 골고루 교반해주었고, 슬립이 조화안의 꽃잎에 잘 스며들도록 꽃잎 각각에 잘 발라주었다. 슬립이 꽃잎에 골고루 스며든 것을 확인하고 조화를 슬립에서 건져낸 후, 조화 내의 각각의 꽃잎에 스며들고 남은 슬립을 제거하고 꽃잎들을 정리한 후 그늘에서 건조하였다. 조화가 잘 건조된 것이 확인된 후, 1250℃에서 8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된 일부 조화는 그대로 도자기꽃으로 사용하였고, 남은 다른 소성된 조화에는 붓을 이용하여 저화도 유약, 고화도 유약, 색상을 띄게 하는 유약(모두 던컨 제품 사용) 등을 각각 바른 후, 다시 950℃ 또는 1250℃로 8시간 동안 재소성하였다.
상기 절차들은 도 1의 순서도로 간략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단계의 일부를 도 2에서 사진으로 나타내었다(도 2의 A→B→C→D). 이 때, 각 사진들은 조화를 준비하고(도 2A) 이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한 후(도 2B),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고(도 2C) 소성하여 최종적인 도자기꽃(도 2D)을 제조한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이 조화 꽃잎에 함침된 상태는 도 3에 모식도로서 나타내었다. 이 때, 도 3의 상단 그림의 꽃잎을 a-a'로 절단한 것의 단면을 하단에 기재하였는데, 하단의 a-a' 단면에서 조화 꽃잎(100)에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200)이 함침되어 있는 것을 표현하였다. 상기 조화 꽃잎(100)은 본 발명의 도자기꽃 제조단계 중에서 소성과정의 고온에서 소멸된다.
<실시예 2. 도자기꽃의 제조 ii>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자기꽃을 제조하되,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 제조를 위해, 슈퍼화이트 10kg, 물 0.5kg, 규산소다 0.01kg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슬립 제조시 규산소다는 1~3회에 걸쳐 나눠 첨가하며, 이하 실시예에서 동일하게 적용함).
<실시예 3. 도자기꽃의 제조 iii>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자기꽃을 제조하되,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 제조를 위해, 슈퍼화이트 10kg, 물 1kg, 규산소다 0.03kg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도자기꽃의 제조 iv>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자기꽃을 제조하되, 도자기 제조용 소지로서 백자토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도자기꽃의 상태 확인>
실시예 1~4를 통해 제조한 도자기꽃들의 상태를 확인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조건 도자기꽃의 상태
실시예 1 조화 꽃송이의 원형을 그대로 가진 도자기 꽃이 제조됨
실시예 2 조화 꽃송이의 원형을 그대로 가진 도자기 꽃이 제조됨
실시예 3 조화 꽃송이의 원형을 그대로 가진 도자기 꽃이 제조됨
실시예 4 조화 꽃송이의 원형을 그대로 가진 도자기 꽃이 제조됨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4의 도자기 꽃들은 조화 꽃송이의 원형을 그대로 가진 채로 소성되었고, 슬립 내에 첨가한 염료 또는 유약이 갖는 고유 색상으로 인해 다양한 꽃색깔을 가진 도자기꽃으로 제조된 것이 확인된다(도 4 참조).
100 : 조화 꽃잎
200 :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

Claims (10)

  1. (1단계) 수분이 30~40 중량%가 함유된 도자기 제조용 소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 5~10 중량부, 규산소다(해교제) 0.05~3 중량부가 포함되는 캐스팅용 슬립과 조화를 준비하는 단계;
    (2단계) 상기 조화를 도자기 캐스팅용 슬립에 함침하는 단계;
    (3단계)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는 단계; 및,
    (4단계) 건조된 조화를 1000~1300℃에서 8~10시간 동안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팅용 슬립에 염료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제조용 소지는 슈퍼화이트, 백자토, 실크소지, 밀양백토, 자기토 및 고려도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사용하는 조화는 합성섬유, 천연섬유, 인조섬유, 이들의 혼방직물, 종이 및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슬립이 함침된 조화를 건조하기 전에, 조화의 각각의 꽃잎에 스며들고 남은 슬립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에서 소성된 조화에 유약을 바르고 재소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소성 조건은 800~1300℃에서 8~10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꽃.
KR1020160032019A 2016-03-17 2016-03-17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KR101799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019A KR101799189B1 (ko) 2016-03-17 2016-03-17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019A KR101799189B1 (ko) 2016-03-17 2016-03-17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18A KR20170108318A (ko) 2017-09-27
KR101799189B1 true KR101799189B1 (ko) 2017-11-17

Family

ID=6003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019A KR101799189B1 (ko) 2016-03-17 2016-03-17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1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630B1 (ko) * 2018-08-07 2020-06-03 최중열 무궁화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 무궁화 도자기를 이용한 무궁화 공예품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34B1 (ko) * 2008-05-16 2008-11-10 이홍자 여러 형태의 자수 문양 옷감을 이용한 전통자수 자기 인형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934B1 (ko) * 2008-05-16 2008-11-10 이홍자 여러 형태의 자수 문양 옷감을 이용한 전통자수 자기 인형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18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58476B (zh) 汝瓷包装容器防渗漏釉料、釉浆及其制备方法
CN110963793B (zh) 一种仿玉石陶瓷砖及其制备方法
CN101066894A (zh) 中高温烧成铁-钛系统粗结晶釉及其制作方法
CN104788080A (zh) 一种绞胎瓷的制作工艺
CN112497988A (zh) 一种线状镂空紫砂茶壶工艺品的制作方法
KR101799189B1 (ko) 도자기 꽃의 제조방법
CN104891957A (zh) 一种含大球泥的瓷泥料制作工艺
CN104829213A (zh) 一种以大球泥为主要原料的瓷器配方
CN107352962A (zh) 一种采用纯天然矿物原料的绞胎瓷及其制备方法
CN100402459C (zh) 一种雕塑艺术彩色陶瓷制备方法
CN109291718B (zh) 一种山水画绞胎瓷的制作方法
KR101374850B1 (ko) 다공성 소지를 이용한 연리문 도자기 제조방법
CN107935554B (zh) 一种青段紫砂泥料的制作方法
KR20140008850A (ko) 조형물 제작이 가능한 무기질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형물의 제조방법
RU2270819C1 (ru) Керамическая шихт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KR100603885B1 (ko) 성형용 황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65891A1 (zh) 一种色瓷及其制备方法
CN108911705A (zh) 一种高韧薄胎瓷衣及其制备工艺
KR101634383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CN106747276B (zh) 镂空坭兴陶的制作工艺
KR100408756B1 (ko) 점토 및 고령토 벽돌용 분장소지 조성물
CN110919821A (zh) 一种具有立体质感的陶瓷砖的制备方法
KR101639274B1 (ko) 소성 발색 도자 소지 제조 방법
KR102420988B1 (ko) 세라믹 제품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세라믹 제품
US1657997A (en) Po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