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647B1 - 부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부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647B1
KR101798647B1 KR1020170043055A KR20170043055A KR101798647B1 KR 101798647 B1 KR101798647 B1 KR 101798647B1 KR 1020170043055 A KR1020170043055 A KR 1020170043055A KR 20170043055 A KR20170043055 A KR 20170043055A KR 101798647 B1 KR101798647 B1 KR 101798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present
plates
right an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대득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득기업 filed Critical (주)대득기업
Priority to KR102017004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절단, 조립, 가공을 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약하게 하는 부재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되어 있는 제1부재(100); 상기 제1부재(100)의 중간에 그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부재(200);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커넥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100)는 제1횡판(110), 상기 제1횡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1측판(120,130) 및 상기 제1측판(120,130)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120,130)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심판(140)을 포함함으로써 단면이 "E"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부재(200,200')는 상기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에 직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횡판(210) 및 상기 제2횡판(2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2측판(220,230)을 포함함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8
"로 일정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400,400')는 상기 제1측판(120,130)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410)과; 상기 제2측판(220,230)에 결합하는 제2부재결합판(420,430) (440,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재의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Members}
본 발명은 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창호 또는 가건물을 축조시 기다란 선형 부재를 간편하게 절단, 조립, 가공을 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약하게 하는 부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건물을 짓거나 창호를 설치하거나 데크를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에 금속각관 내지 스틸각관(이하, '금속각관'이라 한다)을 널리 이용한다. 금속각관을 자르고 이어붙여 소정의 평면적 또는 입체적 구조물을 축조하게 된다. 이 경우 금속각관을 길이에 맞게 절단하고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가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각관을 십자 형태로 연결하기 위하여는 용접을 하거나 브래킷과 같은 철물을 이용하여 볼팅 또는 리벳팅을 하여 왔다.
그러나 금속각관을 일단 절단하고 용접하게 되면 이를 다시 원상으로 복귀시키기가 어렵다. 또한 일단 한번 치수를 결정하여 절단하고 용접하게 되면 이후 오류 또는 설계변경에 의해 수정하기가 어렵다. 작업 자체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부재의 손상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술의 숙련도에 따라 제품의 질이 달라지는 점, 용접 부위의 부식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부재를 연결하는 방법 내지 그 구조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66451호는 한옥부재 간의 연결부분에 최소한의 연결철물을 사용하고, 도리와 대들보를 반턱이음으로 연결하여 한옥을 쉽게 지을 수 있도록 한 한옥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은 기둥의 상단에 가운데에 연결봉이 용접된 받침철물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받침철물의 연결봉 상에 일측의 도리를 반턱진 상태로 삽입하고, 상기 일측의 반턱진 도리 상에 상투걸이 연결철물을 끼우고, 상기 상투걸이 연결철물 상에 타측의 도리를 반턱진 상태로 삽입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지만 이는 부재가 목재로 한정되고 있으며 한옥의 장점과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제한이 있는 것이어서 본 발명과는 취지를 달리 한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4833호는 부재를 서로 직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지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에 연결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구조로서 본 발명과는 소재가 이질적이다.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8955호는 건물 축조시 사용되는 철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고려하는 경량구조와는 다른 분야라 볼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6645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483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88955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이 정해져 있는 부착물, 예를 들어 데크, 징크, 알미늄시트판, 기타 패널제품들을 알루미늄 압출바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절단, 조립, 가공을 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인건비를 절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금속각관을 십자 형태로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차이가 많은 경우에도 제품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을 수정도 어렵지 않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구조물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되어 있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의 중간에 그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는 제1횡판, 상기 제1횡판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1측판 및 상기 제1측판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심판을 포함함으로써 단면이 "E"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의 제1측판에 직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횡판 및 상기 제2횡판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2측판을 포함함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1
"로 일정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단면이 "ㄷ"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과; 상기 제1부재결합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측판에 슬라이드식으로 암수결합하는 제2부재결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연결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부재를 벽이나 바닥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브래킷부재는 상기 중심판이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된 중심판결합부와, 상기 중심판결합부와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서 바닥이나 벽에 고정되는 앵커가 끼워지는 앵커체결공이 마련되는 고정체접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부재의 제2횡판 내면에는 리브(rib)가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제2측판과 날개에는 마감캡을 끼우기 위한 캡고정단이 설치되며;
상기 마감캡은 상판 및 상기 상판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함으로써 디귿(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측판의 하단에는 상기 제2부재의 캡고정단에 끼워지는 요철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부재의 제1측판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측판안착홈이 패여 있으며, 상기 제2부재의 제2횡판에는 상기 제1측판안착홈에 끼워지는 안착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부재의 제2횡판 내면에는 엘(L)자 형태의 레일홈이 2개 이상 마련되고; 상기 제2부재결합판의 외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암수결합하는 엘(L)자 형태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부재의 중심판이 제1측판보다 1.5 ~2배 길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2
"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측판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 제1부재결합판과 직각을 이루도록 그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측판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부재결합판; 및 상기 제2부재결합판으로부터 직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하단으로부터 돌출 단부가 돌출 연장되어 있는 막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와 나사못을 이용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직각으로 연결하기가 극히 용이하게 된다. 상황에 따라 제1,2부재를 분리하기도 용이하고 다시 다른 위치에 다시 연결하기도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보작업자도 제1,2부재를 정확하게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크, 창호, 벽체 기타 가건물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부재연결구조가 제공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제1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제2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브래킷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설치상태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제2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마감캡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조립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다른 방식의 조립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조립도이고, 도 2는 제1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2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브래킷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설치상태의 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6, 7을 기본적으로 참조하되 필요한 곳에서 다른 도면을 인용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데크, 창호, 벽체 기타 가건물 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부재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발 또는 압출에 의해 제작됨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태를 가지는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를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제1,2부재(100,20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일 수도 있으나 PVC와 같은 합성수지가 될 수도 있다. 당연히 제1,2부재(100,200)의 길이는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될 것이다. 제1,2부재(100,200)는 티(T)자 형태로 연결되거나 아니면 십(十)자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브래킷부재(300)는 제1부재(100)를 벽이나 바닥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커넥터(400)가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직각 연결부위에 설치된다. 커넥터(400)는 제1,2부재(100,200)에 나사(201,401)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그러나 이 나사(201,401)만으로는 강건한 결합구조를 얻기 힘들므로 보조 결합수단이 제공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 역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제1부재(100)부터 그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부재(100)는 제1횡판(110), 상기 제1횡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1측판(120,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측판(120,130)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120,130)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심판(140)을 더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1부재(100)의 단면이 "E"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판(140)이 제1측판(120,130)보다 1.5 ~2배 길게 되어 있으므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3
"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제1부재(100)의 제1횡판(110)의 외면 중간에는 제1횡판안착홈(111)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소재를 절약하면서 구조적 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부재와의 결합시 결합 강도를 높이고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되기도 한다.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 외면 중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측판안착홈(121,131)이 패여 있다. 이는 제1횡판안착홈(111)과 유사한 취지, 즉 소재 대비 강성의 향상 및 제2부재(200)와의 결합 강도를 높이고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제2부재(200)는 상기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에 직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횡판(210) 및 상기 제2횡판(2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제2측판(220,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측판(220,230)의 끝은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날개(221,23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날개(221,231)는 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고 제2부재(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2부재(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4
"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커넥터(400)는 평면 내지 단면이 "ㄷ" 형태로 되어 있는 철물이다. 커넥터(400)는 제1측판(120,130)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410)과, 제1부재결합판(410)과 직각을 이루도록 그와 일체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부재결합판(420,430)을 포함한다. 제2부재결합판(420,430)은 제2측판(220,230)에 슬라이드식으로 암수결합하여 흔들림없이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 외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측판안착홈(121,131)이 패여 있으며, 상기 제2부재(200)의 제2횡판(410)에는 상기 제1측판안착홈(121,131)에 끼워지는 안착돌기(41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부재(200)의 제2횡판(210) 내면에는 엘(L)자 형태의 레일홈(211,212)이 2개 이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400)의 제2부재결합판(420)의 외면에는 상기 레일홈(211,212)에 암수결합하는 엘(L)자 형태의 결합돌기(421,422,431,432)가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일홈(211,212)과 결합돌기(421,422)는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마련되고 있다. 결합돌기(421,422,431,432)는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데 보통의 경우에는 어느 일측이 주로 사용된다. 다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대칭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즉 방향성을 없앰으로써 어느 방향으로 설치해도 무방하게 되어 있다.
커넥터(400)의 제1부재결합판(410)에는 나사공(412,413)이 마련되어 있다. 나사공(412,413)은 원형으로 된 나사공(413)과 장공 형태의 나사공(4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공 형태의 나사공(412)은 체결위치를 약간씩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원형의 나사공(412)은 완전한 체결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부재(100)를 벽체(W)나 바닥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브래킷부재(300)는 제1부재(100)의 중심판(140)이 밀착하여 끼워지도록 "U"자 형태로 되어 얇은 홈(321)을 제공하는 중심판결합부(320)와, 상기 중심판결합부(320)와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서 바닥이나 벽체(W)에 고정되는 앵커(301, 도 6 참조)가 끼워지는 앵커체결공(311)이 마련되는 고정체접합판(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부재(300)의 중심판결합부(320)는 평행을 이루는 2장의 단위판(320a,320b)으로 구성된다. 중심판결합부(320)에는 각각 나사공(330,33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나사공(330,331)은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장공 형태의 나사공(330)은 위치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용도이며, 원형 나사공(331)은 완전한 체결용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2부재(100,200)를 벽체(W)에 설치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 구조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제1부재(100)의 중심판(140)의 길이에 따라 제1,2부재(100,200)가 벽체로부터 이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제1,2부재(100,200)는 벽체(W)에 설치될 수도 있고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1,2부재(100,200)의 상면에는 데크용 방부목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인테리어용 각종 데코 판재가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제1,2부재(100,200)는 기타 생활주변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에서의 제2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마감캡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부재의 연결구조의 조립도이고, 도 12는 다른 방식의 조립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제2부재(200')는 언급한 바와 같이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에 직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제2부재(200')는 제2횡판(210) 및 상기 제2횡판(2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2측판(220,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측판(220,230)의 끝은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날개(221,231)를 형성하고 있다. 이 날개(221,231)는 타 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높이고 제2부재(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2부재(2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112017032499111-pat00005
"로 일정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측판(220,230)과 날개(221,231)에는 후술되는 마감캡(500)을 끼우기 위한 캡고정단(222,223,232,233)이 설치된다. 이 캡고정단(222,223,232,233)은 도 10에 도시된 마감캡(500)을 길이방향으로 끼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감캡(500)은 외부로 드러나는 부위에 설치된다.
제2횡판(210)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복수 개의 리브(213)가 설치된다. 리브(213)의 설치 형태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커넥터(400')는 제1측판(120,130)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410)과, 제1부재결합판(410)과 직각을 이루도록 그와 일체로 연결되는 한쌍의 제2부재결합판(440,450)을 포함한다. 제2부재결합판(440,450)은 제2부재의 제2측판(220,230)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져 결합된다(도 11 참조).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400')는 제2부재결합판(440,450)으로부터 직각으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막이판(460)을 포함한다. 막이판(460)의 상하단으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 단부(462)는 플랜지 역할을 하며 제2부재의 날개(221,231)에 밀착될 수 있다. 돌출 단부(462)와 제2부재의 날개(221,231)는 나사못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400')의 제1부재결합판(410) 외면에는 이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부재의 제1횡판안착홈(111)에 끼워지는 안착돌기(411, 도 5 참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마감캡(500)을 도시한다. 마감캡(500)은 상판(510), 상기 상판(5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판(520,530)을 포함함으로써, 디귿(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측판(520,530)의 하단에는 제2부재(200')의 캡고정단(222,223,232,233)에 끼워진다. 마감캡(500)은 예를 들어 벽체의 가장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제2부재(200')에 결합되어 구조체의 측면 미감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측판(520,530)의 하단에는 캡고정단(222,223,232,233)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요철결합부(521,531)가 마련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부재 연결구조의 조립구조를 도시한다. 조립방식은 이전 실시예와 같다. 다만 마감캡(500)이 선택적으로 더 추가될 수 있다는 것과 커넥터(400')가 이전 실시예에 대한 큰 변화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부재(200')가 그의 날개(221,231)를 이용하여 제1부재(100)의 중심판(140)에 나사못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합방식은 본 발명의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부재 110 : 제1횡판
111 : 제1횡판안착홈 120,130 : 제1측판
140 : 중심판 200,200' : 제2부재
210 : 제2횡판 211,212 : 레일홈
220,230 : 제2측판 221,231 : 날개
300 : 브래킷부재 310 : 고정체접합판
320 : 중심판결합부 321 : 홈
400,400' : 커넥터 410 : 제1부재결합판
411 : 안착돌기 420,430 : 제2부재결합판
422 : 결합돌기 500 : 마감캡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일정한 형태로 되어 있는 제1부재(100); 상기 제1부재(100)의 중간에 그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2부재(200); 상기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커넥터(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100)는 제1횡판(110), 상기 제1횡판(1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1측판(120,130) 및 상기 제1측판(120,130)과 평행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120,130)의 중간에 설치되는 중심판(140)을 포함함으로써 단면이 "E"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부재(200,200')는 상기 제1부재(100)의 제1측판(120,130)에 직각으로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제2횡판(210) 및 상기 제2횡판(210)의 가장자리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한쌍의 제2측판(220,230)을 포함함으로써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
    Figure 112017090187210-pat00006
    "로 일정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400,400')는 단면이 "ㄷ" 형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측판(120,130)에 나사로써 결합하는 제1부재결합판(410)과; 상기 제1부재결합판(410)과 직각을 이루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측판(220,230)에 결합하는 제2부재결합판(420,430)(440,450)을 포함하는 부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200')의 제2횡판(210) 내면에는 리브(213)가 복수개 마련되고;
    상기 제2측판(220,230)과 날개(221,231)에는 마감캡(500)을 끼우기 위한 캡고정단(222,223,232,233)이 설치되며;
    상기 마감캡(500)은 상판(510) 및 상기 상판(510) 가장자리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측판(520,530)을 포함함으로써 디귿(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측판(520,530)의 하단에는 상기 제2부재(200')의 캡고정단(222,223,232,233)에 끼워지는 요철결합부(521,53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연결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43055A 2017-04-03 2017-04-03 부재의 연결구조 KR10179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55A KR101798647B1 (ko) 2017-04-03 2017-04-03 부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055A KR101798647B1 (ko) 2017-04-03 2017-04-03 부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647B1 true KR101798647B1 (ko) 2017-11-16

Family

ID=6080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055A KR101798647B1 (ko) 2017-04-03 2017-04-03 부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97Y1 (ko) 2001-10-24 2002-03-18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간막이 패널
KR101615126B1 (ko) 2014-02-11 2016-04-25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797Y1 (ko) 2001-10-24 2002-03-18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간막이 패널
KR101615126B1 (ko) 2014-02-11 2016-04-25 주식회사 티푸스코리아 외단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외벽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US9988820B2 (en) Panel construction member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EP3744306B1 (en) Spa cabinet attachment
JP5862122B2 (ja) ガラス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442195B1 (ko) 보행통로 및 인도교용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KR101938791B1 (ko) 내진형 판상 마감재
KR101798647B1 (ko) 부재의 연결구조
KR101447001B1 (ko) 커튼월의 단열박스 결합구조
JP413594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200808193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け構造
KR200411719Y1 (ko) 바닥재용 데크 시스템
JP4978726B2 (ja) 筋交いの接合構造、耐力壁パネル
CN212427916U (zh) 一种墙板连接件及整体卫浴
JP2011052485A (ja) 補強梁受け金物
JP5319497B2 (ja) ラチスパネル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KR102300592B1 (ko) 판상 마감재 설치용 프레임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KR102096099B1 (ko) 커튼 월 프레임 조립구조
JP5749663B2 (ja) 柱構造
CN221030833U (zh) U型玻璃幕墙的加固构件
KR102440536B1 (ko) 내장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전동차의 내장판 결합 구조
JP2012241316A (ja) コーナー庇
CA2811362C (en) Horizontal blocking member for use in a wall stud system
JPH09268645A (ja) 立上りalc壁コーナー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