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510B1 -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 Google Patents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10B1
KR101798510B1 KR1020160047827A KR20160047827A KR101798510B1 KR 101798510 B1 KR101798510 B1 KR 101798510B1 KR 1020160047827 A KR1020160047827 A KR 1020160047827A KR 20160047827 A KR20160047827 A KR 20160047827A KR 101798510 B1 KR101798510 B1 KR 10179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seating
cell
seating member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584A (ko
Inventor
정재용
Original Assignee
지성에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성에스이(주) filed Critical 지성에스이(주)
Priority to KR102016004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셀 검사기에 다단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검사 셀에 대응하여 접힘과 펼침 전개를 통해 길이가 가변되는 칼날부재를 적용한 것이며, 이에따라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 진행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의 정밀도를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Cell testing device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아몰레드(AMOLED), LCD 등의 표시패널에 대한 셀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패널의 부품 중 하나인 아몰레드 셀이나 LCD 셀(이하 설명에서는 "검사 셀' 이라함)을 하나의 검사기로 검사시, 다단으로 이루어진 칼날부재의 길이 가변을 통해 다양한 사이즈(예; 7∼20인치, 20∼27인치, 27∼34인치 등)를 가지는 검사 셀을 선택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검사 셀에 대한 검사 진행시에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몰레드(AMOLED; 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와 같은 표시패널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개발된 것으로, 이러한 표시패널은 전력소모가 적고,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좁은 설치 장소에서도 큰 화면을 설치할 수 있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는 장점으로 인해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표시패널은 검사 셀(CELL)과 백라이트 유닛, 그리고 드라이브 IC들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검사 셀을 제조하는 공정시, 상기 검사 셀의 결함(예; 얼룩, 긁힘, 액정불량, 핀홀 등)을 검사하는 공정이 수반되며, 상기 검사공정은 셀 검사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는 안착되는 검사 셀을 고정하는 지그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지그를 통해 검사 셀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발광램프의 밝기를 조절한다.
그러면, 상기 발광램프로부터 발광되는 불빛이 검사 셀에 전달되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에 충돌한 불빛의 회절, 산란, 반사, 난반사 또는 투과에 의하여, 상기 검사 셀에 대한 결함을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 셀 검사기의 경우, 검사기 본체에 정해진 사이즈의 검사 셀만이 수용되어 상기 지그에 의해 고정될뿐, 다양한 사이즈(예; 13∼20인치, 20∼27인치, 27∼34인치 등)를 선택적으로 안착시켜 고정할 수는 없었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검사 셀에 대한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 셀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여러대의 셀 검사기를 구비할 수 밖에 없었고, 이는 경제적인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20호(등록일 2012.05.22)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21호(등록일 2012.05.22)를 통해 종래 셀 검사기의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선행특허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 검사기에 다단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검사 셀에 대응하여 접힘과 펼침 전개를 통해 길이 가변이 이루어지는 칼날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 진행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는,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 1 안착부재; 상기 제 1 안착부재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연동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 2 안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안착부재에는 상기 제 1 안착부재의 좌우 방향 이동시 상기 제 2 안착부재가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검사 셀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접힘과 펼침의 전개로 길이가 가변되는 칼날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안착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일면상에 레일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이동체; 및, 상기 제 1 이동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안착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좌,우 방향 이동시 이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 2 안착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이동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안착부재는, 상기 제 2 이동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제 2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제 1 이동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칼날부; 상기 고정부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선택적인 안착을 위해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는 제 1 회전 칼날부; 및,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선택적인 안착을 위해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는 제 2 회전 칼날부;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가 이루어진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칼날부와 제 1,2 회전 칼날부의 일면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검사 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위를 커버하는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에는 이동프레임과 검사 셀 사이의 틈새로 백라이트 유닛의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 1 빛차단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좌우측과 상하측에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의 공간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불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1,2 안착부재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 또는 수납되는 롤 타입의 제 2 빛차단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셀 검사기에 다단으로 이루어지면서 다양한 사이즈의 검사 셀에 대응하여 접힘과 펼침 전개를 통해 길이가 가변되는 칼날부재를 적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 진행시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검사 셀에 대한 결함 검사의 정밀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칼날부재의 펼침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를 우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를 좌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1,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칼날부재의 펼침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7∼34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를 우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를 좌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20∼27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됨에 따라 제 1,2 회전 칼날부의 접힘 전개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셀 검사기에 7∼20 인치의 검사 셀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는 다양한 사이즈(예; 27∼34인치, 20∼27인치, 7∼20인치)를 가지는 검사 셀(100,100',100")을 선택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 제 1,2 안착부재(20)(30), 칼날부재(40), 그리고 제 1,2 빛 차단부재(50)(6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후방측에 CCFL램프 또는 LED램프가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11)이 구성되면서, 전면부에 첨부된 도 1과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100,100',100")이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안착부재(20)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검사 셀(100,100',100")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여 상기 검사 셀(100,100',100")의 좌,우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 1 이동프레임(21)(21'), 제 1 이동체(22), 제 2 이동체(2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은 상기 본체(1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구조물로서, 일면상에 레일(21a)을 형성하여둔 것이고, 검사 셀(100,100',100")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또는 서로 멀어지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에는 조절부재(J1,J2)가 구성되고, 상기 조절부재(J1,J2)에는 각각 회전스크류가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본원출원인의 선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20호(등록일 2012.05.22)와 등록특허공보 제10-1151021호(등록일 2012.05.22)에 개시된 방식을 단순 적용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적용한 것이며, 상기 조절부재(J1)에 의해 회전스크류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조절부재(J2)에 의해 회전스크류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지만, 상기 제 2 안착부재(30)의 경우에는 상기 조절부재(J2)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 1 안착부재(20)의 좌우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이동체(22)는 한 쌍을 이루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레일(21a)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체(22)가 상기 레일(21a)을 따라 이동시, 상기 제 2 안착부재(30)는 상기 제 2 이동체(23)에 의해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이동체(23)는 상기 제 1 이동체(2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안착부재(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의 좌,우 방향 이동을 가이드함은 물론,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제 2 안착부재(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안착부재(30)는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2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연동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검사 셀(100,100',100")의 상하측 일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이동체(23)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구조물인 제 2 이동프레임(31)(31')으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칼날부재(40)는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에는 상기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힘 전개되고,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칼날부(41)는 상기 제 1 이동체(22)에 결합 고정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는 상기 고정 칼날부(41)에 힌지(h1)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안착시키고자 하는 검사 셀(100,100',100")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중간 사이즈(예; 20∼27 인치)의 검사 셀(100')을 안착시키고자 할 때, 상기 힌지(h1)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접힘 전개된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와 일자형 구조를 이루지만, 상기 고정 칼날부(41)와는 ㄱ자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에 힌지(h2)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안착시키고자 하는 검사 셀(100,100',100")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작은 사이즈(예; 7∼20인치)의 검사 셀(100")을 안착시키고자 할 때, 상기 힌지(h2)를 중심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에는 힌지(h2)를 중심으로 접힘 회전이 이루어진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2a)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가 필요 이상으로 많이 접힘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가 힌지(h2)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시,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와 ㄱ자형의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는 고정 칼날부(41)와 일자형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20)(40)에 비교적 큰 사이즈(예; 27∼34인치)의 검사 셀(100)을 안착시,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칼날부재(40)에 포함되는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는 펼침 전개되면서 일자형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의 일면에는 경사부(d1,d2,d3)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경사부(d1,d2,d3)는 백라이트 유닛(11)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일부면이 안착되는 상기 검사 셀(100,100',100")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상기 칼날부재(40)의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1 빛차단부재(50)는 한 쌍의 구조물을 이루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에 각각 결합 구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검사 셀(100,100',100")의 사이 틈새로 백라이트 유닛(11)의 불빛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빛차단부재(60)는 상기 본체(10)의 좌우측과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롤 타입의 암막 스크린(blackout screen)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와 각각 연결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 또는 상기 본체(10)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와 상기 본체(10) 사이의 공간에서 백라이트 유닛(11)의 불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비교적 큰 사이즈(예; 27∼34인치)를 이루는 검사 셀(100)을 검사기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본체(10)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에 결합된 칼날부재(40)의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를 펼침 전개시켜 일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을 조절레버(J1)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을 조절레버(J2)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즉, 상기 조절레버(J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상기 조절레버(J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 2 이동프레임(31)(31')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이동프레임(31)(3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체(22)는 제 2 이동체(23)에 의해 레일(21a)을 따라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의 양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동체(22)에는 제 2 이동체(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이동체(23)의 타단은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서로 멀어지는 좌우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제 2 이동프레임(31)(31')은 서로 멀어지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비교적 큰 사이즈를 이루는 검사 셀(100)의 좌우 및 상하측의 가장자리 일부면은 각각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는 물론,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결합되는 칼날부재(40)의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칼날부재(40)의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는 펼침 전개상태로서 일자형 구조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 칼날부(41)와 제 1,2 회전 칼날부(42)(43)의 일면에 마련되는 경사부(d1,d2,d3)는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11)에서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을 조사시, 확장성을 가지는 상기 불빛이 상기 경사부(d1,d2,d3)에 비춰지면서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하였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안착부재(20)의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제 2 안착부재(30)의 제 2 이동프레임(31)(31')이 각각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본체(10)에 배치되는 롤 타입의 암막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제 2 빛차단부재(60)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와 상기 본체(10)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상기 본체(10)의 백라이트 유닛(11)에서 발생하는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중간 사이즈(예; 20∼27인치)의 검사 셀(100')을 검사기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칼날부재(40)에 포함되는 제 2 회전 칼날부(43)를 힌지(h2)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시켜 제 1 회전 칼날부(42)의 지지부(42a)에 지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제 1 회전 칼날부(42)와 ㄱ자형으로 접힘 전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조절레버(J1)를 이용하여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을 첨부된 도 1,2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 4,5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조절레버(J2)를 이용하여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을 첨부된 도 1,2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 4,5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체(22)는 레일(21a)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의 일정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체(22)에는 제 2 이동체(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이동체(23)의 타단은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서로 마주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제 2 이동프레임(31)(31')은 서로 마주하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중간 사이즈를 이루는 검사 셀(100')의 좌우 및 상하측의 가장자리 일부면은 각각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는 물론,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결합되는 칼날부재(40)의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에 결합되는 칼날부재(40)의 고정 칼날부(41)와 제 1 회전 칼날부(42)는 펼침 전개 상태로서 일자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로부터 제 2 회전 칼날부(43)는 ㄱ자형의 접힘 전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고정 칼날부(41)와 제 1 회전 칼날부(42)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사부(d1,d2)는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11)에서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을 조사시, 확장성을 가지는 상기 불빛이 상기 경사부(d1,d2)에 비춰지면서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하였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43)의 접힘 전개로부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검사 셀(10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위치에는 제 1 빛차단부재(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빛차단부재(50)는 상기 검사 셀(100')과 상기 제 1,2 이동프레임(21)(22)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게 되면서 상기 본체(10)의 백라이트유닛(11)으로부터 발생하는 불빛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의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제 2 안착부재(30)의 제 2 이동프레임(31)(31')이 각각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본체(10)에 배치되는 롤 타입의 암막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제 2 빛차단부재(60)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가 더 진행되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와 상기 본체(10)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상기 본체(10)의 백라이트 유닛(11)에서 발생하는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8 내지 10에서와 같이, 작은 사이즈(예; 7∼20인치)의 검사 셀(100")을 검사기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칼날부재(40)에 포함되는 제 2 회전 칼날부(43)와 일자형 구조를 이루도록 제 1 회전 칼날부(42)를 힌지(h1)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시키면,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42)는 고정 칼날부(41)와 ㄱ자형으로 접힘 전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조절레버(J1)를 이용하여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프레임(21)(21')을 첨부된 도 4,5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 8,9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조절레버(J2)를 이용하여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을 첨부된 도 4,5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 8,9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포함되는 제 1 이동체(22)는 레일(21a)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의 일정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체(22)에는 제 2 이동체(23)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2 이동체(23)의 타단은 제 2 안착부재(30)에 포함되는 제 2 이동프레임(3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이 서로 마주하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제 2 이동프레임(31)(31')은 서로 마주하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서 작은 사이즈를 이루는 검사 셀(100")의 좌우 및 상하측의 가장자리 일부면은 각각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는 물론, 상기 제 1 안착부재(20)에 결합되는 칼날부재(40)의 위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에 결합되는 칼날부재(40)의 제 1,2 회전 칼날부(42)(43)는 일자형 구조를 이루고, 상기 제 1,2 회전 칼날부(42)(43)와 고정 칼날부(41)는 ㄱ자형으로 접힘 전개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고정 칼날부(41)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사부(d1)는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11)에서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을 조사시, 확장성을 가지는 상기 불빛이 상기 경사부(d1)에 비춰지면서 그림자를 발생시키는 문제를 방지하였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회전 칼날부)42)(43)의 접힘 전개로부터 상기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검사 셀(10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되지만, 상기 위치에는 제 1 빛차단부재(5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빛차단부재(50)는 상기 검사 셀(100")과 상기 제 1,2 이동프레임(21)(22) 사이의 틈새를 없애주게 되면서 상기 본체(10)의 백라이트유닛(11)으로부터 발생하는 불빛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를 바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안착부재(20)의 제 1 이동프레임(21)(21')과, 상기 제 2 안착부재(30)의 제 2 이동프레임(31)(31')이 각각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 상기 본체(10)에 배치되는 롤 타입의 암막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제 2 빛차단부재(60)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가 더욱 더 진행되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20)(30)와 상기 본체(10) 사이의 공간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상기 본체(10)의 백라이트 유닛(11)에서 발생하는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검사 셀(100")에 대한 결함 검사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 11; 백라이트 유닛
20; 제 1 안착부재 21,21'; 제 1 이동프레임
21a; 제 1,2 레일 22; 제 1 이동체
23; 제 2 이동체 30; 제 2 안착부재
31,31'; 제 2 이동프레임 40; 칼날부재
41; 고정 칼날부 42; 제 1 회전 칼날부
42a; 지지부 43; 제 2 회전 칼날부
50; 제 1 빛차단부재 60; 제 2 빛차단부재
100,100',100"; 검사 셀

Claims (8)

  1.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좌,우측에 각각 마련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이동하면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 1 안착부재; 상기 제 1 안착부재에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안착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 연동하여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면서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제 2 안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안착부재에는 상기 제 1 안착부재의 좌우 방향 이동시 상기 제 2 안착부재가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검사 셀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접힘과 펼침의 전개로 길이가 가변되는 칼날부재; 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제 1 안착부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일면상에 레일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이동프레임;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 1 이동체; 및, 상기 제 1 이동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안착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의 좌,우 방향 이동시 이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 2 안착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2 이동체;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칼날부재는, 상기 제 1 이동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 칼날부; 상기 고정 칼날부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선택적인 안착을 위해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는 제 1 회전 칼날부; 및,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검사 셀의 선택적인 안착을 위해 접힘 또는 펼침 전개가 이루어지는 제 2 회전 칼날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제 1 회전 칼날부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힘 전개가 이루어진 상기 제 2 회전 칼날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칼날부와 상기 제 1,2 회전 칼날부의 일면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확장성을 가지는 불빛으로 인해 검사 셀의 가장자리 부위에서 그림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검사 셀의 좌,우측 가장자리 부위를 커버하는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착부재는 상기 제 2 이동체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상,하 방향 또는 서로 멀어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제 2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제 1 이동프레임과 검사 셀 사이의 틈새로 백라이트유닛의 불빛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 1 빛차단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좌우측과 상하측에는 상기 제 1,2 안착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의 공간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불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제 1,2 안착부재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 1,2 안착부재의 이동방향에 따라 전개 또는 수납되는 롤 타입의 제 2 빛차단부재를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KR1020160047827A 2016-04-19 2016-04-19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KR10179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27A KR101798510B1 (ko) 2016-04-19 2016-04-19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827A KR101798510B1 (ko) 2016-04-19 2016-04-19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84A KR20170119584A (ko) 2017-10-27
KR101798510B1 true KR101798510B1 (ko) 2017-12-12

Family

ID=6030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827A KR101798510B1 (ko) 2016-04-19 2016-04-19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1726A (zh) * 2018-08-31 2018-12-18 贵州华旭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液晶显示屏的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84A (ko) 2017-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3418B2 (en) Polarization element unit and polarization light emitting apparatus
KR101798510B1 (ko)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JP2022523300A (ja) エッジ型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液晶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の光学検査方法
KR101133080B1 (ko)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장치
US20130169790A1 (en) Optical characteristics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flexible display
US10488701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display device
KR20140033980A (ko) Lcd 패널 결함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151021B1 (ko) 표시패널의 셀 검사기
KR100606568B1 (ko) 기판 외관 검사 장치
KR20080019395A (ko) 평판디스플레이용 이물검사장치
KR101365821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101300098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090078520A (ko) 기판 지지기구 및 이를 구비한 기판 검사장치
KR100459103B1 (ko) Fpd용 기판의 결함 검사장치
JP2012163596A (ja) 塗布膜の検査装置
JP5495875B2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レーザ加工装置
US20120013876A1 (en) Exposure apparatus and exposure method using the same
KR101588855B1 (ko) 액정표시패널 검사장치의 프로브 유닛 각도조절장치
KR100508190B1 (ko) 대형기판 검사용 조명장치
KR101835966B1 (ko) 음영을 이용한 투명성 소재의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JP3907797B2 (ja) 基板検査装置
JP4342869B2 (ja) 検査システム
JP2007107887A (ja) 目視検査用装置
KR100867298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의 리페어 장치
KR101155635B1 (ko) Bm막 제거와 마킹 및 검사기능을 갖는 복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