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195B1 -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195B1
KR101798195B1 KR1020150146488A KR20150146488A KR101798195B1 KR 101798195 B1 KR101798195 B1 KR 101798195B1 KR 1020150146488 A KR1020150146488 A KR 1020150146488A KR 20150146488 A KR20150146488 A KR 20150146488A KR 101798195 B1 KR101798195 B1 KR 10179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foil
electrolytic copper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328A (ko
Inventor
정은선
전상현
이현우
전검배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55915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981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6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195B1/ko
Priority to US15/242,769 priority patent/US10916777B2/en
Priority to JP2016170089A priority patent/JP6263587B2/ja
Priority to CN201610921434.4A priority patent/CN106887595B/zh
Publication of KR20170046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로 적용되는 전해 동박으로서,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진 X-선 회절분석 그래프(X축 변수는 회절각 2θ, Y축 변수는 회절된 X-선의 강도로 나타나는 그래프) 상에서 나타나는 (111) 면에 대한 피크 곡선의 반가폭이 0.08 이상 0.15 이하이다.

Description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Electrolytic copper foil, and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품질을 가짐으로써 이차전지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여타의 이차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동전압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 및 수명특성을 보이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개인용 컴퓨터, 캠코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CD 플레이어, PDA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 집전체의 소재로는 주로 전해 동박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전해 동박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따라 이차전지 내부에 가혹 조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더라도 이차전지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우수한 물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전해 동박이 가져야 할 물성으로는, 예를 들어, 전해 동박의 제조 공정에서 전해 동박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을 것, 전해 동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이 반복되더라도 방전용량 유지율이 일정 수준 이상을 나타낼 수 있을 것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해 동박의 우수한 물성은 전해 동박이 갖는 여러가지 인자들의 조절에 따라 확보될 수 있는데, 어떠한 인자를 어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는지 밝혀내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우수한 성능 발현을 위한 중요한 인자를 찾아내고 이를 조절함으로써 전해 동박이 리튬 이차전지의 우수한 성능 발현을 위한 물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상온에서의 전해 동박 및 고온 열처리 된 전해 동박에 대한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얻어진 2θ(회절각)-강도(intensity) 그래프에 있어서 전해 동박의 (111) 면에 대한 피크(peak) 곡선이 갖는 반가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값이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경우 물성이 우수한 전해 동박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우수한 물성을 갖는 전해 동박을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에 적용함으로써 반복된 충방전에도 리튬 이차전지의 특성 역시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처럼 리튬 이차전지의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로 적용되는 전해 동박으로서,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진 X-선 회절분석 그래프(X축 변수는 회절각 2θ, Y축 변수는 회절된 X-선의 강도로 나타나는 그래프) 상에서 나타나는 (111) 면에 대한 피크 곡선의 반가폭이 0.08 이상 0.15 이하이다.
상기 전해 동박은, 19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된 상태에서 얻어진 X-선 회절분석 그래프(X축 변수는 회절각 2θ, Y축 변수는 회절된 X-선의 강도로 나타나는 그래프) 상에서 나타나는 (111) 면에 대한 피크 곡선의 반가폭이 0.099 이상 0.1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해 동박은, 표면에 형성된 보호 층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층은 크로메이트(chromate), BTA(benzotriazole) 및 실란 커플링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해 동박은, 0.3㎛ 이상 1.5㎛ 이하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해 동박은, 표면의 광택도가 20 GU 이상 500 GU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주름 발생의 방지 측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갖는 전해 동박을 얻을 수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을 반복하더라도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감소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반가폭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전해 동박의 주름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은 구리 층(11) 및 상기 구리 층(11) 표면(11a,11b)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보호 층(12)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 동박(10)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음극 집전체로는 전해 동박(1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양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박(foil)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해 동박(10)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집전체가 음극 집전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은, 상온 및/또는 고온에서 측정된 반가폭이 일정 범위 이내로 제어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말하는 반가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박 시료에 대한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얻어진 그래프에 있어서, 동박 시료의 결정 면지수 (111) 면에 대응되는 피크 곡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값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가폭은, (111) 면에 대응되는 피크 곡선에 나타난 최대 강도 값의 절반에 해당하는 강도 값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2θ 값의 차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2θ 값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박 시료에 X-선을 입사각 θ로 조사하였을 때, 회절되어 나오는 각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은,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온에서 (111) 면에 대해 측정된 반가폭이 대략 0.08 ~ 0.15 범위를 갖는다. 여기서, 상온이라 함은, 전해 동박의 제조 공정 중 특별히 열처리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공정이 이루어지는 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동박을 이동시키는 롤투롤(Roll-To-Roll) 공정 등이 이루어지는 온도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반가폭의 범위는 동박의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반가폭 범위로서, 이러한 반가폭의 범위가 대략 0.08 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동박의 주름 발생에 대한 개선 효과가 없고, 반가폭의 범위가 대략 0.15 보다 더 큰 경우에는 동박의 결정립이 너무 작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동박의 강도 및 연신율 제어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전해 동박이 갖는 상온에서의 반가폭이 상술한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전해 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해 동박에 주름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게 되며, 이처럼 주름이 발생되는 경우 집전체 표면에 음극재의 코팅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워 음극재의 코팅 두께 편차 및 외관 불량이 발생할 있게 되며, 이는 제품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이 갖는 상온에서의 반가폭이 상술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주름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전해 동박을 얻을 수 있으며, 이처럼 주름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전해 동박을 이용하는 경우, 롤투롤 공정에서 선속(생산속도)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제조된 제품(전해 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의 품질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은,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음극 집전체로 적용되는 전해 동박이 거치게 되는 고온환경과 동일/유사한 조건의 열처리(대략 19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를 거친 후 (111) 면에 대해 측정된 반가폭이 대략 0.099 ~ 0.11 범위를 갖는다.
이러한 반가폭의 범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이 적용된 음극 집전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충방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상기 전해 동박(10)이 갖는 상온에서의 반가폭 값 및 고온에서의 열처리 이 후의 반가폭 값은, 이하 설명할 전해 동박의 제조 과정에서 도금을 위한 도금액(전해액)에 함유되는 구리, 황산의 농도 변화, 도금액에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각종 첨가제(무기 첨가제, 레벨러, 브라이트너 등)의 농도 변화, 도금 시의 전류밀도의 변화 및 도금액의 온도 변화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은, 황산동 수용액을 도금액(전해액)으로서 이용해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음극 및 반대쪽에 위치한 양극 사이에 도금액을 공급하여 회전하는 원통형의 음극 면에 구리를 전착, 환원 석출시킴으로써 제조되었으며, 대략 20㎛ 미만의 두께로 제조되었다(전해 동박의 두께가 얇을수록 활물질이 부착된 집전체가 이차전지 내에 많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고용량화에 유리한 반면 그 두께가 두꺼울수록 이차전지에 적용 시에 고용량화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전해 동박의 두께는 20㎛ 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함).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해도금에 의해 생성되는 전해 동박에는 두 가지의 서로 다른 면이 있다. 즉, 전해 동박에는 음극드럼에 접해 있는 면인 샤이니 면(shiny side, S면)(11a)과 석출에 의해 결정립이 성장하는 방향에 위치한 면인 매트 면(Matt side, M면)(11b)이 있다. 이러한 전해 동박의 S면과 M면의 표면거칠기(Rz)는 대략 0.3㎛ 내지 1.5㎛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 동박의 표면 거칠기가 대략 0.3㎛ 미만으로 지나치게 낮은 값을 갖는 경우에는 활물질과 전해 동박의 결합력이 떨어져,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용량 유지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전해 동박의 표면 거칠기가 대략 1.5㎛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높은 값을 갖는 경우에는 활물질과 전해 동박의 접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워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용량 유지율이 역시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 동박(10)의 표면에서 측정되는 M면(Matt면) 60도에서의 광택도는 대략 20 ~ 500 GU(gloss uni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광택도가 너무 낮으면 표면의 조도가 지나치게 높아 표면이 너무 불균일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반대로 광택도가 너무 높으면 표면의 조도가 지나치게 낮아 표면이 너무 매끈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보호 층(12)은 전해 동박(10)의 방청 처리를 위해 구리 층(11)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롬산염(Chromate), BTA(Benzotriazole) 및 실란 커플링(Silane coupling)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 층(12)은 전해 동박(10)에 대해 방청 특성뿐만 아니라, 내열 특성 및/또는 활물질과의 결합력 증대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1. 전해 동박의 제조
Figure 112015102024391-pat00001
(실시예)
상기 표 1과 같이, 구리 농도가 70 ~ 80g/L, 황산 농도가 80 ~ 110g/L 인 도금액을 제조하였으며, 각종 첨가제(무기금속, 레벨러, 브라이트너)를 첨가하여 대략40 ~ 45℃ 범위의 온도, 대략 45 ~ 65 ASD 의 전류밀도 조건으로 전해 동박을 제조하였다(다만, 반드시 이러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
여기서, 무기 첨가제로는 Fe, W, Zn, Mo 등이 적용되었고, 레벨러로는 젤라틴, 콜라겐, PEG(polyethylene glycol)가 이용되었으며, 브라이트너로는 SPS(bis(3-sulfoproply)disulfide), MPS(mercapto-propane sulphonic acid), DPS(3-N,N-dimethylaminodithiocarbamoyl-1-propanesulphonic acid)가 이용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공정 조건에 따라 제조된 전해 동박에 대한 보호(방청 등)를 위해 표면에 크로메이트(Chromate) 처리를 하였다.
(비교예)
표 1과 같이, 구리농도가 70 ~ 80g/L, 황산 농도가 95 ~ 105g/L 인 도금액에 각종 첨가제(실시예와 동일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대략 45℃의 온도, 대략 50 ~ 60 ASD 의 전류밀도 조건으로 전해 동박을 제조하였다.
2. 전해 동박의 반가폭 측정 및 반가폭에 따른 성능 테스트
Figure 112015102024391-pat00002
(1). 반가폭 측정 방법
(상온에서의 측정 방법)
동박의 X선 회절분석 분석 조건:
모델명 : D-8 Advance LynxEye (BRUKER社)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스펙을 갖는 상기의 장치를 사용하였으나, X선 회절분석이 가능한 장치라면 한정되지 않는다.
Target : Cu
출력 : 40kV, 40mA
파장 : 1.5406A
측정범위 : 20~100deg
scan axis : Theta-2Theta
scan speed :2deg/min
상기 조건으로 X-선 회절분석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전해동박의 (111)면에 대해 나타나는 픽(peak)의 반가폭을 계산하였다.
(고온에서의 측정 방법)
190도 1시간 열처리 후 상온 측정방법과 동일 방법으로 X-선 회절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해동박의 (111)면에 대해 나타나는 픽의 반가폭을 계산하였다.
(2). 반가폭에 따른 효과 파악
(상온에서의 효과)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번 롤과 2번 롤 사이의 각을 1.5˚ 로 맞추어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후 동박을 진행시켰을 때 동박에 주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였다.
2에 나타난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특히 실시예 2와 비교예 4의 비교를 통해, 반가폭이 대략 0.08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주름 발생 방지의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테스트 결과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반가폭이 대략 0.15 를 넘는 경우에는 결정립이 너무 작아지게 되는 경우여서 동박의 강도 및 연신율을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가폭은 대략 0.15 이하로 제어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온에서의 효과)
고온에서의 반가폭에 따른 효과는, 아래의 조건에 따라 제작된 리튬 이차전지를 대상으로 하여 500회의 반복적인 충방전 시험을 진행한 후에 나타나는 용량 유지율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하였다. 이 때,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충전은 CCCV(정전류 정전압) 모드, 충전 전압은 4.3V, 충전 전류는 0.2C(5시간 동안 충전을 함으로써 완전 충전될 수 있는 전류)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되었으며, 방전은 CC(정전류) 모드, 방전 전압 3.0V, 방전 전류 0.5C(2시간 만에 완전 방전될 수 있는 전류)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반복적인 충방전을 완료한 다음,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였다.
표 2에 나타난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특히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결과 비료를 통해, 반가폭이 대략 0.099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의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와 비교예 4의 결과 비교를 통해, 반가폭이 대략 0.11 이하로는 유지되어야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의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 양극판 및 음극판의 제조
(양극재 혼합물의 조성)
양극재(LiCoO2): 85wt%, 도전재(아세틸렌블랙): 8wt%, 바인더(폴리불화비닐리덴): 7wt%
(음극재 혼합물의 조성)
음극재(그라파이트 또는 탄소재): 95~98wt%, 바인더(폴리불화비닐리덴): 2~5wt% 상기 재료에 N-메틸피롤리돈을 첨가하여 슬러리로 만든다음 각각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 및 전해 동박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의 표면에 도포하여 용제를 증발시킨 후, 압연 및 일정사이즈로 슬리팅하여 양극판 및 음극판을 제작하였다.
- 리튬 이차전지의 조립
양극판, 세퍼레이터(친수 처리한 다공질 폴리에틸렌 필름), 음극판 3장을 순차적으로 적층 및 권취하고, 이것을 용기에 넣어 전해액을 주입/밀봉 함으로써 원통형 전지를 완성하였다. 전지의 규격은 일반적인 원통형인 18650형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 및 디메틸카보네이트(DMC)를 1:1로 체적비로 혼합한 용매에 1M의 LiPF6 을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상온 및/또는 고온에서의 반가폭 값이 일정 범위 이내로 제어되는 경우, 전해 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반복된 충방전이 진행되더라도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이 높은 수준을 나타낼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전해 동박 11: 구리 층
11a: 매트 면(Matte surface) 11b: 샤이니 면(Shiny surface)
12: 보호 층

Claims (7)

  1.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로 적용되는 전해 동박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은, 열처리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진 X-선 회절분석 그래프(X축 변수는 회절각 2θ, Y축 변수는 회절된 X-선의 강도로 나타나는 그래프) 상에서 나타나는 (111) 면에 대한 피크 곡선의 반가폭이 0.08 이상 0.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은,
    19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된 상태에서 얻어진 X-선 회절분석 그래프(X축 변수는 회절각 2θ, Y축 변수는 회절된 X-선의 강도로 나타나는 그래프) 상에서 나타나는 (111) 면에 대한 피크 곡선의 반가폭이 0.099 이상 0.1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은,
    표면에 형성된 보호 층을 구비하며,
    상기 보호 층은 크로메이트(chromate), BTA(benzotriazole) 및 실란 커플링제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은,
    0.3㎛ 이상 1.5㎛ 이하의 표면거칠기(Rz)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 동박은,
    M면의 60도에서의 광택도가 20 GU 이상 500 GU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동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전해 동박으로 이루어진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7. 제6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50146488A 2015-10-21 2015-10-21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79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88A KR101798195B1 (ko) 2015-10-21 2015-10-21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US15/242,769 US10916777B2 (en) 2015-10-21 2016-08-22 Electric copper foil, and current collec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16170089A JP6263587B2 (ja) 2015-10-21 2016-08-31 電解銅箔、該電解銅箔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集電体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201610921434.4A CN106887595B (zh) 2015-10-21 2016-10-21 用于锂二次电池的电铜箔和集电器及包括其的锂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488A KR101798195B1 (ko) 2015-10-21 2015-10-21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328A KR20170046328A (ko) 2017-05-02
KR101798195B1 true KR101798195B1 (ko) 2017-11-15

Family

ID=5855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488A KR101798195B1 (ko) 2015-10-21 2015-10-21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16777B2 (ko)
JP (1) JP6263587B2 (ko)
KR (1) KR101798195B1 (ko)
CN (1) CN1068875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94B1 (ko) * 2017-03-09 2020-07-2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6931293B2 (ja) * 2017-03-28 2021-09-01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2483089B1 (ko) 2018-01-31 2022-12-29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후속 공정에서 핸들링 특성이 우수한 전해동박 및 그 제조방법
KR102302184B1 (ko) * 2018-02-01 2021-09-13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고온 치수 안정성 및 집합조직 안정성을 갖는 전해동박 및 그 제조방법
CN111799437B (zh) * 2019-04-08 2021-07-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正极极片及钠离子电池
US11962015B2 (en) * 2022-06-28 2024-04-16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electrode and lithium-ion cell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65B1 (ko) 2014-03-20 2015-03-12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집전체, 음극 및 리튬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1784B2 (ja) * 1998-03-19 2004-10-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非水溶媒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
JP4743020B2 (ja) * 2006-06-26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電極集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
JP4525742B2 (ja) * 2007-01-30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117370B1 (ko) 2009-05-20 2012-03-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울음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의 집전체용 동박
WO2011030626A1 (ja) * 2009-09-11 2011-03-17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集電体用銅箔
JP5352542B2 (ja) 2010-07-15 2013-11-27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US20130236771A1 (en) * 2012-03-08 2013-09-12 Robert Bosch Gmbh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050277B2 (en) * 2012-06-27 2018-08-14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olytic copper foil,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JP5698196B2 (ja) * 2012-08-17 2015-04-08 Jx日鉱日石金属株式会社 電解銅箔、並びに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集電体及び二次電池
TWI539033B (zh) 2013-01-07 2016-06-21 Chang Chun Petrochemical Co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its preparation method
JP5810249B1 (ja) 2014-01-07 2015-1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解銅箔、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プリント配線板並びに電磁波シールド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565B1 (ko) 2014-03-20 2015-03-12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집전체, 음극 및 리튬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87595B (zh) 2020-02-28
US20170117552A1 (en) 2017-04-27
KR20170046328A (ko) 2017-05-02
JP2017079208A (ja) 2017-04-27
CN106887595A (zh) 2017-06-23
JP6263587B2 (ja) 2018-01-17
US10916777B2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195B1 (ko) 전해 동박, 그리고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US10283778B2 (en) Copper foil for current collect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wrinkle characteristics
TWI533496B (zh) Electrolytic copper foil
KR101673279B1 (ko) 말림방지 구리 호일
US20200181790A1 (en) Copper foil free from generation of wrinkles, electrode comprising the sam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603245B2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electrode for the secondary battery
US20140199588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method of producing electrolytic copper foil, lithium ion secondary cell using electrolytic copper foil as collector
US20160013493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CN104024483A (zh) 电解铜箔及二次电池用负极集电体
JP2020183575A (ja) 電解銅箔、そ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60007047A (ko) 전해 동박 및 그 제조 방법과,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KR102546687B1 (ko) 고용량 이차전지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581018B1 (ko) 고강도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 집전체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92813B1 (ko) 핸들링성이 우수한 고용량 이차전지용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JP6067256B2 (ja) 電解銅箔、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TWI794684B (zh) 不產生皺褶的銅箔、包含其之電極、包含其之二次電池及製造其之方法
JP7083029B2 (ja) 高温寸法安全性及び集合組職安全性を有する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TWI684651B (zh) 電解銅箔、用於製造其的方法以及用於高容量的鋰二次電池的陽極
KR20180038690A (ko) 전해동박, 이 전해동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이차전지
EP4202085A2 (en) Electrolytic copper foil having high tensile strength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377286B1 (ko) 리튬 이온 2차전지, 이 2차전지의 음극 전극을 구성하는 집전체 및 이 음극 집전체를 구성하는 전해동박
WO2023117127A1 (en) Electrolytic copper foil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