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35B1 -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 - Google Patents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835B1
KR101797835B1 KR1020157025522A KR20157025522A KR101797835B1 KR 101797835 B1 KR101797835 B1 KR 101797835B1 KR 1020157025522 A KR1020157025522 A KR 1020157025522A KR 20157025522 A KR20157025522 A KR 20157025522A KR 101797835 B1 KR101797835 B1 KR 10179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signal
cod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387A (ko
Inventor
알리레자 라이언 헤이다리
다니엘 제이 신더
정 팡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9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sourc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가 검출된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속도에 기초하여 신호에 동적으로 적용된다. 신호는 업링크 상에서 전송된다. 속도에 부가하여,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신호에 동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APPLYING ERROR RESILIENCY BASED ON SPEED}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물은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은 흔해지고 있다. 특히, 전자 기술에서의 발전은 점점 더 복잡하고 유용한 전자 디바이스들의 비용을 감소시키고 있다. 비용 감소 및 소비자 수요는 전자 디바이스들이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 어디에나 있도록 전자 디바이스들의 사용을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다.
다양한 상황들에 있어서, 전자 디바이스들이 서로 통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은 이로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은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가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2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 간 통신의 품질은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2 이상의 전자 디바이스들의 능력에 의존한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이로울 수도 있다.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가 검출된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속도에 기초하여 신호에 동적으로 적용된다. 신호는 업링크 상에서 전송된다.
일 구성에 있어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속도 및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신호에 동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신호는 소스 신호일 수도 있고, 데이터 패킷, 스피치 신호, 뮤직 신호, 및 비디오 신호 또는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신호는 패킷 스위치형 네트워크 및 패킷 스위치형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속도는 가속도계 데이터,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데이터, 또는 일부 조합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것은,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Reed-Solomon) 코딩, 골레이 (Golay)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 또는 일부 조합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실행가능 명령들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명령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를 검출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또한 신호를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도록 실행가능하다.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신호를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이 저장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를 검출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속도에 기초하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명령들은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신호를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한다.
도 1 은 기지국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소스 신호에 적용하는 보코더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보코더의 일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속도 룩업 테이블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결합된 룩업 테이블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속도 및 소스 신호 (또는 소스 코딩된 신호) 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는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디바이스가 패킷 스위치형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있을 때, 특히 모션의 기간들 동안,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운전하고 있는 동안, 패킷 손실들이 발생할 수도 있고 품질의 원하는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IMS) 및 서비스 품질 (QoS) 를 갖는 VoLTE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는 투명 회로 스위치형 (CS) 음성 서비스들을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최적화된 LTE (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는 실시간 음성 서비스들에 대해 전체 IP 이동도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퍼레이터들의 필드 시험들은 열악한 IP 이동도로 인하여 안전이 보장되지 않은 어려운 핸드오프들에 대규모 프레임 에러 레이트 (FER) 을 나타낸다. 이러한 발생들은 보통 10 MPH (miles per hour) 이상으로 드라이빙할 때 발생한다. 즉, 패킷 손실들은 모빌리티가 증가함에 따라 문제가 더 커지게 되며, 이로써 서비스 품질 (QoS) 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예를 들어 일관된 고정세 (HD) 음성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방안은 데이터가 에러들에 대해 더 리질리언트하게 하기 위해서, 순방향 에러 보정 (FFC) 비트들을 전송하는 것, 즉 여분의 리던던트 비트들을 전송하는 것이다. FEC 또는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것은 채널 코더에 의해, 즉 여분의 비트들을 채널 품질의 추정에 기초하여 여분의 비트들을 전송하도록 결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채널 (예를 들어, 신호 대 노이즈 비 또는 다른 채널 피드백) 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채널 코딩은, 채널이 이미 열화된 후에만 에러 리질리언시가 조정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느릴 수도 있다.
또 다른 가능한 해결방안은 최악의 경우 시나리오를 계획하고 항상 최대 에러 리질리언시 비트들을 전송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비동적 에러 리질리언시는 대역폭을 낭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그러한 사건들의 발생을 예측하고 실제로 필요할 때에만 리질리언시 비트들 (예를 들어, 리질리언시 비트들의 증가된 수) 을 송신하는 것이 이로울 수도 있다. 문제는 수신기 측에서 소거들이 발생하고 송신기는 그것의 이전의 지식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일 구성들에 있어서, 스마트 폰 가속도계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은 스마트폰의 속도를 예측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그 후 펌웨어/보코더에 대한 그러한 접속성을 리포팅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이 모션 상태에 있는 동안 (예를 들어, 자동차에서) 인코딩된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VoLTE 및 VoIP 와 같은 패킷 스위치형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음성을 사용할 때, 언제나 일관된 음성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안전하고 스펙트럼 효율적인 방법이다. 다른 알려진 해결방안들에 관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접근법은 전체 시스템 음성 용량을 개선할 수도 있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또한 회로 스위치형 네트워크들과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은 기지국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102) 은 모바일 디바이스들, 이동국들, 가입자국들, 클라이언트들, 클라이언트국들, 사용자 장비들 (UE들), 원격국들, 액세스 단말기들, 모바일 단말기들, 단말기들, 사용자 단말기들, 가입자 유닛들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102) 의 예들은 무선 라우터들,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들, 셀룰러 폰들, 스마트 폰들, 무선 모뎀들, e-리더들, 테블릿 디바이스들, 게이밍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기지국들 (104) 은 액세스 포인트들, 노드 B들, 진화된 노들 B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106) 및 속도 검출기 (1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106) 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송신된 음성 또는 데이터에 동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용어들 "에러 리질리언시" 및 "에러 보호" 는 송신이 수신기에서 에러들에 덜 민감하게 하기 위해 송신된 데이터로의 여분의 비트들의 부가를 지칭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에러 리질리언시의 예들은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코딩, 골레이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소스-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채널 코딩과 그것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즉 "소스-기반" 은 채널 코딩 동안에 대해 반대인 소스 코딩의 부분으로서 수행되는 에러 리질리언시를 지칭한다.
소스 코딩은 원래 표현보다 적은 비트들을 사용하여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수반하며, 채널 코딩은 신뢰할 수 없거나 노이즈가 있는 통신 채널들을 통해, 예를 들어 리던던트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송신에서의 에러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소스 코딩의 목적은 충실도 (fidelity) 에 대한 제약을 조건으로, 소스 코더의 출력에서 소스의 표현을 위한 비트 레이트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채널 코딩의 목적은 채널이 충분히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정보 레이트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여기서, 신뢰성은 비트 에러 가능성으로서 측정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물리 계층보다 높은 레벨에서 발생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보코더에서), 채널 코딩은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일 구성에 있어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소스 의존형일 수도 있고, 채널 코딩은 채널 추정에 의존하며,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특히 송신될 정보의 인자들, 중요도 또는 특성들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 에너지 또는 의사/비정상성 음성 세그먼트들은 저에너지 또는 정상성 음성 세그먼트들보다 더 에러 리질리언스가 주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본 시스템 및 방법들은 관련된 공통 무선 인터페이스 (CAI) 표준들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속도 검출기 (108)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의 그 주변들에 대한 이동을, 예를 들어 속도 표시의 형태로 검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에러 리질리언시를 소스 신호 또는 소스 코딩된 신호에 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106)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 (예를 들어, 0-10 MPH) 에서, 속도 표시에 기초하여 어떠한 에러 리질리언스도 부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 높은 속도 (예를 들어, 10 MPH 초과) 에서, 에러 리질리언시는 패킷 손실을 감소하고 음성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속도 표시에 기초하여 부가될 수도 있다. 이전의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스의 이러한 유형은 채널 코딩의 경우에 있어서 채널 피드백 보다는 국부적으로 측정되고 이용가능한 속도 표시에 기초하기 때문에, 채널 코딩 보다 더 응답적일 수도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이 증가할 수도 있으며,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상이한 양들이 상이한 속도들에 적용된다. 일 구성에 있어서,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은 낮은 속도 임계로부터 높은 속도 임계까지 선형으로 증가할 수도 있으며, 낮은 속도 임계 아래에서는 어떠한 리질리언시도 적용되지 않고, 높은 속도 임계 위에서는 에러 리질리언시의 최대 양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10 MPH 는 낮은 속도 임계였고 50 MPH 가 높은 속도 임계였다면,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는 10 MPH 아래 속도에서의 제로 에러 리질리언시, 50 MPH 위의 최대 에러 리질리언시, 및 10 과 50 MPH 사이의 속도에서 제로에서 최대까지 선형으로 증가하는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을 적용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적용된 에러 리질리언시에서의 증가는 낮은 속도 임계와 높은 속도 임계 사이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에러 리질리언시는 0 MPH 에서 시작하여 높은 속도 임계 (예를 들어, 50 MPH) 까지 (선형으로 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소스 코딩 및 어플리케이션 다음에 (일부 구성들에 있어서, 소스 코딩은 양자의 동작들을 지칭할 수도 있음),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는 채널 코딩을 (예를 들어,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며, 채널 코딩 후에 패킷들이 기지국 (104) 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임의의 적절한 소스 코덱 및 채널 코덱으로 사용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소스 코덱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인핸스드 가변 레이트 코덱 (EVRC), EVRC 광대역 (EVRC-WB), 인핸스드 가변 레이트 코덱 B (EVRC-B), EVRC 협대역 및 광대역 결합 (EVRC-NW), 적응적 다중 레이트 (AMR), AMR 광대역 (AMR-WB) 등.
도 2 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소스 신호 (218) 에 적용하는 보코더 (214) 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소스 신호 (218) 는 스피치, 뮤직, 비디오 또는 송신될 데이터의 임의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보코더 (214) 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206) 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206) 은 보코더 (214) 외측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보코더 (214) 는 보코더 (214) 의 출력에서 소스 신호 (218) 를 나타내기 위해 비트 레이트를 최소화하는 소스 코더 (216)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즉 소스 코더 (216) 는 임의의 적절한 소스 코덱을 사용하는 소스 신호 (218) 의 원래 표현보다 적은 비트들을 사용하여 소스 신호 (218) 를 인코딩할 수도 있다. 즉, 소스 코딩된 신호 (219) 는 소스 신호 (218) 보다 적은 비트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206) 은 소스 코더 (216) 에 상주할 수도 있고,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소스 코딩의 부분으로서 적용될 수도 있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206) 은 그 후 리질리언트 신호 (221) 를 생성하기 위해 속도 검출기 (208) 로부터의 속도 표시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소스 코딩된 신호 (219) 또는 소스 신호 (218) 그 자체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소스 코딩 전에, 소스 코딩 동안, 또는 소스 코딩 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속도 검출기 (208) 는 가속도계 (210) 또는 GPS 수신기 (212) 또는 이들 양자를 사용하여 속도 표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동적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채널 코딩 보다 더 응답적일 수도 있는데, 이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가 국부적으로 결정되고 채널 추정에 의존할 수도 있는, 예를 들어 채널 피드백으로부터 결정되는 채널 코딩에 비해 이용가능한 속도 표시에 의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 구성에 있어서, 속도 표시는 상대적으로 일관되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비교 임계 및 시간 임계를 사용하여 외곽 속도 표시들을 필터링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현재 속도 표시가 시간 임계 내에서 수신된 속도 표시와 상이한 비교 임계보다 큰 경우, 현재 속도 표시는 유효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고 어떠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도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속도 표시가 먼저 100 ms 내에서 수신된 이전의 속도 표시와 상이한 10 MPH 보다 큰 경우, 현재 속도 표시는 폐기될 수도 있고 어떠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도 적용되지 않는다.
게다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송신되고 있는 정보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또한 적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속도 표시에 부가하여 소스 신호 (218) 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이 사용되어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음성 활성도 검출기 (VAD) 에 의해) 활성으로서 분류된 속도 프레임들은 과도 또는 비활성으로서 분류된 프레임들보다 더 보호 (즉, 더 많은 리던던트 비트들) 를 갖출 수도 있다. 유사하게, 과도 스피치 프레임들이 비활성 프레임들보다 더 보호를 갖출 수도 있다.
리질리언트 신호 (221) 는 채널 코더 (220) 에 의해 채널 코딩되어 임의의 적절한 채널 코덱을 사용한 송신 동안 신뢰성을 증가 (예를 들어, 비트 에러 가능성을 감소) 시킬 수도 있다. 채널 코딩은 임의의 적절한 기법을 사용하여 리던던트 데이터를 부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데 사용된 기법들의 일부가 채널 코딩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코딩 후에, 송신기 (222) 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224) 을 통하여 채널 코딩된 신호 (223) 을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패킷 스위치형 프로토콜, 예를 들어 VoLTE 또는 VoIP 를 통한 음성을 사용하여 동작하고 있을 수도 있다.
도 3 은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300) 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방법 (300) 은, 예를 들어 펌웨어에서 또는 보코더 (214) 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의 속도를 검출 (302) 할 수도 있다. 이것은 가속도계 (210) 또는 GPS 수신기 (212) 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 (304) 할 수도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물리 계층보다 높은 레벨에서 (예를 들어, 보코더에서) 발생할 수도 있는 한편, 채널 코딩은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속도 표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도로 인해 채널이 열화될 때와 동일한 시간 전에 또는 동일한 시간에 근접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대조적으로, 채널 코딩은 채널 추정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피드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보다 덜 응답적일 수도 있는데, 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가 여분의 리질리언시 비트들을 부가할 수 있는 시간까지 채널이 이미 열화되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업링크 상에서 신호를 전송 (306) 할 수도 있다. 송신된 신호는 패킷 스위치형 프로토콜, 예를 들어 VoLTE 또는 VoIP 를 통한 음성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 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보코더 (414) 의 일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보코더 (414) 는 소스 코더 (416) 및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406)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스 코더 (416) 는 소스 신호 (418) 를 인코딩하여 소스 코딩된 신호 (419) 를 생성할 수도 있다. 소스 신호 (418) 는 스피치, 뮤직, 비디오 또는 송신될 데이터의 임의의 유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소스 코더 (416) 는 소스 신호들 (418) 을 상이한 방식으로 각각 코딩하는 다중 소스 코덱들 (426a-c)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소스 코덱 (426a) 은 적응적 다중 레이트 (AMR) 코덱일 수도 있고, 제 2 소스 코덱 (426b) 은 AMR 광대역 (AMR-WB) 코덱일 수도 있고, 제 N 소스 코덱 (426c) 은 확장된 AMR-WB (AMR-WB+) 코덱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406) 은 많은 상이한 유형들의 소스 코덱들 (426a-c) 과 호환가능할 수도 있다.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406) 은, 예를 들어 속도 검출기 (208) 로부터 속도 표시 (438) 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중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코더들 (430a-c) 중 하나는 속도 표시 (438) 에 기초하여 소스 코딩된 소스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도 표시 (438) 가 상대적으로 높을 때 더 많은 보호가 적용 (예를 들어, 더 많은 비트들이 전송) 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속도 표시 (438) 가 상대적으로 낮을 때 적용되는 보호가 적거나 없을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특히 낮은 속도 임계 (예를 들어, 8, 10, 12 MPH) 아래의 속도 표시들에 어떠한 에러 보호도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최대 에러 보호가 높은 속도 임계 (예를 들어, 40, 50, 60 MPH) 위의 속도 표시들 (438) 에 적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406) 은 소스 코더 (416) 에 상주할 수도 있으며,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소스 코딩의 부분으로서 부가될 수도 있다.
속도 표시 (438) 를 수신하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모듈 (406) 은 적용하기 위한 에러 보호의 양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속도 표시 (438) 에 의해 표시되었을 수도 있는 각각의 속도 또는 속도 범위에 대한 대응 에러 리질리언시를 갖는 속도 룩업 테이블 (42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속도 룩업 테이블 (428) 은 10 MPH 미만의 속도 표시들 (438) 에 대해, 적용되는 에러 리질리언시가 없다는 것; 10 MPH 와 20 MPH 사이의 속도 표시들 (438) 에 대해, 에러 보호의 제 1 양이 적용되는 것; 20 MPH 와 30 MPH 사이의 속도 표시들 (438) 에 대해, 에러 보호의 제 2 양이 적용되는 것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일 구성에 있어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속도 의존적이고 소스 의존적일 수도 있으며, 즉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의 속도 (438) 및 송신되는 정보의 특성들 또는 중요도에 기초하여 적용될 수도 있다. 소스 신호 (418)(또는 대안으로 소스 코딩된 소스 신호) 의 특성이 소스 신호 특성 모듈 (434) 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 에너지 음성 세그먼트들은 저 에너지 음성 세그먼트들보다 더 많은 에러 리질리언스를 갖출 수도 있다. 대안으로, 활성 스피치 세그먼트들은, 비활성 세그먼트들보다 더 많은 보호를 갖출 수도 있는, 과도 스피치 세그먼트들보다 더 많은 보호를 갖출 수도 있다. 대안으로, 특정 다중 레이트 소스 코덱 (426a-c) 에 의해 사용된 레이트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레이트 패킷들은 최대 보호를 갖출 수도 있고, 절반 레이트 패킷들은 적은 보호를 갖출 수도 있으며, 1/4 및 1/8 레이트 패킷들은 훨씬 더 적거나 제로 보호를 갖출 수도 있다. 대안으로,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내의 에너지가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 보이스 스펙트럼에서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고 에너지를 갖는 음성 세그먼트들은 그러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저 에너지를 갖는 음성 세그먼트들보다 더 많은 보호를 갖출 수도 있다.
소스 신호 (418) (또는 소스 코딩된 소스 신호) 의 특성이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구성들에 있어서, 소스 신호 특성 모듈 (434) 에 의해 표시되었을 수도 있는 각각의 값 또는 값들의 범위에 대해 대응 에러 리질리언시를 갖는 특성 룩업 테이블 (432) 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낮은 특성 임계 아래에서는, 적용되는 에러 보호가 적거나 없을 수도 있고, 낮은 특성 임계와 높은 특성 임계 사이에서는, 에러 보호가 선형으로 증가하는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에러 보호의 최대 양이 높은 특성 임계 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속도 룩업 테이블 (428) 및 특성 룩업 테이블 (432) 이 단일 룩업 테이블 (도시되지 않음) 로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결합된 테이블은 속도 표시 (438) 및 소스 신호 특성의 각각의 조합에 대해 대응 에러 보호를 가질 수도 있다.
보코더 (414) 의 출력 (즉, 리질리언트 신호 (421)) 이 채널 코더 (420) 에 의해 채널 코딩될 수도 있다. 채널 코더 (420) 는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물리 계층 상으로 리던던트 비트들을 전송하는 채널 코덱들 (436a-c)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은 채널 피드백,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 대 노이즈 비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품질이 열악할 때 채널 코덱들 (436a-c) 중 하나에 의해 더 많은 보호 (예들 들어, 더 많은 리던던트 비트들이 전송) 가 적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채널 품질이 높을 때 적은 에러 보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채널 코딩된 신호는 기지국으로 무선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것은 임의의 채널 액세스 방법 또는 송신 프로토콜, CDMA, TDMA, HSPA, CDMA2000, HSPA, VoIP, VoLTE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의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500) 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방법 (500)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소스 신호를 수신 (502) 하고 어느 소스 코덱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 (504)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선택된 코덱을 사용하여 소스 신호 (218) 를 코딩 (506a-c)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N 개의 소스 코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소스 코덱 (426a) 은 적응적 다중 레이트 (AMR) 코덱일 수도 있고, 제 2 소스 코덱 (426b) 은 AMR 광대역 (AMR-WB) 코덱일 수도 있고, 제 N 소스 코덱 (426c) 은 EVRC-NW 코덱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적절한 소스 코덱들 (426a-c) 의 임의의 수 또는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속도 표시를 수신 (508) 할 수도 있다. 일 구성에 있어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속도 표시에 기초하여 얼마나 많은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할 것인지를 결정 (509)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어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코덱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 (510) 하고, 선택된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 코덱을 사용 (512a-c) 하여 에러 리질리언시의 결정된 양을 소스 신호 (또는 소스 코딩된 비트들) 에 적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예를 들어 채널 피드백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을 추정 (514)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어느 채널 코덱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 (516) 하고 그 신호를 코딩 (518a-c) 할 수도 있으며, 즉 그 신호에 리던던트 비트들을 부가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채널 코덱의 출력을 송신 (520) 할 수도 있다.
도 6 은 속도 룩업 테이블 (628) 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속도 룩업 테이블 (628)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402) 에 상주할 수도 있고,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 (642) 과 속도 (638) 또는 속도 (638) 의 범위를 연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20 MPH 사이에서,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 A (642) 가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20-30, 30-40 및 40-50 사이에서,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들 B, C 및 D 가 각각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10 MPH 아래 및 50 MPH 위에서, 에러 보호의 제로 및 최대 (E) 양 (642) 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7 은 결합된 룩업 테이블 (700) 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결합된 룩업 테이블 (700) 은 속도 (738) 및 신호 특성 (746) (또는 소스 코딩된 신호) 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0 MPH 와 30 MPH 사이의 속도 (738) 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X 와 Y 사이의 값을 갖는 신호 특성 (746) 에 대하여, 적용되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은 A 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30 MPH 와 50 MPH 사이의 속도 (738) 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X 와 Y 사이의 값을 갖는 신호 특성 (746) 에 대하여, 적용되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은 B 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10 MPH 와 30 MPH 사이의 속도 (738) 를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Y 와 Z 사이의 값을 갖는 신호 특성 (746) 에 대하여, 적용되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은 D 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결합된 룩업 테이블은 속도 (738) 및 신호 특성 (746) 의 조합에 대응하는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신호 특성 (746), 예를 들어 음성 세그먼트 에너지, 주파수 대역 내의 음성 세그먼트 에너지, 음성 세그먼트 분류 (활성, 과도, 비활성), 소스 코덱에 의해 사용된 세그먼트 레이트 (전체, 절반, 1/4, 1/8)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적용될 에러 리질리언시의 "양" 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최대 가능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비율 또는 미리 설정된 레벨들에 따라 표시될 수도 있다.
도 8 은 소스 신호 (또는 소스 코딩된 신호) 의 하나 이상의 특성들 및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의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800) 을 도시하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방법 (800)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소스 코딩된 신호 (219) 를 생성하기 위해 소스 신호 (218) 를 소스 코딩 (802)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원래 표현에 비해 소스 신호 (218) 에서의 비트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중 소스 코덱들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소스 신호 (218) 를 소스 코딩하는 단일 소스 코덱만이 있을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예를 들어 가속도계 (210) 또는 GPS 수신기 (212) 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의 속도를 검출 (804) 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소스 신호 (218) 의 특성을 검출 (806) 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특성(들) 은 소스 코딩된 신호 (219) 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리질리언트 신호 (221) 를 생성하기 위해 특성 및 속도에 기초하여 소스 코딩된 신호 (또는 소스 신호 (218) 그 자체) 에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 (808) 할 수도 있다. 리질리언트 신호 (221) 는 채널 피드백보다는 속도 표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채널 코딩보다 더 응답적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채널 코딩된 신호 (223) 를 생성하기 위해 추정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리질리언트 신호를 채널 코딩 (810) 할 수도 있다. 채널 품질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채널 피드백, 예를 들어 수신된 SNR 값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2) 는 또한 업링크 상에서 채널 코딩된 신호 (223) 를 전송 (812)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임의의 채널 액세스 방법 또는 송신 프로토콜, CDMA, TDMA, HSPA, CDMA2000, HSPA, VoIP, VoLTE 등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 는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 소정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액세스 단말기, 이동국, 사용자 장비 (UE),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노드 B, 진화된 노드 B 등,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2) 일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프로세서 (903) 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903) 는 범용 단일 또는 다중 칩 마이크로프로세서 (예를 들어, ARM),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마이크로제어기,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등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903) 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9 의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에서는 단일 프로세서 (903) 만이 나타나 있지만, 대안의 구성에 있어서,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ARM 및 DSP) 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전다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또한 메모리 (905) 를 포함한다. 메모리 (905) 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메모리 (905)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니 메모리 (RO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들, 광학 저장 매체들, RAM 에서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프로세서로 포함된 온-보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및 그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 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907a) 및 명령들 (909a) 이 메모리 (905)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명령들 (909a) 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 (903) 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명령들 (909a) 을 실행하는 것은 메모리 (905) 에 저장되는 데이터 (907a) 의 사용을 수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903) 가 명령들 (909a) 를 실행할 때, 다양한 부분들의 명령들 (909b) 이 프로세서 (9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종들의 데이터 (907b) 가 프로세서 (903) 상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또한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로 그리고 이로부터의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해 송신기 (911) 및 수신기 (913)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911) 및 수신기 (913) 는 총괄적으로 트랜시버 (915)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중 안테나들 (917a-b) 은 트랜시버 (915) 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중 송신기들, 다중 수신기들, 다중 트랜시버들 및/또는 부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921)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923) 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923) 은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와 인터페이스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전자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 (904)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해, 다양한 버스들은 도 9 에서 버스 시스템 (919) 으로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스킴에 기초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시스템들,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OFDMA 시스템은, 다중 직교 서브 캐리어들로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파티셔닝하는 변조 기법인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를 사용한다. 이들 서브 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OFDM 으로, 각각의 서브 캐리어는 데이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도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포되는 서브 캐리어 상으로 송신하기 위한 인터리브된 FDMA (IFDMA), 인접 서브 캐리어들의 블록 상으로 송신하기 위한 국부화된 FDMA (LFDMA), 또는 인접 서브 캐리어들의 다중 블록들 상으로 송신하기 위한 인핸스드 FDMA (EFDMA)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 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A 로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용어 "결정하는 것" 은 매우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하며, 이에 따라 "결정하는 것" 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룩업하는 것 (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또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것),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수신하는 것 (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 (예를 들어, 메모리에서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 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고르는 것, 확립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절 "기초하여" 는, 다르게 분명히 구체화되지 않는 한, "단지 기초하여" 를 의미하지 않는다. 즉, 구절 "기초하여" 는 "단지 기초하여" 및 "적어도 기초하여" 의 양자를 기재한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괄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일부 상황들 하에서, "프로세서" 는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괄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들의 다양한 유형들, 예컨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니 메모리 (ROM),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리드 온니 메모리 (PROM), 소거가능 프로그램가능 리드 온니 메모리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레지스터들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메모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및/또는 메모리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한다. 프로세서에 내장되는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 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용어들 "명령들" 및 "코드" 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 루틴들, 서브 루틴들, 기능들 (functions), 절차들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명령들" 및 "코드" 는 단일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 또는 많은 컴퓨터 판독가능 스테이트먼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도 있다. 용어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有形)의 저장 매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 (disk들) 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들 (disc들) 은 데이터를 레이저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기재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상호교환 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기재되는 방법들의 적절한 동작을 위해 필요하지 않으면,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도 5 및 도 8 에 의해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다운로드 될 수 있고 및/또는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니 메모리 (ROM), 컴팩 디스크 (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어서, 디바이스에 저장 수단을 커플링하거나 제공하면 그 디바이스는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도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 도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상세들에서 다양한 변경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31)

  1.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 (error resiliency) 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보코더에서, 리질리언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국부적으로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이동의 속도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단계; 및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속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소스 신호인,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신호는, 데이터 패킷, 스피치 신호, 뮤직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는 패킷 스위치형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는 패킷 스위치형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가속도계 데이터에 기초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데이터에 기초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단계는,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Reed-Solomon) 코딩, 골레이 (Golay)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고 에너지 음성 세그먼트들이 저 에너지 음성 세그먼트들 보다 에러 리질리언시가 더 많게 주어지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소스 신호 또는 소스 코딩된 신호인,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는 소스 코딩 전에, 소스 코딩 동안, 또는 소스 코딩 후에 적용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방법.
  13.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 (error resiliency) 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보코더에서, 리질리언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에 기초한 국부적으로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의 속도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며; 그리고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것은, 상기 속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소스 신호인,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신호는, 데이터 패킷, 스피치 신호, 뮤직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것은,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패킷 스위치형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것은,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패킷 스위치형 프로토콜을 통한 음성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속도를 가속도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속도를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것은,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Reed-Solomon) 코딩, 골레이 (Golay)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2.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 (error resiliency) 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보코더에서, 리질리언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국부적으로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이동의 속도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수단; 및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수단은, 상기 속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소스 신호인,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신호는, 데이터 패킷, 스피치 신호, 뮤직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하는 수단은,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Reed-Solomon) 코딩, 골레이 (Golay)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기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27. 속도에 기초하여 에러 리질리언시 (error resiliency) 를 적용하기 위한 명령들을 갖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속도를 검출하게 하는 코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보코더를 사용하여, 리질리언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이동의 국부적으로 검출된 속도에 기초하여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코드로서, 상기 이동의 속도는 상기 업링크 신호에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 검출되는, 상기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코드; 및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공중 인터페이스 표준에 따라 상기 리질리언트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적용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속도 및 상기 업링크 신호에서 송신되는 정보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업링크 신호에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동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는 소스 신호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신호는, 데이터 패킷, 스피치 신호, 뮤직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소스 기반 에러 리질리언시를 적용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프레임 반복, 블록 코딩, 컨벌루셔널 코딩, 저밀도 패리티 검사 (LDPC) 코딩, 터보 코딩, 리드-솔로몬 (Reed-Solomon) 코딩, 골레이 (Golay) 코딩, BCH 코딩, 다차원 패리티 검사 코딩, 해밍 (Hamming) 코딩, 및 순환 중복 검사 (CRC) 코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57025522A 2013-02-19 2014-02-12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 KR101797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70,687 US9602973B2 (en) 2013-02-19 2013-02-19 Applying error resiliency based on speed
US13/770,687 2013-02-19
PCT/US2014/015960 WO2014130314A1 (en) 2013-02-19 2014-02-12 Applying error resiliency based on spe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387A KR20150119387A (ko) 2015-10-23
KR101797835B1 true KR101797835B1 (ko) 2017-11-15

Family

ID=5023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522A KR101797835B1 (ko) 2013-02-19 2014-02-12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02973B2 (ko)
EP (1) EP2959618B1 (ko)
JP (1) JP6345704B2 (ko)
KR (1) KR101797835B1 (ko)
CN (1) CN104969494B (ko)
WO (1) WO201413031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3755A1 (en) 2004-04-22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actless reader/writer
JP2008092421A (ja) 2006-10-04 2008-04-17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品質制御方法、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品質制御方式
EP2037694B1 (en) 2006-06-19 2014-01-15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6524A (ja) * 1998-01-21 2001-09-25 ノキア テレコミュニカシオンス オサケ ユキチュア セルラー方式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コーディング
JP2002009734A (ja) 2000-06-27 2002-01-11 Denso Corp Ofdm方式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7313087B2 (en) * 2003-06-20 2007-12-25 Ericsson Ab Distributed protection switching
US7840220B1 (en) 2004-09-09 2010-11-23 Rockwell Collins, Inc. Variable rate forward error correction regul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position location information
US7753756B2 (en) 2004-10-07 2010-07-13 Mt Remote Systems, Llc Radio controlled system and method of remote location motion emulation and mimicry
US7460869B2 (en) 2005-03-14 2008-12-02 Nokia Corporation Adaptive handover measurement interval
EP1821427B1 (en) 2006-02-20 2008-05-28 Alcatel Lucent Doppler compensation control for radio transmission
CN101675706B (zh) * 2007-12-12 2014-01-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据收发系统、终端、中继设备以及数据发送方法
US8050289B1 (en) * 2008-02-01 2011-11-01 Zenverge, Inc. Media transmission using aggregated bandwidth of disparate communication channels
US8787153B2 (en) * 2008-02-10 2014-07-22 Cisco Technology,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based data recovery with path diversity
JP2008295070A (ja) * 2008-07-03 2008-12-04 Ntt Docomo Inc 適応無線パラメータ制御方法、QoS制御装置、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2106156B (zh) * 2008-07-26 2013-06-19 汤姆逊许可证公司 使用可分级视频编码(svc)的用于快速信道改变的实时传输协议(rtp)打包方法
US8335970B2 (en) * 2009-09-28 2012-12-18 Broadcom Corporation Encoder/decoder with unfolding error correction
JP4917140B2 (ja) * 2009-10-08 2012-04-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
US8582516B2 (en) * 2009-11-09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ing for a high-mobilit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908819B2 (en) * 2010-07-28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tracking in an in-band mod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3755A1 (en) 2004-04-22 2005-1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actless reader/writer
EP2037694B1 (en) 2006-06-19 2014-01-15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JP2008092421A (ja) 2006-10-04 2008-04-17 Nec Corp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品質制御方法、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データ通信品質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59618B1 (en) 2019-03-20
KR20150119387A (ko) 2015-10-23
EP2959618A1 (en) 2015-12-30
WO2014130314A1 (en) 2014-08-28
JP6345704B2 (ja) 2018-06-20
CN104969494B (zh) 2018-08-28
US20140233404A1 (en) 2014-08-21
US9602973B2 (en) 2017-03-21
JP2016513409A (ja) 2016-05-12
CN104969494A (zh)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5571B2 (en) Polar cod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s apparatus
JP6963096B2 (ja) コードブロックグループベースの第5世代(5g)又は他の次世代システムのための適応的2ステージ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構造
US9197365B2 (en) Decoding a coded data block
US20180205395A1 (en) Adaptive downlink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s
US11146357B2 (en) Adaptive cyclic redundancy check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encoding
TW201803280A (zh) 利用分段式的冗餘校驗對控制訊號傳遞進行編碼和解碼
US11108506B2 (en) Indicating retransmitted codeblock groups in 5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394493B2 (en) Data transmission with code block segmentation for 5G systems
KR20110003533A (ko) 오버샘플링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치환 방식
US106448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leaving distributed CRC in polar codes for early termination
US10805045B2 (en) Polar code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polar code decoding method and device
CN104981001A (zh) 用于通过提早解码来降低功耗的方法和设备
JP4989723B2 (ja) 不連続伝送(dtx)検出を使用するブラインド・トランスポート・フォーマット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1063691B2 (en) Check positions within a transport block
KR101797835B1 (ko) 속도에 기초한 에러 리질리언시의 적용
CN109525367B (zh) 基于LoRa编码和解码机制的检错和自适应纠错方法
KR20160073725A (ko) 적응적으로 인터리빙 깊이를 결정하는 인터리빙 방법 및 장치
WO2021228156A1 (zh) 编码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30362736A1 (en) Link quality analyzer and associated systems
US20200229164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cod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14979542A (zh) 电缆调制解调终端系统及其方法、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