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77B1 -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 Google Patents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77B1
KR101797777B1 KR1020117030020A KR20117030020A KR101797777B1 KR 101797777 B1 KR101797777 B1 KR 101797777B1 KR 1020117030020 A KR1020117030020 A KR 1020117030020A KR 20117030020 A KR20117030020 A KR 20117030020A KR 101797777 B1 KR101797777 B1 KR 101797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re
thermoplastic resin
component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0148A (ko
Inventor
후미노부 기타야마
고우헤이 후지모토
유야 마나베
Original Assignee
카네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네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카네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4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8Polymer particles coated by inorganic and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성형체의 내충격성과 표면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 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 및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0.5 ∼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가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 (합계 100 중량%) 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또한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가 적어도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INGS THEREOF}
본 발명은 성형체의 강도 및 표면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계 수지는 저렴하면서,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재료라는 점에서, 건축 부재, 주택 자재를 비롯한 여러 가지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염화비닐계 수지 단체에서는 충분한 내충격 강도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유화 중합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첨가하는 방법이 현재 널리 실시되고 있다.
한편, 최근, 내충격성 등의 강도 물성에 더하여, 표면 광택과 같은 성형체의 외관성이 중시되게 되었고, 특히 창틀 성형체에 있어서는 강도, 광택의 양방의 물성을 높은 레벨로 만족시키는 것이 매우 요망되게 되어 왔다.
내충격성을 개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디엔계,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연질 고무 함유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2 에는,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의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0.2 g/100 ㎖ 아세톤 용액을 30 ℃ 에서 측정하여 구한 비점도 (ηsp) 가 0.19 이상인, 즉, 분자량이 큰 폴리머 사슬을 그래프트 성분으로서 쉘부 및 부수되는 프레폴리머로서 갖는 그래프트 공중합체가 개시되어 있는데, 내후성, 내충격성 및 2 차 가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기술로서, 성형체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광택과 내충격성의 양방을 높은 레벨로 하는 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특허문헌 3 에는, 다관능성 가교제로서 반복 단위로서 -CH2-CH2-O- 로 이루어지는 주사슬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에 의한 내충격성 개량이 개시되어 있는데, 성형체의 광택을 향상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고, 상기 특허문헌 1 및 2 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광택과 내충격성의 양방을 높은 레벨로 하는 방법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또 내충격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건재 분야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에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충전제가 배합되어 있는데, 이 양을 줄임으로써 표면 광택을 향상시키는 것도 어느 정도는 가능하지만, 비용 증가로 연결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성형 온도를 올리는 것에 의해서도 표면 광택은 향상되는데, 염화비닐의 열 분해가 발생하는 등 문제도 많다. 또,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가공 보조제로서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광택은 향상되는데, 용융 점도 증가에 의해 토크 상승하여, 더욱 내충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즉, 종래 알려져 있는 방법에는, 상기 서술한, 최근 특히 그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광택과 내충격성의 양방을 높은 레벨로 하는 방법은 없고, 그 방법을 알아 내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내충격성과 표면 광택을 양립시키는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0339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633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68호
본 발명은 성형체의 강도 및 표면 광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를 제안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51 ∼ 100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0 ∼ 49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다관능성 단량체 100 중량% 를 함유하는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염화비닐로 대표되는 열 가소성 수지에 배합한 경우에, 높은 내충격성과 양호한 표면 광택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열 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 및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0.5 ∼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가, 코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그 코어 구성 성분이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 합계 100 중량% 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다관능성 단량체 100 중량% 가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51 ∼ 100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0 ∼ 49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주사슬이 주로 알킬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반복 구조의 반복 단위수의 수 평균값이 3 이상인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이 알릴기를 갖는,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분자량이 50 만 이상이며, 그 성분량이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중 5 ∼ 2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여, 상기 코어 구성 성분이 50 ∼ 95 중량%, 상기 쉘 구성 성분이 5 ∼ 50 중량% 인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코어 구성 성분 및 쉘 구성 성분의 함유율은 코어 쉘 폴리머 중합체 중의 코어 폴리머 및 쉘 폴리머의 함유율과 동일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열 가소성 수지 (a) 가 염화비닐계 수지인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성형체를 창틀 또는 도어 프레임으로 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성형체를 사이딩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염화비닐로 대표되는 열 가소성 수지에 배합한 경우, 높은 내충격성과 양호한 표면 광택을 얻을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 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 및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0.5 ∼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함유량은 품질면 및 비용면에서 0.5 ∼ 30 중량부인 것을 필요로 하는데, 바람직하게는 0.5 ∼ 2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중량부이다. 상기 함유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충격성의 개량 효과는 충분하지만, 그 이외의 품질, 예를 들어 성형 가공성의 저하나 비용이 상승하는 경우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대전 방지제, 활제, 가공 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재료로 하여 형성된 성형체는 창틀, 도어 프레임, 또는 사이딩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안정제)
염화비닐 수지는 일반적으로, 가공시 혹은 사용시의 열이나 자외선, 산소 등에 의한 탈염화수소 반응에 의한 열화 (변색 및 기계적·전기적 특성의 저하) 를 방지한다는 목적에서, 안정제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정제는 주로 납 화합물계 안정제, 금속 비누계 안정제, 유기 주석계 안정제 등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에서도 열 안정성이나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고, 또한 저렴한 납 화합물계 안정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건재나 주택 자재 등, 제품에 인간과 접촉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건강이나 환경 보전의 목적에서, 납 화합물계 안정제의 사용을 삼가하는 움직임이 보이게 되어 왔고, 그 대체 안정제로서, 금속 비누계 안정제 중, 특히 무독성의 Ca-Zn 계 안정제가 사용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안정제로는 납 화합물계, 유기 주석계, 금속 비누계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지만, 건강이나 환경 보전의 관점에서는 유기 주석계, 금속 비누계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 비누계 중에서도 Ca-Zn 계가 바람직하다.
(열 가소성 수지 (a))
본 발명에 관련된 열 가소성 수지 (a) 는 바람직하게는 염화비닐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염화비닐계 수지의 내충격성 개량제로서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염화비닐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염화비닐계 수지란, 염화비닐 호모 폴리머, 또는 염화비닐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적어도 70 중량% 함유하는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는, 코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진다. 코어 구성 성분과 쉘 구성 성분의 비율은, 양호한 내충격성, 또한 양호한 표면 광택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여, 코어 구성 성분 50 ∼ 95 중량%, 쉘 구성 성분 5 ∼ 50 중량% 가 바람직하고, 코어 구성 성분 60 ∼ 90 중량%, 쉘 구성 성분 10 ∼ 40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며, 코어 구성 성분 70 ∼ 85 중량%, 쉘 구성 성분 15 ∼ 30 중량%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이와 같은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는, 예를 들어, 유화 중합법, 현탁 중합법, 마이크로 서스펜션 중합법, 미니 에멀션 중합법, 수계 분산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구조 제어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코어 쉘 중합체의 라텍스 및 입자는, 필요에 따라 염석, 산석 등의 응고 처리를 실시한 후, 열 처리, 세정, 탈수, 건조의 공정을 거쳐, 분체로서 회수된다. 이러한 분체의 회수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코어 쉘 중합체 라텍스를 분무 건조 (스프레이 드라이) 함으로써도 회수할 수 있다.
또,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는, 분체끼리의 내블로킹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융착 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다가 금속염, 무기 입자, 가교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다가 금속염으로는, 고급 지방산염, 고급 알코올의 황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술폰산염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 입자로는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코어는, 그 입자직경이 특히 열 가소성 수지 (a) 로서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하였을 때에 양호한 내충격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0.05 ∼ 0.3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는 코어 구성 성분으로서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합계 1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지고, 본 발명은,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 100 중량% 가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51 ∼ 100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0 ∼ 49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높은 내충격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코어 중합체의 가교도 및 쉘이 코어에 그래프트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위 프레폴리머의 성분량과 그 분자량을 최적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강도, 광택 및 표면성이 더욱 우수한 성형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유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a) 로서 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의 가공성 (성형 용이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은 97 ∼ 99.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의 함유율은 0.5 ∼ 5.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단량체의 함유율의 상한은 1.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은 각각 단일 종인 것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2 종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다관능성 단량체에 있어서,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과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병용하는 경우에는,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80 ∼ 99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1 ∼ 20 중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90 ∼ 99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1 ∼ 10 중량% 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비율로 함으로써, 프레폴리머량과 프레폴리머 분자량이 적정한 범위가 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란, 에틸렌성 이중 결합 및 이것에 인접하는 원자로 구성되는 관능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관능기를 알릴기,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등의 그룹으로 분류한 경우에, 라디칼 중합체 관능기가 「동일하다」란, 당해 그룹이 동일하다는 것을 말하고, 라디칼 중합체 관능기가 「상이하다」란, 당해 그룹이 상이한 것을 말한다.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의 조합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단위수가 3 개인 디아크릴레이트 (PPG (3) DA) 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AMA) 의 조합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단위수가 12 개인 디아크릴레이트 (PPG (12) DA) 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AMA) 의 조합,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단위수가 3 개인 디아크릴레이트 (PTMG (3) DA) 와 알릴메타크릴레이트 (AMA) 의 조합 등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다관능성 단량체를 코어 구성 성분으로서 중합한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는 경우에는, 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쉘 구성 성분이 고분자량의 중합체가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및 그러한 고분자량의 고분자가 코어에 그래프트되지 않고, 고분자량의 중합체 단체로서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에, 소위 프레폴리머로서 함유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인 높은 표면 광택이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상기 서술한, 쉘 구성 성분 중합체의 고분자량화 및 프레폴리머화의 특징은, 그 쉘 구성 성분 중합시에 필수 성분이며,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관능성 단량체의 주성분인,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가교에 기여하는 복수의 이중 결합의 반응성이 등가인 것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되고, 쉘이 코어에 그래프트 결합되는 그래프트 점이, 예를 들어, 알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등가가 아닌 다관능성 단량체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추론된다.
이와 같은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상기 다관능성 단량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임의 성분이고,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다관능성 단량체의 종 성분인,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본 발명에 관련된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에 의해, 쉘 구성 성분 중합체의 고분자량화를 컨트롤할 수 있고, 또, 이하의 이유에 의해,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성형체의 표면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추론된다.
즉, 쉘 구성 성분 중합체의 고분자량화에 의해, 성형체의 표면 광택은 향상되지만, 쉘 구성 성분 중합체의 분자량이 상승함으로써,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성형기에서 용융되었을 때의 용융 점도가 상승하고, 성형체 표면의 평활성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쉘 구성 성분 중합체의 분자량이 성형체의 표면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표면 광택이 양호한 분자량 범위로 조정되도록, 상기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결과가 된다고 생각된다.
상기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연결기 (주사슬) 로는, 주로 알킬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반복 구조의 반복 단위수의 수 평균값이 3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이상, 1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 이상, 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 이상, 5 이하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고, 3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내충격성 향상 효과가 높은 가교가 실현된 고무가 된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연결기 (주사슬) 는 프로필렌글리콜 단위,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단위, 이소부틸렌글리콜 단위,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등을, 함유하는 단위의 5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알킬렌글리콜 단위로는, 중합시의 상기 화합물의 친수성·소수성의 정도를 적절한 범위로 제어한다는 관점에서, 탄소수 3 이상의 단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단위,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단위, 이소부틸렌글리콜 단위 및 네오펜틸글리콜 단위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하는 것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알킬렌글리콜 단위로 하는 것이며, 이 경우, 종 성분으로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상이한 알킬렌글리콜 단위나, 비스페놀-A, 비스페놀-F 등을 주사슬 중에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및 알릴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이 상기 본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기이다. 다관능성 단량체가 코어 구성 성분의 주성분 (탄소수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이 갖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 (아크릴레이트기) 와 동일한 관능기를 가짐으로써, 다관능성 단량체가 당해 주성분과 중합하기 쉬워져, 쉘이 그래프트되는 그래프트 점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상기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의 조합으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기 및 알릴기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알릴기의 조합이다. 다관능성 단량체가 코어 구성 성분의 주성분 (탄소수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이 갖는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 (아크릴레이트기) 와 상이한 관능기 (알릴기) 를 가짐으로써, 코어 구성 성분의 중합시에, 당해 관능기 (알릴기) 가 상기 주성분과 중합하지 않고, 쉘이 그래프트되는 그래프트 점이 남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추찰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프레폴리머)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 프레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양호한 성형체의 광택을 발현하기 위해서, 50 만 이상인 것을 필요로 하고, 60 ∼ 120 만이 바람직하고, 70 ∼ 120 만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프레폴리머는,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이다. 즉, 후술하는 「프레폴리머 분자량의 측정」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레폴리머의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에 의해, 본 발명에 관련된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그래프트 성분의 분자량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 상기 프레폴리머의 함유량은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중 5 ∼ 2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7 ∼ 16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 ∼ 15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 12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의 구성 성분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성형체의 높은 표면 광택을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쉘 구성 성분)
본 발명에 관련된 쉘 구성 성분은, 양호한 성형체의 표면 광택을 얻는다는 관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 100 중량%,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0 ∼ 5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합계 100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상기 서술한 코어 구성 성분, 또는 쉘 구성 성분인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등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예시된다.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상기 서술한 코어 구성 성분, 또는 쉘 구성 성분인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갖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류, 비닐아렌류, 비닐카르복실산류, 비닐시안류, 할로겐화비닐류, 아세트산비닐, 알켄류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류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아렌류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모노클로르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카르복실산류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이, 상기 비닐시안류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이, 상기 할로겐화비닐류로는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클로로프렌 등이, 상기 알켄류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부타디엔, 이소부텐 등을 들 수 있다.
내후성의 관점에서는 공액 디엔계 단량체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의 제작)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 질소 유입구, 단량체와 유화제의 첨가 장치를 갖는 유리 반응기에, 탈이온수 2500 g, 1.0 중량% 농도의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60 g 을 주입하고, 질소 기류 중에서 교반하면서 50 ℃ 로 승온시켰다.
다음으로, 그곳에, 부틸아크릴레이트 (이하 BA 로 한다) 10 g, 스티렌 (이하 St 로 한다) 10 g, 10 중량% 농도의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4 g 및 탈이온수 60 g 으로 이루어지는, 유화 액상의 단량체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다음으로, 그곳에,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5 g 을 주입하고, 그 10 분 후에,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2나트륨 0.02 g 및 황산제1철·7수화염 0.006 g 을 탈이온수 25 g 에 용해시킨 혼합액과, 5 중량% 농도의 포름알데히드술폭실산나트륨 30 g 을 주입하였다. 그 상태에서 30 분간 교반 후,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 g 을 주입하고, 추가로 30 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다음으로, 그곳에, 3 중량% 농도의 과황산칼륨 (이하, KPS 로 한다) 수용액 260 g 을 주입하고, BA 1480 g, 반복 단위수의 평균이 12 인 프로필렌글리콜 사슬을 주사슬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이하, PPG (12) DA 로 한다) 26.6 g 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혼합물을, 4.5 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또,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첨가와 함께 10 중량% 농도의 라우릴황산나트륨 수용액 35 g 을, 4.5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추가하였다.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첨가 종료 후, 3 중량% 농도의 KPS 수용액 30 g 을 주입하고, 3 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Microtrac UPA150 (닛키소 주식회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한 체적 평균 입자직경이 0.20 ㎛ 인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얻었다. 이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5 % 였다.
다음으로, 이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코어에 대해 쉘을 중합하기 위해서, 그곳에, 쉘용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하 MMA 로 한다) 285 g 및 BA 15 g 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혼합물을 10 분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후, 1.0 중량% 농도의 KPS 수용액 60 g 을 주입하고, 30 분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계속해서, 그곳에, MMA 190 g 및 BA 10 g 으로 이루어지는 단량체의 혼합물을 60 분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로부터 30 분 후, 1.0 중량% 농도의 KPS 수용액 10 g 을 주입하고, 추가로 1 시간 교반을 계속하여 중합을 완결시켰다. 중합 완결 후의 총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8 % 였다. 상기에 의해, 코어 성분 75 중량%, 쉘 성분 25 중량% 로 이루어지는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의 라텍스를 얻었다.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의 백색 수지 분말 B-1 의 제작)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의 라텍스를, 2 중량% 농도의 염화칼슘 수용액 6000 g 에 첨가하여, 응고 라텍스 입자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얻었다. 그 후, 그 응고 라텍스 입자 슬러리를 95 ℃ 까지 승온시키고, 탈수,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수지 분말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로 하여 B-1 을 얻었다.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의 조제)
염화비닐 수지 (카네비닐 S-1001, (주) 가네카 제조) 100 중량부, 유기 주석계 안정제인 메틸주석메르캅토계 안정제 (TM-181FSJ, (주) 카츠타 화공 제조) 1.5 중량부, 파라핀 왁스 (Rheolub165, (주) Rheochem 제조) 1.0 중량부, 스테아르산칼슘 (SC-100, (주) 사카이 화학 제조) 1.2 중량부, 산화폴리에틸렌 왁스 (ACPE-629A, (주) 얼라이드 시그널 제조) 0.1 중량부, 탄산칼슘 (Hydrocarb95T, (주) Omya 제조) 5.0 중량부, 산화티탄 (TITON R-62N, (주) 사카이 화학 제조) 10 중량부, 가공 보조제 (카네에이스 PA-20, (주) 가네카 제조) 1.5 중량부 및 5.0 중량부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1 의 백색 수지 분말 B-1 을 헨셸 믹서에 의해 블렌드하여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을 얻었다.
(성형체의 조제 및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1 을, 65 ㎜ 이방향 패럴렐 2 축 압출기 (Battenfeld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조건 C1 / C2 / C3 / C4 / AD / D1 / D2 / D3 / D4 = 195 ℃ / 195 ℃ / 193 ℃ / 190 ℃ / 190 ℃ / 200 ℃ / 200 ℃ / 200 ℃ / 200 ℃ (C1 ∼ C4 는 실린더 온도, AD 는 어댑터 온도, D1 ∼ D4 는 다이스 온도), 스크루 회전수 20 rpm, 피더 회전수 95 rpm, 토출량 100 ㎏/hr 의 조건에서 창틀 성형하였다.
얻어진 창틀 성형체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BYK Gardner 사 제조의 광택계를 사용하여, 60°광선의 반사율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표면 광택을 평가하였다.
또, 얻어진 창틀 성형체로부터 가로세로 3 ㎝ 의 시험편을 잘라, 가드너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가드너 시험은, -20 ℃ 의 항온실에서, 8 파운드의 추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프레폴리머 성분량 및 분자량의 측정)
상기에서 얻어진 백색 수지 분말 B-1, 2 g 을 프레폴리머의 추출 용매인 메틸에틸케톤 약 100 g 에 팽윤시켜, 원심 분리를 실시하였다. 원심 분리 후, 불용 침전물을 제거한 상청을 약 10 g 이 될 때까지 농축한 메틸에틸케톤 용액을 메탄올 200 ㎖ 중에 첨가하고, 소량의 염화칼슘 수용액을 더하여 교반한 후, 메탄올 불용의 성분으로서 결정화한 석출물인 프레폴리머를 회수하였다. 얻어진 프레폴리머를 여과함으로써 취출하고, 그 중량을 측정한 결과, 0.2 g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중의 함유율:10 중량%) 이었다. 또, 그 약 20 ㎎ 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 에 용해시킨 프레폴리머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을, HLC-8220 GPC (토소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석출물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칼럼은 폴리스티렌 겔 칼럼 TSKgel SuperHZM-H (토소 (주) 제조) 를 사용하고,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용출액으로 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해석하였다.
(비교예 1)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의 제작)
PPG (12) DA 26.6 g 대신에,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이하, AMA 로 한다) 4.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를 제작하였다. 또한 코어가 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은 0.20 ㎛ 이고,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8 % 였다. 상기에 의해, 코어 성분 75 중량%, 쉘 성분 25 중량% 로 이루어지는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의 라텍스를 얻었다. 또한 중합 완결 후의 총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7% 였다.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의 백색 수지 분말 B-2 의 제작)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백색 수지 분말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로 하여 B-2 를 얻었다.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의 조제)
5.0 중량부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2 의 백색 수지 분말 B-2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를 얻었다.
(성형체의 조제 및 평가)
얻어진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창틀 성형체를 조제하고,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면 광택 및 가드너 강도를 평가하였다.
(프레폴리머 분자량의 측정)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2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표 1 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얻은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의 구조 및 그것을 열 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 결과, 즉, 표면 광택, 가드너 강도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99658597-pct00001
또한, 표 1 (후술하는 표 2 도 동일) 중, 각 단량체 성분의 말미에 기재된 괄호 내의 수치는 코어 중 혹은 쉘 중에 있어서의 각 단량체 성분의 중합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코어 중의 각 단량체 성분의 함유율은 각 중합 비율을 중합 비율의 합계로 나누면 구해진다. 예를 들어,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코어 중의 BA 함유율은 100 × 73.5 / (73.5 + 0.5 + 1.3) = 97.6 중량% 가 된다. 또, 코어 중 및 쉘 중의 각 단량체 성분의 중합 비율의 합계값의 비는 코어/쉘 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과 비교예 1 을 비교함으로써,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가,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 (합계 100 중량%) 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또한 그 다관능성 단량체가,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높은 내충격성과 양호한 성형체의 표면 광택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의 제작)
PPG (12) DA 26.6 g 대신에, 반복 단위수의 평균이 3 인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사슬을 주사슬로 하는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이하, PTMG (3) DA 로 한다) 11.0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을 제작하였다. 또한 코어가 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은 0.20 ㎛ 이고,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6 % 였다. 상기에 의해, 코어 성분 75 중량%, 쉘 성분 25 중량% 로 이루어지는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의 라텍스를 얻었다. 또한 중합 완결 후의 총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9 % 였다.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의 백색 수지 분말 B-3 의 제작)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백색 수지 분말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으로 하여 B-3 을 얻었다.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의 조제)
5.0 중량부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3 의 백색 수지 분말 B-3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을 얻었다.
(성형체의 조제 및 평가)
얻어진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창틀 성형체를 조제하고,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면 광택을 평가하였다.
(프레폴리머 분자량의 측정)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3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의 제작)
PPG (12) DA 26.6 g 대신에, PTMG (3) DA 11.0 g 과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이하, AMA 로 한다) 0.8 g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를 제작하였다. 또한 코어가 되는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의 체적 평균 입자직경은 0.20 ㎛ 이고,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6 % 였다. 상기에 의해, 코어 성분 75 중량%, 쉘 성분 25 중량% 로 이루어지는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의 라텍스를 얻었다. 또한 중합 완결 후의 총 단량체 성분의 중합 전화율은 99.9 % 였다.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의 백색 수지 분말 B-4 의 제작)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의 라텍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백색 수지 분말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로 하여 B-4 를 얻었다.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의 조제)
5.0 중량부의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A-4 의 백색 수지 분말 B-4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를 얻었다.
(성형체의 조제 및 평가)
얻어진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창틀 성형체를 조제하고, 또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표면 광택을 평가하였다.
(프레폴리머 분자량의 측정)
상기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C-4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표 2 에,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 에서 얻은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의 구조 및 그것을 열 가소성 수지에 배합하여 얻어진 성형체의 평가 결과, 즉, 표면 광택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99658597-pct00002
실시예 2 및 3 과 비교예 1 을 비교함으로써,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가,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 (합계 100 중량%) 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또한 그 다관능성 단량체가, 100 중량% 가, 분자 내에 동일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51 ∼ 100 중량% 및 분자 내에 서로 상이한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0 ∼ 49 중량% 로 이루어지는 경우, 양호한 성형체의 표면 광택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열 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 및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0.5 ∼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로서,
    그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가 코어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코어의 존재하에 쉘 구성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그 코어 구성 성분이 탄소수가 2 ∼ 18 인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70 ∼ 99.95 중량%, 다관능성 단량체 0.05 ∼ 10 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0 ∼ 20 중량% 로 이루어지는 단량체 혼합물, 합계 100 중량% 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다관능성 단량체 100 중량% 가 분자 내에 메타크릴레이트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알릴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51 ∼ 100 중량% 그리고 분자 내에 메타크릴레이트기 및 알릴기, 또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알릴기를 갖는 화합물 0 ∼ 49 중량% 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의 메틸에틸케톤에 가용이고, 또한 메탄올에 불용인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 만 이상 120 만 이하이고, 그 성분량이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중 7 ∼ 16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 내에 메타크릴레이트기, 아크릴레이트기 또는 알릴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의 주사슬이 알킬렌글리콜 단위의 반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반복 구조의 반복 단위수의 수 평균값이 3 이상이고, 알킬렌글리콜 단위를, 함유하는 단위의 50 % 이상 함유하는,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쉘 중합체 조성물 (b)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하여, 상기 코어 구성 성분이 50 ∼ 95 중량%, 상기 쉘 구성 성분이 5 ∼ 50 중량% 인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가소성 수지 (a) 가 염화비닐계 수지인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기재된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창틀 또는 도어 프레임인 성형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가 사이딩인 성형체.
  8. 삭제
  9. 삭제
KR1020117030020A 2009-06-25 2010-05-24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KR101797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51348 2009-06-25
JP2009151348 2009-06-25
PCT/JP2010/058704 WO2010150608A1 (ja) 2009-06-25 2010-05-24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148A KR20120040148A (ko) 2012-04-26
KR101797777B1 true KR101797777B1 (ko) 2017-12-12

Family

ID=4338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020A KR101797777B1 (ko) 2009-06-25 2010-05-24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47326B1 (ko)
JP (1) JPWO2010150608A1 (ko)
KR (1) KR101797777B1 (ko)
CN (1) CN102803390B (ko)
WO (1) WO2010150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1836A1 (en) * 2013-08-05 2016-06-15 Kaneka Corporation Phosphazene-containing rubber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composition thereof
WO2020067317A1 (ja) 2018-09-28 2020-04-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窓枠用塩素化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窓枠部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833A (en) 1974-03-22 1978-10-17 Rohm And Haas Company Modifiers for PVC foam, process for extruding modified PVC foam and modified PVC foam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1446B1 (fr) 1983-08-31 1987-03-20 Elf Aquitaine Compositions de resines ayant une resistance amelioree au choc renfermant un polymere thermoplastique, un additif choc du type copolymere greffe, et eventuellement d'autres additifs, et copolymere greffe correspondant, a caractere d'additif choc
JP2790522B2 (ja) 1990-05-29 1998-08-27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グラフト共重合体を製造する方法
JP3059201B2 (ja) * 1990-10-05 2000-07-04 株式会社クラレ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適した多段階硬質重合体
DE60101133T2 (de) * 2000-03-31 2004-08-26 Kaneka Corp. Harzmasse auf Vinylchloridbasis
JP4879407B2 (ja) * 2001-06-11 2012-02-22 株式会社カネカ 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
JP4072948B2 (ja) * 2002-09-30 2008-04-09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
JP2007302842A (ja) * 2006-05-15 2007-11-22 Kaneka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押し出し成形体
KR20100115745A (ko) * 2007-12-28 2010-10-28 카네카 코포레이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0833A (en) 1974-03-22 1978-10-17 Rohm And Haas Company Modifiers for PVC foam, process for extruding modified PVC foam and modified PVC foam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7326A4 (en) 2012-12-19
WO2010150608A1 (ja) 2010-12-29
EP2447326B1 (en) 2015-07-01
JPWO2010150608A1 (ja) 2012-12-10
CN102803390B (zh) 2015-07-22
KR20120040148A (ko) 2012-04-26
EP2447326A1 (en) 2012-05-02
CN102803390A (zh)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10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3723576B2 (ja) 低いヘイズ値を有する熱可塑性の成形用材料
KR100508134B1 (ko)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EP222636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CN108473748A (zh) 具有优异的耐候性的热塑性树脂组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其的模制品
US20070197728A1 (en) Processing aid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8420736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EP1209196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KR101797777B1 (ko) 열 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체
JPH0535173B2 (ko)
US20040063814A1 (en) Impact modifier for thermoplastic resin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XPA02009443A (es) Composicion termoplastica de moldeo que tiene mejor estabilidad dimensional y bajo brillo.
EP1431341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A2329840A1 (en) Resin having improved powder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improving impact resistance of vinyl chloride resins
EP3568438B1 (en) Polymer composition with filler,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MXPA03007286A (es) Coagulacion de particulas a partir de emulsiones, por la formacion in situ de un agente coagulante.
JP201023583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170140943A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H06192348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459215A (en) Process for producing a heat-resistant copolymer
KR100546785B1 (ko) 내크립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조성물
JPH074560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9459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23133957A (ja) アクリル系多層構造重合体混合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アクリル系多層構造重合体混合粉末を含む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JPH04361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