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28B1 -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28B1
KR101796528B1 KR1020160138908A KR20160138908A KR101796528B1 KR 101796528 B1 KR101796528 B1 KR 101796528B1 KR 1020160138908 A KR1020160138908 A KR 1020160138908A KR 20160138908 A KR20160138908 A KR 20160138908A KR 101796528 B1 KR101796528 B1 KR 10179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upply
ink
supply cylinder
metal plate
replacement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프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프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프린텍
Priority to KR102016013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1Pad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0Ink-removing or coll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7/00Inking apparatus
    • B41J27/02Inking apparatus with ink applied by pads or rotary discs
    • B41J27/04Pads or discs; Ink supply arrangements therefor

Abstract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된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은 인쇄무늬가 형성된 이미지 금속판과, 상기 인쇄무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잉크공급통이 구비된 잉크공급유닛 및 피대상물에 상기 인쇄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패드인쇄유닛으로 구성된 패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에는 잉크공급통 교체를 위한 교체툴이 구비되며, 상기 교체툴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의 전, 후단부에 안착, 고정되는 격자브래킷; 상기 한 쌍의 격자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격자브래킷과 연결바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이미지 금속판과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잉크공급통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하는 안착편으로 구성되어 작업효율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Ink replacement method using a pad printing apparatus and a device}
본 발명은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 인쇄장치의 구조 및 잉크 교체방법의 개선을 통해 잉크 주입 및 잉크통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예방과 작업 편의성 향상 및 인쇄장치를 신속하게 재가동할 수 있도록 한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품의 표면에 제조회사의 로고를 인쇄하거나,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무늬 및 이미지가 인쇄된다.
이러한 이미지 인쇄기법은 크게 실크 스크린 인쇄기법과 패드 인쇄기법으로 구분된다. 상기 실크 스크린 인쇄기법은 인쇄를 수행하기 위한 인쇄 대상물의 상측에 마스크를 배치하고, 인쇄 잉크를 인쇄 무늬가 형성된 마스크를 통과시켜 인쇄 대상물의 표면에 인쇄하는 기법으로서, 실크 스크린 기법의 인쇄 대상물은 종이 외에 유리, 천, 금속 및 플라스틱 등의 여러 재료에 인쇄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패드 인쇄기법은 패드를 매개로 인쇄무늬를 전사하여 인쇄 대상물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기법으로서, 인쇄무늬가 형성된 인쇄판의 표면에 패드를 접촉시켜 잉크를 전사한 후에, 전사된 잉크를 인쇄 대상물이 상부에서 인쇄 대상물에 접촉시켜 전사하는 인쇄기법이다. 통상적으로, 패드 인쇄장치는 인쇄문양이 음각된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에 잉크를 도포하고, 상기 잉크가 도포된 음각문양을 실리콘 고무로 된 패드에 전사시키며, 잉크가 전사된 패드를 피 인쇄물에 전사하여 피 인쇄물을 인쇄하고 있다.
즉, 평면으로 된 이미지 금속판의 표면에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요입되도록 도안부분을 형성하여 요판 형태를 만들고, 그 표면에 인쇄잉크를 소정의 잉크 공급통을 이용하여 전면적으로 도포한 후에 블레이드로 이미지 금속판 표면을 쓸어내어 요입 부분에만 잉크가 남고 여타 부분에는 잉크가 남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요홈에 잉크가 남겨진 이미지 금속판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된 패드를 가압하여 요홈에 소정의 도안형태로 잔존하고 있던 잉크가 패드로 전사되도록 한 다음 잉크가 전사된 패드를 피 인쇄물에 가압하여 패드에 전사된 잉크도안을 피 인쇄물에 전사시켜 피 인쇄물이 인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패드 인쇄장치에서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에 잉크를 도포하는 종래의 잉크 공급통은 잉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는 통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면에서 연장 돌출되어 공간부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영구자석이 장설되는 다수의 홈부가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과, 몸체의 하부에 칼날이 형성된 환형 블레이드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요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잉크 공급통은 통상의 패드 인쇄장치에 장착되어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에 잉크를 도포하는데, 먼저 잉크 공급통의 고정 요부에 블레이드를 끼워 고정을 하고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이 형성된 인쇄면에 올려놓는다.
잉크 공급통이 이미지 금속판에 위치하면 몸체에 장착된 영구자석에 의해 금속판이 당겨져서 블레이드의 칼날면과 이미지 금속판은 완전 밀착을 하게 된다.
이미지 금속판과 잉크 공급통이 완전 밀착을 하게 되면, 잉크를 주입구를 통해 몸체의 공간부에 주입하고 잉크 공급통을 이미지 금속판의 인쇄면에 슬라이드 시킨다.
잉크 공급통이 이미지 금속판 면을 슬라이딩하면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 요홈에 잉크가 도포되어 블레이드에 의해 음각문양 요홈을 제외한 여타의 금속판 면에는 잉크가 잔존하지 않게 되어 이미지 금속판의 음각 문양에 잉크의 도포가 완료된다.
이미지 금속판에 잉크가 소정의 모양으로 도포가 되면, 잉크가 도포된 음각문양을 실리콘 고무로 된 패드에 전사시키고 잉크가 전사된 패드를 피 인쇄물에 전사시킴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잉크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잉크 공급통에 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2220호인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도포통"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2220호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잉크 도포통(10)의 고정편(16) 내주에 나사부가 형성된 다수의 나사요홈을 가지며, 상기 나사요홈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격자환(19)이 내입되고 그 상부에 일정한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13)이 순차적으로 내설되어 상기한 격자환(19)의 다양한 높이를 통해 영구자석(13)의 자력을 조절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잉크 공급통 내의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 공급통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고가의 부식판과 잉크 공급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패드 인쇄장치에 구비된 이미지 금속판과 잉크 공급통은 그 무게가 15㎏이 넘는 중량물이나, 이러한 중량물 중 하나인 잉크 공급통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금속판과 잉크 공급통을 함께 인쇄장치에서 탈거하여 뒤집어야만 했다. 그 과정에서 작업자가 중량물인 이미지 금속판과 잉크 공급통을 함께 들거나 뒤집는 과정에서 이들을 떨어뜨리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잉크 공급통 교체 후, 패드 인쇄장치를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미지 금속판을 패드 인쇄장치에서 탈거한 후, 재장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금속판이 정위치가 되도록 다시 위치를 설정해야 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패드 인쇄장치는 잉크 공급통의 교체 및 잉크 공급통 내부에 잉크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잉크 공급통 내의 잉크가 소진되어 잉크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잉크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잉크 공급통 전체를 세척한 후 사용해야 했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세정이라는 추가 작업공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222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패드 인쇄장치의 구조 개선을 통해 잉크 공급통의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통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공급통 교체시 별도의 교체툴을 사용하여 중량물인 이미지 금속판의 탈거 동작 없이 잉크 공급통의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통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금속판의 위치 설정 없이 인쇄장치를 신속하게 재가동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공급통 내부에 연결된 보조컵의 교체만으로 잉크 주입작업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잉크 공급통의 잉크 주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별도의 잉크 공급통 세척공정 없이 잉크 주입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패드 인쇄장치는
인쇄무늬가 형성된 이미지 금속판과, 상기 인쇄무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잉크 공급통이 구비된 잉크공급유닛 및 피대상물에 상기 인쇄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패드 인쇄 유닛으로 구성된 패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금속판에는 잉크 공급통 교체를 위한 교체툴이 구비되며, 상기 교체툴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의 전, 후단부에 안착, 고정되는 격자브래킷; 상기 한 쌍의 격자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격자브래킷과 연결바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이미지 금속판과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잉크 공급통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하는 안착편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자브래킷과 이미지 금속판은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통 내에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컵이 더 연결되며, 상기 보조컵은,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된 보조몸체 및 상기 보조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 공급통의 환형 블레이드와 잉크 공급통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끼움, 연결된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또 다른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은 패드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에 교체툴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금속판에 위치한 잉크 공급통을 상기 교체툴의 안착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금속판에서 교체툴과 잉크 공급통을 탈거하는 단계; 상기 잉크 공급통내에 연결된 보조컵을 교체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금속판에 교체툴과 잉크 공급통을 재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툴에 위치한 잉크 공급통을 이미지금속판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교체툴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교체툴의 격자브래킷을 이미지 금속판에 전, 후 단부에 안착, 고정하고, 상기 교체툴의 안착편이 상기 이미지 금속판과 맞닿도록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컵을 교체하는 단계는, 상기 교체툴과 잉크 공급통을 뒤집어 수용홈을 갖는 보조몸체와 고정단으로 구성된 보조컵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잉크 공급통에 연결된 환형 블레이드를 탈거하여 상기 환형 블레이드와 잉크 공급통의 상단 사이에 끼움, 연결된 보조컵의 고정단을 해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잉크 공급통에서 잉크가 소진된 보조컵을 잉크가 충진된 새로운 보조컵으로 교체하며, 상기 잉크 공급통에 환형 블레이드를 체결하여 상기 잉크 공급통에 보조컵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잉크 공급통을 재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컵이 교체된 잉크 공급통에 교체툴의 안착편을 안착시켜 보조컵의 수용홈을 마감한 후, 상기 교체툴을 이미지 금속판에 설치하여 상기 잉크 공급통이 놓인 안착편을 이미지 금속판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인쇄장치의 구조 잉크 교체방법의 개선을 통해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통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통 교체시 이미지 금속판의 위치 설정없이 잉크 공급통의 교체작업을 구현하여 작업시간을 단축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잉크 주입 및 잉크 공급통 교체과정에서 잉크 공급통 세척공정 없이 잉크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2220호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잉크 공급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교체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를 나타낸 구성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교체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잉크 공급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드 인쇄장치(100)는 표면에 인쇄무늬가 형성된 이미지 금속판(1)과, 상기 인쇄무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잉크공급통(21)이 구비된 잉크공급유닛(2) 및 피대상물에 상기 인쇄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패드인쇄유닛(3)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금속판(1)에는 상기 잉크공급통(21) 내의 잉크가 소진되었을 때 잉크공급통(21)을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교체툴(1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미지 금속판(1)은 판상체의 중량물로, 평면으로 된 표면으로부터 일정의 깊이로 요입되도록 인쇄무늬가 형성된 요판 형태로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 잉크공급유닛(2)은 상기 요입된 인쇄 무늬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상기 잉크공급유닛(2)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1) 표면에 인쇄잉크를 전면적으로 도포한 후에 블레이드로 이미지 금속판 표면을 쓸어내어 상기 이미지 금속판(1)의 요입 부분에만 잉크가 남고 여타 부분에는 잉크가 남지 않도록 하는 잉크공급통(21)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잉크 공급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잉크공급통(21)은 내측에 공간부(22)가 마련된 통 형상의 몸체(23), 상기 몸체(12)의 단부에 고정된 환형 블레이드(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통(21) 내에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컵(120)이 더 연결된다.
상기 보조컵(120)은 상기 잉크공급통(21)의 공간부(22) 내면에 밀착되며, 내측에 수용홈(124)이 형성된 보조몸체(122), 상기 보조몸체(122)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환형 블레이드(24)와 잉크공급통(21)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끼움, 연결된 고정단(12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컵(120)은 잉크공급통(21)에서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형상 가변이 용이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 인쇄 유닛(3)은 전,후진 구동부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면서, 상기 잉크공급유닛(2)으로부터 패드 부재가 잉크를 공급받아 피대상물에 인쇄 무늬를 전사한다.
이러한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패드 인쇄장치에는 상기 잉크공급통(21)을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한 교체툴(110)이 더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 중 교체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교체툴(110)은 잉크가 소진된 잉크공급통(21)을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금속판(1) 설치된다.
상기 교체툴(110)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1)의 전, 후단부에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격자브래킷(112)과, 상기 한 쌍의 격자브래킷(1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틀 사이에 고정된 연결바(114)와, 상기 격자브래킷(112)과 연결바(114)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고정된 안착편(1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편(116)은 판상체의 형상으로 상기 이미지 금속판(1)과 안착편(116) 사이를 잉크공급통(21)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금속판(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격자브래킷(112)과 이미지 금속판(1)은 자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상기 교체툴(110)은 이미지 금속판(1)에 안착, 고정 및 탈거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패드 인쇄장치는 그 구조 개선을 통해 잉크 공급통 내부에 잉크를 주입 및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패드 인쇄장치를 신속하게 재가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a, 5b 및 5c를 참조하면,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은 패드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1)에 교체툴(110)을 장착하는 단계(S1); 상기 이미지 금속판(1)에 위치한 잉크공급통(21)을 상기 교체툴(110)의 안착편(116)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S2); 상기 이미지금속판(1)에서 교체툴(110)과 잉크공급통(21)을 탈거하는 단계(S3); 상기 잉크공급통(21)내에 연결된 보조컵(120)을 교체하는 단계(S4); 상기 이미지 금속판(1)에 교체툴(110)과 잉크공급통(21)을 재장착하는 단계(S5) 및 상기 교체툴(110)에 위치한 잉크공급통(21)을 이미지금속판(1)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S6)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1)에 교체툴(110)을 장착하는 단계(S1)에서는 상기 교체툴(110)의 격자브래킷(112)을 이미지 금속판(1)에 전, 후 단부에 안착, 고정하고, 상기 교체툴(110)의 안착편(116)이 상기 이미지 금속판(1)과 맞닿도록 밀착한다.
이때, 상기 격자브래킷(112)과 이미지 금속판(1)은 자력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교체툴(110)과 이미지 금속판(1) 간의 고정 및 탈거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착편(116)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1)과 안착편(116) 사이에서 상기 잉크공급통(21)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금속판(1)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후, 상기 이미지 금속판(1)에 위치한 잉크공급통(21)을 상기 교체툴(110)의 안착편(116)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S2)에서는 상기 잉크공급통(21)을 이미지 금속판(1)에서 이탈시켜 상기 잉크공급통(21) 교체를 위한 준비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금속판(1)에서 교체툴(110)과 잉크공급통(21)을 탈거하는 단계(S3)에서는 상기 잉크공급통(21)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인 이미지 금속판의 탈거 과정 없이 잉크공급통(21)과 경량인 교체툴(110)의 탈거 동작만으로 잉크공급통(21)의 교체과정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체 과정에서 이송부품의 무게를 최대한 감량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교체 작업중 중량물의 낙하로 인해 발생하는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 금속판(1)의 탈거 동작 없이 잉크 주입 및 잉크공급통(21)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금속판(1)의 위치 설정 없이 패드 인쇄장치를 재가동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잉크공급통(21)내에 연결된 보조컵(120)을 교체하는 단계(S4)에서는
상기 보조컵(120)을 교체하는 단계는, 상기 교체툴(110)과 잉크공급통(21)을 뒤집어 수용홈(124)을 갖는 보조몸체(122)와 고정단(126)으로 구성된 보조컵(120)을 외부로 노출되도록한다.
이후, 상기 잉크공급통(21)에 연결된 환형 블레이드(24)를 탈거하여 상기 환형 블레이드(24)와 잉크공급통(21)의 상단 사이에 끼움, 연결된 보조컵(120)의 고정단(126)을 해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잉크공급통(21)에서 잉크가 소진된 보조컵(120)을 잉크가 충진된 새로운 보조컵(120)으로 교체하며, 상기 잉크공급통(21)에 환형 블레이드(24)를 체결하여 상기 잉크공급통(21)에 보조컵(120)을 고정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은 보조컵(120)의 교체만으로 잉크 주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잉크 주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별도의 잉크 공급통 세척공정 없이 잉크 교체가 가능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이미지 금속판(1)에 교체툴(110)과 잉크공급통(21)을 재장착하는 단계(S5)에서는 상기 보조컵(120)이 교체된 잉크공급통(21)에 교체툴(110)의 안착편(116)을 안착시켜 보조컵(120)의 수용홈(124)을 마감한 후, 상기 교체툴(110)을 이미지 금속판(1)에 설치하여 상기 잉크공급통(21)이 놓인 안착편(116)을 이미지 금속판(1)에 밀착시킨다.
이후, 상기 교체툴(110)에 위치한 잉크공급통(21)을 이미지금속판(1)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S6)에서는 잉크 교체의 마무리 단계로 이후에 패드 인쇄장치를 재가동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은 잉크 공급통 내부의 잉크 주입 및 잉크통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과정에서 안전사고 예방, 작업효율성 및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1 : 이미지 금속판 2 : 잉크공급유닛
3 : 패드인쇄유닛 21 : 잉크 공급통
22 : 공간부 23 : 몸체
24 : 환형 블레이드 110 : 고정툴
112 : 격자브래킷 114 : 연결바
116 : 안착편 120 : 보조컵
122 : 보조몸체 124 : 수용홈
236 : 고정단

Claims (7)

  1. 인쇄무늬가 형성된 이미지 금속판과, 상기 인쇄무늬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잉크공급통이 구비된 잉크공급유닛 및 피대상물에 상기 인쇄무늬를 전사하기 위한 패드인쇄유닛으로 구성된 패드 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에는 잉크공급통 교체를 위한 교체툴이 구비되며,
    상기 교체툴은,
    상기 이미지 금속판의 전, 후단부에 안착, 고정되는 격자브래킷;
    상기 한 쌍의 격자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격자브래킷과 연결바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상기 이미지 금속판과 동일한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잉크공급통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위치하는 안착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브래킷과 이미지 금속판은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통 내에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보조컵이 더 연결되며,
    상기 보조컵은,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된 보조몸체 및
    상기 보조몸체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잉크공급통의 환형 블레이드와 잉크공급통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끼움, 연결된 고정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
  4. 패드 인쇄장치의 이미지 금속판에 교체툴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금속판에 위치한 잉크공급통을 상기 교체툴의 안착편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금속판에서 교체툴과 잉크공급통을 탈거하는 단계;
    상기 잉크공급통내에 연결된 보조컵을 교체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금속판에 교체툴과 잉크공급통을 재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툴에 위치한 잉크공급통을 이미지금속판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교체툴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교체툴의 격자브래킷을 이미지 금속판에 전, 후 단부에 안착, 고정하고, 상기 교체툴의 안착편이 상기 이미지 금속판과 맞닿도록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컵을 교체하는 단계는,
    상기 교체툴과 잉크공급통을 뒤집어 수용홈을 갖는 보조몸체와 고정단으로 구성된 보조컵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상기 잉크공급통에 연결된 환형 블레이드를 탈거하여 상기 환형 블레이드와 잉크공급통의 상단 사이에 끼움, 연결된 보조컵의 고정단을 해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잉크공급통에서 잉크가 소진된 보조컵을 잉크가 충진된 새로운 보조컵으로 교체하며, 상기 잉크공급통에 환형 블레이드를 체결하여 상기 잉크공급통에 보조컵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통을 재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보조컵이 교체된 잉크공급통에 교체툴의 안착편을 안착시켜 보조컵의 수용홈을 마감한 후, 상기 교체툴을 이미지 금속판에 설치하여 상기 잉크공급통이 놓인 안착편을 이미지 금속판에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인쇄장치의 잉크 교체방법.
KR1020160138908A 2016-10-25 2016-10-25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KR10179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908A KR101796528B1 (ko) 2016-10-25 2016-10-25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908A KR101796528B1 (ko) 2016-10-25 2016-10-25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528B1 true KR101796528B1 (ko) 2017-12-08

Family

ID=6092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908A KR101796528B1 (ko) 2016-10-25 2016-10-25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2972A (en) 1998-01-22 1998-12-29 Wolstenholme; Marc W. Transfer printing pad socket assembly
JP3418944B2 (ja) 1994-10-12 2003-06-23 東芝機械株式会社 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交換装置
KR101547851B1 (ko) 2015-06-04 2015-08-27 주식회사 케이디기공 시스템 에어컨 엔진 교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944B2 (ja) 1994-10-12 2003-06-23 東芝機械株式会社 グラビア印刷機の版胴交換装置
US5852972A (en) 1998-01-22 1998-12-29 Wolstenholme; Marc W. Transfer printing pad socket assembly
KR101547851B1 (ko) 2015-06-04 2015-08-27 주식회사 케이디기공 시스템 에어컨 엔진 교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6509B (zh) 可运输的服装印花台板
CN108099417B (zh) 布料打印、加热装置及保持构件、对布料赋予图像的方法
US20120175813A1 (en) Shoe Customization System Having Interchangeable Platens
CN104228322B (zh) 膏剂供应设备、丝网印刷机、膏剂供应方法和丝网印刷方法
JP2008279726A (ja) 布製品の印刷システム
US4073232A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KR101796528B1 (ko) 패드 인쇄장치 및 이의 잉크 교체방법
KR20190050734A (ko) 출력물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SG160419A1 (en) Pad printing apparatus for making colored contact lenses
KR20150121934A (ko) 패드 인쇄장치
KR101252157B1 (ko) 윈도우 글라스 인쇄장치
KR101431481B1 (ko) 점도측정기와 희석제 공급장치를 갖는 패드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희석제 공급방법
CN204398485U (zh) 丝网印刷装置
KR20160072456A (ko) 인쇄 정 위치 세팅기능을 구비한 로터리형 스크린 인쇄기
KR101277702B1 (ko) 패드 인쇄기
JP5107870B2 (ja) ワーク保持用治具取付装置
CN211493288U (zh) 一种环保型洗版装置
JP7043857B2 (ja) 布地をセットする方法、位置出し用治具、布地保持部材、印刷装置、印刷対象をセットする方法
JP3230243U (ja) 2軸搬送インクカップ
JP2014091274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04358931A (ja) パッドによるuv印刷システム
KR200274104Y1 (ko) 안경 코받침의 다중인쇄 기구
CN210809441U (zh) 一种用于制作服装标签印模的工作台
JP2024044348A (ja) 印刷装置、加熱装置
CN211222480U (zh) 全自动移印机换印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