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476B1 -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476B1
KR101796476B1 KR1020170085085A KR20170085085A KR101796476B1 KR 101796476 B1 KR101796476 B1 KR 101796476B1 KR 1020170085085 A KR1020170085085 A KR 1020170085085A KR 20170085085 A KR20170085085 A KR 20170085085A KR 101796476 B1 KR101796476 B1 KR 10179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cut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하선
Original Assignee
장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하선 filed Critical 장하선
Priority to KR1020170085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7/0275
    • C09J7/02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8Meshes, lattice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멀티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E(폴리에틸렌) 원단을 그물(Mesh)구조로 형성 시킨 후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층을 형성시키는 PE메쉬망 생성단계, 상기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팅 하는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점착제 제조단계,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이지컷 필름 하부면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 후 지관에 권취 시킨 뒤 건조 및 숙성시키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의한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별도의 접착테이프의 절단(컷팅)도구가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절단이 가능하며, 컷팅시 컷팅 단면이 깨끗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접착 작업을 실시되어 테이프 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가지고,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접착테이프 제조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재의 안정성 및 인체에 유해한 위험성 물질의 방출을 방지하며, 종래의 복잡한 테이프 제조과정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조 과정을 가지고 있어 경제성과 빠른 작업속도를 가져 생산량 상승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Eco-friendly multi-tape manufacturing method with easy cutting}
본 발명은 절단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멀티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E(폴리에틸렌) 원단을 그물(Mesh)구조로 형성 시킨 후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층을 형성시키는 PE메쉬망 생성단계, 상기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팅 하는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점착제 제조단계,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이지컷 필름 하부면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상기 도포단계 후 지관에 권취 시킨 뒤 건조 및 숙성시키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지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테이프(또는 점착테이프)는 서류나 장부의 겉손질, 보강 및 정리 등을 능률적으로 깨끗하고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 이용되거나 전기의 절연에 공업용, 포장용으로 대량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자동차, 전기/전자, 디스플레이 모듈 등 산업 전반에서 기능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장점을 가지고 이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접착테이프 일반적인 접착제보다 더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며, 재작업성이 가능하다.
상기의 접착테이프 중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은 테이프는 포장용 테이프로 골판지등을 포장하는 테이프 및 봉투 등을 붙이기 위해 사용하는 셀로판테이프 등도 포함되며, 이것들은 지지체의 종류에 의해 분류되고, 대표적인 것을 들면 크라프트테이프, 면테이프, 셀로판테이프, OPP테이프, PVC테이프등이 있으며, 크라프트테이프는 연간 약 5억㎡생산되고, 면(스테이프 파이버), 셀로판, OPP가 대략 1.2~1.4억㎡씩 생산되고 있다.
반면, 접착테이프는 용제형의 유성 아크릴계 점착제가 사용되어 있으나 제조과정 및 사용시 환경오염 뿐 아니라, 화재의 위험성 및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 물질(VOC)의 방출 때문에 청정성과 공해유발이 적은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이미 용제형 유성 점착제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무용제의 수성 점착제 개발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또한, 접착테이프를 이용한 작업시 테이프의 컷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컷팅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컷팅이 어려워 별도의 컷팅 도구가 필요하게 되며, 컷팅 도구가 없을시에는 사용자가 치아를 이용하여 컷팅을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에 따라서 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이 낭비되거나 사용자의 인체에 해가 되는 문제점을 발생 하고 있다.
상기 접착테이프에서 컷팅의 편리성과 유성 아크릴계 점착제로 인해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들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46740호(2007.08.06.) 절단이 용이한 천테이프로 투명 또는 유색의 수지필름의 일측면에 적층되어 강도 보강 및 절단의 용이성을 위한 직물지와 상기 직물지의 상측면에 적층되어 물체와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 구성된 천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직물지는 위사와 경사가 서로 한 올씩 번갈아 상하로 부침하면서 교차하는 평직으로 제작하고, 상기 위사와 경사의 교차점에서 경사가 위사를 감싸도록 한 바퀴 회전하는 구조로 제작되는 절단이 용이한 천테이프를 제공하고, 한국등록특허 특0153356호(1998.07.03.) 점착테이프 제조용 점착제 조성물은 수성 아크릴수지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아크릴 모노머를 수(水)중에서 중합시켜서된 수성 아크릴 에멀젼에 다가알콜의 단량체 또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를 수성 아크릴수지에멀젼에 약 1~20중량%을 첨가하여 제조된 수성 아크릴수지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이 컷팅이 편리하도록 천등의 직물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제조되고, 유성 아크릴계를 이용한 점착제를 제조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위사와 경사로 이루어지는 직물지의 컷팅의 효과가 불분명하고, 직물지가 형성이 단순히 격자형식을 이루거나 꼬여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어 컷팅시 단면이 깨끗하게 나타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경우 점착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46740호(2007.08.06.) 한국등록특허 특0153356호(1998.07.0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접착테이프와 선행기술들이 가지고 있는 불편한 컷팅 작업 및 유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도 손쉽게 절단이 될 수 있는 이지컷 필름에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하여 원활한 테이프 작업과 점착성능이 부가되는 멀티테이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a) PE(폴리에틸렌) 원단을 그물(Mesh)구조로 형성 시킨 후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층을 형성시키는 PE메쉬망 생성단계; b) 상기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팅 하는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 c)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점착제 제조단계; d)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이지컷 필름 하부면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e) 상기 도포단계 후 지관에 권취 시킨 뒤 건조 및 숙성시키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PE메쉬망 생성단계에서 그물 구조는 PE 원단에 길이가 12㎜의 스크래치를 일정간격으로 생성시키되, 일정간격으로 생성되는 스크래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일정간격으로 생성된 스크래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 스크래치들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을 기점으로 동일한 길이의 스크래치 중앙이 상기 기점에 위치되어 생성시킨 뒤 PE 원단을 양쪽으로 힘을 가하여 그물 형상의 PE메쉬망을 생성시킨다.
상기 PE메쉬망 가로 폭은 0.8㎜, 대각선 폭은 대각선에서 직각방향으로 0.2㎜이며, 두 개의 PE메쉬망을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겹쳤을 때 두께는 75㎛이다.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를 PE메쉬망 상부면에 40㎛, 하부면에 30㎛의 두께로 라미네이팅 하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145㎛ 두께를 이룬다.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는
제1혼합용기에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과 제2혼합용기에 에멀젼을 각각 제조하고, 제3혼합용기에 상기 에멀젼을 투입 후 70℃로 가온 유지하면서, 제1혼합용기에서 제조된 아크릴 단량체를 4시간동안 적가 중합시켜 아크릴 중합 생성물을 수득하고, 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첨가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10℃까지 냉각하여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은 2-에틸헥실아크릴에이트 66~70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 25~28중량%, 아크릴산 2.5~3.0중량% 및 메타 아크릴산 2.5~3.0중량%를 공중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에멀젼은 초산비닐 70중량%와 에틸렌글리콜 3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화제는 t-도데실메르카탄이다.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에서 점착제의 유지력 성능 개선을 위해 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첨가한다.
상기 도포단계에서 도포는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이때 점착제의 두께는 25㎛인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별도의 접착테이프의 절단(컷팅)도구가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절단이 가능하며, 컷팅시 컷팅 단면이 깨끗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접착 작업을 실시되어 테이프 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가진다.
(2) 본 발명은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접착테이프 제조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재의 안정성 및 인체에 유해한 위험성 물질의 방출을 방지한다.
(3) 본 발명은 종래의 복잡한 테이프 제조과정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조 과정을 가지고 있어 경제성과 빠른 작업속도를 가져 생산량 상승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지컷 필름의 PE메쉬망 생성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PE메쉬망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지컷 필름의 PE메쉬망 생성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PE메쉬망을 나타내는 실시도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개진한다.
절단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멀티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a) PE(폴리에틸렌) 원단을 그물(Mesh)구조로 형성 시킨 후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층을 형성시키는 PE메쉬망 생성단계;
b) 상기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팅 하는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
c)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점착제 제조단계;
d)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이지컷 필름 하부면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e) 상기 도포단계 후 지관에 권취 시킨 뒤 건조 및 숙성시키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PE메쉬망 생성단계에서 그물 구조는 PE 원단에 길이가 12㎜의 스크래치를 일정간격으로 생성시키되, 일정간격으로 생성되는 스크래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일정간격으로 생성된 스크래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 스크래치들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을 기점으로 동일한 길이의 스크래치 중앙이 상기 기점에 위치되어 생성시킨 뒤 PE 원단을 양쪽으로 힘을 가하여 그물 형상의 PE메쉬망을 생성시킨다.
상기 PE메쉬망 가로 폭은 0.8㎜, 대각선 폭은 대각선에서 직각방향으로 0.2㎜이며, 두 개의 PE메쉬망을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겹쳤을 때 두께는 75㎛이다.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를 PE메쉬망 상부면에 40㎛, 하부면에 30㎛의 두께로 라미네이팅 하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145㎛ 두께를 이룬다.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는 제1혼합용기에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과 제2혼합용기에 에멀젼을 각각 제조하고, 제3혼합용기에 상기 에멀젼을 투입 후 70℃로 가온 유지하면서, 제1혼합용기에서 제조된 아크릴 단량체를 4시간동안 적가 중합시켜 아크릴 중합 생성물을 수득하고, 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첨가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10℃까지 냉각하여 제조된다.
상기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은 2-에틸헥실아크릴에이트 66~70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 25~28중량%, 아크릴산 2.5~3.0중량% 및 메타 아크릴산 2.5~3.0중량%를 공중합시켜 제조된다.
상기 에멀젼은 초산비닐 70중량%와 에틸렌글리콜 3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화제는 t-도데실메르카탄이다.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에서 점착제의 유지력 성능 개선을 위해 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첨가한다.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점착제 제조방법을 기재한다.
ⅰ) 제1혼합용기 내에 2-에틸헥실아크릴에이트 66~70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 25~28중량%, 아크릴산 2.5~3.0중량% 및 메타 아크릴산 2.5~3.0중량%를 공중합시켜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을 제조한다.
ⅱ) 제2혼합용기 내에 초산비닐 70중량%에 에틸렌글리콜 30중량%를 첨가하여 에멀젼을 제조한다.
ⅲ) 제3혼합용기에 제2혼합용기에서 제조된 에멀젼을 첨가하고 70℃로 가온 유지하면서, 제1혼합용기에서 제조된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을 4시간동안 적가 중합시켜 아크릴 중합 생성물을 수득한다.
ⅳ) 상기 반응용기 내에 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화제(t-도데실메르카탄) 0.3 중량%(반응용기내 중량대비)를 첨가하고 75℃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킨 후 10℃까지 내각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수득한다.
ⅴ) 상기 반응용기에 유지력 성능을 개선하는 이소시아네이트 0.37중량%를 첨가한다. 제조된 수성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사용하는 물의 양에 따라 총 고형분이 55~60중량%가 된다.
상기 도포단계에서 도포는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이때 점착제의 두께는 25㎛이며, 구체적으로는 이지컷 필름에 수성 아크릴 점착제를 도포함에 있어서 여러 방법이 있으나 상기와 같이 메이어바 방식이 바람직하고, 이지컷 필름에 도포하는 점착제의 두께는 25㎛이며, 점착제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기 위해서 2단계에 걸쳐 메이어바를 사용한다. 2단계의 메이어바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하나의 메이어버로 목표 두께를 구현하고자 할 때 목표 두께 이상에 해당하는 다량의 점착제를 제거하는데 부담이 크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서 1단계 메이어바는 52번 메이어바를 사용하여 점착제 두께가 29㎛까지 되도록 도포량을 조절하고, 2단계 메이어바는 44번 메이어바를 사용하여 수득하고자 하는 점착제 두께가 25㎛가 되도록 실시하게 된며 하기의 표 1에 예시도를 제시한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1
상기 표 1의 예시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이지컷 필름에 도포된 점착제가 필름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점착제를 건조함에 있어서 수분 등 증발분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열풍 챔버를 8기 배치하며, 각 단계별로 온도를 달리하여 필름이 고온에 의하여 변형되는 방지한다. 또한, 3 및 4호기는 적외선 건조를 실시하는데 적외선 건조로 이지컷 필름 내면까지 건조 가열하여 점착제의 결합력을 높인다.
상기 건조구간의 연속이동 속도는 50~70m/min이 바람직하며 이지컷 필름은 60m/min 속도로 이동 건조하여야 한다. 이동속도가 50m/min 이하인 경우에는 생산성 저하우려가 있으며 70m/min 이상인 경우에는 인장력이 작용되어 필름이 연신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60m/min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점착제 도포가 끝난 테이프는 8구간의 건조구역을 통과하며, 8구간의 각 온도는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으며 3 및 4구간은 적외선 건조를 실시한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2
또한, 건조를 마친 이지컷 필름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테이프는 상기 권취단계에서 권취되되 숙성실에서 3일간 보관하면서 안정화(숙성)을 시킨다. 안정화는 잔류 증발분이 제거되고, 유화중합이 진행되어 접착력이 증가되며 숙성이 완료된 테이프는 원하는 규격으로 폭을 절단하여 제품완료시킨다.
시험예 :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라미네이팅 되는 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의 두께에 따른 절단시험
PE메쉬망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을 라미네이팅의 두께를 각기 달리하여 손으로 절취하는 테스트를 시행하고 컷팅면을 관찰하였다. 라미네이팅의 두께는 상부면/하부면은 각각 40㎛/40㎛, 40㎛/0㎛, 40㎛/30㎛, 30㎛/30㎛으로 진행하였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코팅 두께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3 내지 표 6와 같이 컷팅 단면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3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4
<40㎛/40㎛>
PE메쉬망에 LDPE 라미네이팅 두께를 40㎛/40㎛로 하여 절취하는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상기 표 3과 같이 일부분이 절단되지 않은 현상이 나타났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5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6
<40㎛/0㎛>
PE메쉬망에 LDPE 라미네이팅 두께를 40㎛/0㎛로 하여 절취하는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상기 표 4와 같이 절단면이 고르지 않았으며, 메쉬의 대부분이 완벽하게 절단되지 않은 현상이 나타났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7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8
<40㎛/30㎛>
PE메쉬망에 LDPE 라미네이팅 두께를 40㎛/30㎛로 하여 절취하는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상기 표 5와 같이 절단면이 고르게 되었으며, 소정의 작은 부분의 절단면이 절단 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전체적으로 깨끗하게 절단되었다.
Figure 112017064172103-pat00009
Figure 112017064172103-pat00010
<30㎛/30㎛>
PE메쉬망에 LDPE 라미네이팅 두께를 30㎛/30㎛로 하여 절취하는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상기 표 4와 같이 절단면이 고르지 않았으며, 메쉬의 대부분이 절단되지 않은 현상이 나타났다.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를 대체하여 광경화형 중 자외선(UV)등의 조사에 의해 가교시켜 제조되는 점착제로 대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때 대체되는 점착제의 제조는 중합과정을 통해 2-에틸헥실아크릴에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및 충진제로 SiO2의 충진제로 이루어진 아크릴계 단량체를 광개시반응을 통해 저점도 상태의 pre-polmer를 형성시키고, 형성된 pre-polymer에 다관능성 가교제(1,6-hexanediol diacrylate)와 광개시제(1-hydroxy-cyclohexyl phenyl methanone)를 첨가한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여 UV 조사에 의한 가교공정으로 제조된다.
한편, 아크릴산 함량이 많을수록 pre-polymer로 합성시 아크릴 고분자의 분자량이 다소 낮게 중합되므로 UV 조사시간을 20~30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UV 중합 및 경화공정으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는 종래 용제중합 및 열건조에 의한 방식보다 공정이 간소하고 가열에 의한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는 별도의 접착테이프의 절단(컷팅)도구가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절단이 가능하며, 컷팅시 컷팅 단면이 깨끗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접착 작업을 실시되어 테이프 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가지고,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접착테이프 제조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화재의 안정성 및 인체에 유해한 위험성 물질의 방출을 방지하며, 종래의 복잡한 테이프 제조과정에서 벗어나 간편한 제조 과정을 가지고 있어 경제성과 빠른 작업속도를 가져 생산량 상승 및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외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9)

  1. 절단이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멀티 테이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은,
    a) PE(폴리에틸렌) 원단을 그물(Mesh)구조로 형성 시킨 후 종 방향과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층을 형성시키는 PE메쉬망 생성단계;
    b) 상기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팅 하는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
    c)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제조하는 점착제 제조단계;
    d)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형성된 이지컷 필름 하부면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단계; 및
    e) 상기 도포단계 후 지관에 권취 시킨 뒤 건조 및 숙성시키는 권취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지컷 필름 형성단계에서 PE메쉬망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LDPE를 PE메쉬망 상부면에 40㎛, 하부면에 30㎛의 두께로 라미네이팅 하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여 이지컷 필름이 145㎛ 두께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E메쉬망 생성단계에서 그물 구조는 PE 원단에 길이가 12㎜의 스크래치를 일정간격으로 생성시키되, 일정간격으로 생성되는 스크래치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일정간격으로 생성된 스크래치 사이에 상기 동일한 지점에 형성된 스크래치들의 길이방향으로 스크래치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을 기점으로 동일한 길이의 스크래치 중앙이 상기 기점에 위치되게 생성시킨 뒤 PE 원단을 양쪽으로 힘을 가하여 그물 형상의 PE메쉬망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PE메쉬망 가로 폭은 0.8㎜, 대각선 폭은 대각선에서 직각방향으로 0.2㎜이며, 두 개의 PE메쉬망을 횡 방향과 종 방향으로 겹쳤을 때 두께는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는
    제1혼합용기에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과 제2혼합용기에 에멀젼을 각각 제조하고, 제3혼합용기에 상기 에멀젼을 투입 후 70℃로 가온 유지하면서, 제1혼합용기에서 제조된 아크릴 단량체를 4시간동안 적가 중합시켜 아크릴 중합 생성물을 수득하고, 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화제를 첨가한 후 75℃에서 3시간 동안 숙성시키고 10℃까지 냉각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단량체 혼합물은 2-에틸헥실아크릴에이트 66~70중량%, n-부틸아크릴레이트 25~28중량%, 아크릴산 2.5~3.0중량% 및 메타 아크릴산 2.5~3.0중량%를 공중합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은 초산비닐 70중량%와 에틸렌글리콜 30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화제는 t-도데실메르카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제조단계에서 점착제의 유지력 성능 개선을 위해 이소시아네이트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단계에서 도포는 메이어바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이때 점착제의 두께는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KR1020170085085A 2017-07-04 2017-07-04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KR10179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85A KR101796476B1 (ko) 2017-07-04 2017-07-04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085A KR101796476B1 (ko) 2017-07-04 2017-07-04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476B1 true KR101796476B1 (ko) 2017-12-01

Family

ID=6092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085A KR101796476B1 (ko) 2017-07-04 2017-07-04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2530A (zh) * 2018-11-08 2020-05-15 苏州汇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高强度拉伸膜及其制备方法
KR102280533B1 (ko) * 2021-01-04 2021-07-26 주식회사 라온티알엠 고성능 테이프 클리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40B1 (ko) * 2006-09-05 2007-08-06 이두열 절단이 용이한 천테이프
KR101380121B1 (ko) * 2014-01-27 2014-04-02 이인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포장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740B1 (ko) * 2006-09-05 2007-08-06 이두열 절단이 용이한 천테이프
KR101380121B1 (ko) * 2014-01-27 2014-04-02 이인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를 이용한 포장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2530A (zh) * 2018-11-08 2020-05-15 苏州汇能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降解高强度拉伸膜及其制备方法
KR102280533B1 (ko) * 2021-01-04 2021-07-26 주식회사 라온티알엠 고성능 테이프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4662A (en) Adhesive products having polymer-treated embrittled zones
DE60126884T2 (de) Laminat mit abziehbarer Oberschicht und Verfahren zum Abziehen der Oberschicht vom Laminat
CN108603081A (zh) 一种耐高温聚氯乙烯胶带的制作方法
KR101796476B1 (ko) 절단이 용이한 친환경적 멀티 테이프 제조방법
DE102007006251B4 (de) Verfahren zur kantenseitigen Passivierung von Haftklebebändern,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Haftklebebandrolle und deren Verwendung
TWI542600B (zh) 用於連續線內產製經塗覆之聚合型基材或層合體之方法
CN102341229A (zh) 薄膜的制造方法
CN105838276B (zh) 一种胶带的制备方法
CN105579538B (zh) 光学膜的制造方法、光学膜及图像显示装置
DE102009054955A1 (de) Klebeband mit einer Klebemasse auf der Basis von Acrylsäureestern
CN108780179A (zh) 带透明树脂层的单侧保护偏振膜的制造方法、带粘合剂层的偏振膜的制造方法、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KR102518124B1 (ko) 미소구체 처리된 에지가 구비된 웨브 권취 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0389B1 (ko) 수성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020621B2 (ja) 繊維強化樹脂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3898226B1 (en) Thin layer uv curing coating on non-woven facers
DE102011107946A1 (de) Eine Mehrschichtfolie mit hoher Weiterreißfestigkeit und geringem Schrumpf
CN109796895A (zh) 可降解胶带及其制备方法
JP2002119910A (ja) 表面保護塗膜の積層方法およびその積層方法を用いて製造された表面保護塗膜付き化粧材
EP2089488B1 (de) Trägermaterial insbesondere für ein klebeband mit einem textilen träger, wobei der textile träger mit einer kunststofffolie extrusionsbeschichtet ist
JP6197502B2 (ja) 発泡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039901A (ja) 建築物養生用テープ
JP2015039778A (ja) 発泡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638893B1 (ko) 가변 점착력을 갖는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E102009021988B4 (de) Haftklebeband für Solarmodule und Verwendung zur Vorfixierung von Barriereschichten
JP6599823B2 (ja) ゲ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