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93B1 - 신축성 보강매트 - Google Patents

신축성 보강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93B1
KR101796293B1 KR1020170032307A KR20170032307A KR101796293B1 KR 101796293 B1 KR101796293 B1 KR 101796293B1 KR 1020170032307 A KR1020170032307 A KR 1020170032307A KR 20170032307 A KR20170032307 A KR 20170032307A KR 101796293 B1 KR101796293 B1 KR 101796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plate
unit members
reinforcing ma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Priority to KR102017003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 보강매트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판상형 단위부재와,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 사이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보강매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신축성 보강매트{Flexible Reinforcement Mat}
본 발명은 신축성 보강매트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데크로드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사용하기 위한 신축성 보강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로드 구조물은 공원이나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거나 호안 등에 설치되어 주위 경관을 볼 수 있는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는 다리를 말한다.
이러한 데크로드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지면에 직립되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기둥(10), 지지기둥(10)과 지지기둥(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기둥(10)의 상측에 안착되는 바닥수평보(20), 바닥수평보(20) 상측에 볼트 결합을 통하여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재(30), 바닥부재(30)의 가장자리에 직립되게 설치되어 열을 이루어도록 배치되는 난간부재(50), 난간부재(50)의 사이를 잇는 복수 개의 난간보(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데크로드 구조물의 시공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수평보(20)의 상면 즉, 바닥수평보(20)와 바닥부재(30)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부재(25)를 더 구비시켜 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보강부재(25)는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보행자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고 온도 변화에 의한 목재의 수축·팽창으로 목재 사이이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단점을 보완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보강부재(25)에는 바닥부재(30)의 폭과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고 일정 높이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25')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돌출부(25')는 바닥부재(30)의 시공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조립과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보행자의 충격 등으로 바닥부재(30)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바닥부재(30)의 폭이 돌출부(25') 사이의 폭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나 곡선형 구조로 바닥부재(30)를 시공할 경우 등에는 그러한 보강부재(25)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과 곡선 방향의 신축성을 가지는 보강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판상형 단위부재와,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 사이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는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보강매트에서 상기 돌출부는 종래의 보강매트와 마찬가지로 바닥부재의 조립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는 신축성 이음부가 구비됨으로써 신축성 이음부가 없는 기존 보강매트와 비교할 때,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짐은 물론 곡선 방향으로도 신축성을 가지게 된다(즉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선형으로도 신축될 수 있다). 길이 방향으로 신축성을 가지기 때문에 데크로드 구조물 등의 시공시 바닥부재의 폭에 맞춰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부재를 곡선형으로 시공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그에 맞춰 곡선형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매트에서 신축성을 부과하는 이음부는 2개의 이음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각 이음부재는 "U"자형으로 구성되며, 그 2개의 이음부재가 서로 마주보며 구성되되, 그 각 이음부재의 양 단부(즉 각 "U"자형의 양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판상형 단위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보강매트에서 상기 이음부는 "U"자형 이음부재 대신에 "V"자형 이음부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 본 발명의 보강매트에서 이음부재는 이들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이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시공시에 본 발명의 보강매트를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를 줄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그 이음부재가 이들이 마주보는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여 본 발명의 보강매트를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를 줄일 때 저항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본 발명의 보강매트에서, 이음부의 각 이음부재는 1개의 "U"자형 또는 1개의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2개 이상의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이음부가 전체 4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이음부재는 2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져, 전체 4개의 "U"자형이 2개씩 2개가 서로 마주보며 구성되는 경우이다. 여기서도 각 이음부재의 양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판상형 단위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게 된다.
본 발명의 보강매트는 천연고무이거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로드 구조물 등의 시공시에 사용하기 위한 신축성 보강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는 돌출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판상형 단위부재와,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 사이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부여하는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길이 방향과 곡선 방향의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데크로드 구조물 등의 시공시 바닥부재의 폭에 맞춰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닥부재를 곡선형으로 시공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그에 맞춰 곡선형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데크로드 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데크로드 구조물 시공시 종래의 보강매트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직선형으로 바닥부재의 시공시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곡선형으로 바닥부재의 시공시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에서 이음부의 다른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직선형으로 바닥부재의 시공시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 도 6은 곡선형으로 바닥부재의 시공시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는 전체적으로는 긴 띠 모양을 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돌출부(110)가 형성된 복수개의 판상형 단위부재(100)와,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100)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이음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에서 돌출부(110)는 본 발명의 보강매트(A)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판상형 단위부재(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돌출부(110)가 판상형 단위부재(1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10)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바닥부재를 사용하여 데크로드 등의 바닥을 시공할 때 그 바닥부재의 조립과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음부(120)는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의 양 단부를 구성하는 판상형 단위부재(100)의 단부를 제외한 모든 판상형 단위부재(100)의 양 단부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본 발명의 보강매트(A)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그 보강매트(A)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되고 또 곡선 방향으로도 신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의 양 단부를 구성하는 판상형 단위부재(100)에는 그에 인접한 판상형 단위부재(100)와 연결되는 단부에만 이음부(120)가 구비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는 이처럼 그 이음부(120)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위에 설치되는, 폭이 좁은 바닥부재나 폭이 넓은 바닥부재의 조립과 설치에도 그에 맞춰 사용될 수 있으며, 또 곡선 방향으로도 신축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재를 곡선형으로 시공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그에 맞춰 그 조립과 설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A)에서, 이음부(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이음부재(121)로 이루어지며 그 각 이음부재(121)는 "U"자형으로 구성되어 그 "U"자형의 개방부가 외부로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다. 그렇게 구성될 경우 그 이음부재(121)의 양단부 즉 "U"자형의 양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판상형 단위부재(100)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되게 된다.
2개의 "U"자형 이음부재(121)는 이들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는 일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되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시공시에 본 발명의 보강매트(A)를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를 줄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그 "U"자형 이음부재(121)가 이들이 마주보는 위치에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본 발명의 보강매트(A)를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를 줄일 때 저항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각 이음부재(121)는 1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2개 이상의 "U"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이음부(120)가 전체 4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각 이음부재(121)는 2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져, 전체 4개의 "U"자형이 2개씩 2개가 서로 마주보며 구성되는 경우이다.
이렇게 이음부(120)가 전체 4개의 "U"자형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신축성 보강매트를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U"자형 대신에 "V"자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V"자형으로 구성할 때도 각 이음부재는 2개 이상의 "V"자형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보강매트(A)는 천연고무이거나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합성고무로 이루어질 경우 그 재질은 우레탄 재질뿐 아니라 폴리부타디엔, 부타디엔스티렌,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등 임의의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A: 보강매트
100: 판상형 단위부재
110: 돌출부
120: 이음부

Claims (5)

  1. 하나의 일자형 돌출부가 폭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된 판상형 단위부재 3개 이상과,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 사이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과 곡선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부는 2개의 이음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각 이음부재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U"자형의 개방부가 외부로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며, 그 각 이음부재의 양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판상형 단위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 상기 2개의 이음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판상형 단위 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그 돌출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의 바닥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보강매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하나의 일자형 돌출부가 폭 방향으로 중앙에 형성된 판상형 단위부재 3개 이상과,
    이들 판상형 단위부재 사이에 그 판상형 단위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과 곡선 방향으로 신축성을 부여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부는 2개의 이음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각 이음부재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V"자형의 개방부가 외부로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며, 그 각 이음부재의 양 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판상형 단위부재의 모서리 부분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 상기 2개의 이음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판상형 단위 부재의 돌출부 사이에 그 돌출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의 바닥부재를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 보강매트.
KR1020170032307A 2017-03-15 2017-03-15 신축성 보강매트 KR101796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07A KR101796293B1 (ko) 2017-03-15 2017-03-15 신축성 보강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307A KR101796293B1 (ko) 2017-03-15 2017-03-15 신축성 보강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93B1 true KR101796293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307A KR101796293B1 (ko) 2017-03-15 2017-03-15 신축성 보강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313A (ja) * 2011-05-31 2012-12-20 Tansei:Kk ウッドデッキ固定材及びウッドデッキ固定構造
KR101663806B1 (ko) * 2016-04-08 2016-10-07 (주) 대현목재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1313A (ja) * 2011-05-31 2012-12-20 Tansei:Kk ウッドデッキ固定材及びウッドデッキ固定構造
KR101663806B1 (ko) * 2016-04-08 2016-10-07 (주) 대현목재 목재클립유닛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목재데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8515A (en) Dock structure
CA1169687A (en) Expansion seal
US3387544A (en) Flexible seals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20120033667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20030077142A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US4043287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floating docks
KR101796293B1 (ko) 신축성 보강매트
KR101805851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시공방법
KR101945158B1 (ko) 하천 제방의 사면 보호용 결속블록 구조물
KR200434010Y1 (ko) 플로트 조립체
EP0210987A1 (en) PAVE.
KR200435478Y1 (ko) 플로트 조립체의 상부 구조물
CA1046324A (en) Expansion joint bridging device
US20200248442A1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CN110205914A (zh) 一种用于拱桥基础的抗推结构
KR102246715B1 (ko) 차선분리대
US20060075705A1 (en) Bearing and expansion joint system including same
GB2075080A (en) Reinforcement girder
JP4323494B2 (ja) 道路用継手
KR200439482Y1 (ko) 바닥용 탄성 고무매트
KR100426992B1 (ko) 벽면패널 및 보강토구조
JP5235969B2 (ja) 止水性水路
KR101278589B1 (ko) 이동식 다목적 가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