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088B1 - 용강의 정련방법 - Google Patents

용강의 정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088B1
KR101796088B1 KR1020160110212A KR20160110212A KR101796088B1 KR 101796088 B1 KR101796088 B1 KR 101796088B1 KR 1020160110212 A KR1020160110212 A KR 1020160110212A KR 20160110212 A KR20160110212 A KR 20160110212A KR 101796088 B1 KR101796088 B1 KR 101796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manganese
inert gas
flow rat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웅희
장영환
윤여선
강수창
손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1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4Removing impurities other than carbon, phosphorus or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72Treatment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300/00Process aspects
    • C21C2300/06Modeling of the process, e.g. for control purposes; CI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Abstract

본 발명은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정련하는 방법으로서,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의 제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망간의 함량에 따라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침적관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상기 침적관에 공급하여 상기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상기 용강 중 함유되는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고망간강 중 질소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의 정련방법{Refining method of alloy steel}
본 발명은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에 존재하는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고망간강의 경우는 망간을 1~5중량%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일부 스테인레스강의 경우에서도 망간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인 강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차용 고강도 고성형성 강재의 경우는 망간 함량이 5~25중량%인 강종이 있다.
이와 같은 고망간강은 탄소 함량이 4.5중량% 정도인 용선을 전로에서 탈탄과정을 거쳐 탄소가 0.2~0.4중량%인 용강으로 만든 후에 출강 중에 망간이 함유된 고상 합금철을 투입함으로써 망간 성분을 제어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때, 용강에 투입되는 합금철의 양이 증가하면 합금철을 용해하는데 필요한 열량이 증가하게 되어 용강의 전로 종점 온도를 높여 요구되는 열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용강의 전로 종점 온도를 높이는 경우 산소 취입량이 증가하여 용강 중 산소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강 산화에 의한 수율 감소와 함께 높은 용강 온도에 의해 전로의 내화물이 침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높은 용존 산소량으로 인해 출강 중 탈산제의 투입량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슬래그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높은 용강의 온도에 의해 합금철 투입 시 대기 산화 발생량이 증가하여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고, 최근에는 망간을 용해시켜 용융 망간을 제조하여 용강과 합탕함으로써 고망간강을 제조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융 망간은 망간 함량이 매우 높기 때문에 질소의 포화용해도 및 흡질 속도가 매우 높아 용융 망간 중 질소의 혼입이 불가피하다. 이에 용융 망간을 제조한 후 합탕 전까지 보온로에서 유지하면서 흡질 방지와 탈질 처리를 실시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합탕 후 고망간강 중 성분 제어를 위한 2차 정련 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2차 정련 과정에서 고망간강 중 질소 함량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은 제대로 확립되지 않아 질소 함량을 미세하게 제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KR10-2009-0073979A KR 10-1439763B
본 발명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용강의 정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정련하는 방법으로서,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의 제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망간의 함량에 따라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침적관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상기 침적관에 공급하여 상기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상기 용강 중 함유되는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5 내지 25wt%의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0wt% 초과, 1wt% 미만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80ppm 이상의 초기 질소를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1.8ppm/분 이상의 속도로 제거하도록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1)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3 × (wt%Mn) + 120
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1wt% 내지 2wt%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40ppm 이상의 초기 질소를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0.8ppm/분 이상의 속도로 제거하도록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식2)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17.5 × (wt%Mn) -130
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상기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를 1×10-3 내지 10×10-3 bar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망간 함유 용강의 질소 함량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용강 중 망간 함량에 따라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환류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용강 중 질소가 제거되는 양 또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 중 망간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용강 중 질소 함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망간 함유 용강의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가으이 정련방법이 적용되는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의 질소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용강을 정련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며, 특히 5 내지 25wt% 정도의 망간을 함유하는 고망간강의 정련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가으이 정련방법이 적용되는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강의 정련방법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S110)과, 용강에 함유되는 망간의 함량에 따라 진공탈가스 장치의 상부조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S130)과, 상부조에 산출된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강 중 망간의 함량을 측정하는 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은 탄소 함량이 4.5wt% 이상인 용선을 전로에서 탈탄, 탈린 등의 정련하여 탄소 함량이 0.2 내지 0.4wt% 정도의 용강으로 제조하고, 전로에서 용강을 래들에 출강하는 과정에서 고상의 망간 금속이나 망간 합금을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전로에서 정련이 완료된 용강과 망간 금속이나 망간 합금을 용해한 용융 망간을 합탕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용융 망간은 용해로에서 제조된 후 용강과 직접 합탕될 수도 있고, 용융 망간을 보온로에서 융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탈질 처리하여 용강과 합탕될 수도 있으며, 용융 망간의 제조방법이나 유지 상태에 따라 용융 망간 중 질소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용해로에서 용융 망간을 제조한 후 용강과 합탕하는 경우, 용융 망간을 보온로에서 탈질 처리한 후 용강과 합탕하는 경우보다 질소 함량이 많을 수 있다.
이외에도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마련된 용강은 5 내지 25wt% 정도의 망간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강종에 따라 용강 중 알루미늄 함량을 0 wt% 초과 내지 2wt%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이하에서는 "용강"이라함)이 마련되면,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어하기 위해 용강이 수용되어 있는 래들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이때, 용강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로 이송하기 전 래들 퍼니스(LF; ladle furnace) 공정을 실시하여 용강의 온도를 높이거나 용강 중 망간 함량을 미세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진공탈가스 장치는 용강이 수용되는 래들(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는 베셀(2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셀(200)은 래들 내의 용강에 포함된 불순물이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 래들(100) 상부에 안착되는 하부조(210)와, 하부조(210)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조(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조(210)에는 하단 양측에 환류관(230)이 마련될 수 있다. 환류관(230)은 한 쌍이 구비되며, 하나는 래들(100)의 용강을 흡입하는 상승관(230b)이고, 다른 하나는 상승관(230b)으로 흡입된 용강을 다시 래들(100)로 내려보내는 하강관(23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강관(230a)과 상승관(230b)의 하부에는 용강에 침지되는 침적관(24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공정은 베셀(200) 내부, 즉 상부조(210) 내부를 흡인하여 진공을 형성하고, 상승관(230b)의 하부에 구비되는 침적관(240)에 환류 가스로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면, 베셀(200) 내에서 용강의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 용강이 환류하게 된다. 이에 상승관(230b)으로부터 용강이 상승하고 하강관(230a)을 통해 용강이 하강하며 순환하고, 베셀(200) 내에서 용강 중에 함유되는 다양한 불순 가스들이 제거될 수 있다. 용강에서 제거되는 불순 가스들은 상부조(220)에 형성되는 배기구(22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용강의 진공탈가스 공정을 실시하면, 용강이 탈질 처리되어 용강 중 질소 함량이 저감될 수 있다.
그러나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 그 중에서도 망간의 함량이 높은 고망간강의 경우, 질소의 포화용해도와 흡질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탄소강을 진공탈가스 처리할 때와 유사한 조건으로 진공탈가스 처리를 수행하면 용강 중 질소의 제거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진공탈가스 처리하는 경우, 용강 중 망간 함량에 따라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을 변경함으로써 용강 중 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은 흡질 속도보다 탈질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용강 중 질소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건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강이 베셀(200) 내부에 형성되는 진공에 접촉하는 회수 및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용강의 환류 속도를 증가시켜 흡질 속도보다 탈질 속도를 더 빠르게 하여 용강 중 질소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은 용강 중 망간 함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망간 함량과 알루미늄 함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은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이나 LF 공정에서 망간 함량이 제어되었기 때문에 용강 중 망간 함량을 알 수도 있으나, 탈가스 처리 전 용강 중 망간 함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용강 중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의 함량에 따라 용강 중 질소 함량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망간 함량의 측정과 함께 알루미늄의 함량도 측정할 수 있다.
진공탈가스 처리를 이용하여 용강 중 질소를 제거하는 경우, 망간 함량과 알루미늄 함량에 따라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동시에 베셀 내부를 고진공으로 유지함으로써 탈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베셀 내부의 진공도는 1×10-3 내지 10×10-3 bar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진공탈가스 처리 시 상승관에 구비되는 침적관으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망간 함량과 알루미늄 함량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우선, 용강 중 망간이 5 내지 25% 정도 함유되고, 알루미늄이 0wt% 초과 1wt% 미만 함유된 경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하기 식1에 의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분당 탈질량을 1.2ppm/min 이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조건이다. 이와 같이 분당 탈질량을 설정한 이유는 제시된 범위로 용강을 진공탈가스 처리해야 흡질속도보다 탈질 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용강 중 질소를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식1)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3 × (wt%Mn) + 120
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또한, 이와 같은 공정 조건은 용강 중 초기 질소 함량이 80ppm 이상인 강종에 해당되는데, 초기 질소 함량이 이보다 적은 경우에는 전술한 조건으로 1.2ppm/min 이상의 탈질 속도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공정 조건에 맞지 않는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에서는 용강의 탈질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예컨대 진공탈가스 처리에 제공되는 용강의 초기 질소 함량이 제시된 범위보다 적거나, 상기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보다 적은 양의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탈질량, 즉 탈질 속도를 구현할 수 없다.
다음은 용강 중 망간이 5 내지 25% 정도 함유되고, 알루미늄이 1 내지 2wt% 정도 함유되는 용강, 예컨대 TWIP 강의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은 다음과 같다.
진공탈가스 처리 시 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때, 하기 식2에 의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분당 탈질량을 0.8ppm/min 이상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조건이다.
식2)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17.5 × (wt%Mn) - 130
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이와 같이 분당 탈질량을 설정한 이유는 용강 중 알루미늄은 용강 중 질소와 반응하여 AlN을 생성하여 알루미늄 함량이 비교적 적은 용강에 비해 용강 중 질소 함량이 적기 때문이다. 이 경우, 알루미늄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용강의 탈질 처리와는 달리 불활성 가스의 유량 제어를 통해 용강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켜 용강 중 알루미늄과 질소의 반응을 촉진시킴으로써 용강 중 질소 함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은 진공탈가스 처리 전, 즉 탈질 처리 전 용강에 함유되는 초기 질소 함량이 40 ppm이상인 강종에 해당될 수 있다. 이는 질소 함량이 제시된 범위 이하인 경우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탈질하는데 한계가 있고, 탈질 효율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용강의 정련방법에 의한 용강의 탈질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실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기의 실험 예1 내지 3은 망간 함량이 5 내지 25wt% 정도이고, 알루미늄 함량이 1wt% 미만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처리한 경우이다.
실험 예1
망간 함량이 21.9wt%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장치에서 환류시키면서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전술한 식1에 의해 산출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이상으로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는 1.3×10-3 bar으로 유지하였다.
실험 예2
망간 함량이 17.8wt%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장치에서 환류시키면서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전술한 식1에 의해 산출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이하로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는 3×10-3 bar으로 유지하였다.
실험 예3
망간 함량이 21.7wt%안 용강을 진공탈가스 장치에서 환류시키면서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전술한 식1에 의해 산출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이상으로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는 2×10-3 bar으로 유지하였다.
하기의 표 1에는 실험 예 1 내지 3의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과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구분 실험 예1 실험 예2 실험 예3
망간 함량(wt%) 21.9 17.8 21.7
진공도(bar) 1.3×10-3 3×10-3 2×10-3
불활성 가스 유량(N㎥/hr) 210 136 200
탈질 처리 전 질소 함량(ppm) 213 173 70
탈질 처리 후 질소 함량(ppm) 158 170 64
탈질량(ppm/min) 1.96 0.30 0.2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험 예 1은 망간 함량이 실험 예2보다 높지만 분당 탈질량이 1.96 ppm 정도로, 탈질 처리 후 질소 함량은 실험 예2보다 낮게 유지됨을 알 수가 있다. 반면 실험 예2는 실험 예 1보다 질소 함량이 낮은 상태로 탈질처리가 수행되었지만, 분당 0.3ppm의 매우 낮은 탈질 효율로 인하여 탈질 처리 후 실험 예1보다 높은 질소 함량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유사한 고진공을 유지하였지만 환류 가스의 유량의 차이에 의하여 용강에 함유된 질소의 감소 효율의 차이가 발생하였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망간 함량이 높은 용강에서의 질소 감소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정한 유량의 환류 가스, 예컨대 불활성 가스의 공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예3을 보면 본 발명에서 제시한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을 충족하고 있지만 질소의 감소가 분당 0.24ppm 수준으로 탈질 효율이 매우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진공탈가스 처리에 공급된 용강 중 질소 함량이 매우 낮아 진공탈가스 처리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한계에 접근하였고, 이로 인하여 질소의 감소 효율이 매우 낮아졌기 때문이다.
다음 실험은 망간 함량이 5 내지 25wt% 정도이고, 알루미늄 함량이 1 내지 2w% 정도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처리한 경우이다.
실험 예4
망간 함량이 16.9wt%이고, 알루미늄 함량이 1.7wt%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장치에서 환류시키면서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전술한 식2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이상으로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는 2.1×10-3 bar으로 유지하였다.
실험 예5
망간 함량이 16.8wt%이고, 알루미늄 함량이 1.8wt%인 용강을 진공탈가스 장치에서 환류시키면서 용강 중 질소 성분을 제거하였다. 이때,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전술한 식2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이하로 진공탈가스 장치에 공급하였다. 그리고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는 실험 예4와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하기의 표2에는 실험 예 4 및 5의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과 그 결과가 나타나 있다.
구분 실험 예4 실험 예5
망간 함량(wt%) 16.9 16.8
알루미늄 함량(wt%) 1.7 1.8
진공도(bar) 2.1×10-3 2.1×10-3
불활성 가스 유량(N㎥/hr) 170 145
탈질 처리 전 질소 함량(ppm) 45 78
탈질 처리 후 질소 함량(ppm) 30 68
탈질량(ppm/min) 0.83 0.30
표 2를 참조하면, 실험 예5에 사용된 용강은 탈질 처리 전이나 처리 후에도 실험 예4에 사용된 용강에 비해 질소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탈질량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진공탈가스 처리 조건으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유지한 실험 예4의 경우, 그렇지 않은 실험 예5에 비해 탈질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공탈가스 처리 전 용강이 진공탈가스 처리에 의해 제거하기 어려운 질소 함량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공탈가스 처리 시 불활성 가스의 유량 증가에 의해 용강의 교반 효율이 향상되어 용강 중 알루미늄과 질소 간의 반응이 촉진됨으로써 용강 중 질소 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래들 200: 베셀
210: 하부조 220: 상부조
230: 환류관 240: 침적관

Claims (11)

  1.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정련하는 방법으로서,
    0wt% 초과, 1wt% 미만의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의 제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망간의 함량에 따라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침적관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상기 침적관에 공급하여 상기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상기 용강 중 함유되는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용강의 정련방법.
    식1)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3 × (wt%Mn) + 120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5 내지 25wt%의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80ppm 이상의 초기 질소를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1.8ppm/분 이상의 속도로 제거하도록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6. 망간을 함유하는 용강을 환류식 진공탈가스 장치를 이용하여 정련하는 방법으로서,
    1wt% 내지 2wt%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의 제거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망간의 함량에 따라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침적관에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산출된 유량으로 불활성 가스를 상기 침적관에 공급하여 상기 용강을 환류시키면서 상기 용강 중 함유되는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하기의 식 2에 의해 산출되는 용강의 정련방법.
    식2) 불활성 가스의 유량(N㎥/hr) = 17.5 × (wt%Mn) -130
    여기에서 wt%Mn는 용강 중 망간의 함량임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40ppm 이상의 초기 질소를 함유하는 용강을 마련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강에 함유되는 질소를 0.8ppm/분 이상의 속도로 제거하도록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질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진공탈가스 장치의 진공도를 1×10-3 내지 10×10-3 bar로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의 정련방법.
KR1020160110212A 2016-08-29 2016-08-29 용강의 정련방법 KR101796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12A KR101796088B1 (ko) 2016-08-29 2016-08-29 용강의 정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12A KR101796088B1 (ko) 2016-08-29 2016-08-29 용강의 정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088B1 true KR101796088B1 (ko) 2017-11-10

Family

ID=6038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12A KR101796088B1 (ko) 2016-08-29 2016-08-29 용강의 정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695B2 (en) 2016-12-12 2022-01-18 Posco Dephosphorizing flux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5698342A (zh) * 2020-08-19 2023-02-03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锰钢的熔炼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536A (ja) * 2009-04-10 2010-11-04 Sumitomo Metal Ind Ltd 高Mn含有金属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8536A (ja) * 2009-04-10 2010-11-04 Sumitomo Metal Ind Ltd 高Mn含有金属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5695B2 (en) 2016-12-12 2022-01-18 Posco Dephosphorizing flux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15698342A (zh) * 2020-08-19 2023-02-03 杰富意钢铁株式会社 高锰钢的熔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4237B2 (ja) 高窒素鋼の溶製方法
JP6040957B2 (ja) 高s低n合金鋼の溶製方法
KR101796088B1 (ko) 용강의 정련방법
JP2018131651A (ja) 高窒素低酸素鋼の溶製方法
JP5428447B2 (ja) Rh真空脱ガス装置における溶鋼の精錬方法
JP2010248536A (ja) 高Mn含有金属の製造方法
JP2020180341A (ja) 極低窒素鋼の溶製方法
JP4844552B2 (ja) 低炭素高マンガン鋼の溶製方法
JP2010132982A (ja) 溶鋼の脱窒素方法
KR101159928B1 (ko) 극저탄소강의 진공정련방법
JP4085898B2 (ja) 低炭素高マンガン鋼の溶製方法
JPS63143216A (ja) 極低炭素・低窒素鋼の溶製方法
KR100406394B1 (ko) 진공탈가스처리시가탄제투입에의한극저탄소강의정련방법
KR100925598B1 (ko) 회송용강의 정련방법
RU275433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и, легированной азотом в ковше
KR101705054B1 (ko) 제강 조업 방법
KR100921500B1 (ko) 극저탄소강의 탈황방법
RU2257417C2 (ru) Вакуумная обработка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еталла
JP2022040735A (ja) 溶鋼の脱ガス処理方法
JPH08109410A (ja) ステンレス鋼の仕上脱炭精錬方法
TWI588264B (zh) 一種降低鋼液噴濺之鋼液脫碳方法
JP5777369B2 (ja) ステンレス鋼溶製時の吸窒防止方法
CN117604199A (zh) 一种钢包喂线调整钢液成分的真空精炼方法
JP2007031807A (ja) 極低炭素鋼の溶製方法
KR20120033104A (ko) 극저탄소강의 정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