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540B1 - 터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540B1
KR101795540B1 KR1020160084286A KR20160084286A KR101795540B1 KR 101795540 B1 KR101795540 B1 KR 101795540B1 KR 1020160084286 A KR1020160084286 A KR 1020160084286A KR 20160084286 A KR20160084286 A KR 20160084286A KR 101795540 B1 KR101795540 B1 KR 101795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touch
signal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석동희
권기덕
노희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4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540B1/ko
Priority to US15/366,853 priority patent/US10877589B2/en
Priority to DE102016224278.4A priority patent/DE102016224278A1/de
Priority to CN201611112888.3A priority patent/CN1075773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Abstract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전극을 설치하는 터치 입력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전극 홈이 형성되는 버튼과, 전극 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신호전달부와, 신호전달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장치{TOUCH CONTROLL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전극을 설치하는 터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조작이 가능한 터치 입력장치를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저항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트랜스미터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한 터치 입력장치에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손가락 등의 입력수단이 접촉했을 때, 전극간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위치를 검출하는 타입의 것이 있다. 또는, 투과성 도전막의 양단에 동상인 동전위를 인가하고, 손가락 등의 입력수단이 접촉 또는 근접해서 캐패시터가 형성될 때에 흐르는 미약 전류를 검지하여 입력위치를 검출하는 타입의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입력장치는 제1 기판에 제1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 감지패턴들과 이러한 감지패턴들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센서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1 금속패턴을 포함하는 제1 패널과, 제2 기판에 제2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2 감지패턴들과 이러한 감지패턴들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한 센서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제2 금속패턴을 포함하는 제2 패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2패널 적층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0477호에는 1매형 2층 구조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터치 입력장치의 제조방법에는 터치패널에 적용하기 위해 투명전극인 ITO를 사용하는 방식과, 메탈 메쉬를 사용하는 방법과,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연성회로기판)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위의 공정들은 다수의 공정 단계들이 필요하여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공정 비용이 상당히 비싼 문제가 있다. 특히, ITO를 이용한 제조공정은 희토류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가의 재료로 인한 제품가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공정들은 접착 방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외부 진동 및 충격이나 고열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진동 및 고열이 수반되는 장치들에 적용이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0477호(2008.12.18. 공개)
본 발명은 접착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도 터치 입력장치의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나의 구조로써 물리 버튼과 터치 버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전극 홈이 형성되는 버튼; 상기 전극 홈에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신호전달부; 및 상기 신호전달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수지, 유리, 또는 가죽의 일 면에 상기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가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입력수단이 상기 버튼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입력수단이 상기 버튼에 정해진 범위 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신호전달부가 상기 수신부에 정해진 범위 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입력수단이 접촉하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에서 상기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부에 마련되는 제1 신호전달부와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는 제2 신호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부의 아랫면에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신호전달부는 일 측이 상기 제1 신호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 면을 따라 상기 연결부의 아랫면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터치부가 곡면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감지패턴을 형성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터치부가 복곡면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도 감지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상에 감지패턴을 형성하는 데 접착 공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안전해지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는 고열 상황에서 제조됨으로써 제품이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버튼에 물리 버튼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 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리 버튼과 터치 버튼을 함께 사용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버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버튼에 신호전달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터치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터치 입력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입력장치에 접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입력장치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과정 동안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소개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형태로도 구체화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입력수단의 접촉(또는 근접)에 의해 신호를 입력받고, 접촉(또는 근접)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버튼 또는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터치 입력장치(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버튼(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버튼(100)에 신호전달부(113)가 형성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는 버튼(100)과 버튼(100)에 형성되어 입력수단의 접촉을 감지하는 신호전달부(113)와, 신호전달부(11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21)가 마련되는 기판(120)과, 기판(120)과 버튼(100)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40)와,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버튼(100)은 입력수단이 접촉하는 터치부(101)와 터치부(101)에서 기판(120)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접촉은 직접적인 접촉 및 간접적인 접촉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직접적인 접촉은 입력수단이 터치 입력장치(10)에 닿은 경우를 의미하고, 간접적인 접촉은 입력수단이 터치 입력장치(10)에 닿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30)가 객체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접근한 상태를 나타낸다.
터치부(101)는 장착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입력수단이 접촉되는 상면과 장착면의 내부에 가려지는 하면으로 구성된다. 터치부(101)는 도면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형 또는 막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터치부(101)의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볼록하거나 오목한 곡면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터치부(101)의 곡면은 곡률이 일정한 곡면과 곡률이 변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부(101)의 곡면은 곡률이 두 개 이상인 곡면과, 좌표에 따라 굽은 방향이 다른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치부(101)의 상면과 하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부(102)는 터치부(101)의 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연결부(102)는 기판(120)의 수신부(121)와 접속되는 접속부(103)와 아랫면에서 위로 요입되는 중공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103)는 연결부(102)에서 아래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103)는 기판(120)의 수신부(121)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중공부(104)는 광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광원은 LED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버튼(100)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100)은 반투명 소재 또는 투명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터치 입력장치(10)에 입력수단이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정전용량이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터치부(101)에 마련되는 제1 신호전달부(113)와 연결부(102)에 마련되는 제2 신호전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전달부(113)는 터치부(101)의 하면에 넓은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신호전달부(113)가 마련되는 영역의 크기에 의해 입력수단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터치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신호전달부(113)는 연결부(102)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사각 기둥 형태의 연결부(102)의 외측을 둘러싸는 사각 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신호전달부(113)는 연결부(102)의 측면을 따라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신호전달부(113)의 일 측은 제1 신호전달부(113)와 연결되고, 타 측은 접속부(103)의 측면을 지나 접속부(103)의 아랫면까지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103)의 아랫면이 기판(120)의 수신부(121)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기 때문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신호전달부(113)는 버튼(100)에 형성되는 전극 홈(112)에 마련될 수 있다.
버튼(100)은 모재(110)와 모재(110)의 일 면에 코팅되는 베이스(111)와 베이스(111)의 일 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전극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베이스(111) 상에 LDS(Laser Directing Structure) 공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LDS 공법은 비전도성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재질로 지지재를 형성하고, 지지재의 일부를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에 노출시킴으로써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 시드를 노출시킨 후, 지지재를 금속화(Metalizing) 하여 지지재의 레이저 노출 부위에 도전성 구조를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LDS 공법에 대하여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37466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0872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2161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는 이들을 참조하도록 한다.
신호전달부(113)는 도전성 물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금속일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금속 중에서도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구리 외에 금(Au) 등의 금속으로 신호전달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베이스(111)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111)는 레진(Resin)과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레진(Resin)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은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베이스(111)는 모재(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모재(110)는 금속 복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의 일 면에는 신호전달부(113)를 수용하는 전극 홈(112)이 형성된다. 즉, 신호전달부(113)는 전극 홈(11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일 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된다. 이 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베이스(111)는 금속으로 환원되고, 금속으로 환원된 부분은 전극 홈(112)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신호전달부(113)는 전극 홈(112) 상에 도금됨으로써 형성된다. 금속 시드 상에 도금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도금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신호전달부(113)는 증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금 공정과 증착 공정을 결합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신호전달부(113)가 도금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한다.
신호전달부(113)는 구리(Cu) 도금을 포함하고, 구리 도금 상에 니켈(Ni)을 도금하여 산화방지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금(Au) 도금을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111)는 다양한 소재로 마련되는 모재(110)의 일 면에 코팅되어 마련될 수 있다. 모재(110)는 수지(Resin), 유리, 또는 가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재(110)는 표면이 딱딱하거나(Stiff) 탄력이 있을 수 있다(Elastic). 그리고 모재(110)는 굳어서 변형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Rigid) 구부러짐이 가능할 수도 있다(Flexible). 그리고 모재(110)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모재(110)를 사출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하고, 모재(110)의 윗면 또는 저면에 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베이스(111)를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부(101)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호전달부(113)도 터치면의 곡률을 따라 구부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1)는 모재(110)의 형상에 따라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111)의 일 면은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 홈(112)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111)의 형상에 상관없이 복잡한 형상의 전극 홈(1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홈(112) 상에 신호전달부(113)를 도금한다. 이 때, 도금 공정의 특성 상 전극 홈(112)의 형상에 상관없이 신호전달부(113)를 도금할 수 있으며, 전극 홈(112)이 직선 또는 평면으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에도 신호전달부(113)를 도금하기 용이하다.
다음으로 신호전달부(113)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111)는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11)는 금속 복합체를 사출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수지, 유리, 또는 가죽 등의 기타 소재의 일 면에 금속 복합체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 홈(112)은 베이스(111)의 일 면에 UV(Ultra Violet) 레이저 또는 엑시머(Excimer) 레이저 등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형성한다. 이 때, 홈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열은 금속 복합체의 화학적 결합을 해체하여 금속으로 환원시키고, 전극 홈(112)에 금속 시드(Seed)를 형성한다.
전극 홈(112)은 곡면으로 마련되는 베이스(111)의 일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를 조사하여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111)의 표면 형상에 상관 없이 다양한 형상의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금속 시드가 노출된 전극 홈(112)을 금속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금속화 공정은 도금 또는 증착에 의할 수 있다.
기판(120)은 수신부(121)가 형성되고 여러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0)은 인쇄회로기판(120)(PCB) 일 수 있다.
수신부(121)는 도전성 물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금속일 수 있다. 그리고 전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금속 중에서도 구리(Cu)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구리 외에 금(Au) 등의 금속으로 수신부(12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신부(121)는 신호전달부(113)와의 사이에 정전용량이 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버튼(10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수신부(121)와 신호전달부(113)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으로써 정전용량이 변할 수 있다.
수신부(121)와 신호전달부(113)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는 수신부(121)와 연결되는 제어부(13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 대하여는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수신부(121)는 LDS 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기판(120)의 일 면에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111)를 코팅하거나 기판(120)이 금속복합체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신부(121)가 형성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금 또는 증착을 이용하여 수신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과 기판(1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외력에 의해 버튼(100)이 아래로 이동하는 때에 탄성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면서 반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가 형상 복원되면서 버튼(1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지지하는 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탄성부재(140)의 측면은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40)의 상부는 버튼(100)의 접속부(103)를 수용하도록 요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속부(103)의 단면이 사각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탄성부재(140)의 상부에는 사각 형태의 홈이 요입되어 접속부(103)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는 기판(120)을 덮도록 마련되어 방오 및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탄성부재(140)는 기판(120)을 덮도록 마련되는 러버일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버튼(100)이 설치되는 틈새 등으로 침투하는 이물질로부터 기판(120)을 보호하여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40)는 일반적으로 넓은 판 또는 막 형태로 마련되고, 버튼(100)을 지지하는 부분에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40)의 저면에는 저항부재(141)가 부착될 수 있다. 저항부재(141)는 도전성 물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금속일 수 있다.
저항부재(141)는 수신부(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해 버튼(100)이 아래로 이동하는 때에 탄성부재(140)가 탄성 변형되면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0)가 형상 복원되면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서 떨어지게 된다.
저항부재(141)는 터치 입력장치(10)의 온/오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는 경우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이 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를 통해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는 때에 터치 입력장치(10)가 온 상태인 것으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서 떨어지는 때에 터치 입력장치(1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121)는 서로 분리되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부재(141)가 서로 분리되는 수신부(121)에 동시에 접촉하는 경우 수신부(121)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부(121)에 전류가 흐르는지를 통해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는 때에 터치 입력장치(10)가 온 상태인 것으로,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서 떨어지는 때에 터치 입력장치(10)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터치 입력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의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접촉하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리고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촉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200).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정전용량 범위에 있는 경우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210).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 또는 HUD에 터치 상태임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음성 메시지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이 외력을 가하여 버튼(100)을 누르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리고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입력수단이 버튼을 누른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220).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정전용량 범위에 있는 경우 입력수단이 버튼(100)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버튼의 기능을 수행한다(230).
이 때, 제어부(130)가 버튼(100)의 눌림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하여 변화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통해 버튼(100)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버튼(100)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의도치 않은 터치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아직 버튼(100)의 기능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 버튼(100)의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접촉하면 디스플레이부 또는 HUD에 버튼(100)의 기능을 표시하거나 음성 메시지로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을 버튼(100)을 누르면 사용자가 버튼(100)의 기능을 인식한 상태에서 누른 것으로 보아 버튼(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터치 입력장치(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의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접근하면(240),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리고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근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240).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제3 정전용량 범위에 있는 경우 버튼의 근접 범위에 입력수단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접근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250).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 또는 HUD에 접근 상태임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음성 메시지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이 버튼(100)에 접촉하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리고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촉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200).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정전용량 범위에 있는 경우 입력수단이 버튼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하고, 터치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표시한다(210).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 또는 HUD에 터치 상태임을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음성 메시지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수단이 외력을 가하여 버튼(100)을 누르면,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그리고 수신부(121)와 연결된 제어부(130)에 변화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전달되어 입력수단이 버튼을 누른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220).
그리고 제어부(130)는 수신된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정전용량 범위에 있는 경우 입력수단이 버튼(100)을 누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버튼의 기능을 수행한다(230).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터치 입력장치(10)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입력장치(10)에 접근한 상태를, 도 7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입력장치(10)에 접촉한 상태를, 도 8은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10)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되기 전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것만으로도 신호전달부(113)와 수신부(121)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게 된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이 제1 범위 내에서 변하는 때에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한 모습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이 제2 범위 내에 위치하는 때에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입력수단이 제공하는 외력에 의해 버튼(100)이 눌린 모습을 나타낸다. 제어부(130)는 정전용량이 제3 범위 내에 위치하는 때에 버튼(100)이 눌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의 과정 동안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y 축은 전체 임피던스값을, x 축은 시간의 변화를 나타낸다.
A 구간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근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x 축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한 상태이다. 전체 임피던스값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근접할수록 작아진다.
B 구간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x 축의 오른쪽으로 갈수록 버튼(100)의 눌려진 정도가 커진다. 전체 임피던스값은 버튼(100)이 많이 눌려질수록, 즉 신호전달부(113)가 수신부(121)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
한편, A 구간과 B 구간의 경계인 D 지점은 입력수단이 터치부(101)에 접촉한 순간을 나타낸다.
C 구간은 버튼(100)이 끝까지 눌려진 상태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 임피던스값의 변화가 없다.
한편, B 구간과 C 구간의 경계인 E 지점은 저항부재(141)가 수신부(121)에 접촉한 순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터치 입력장치 100: 버튼
101: 터치부 102: 연결부
103: 접속부 104: 중공부
110: 모재 111: 베이스
112: 전극 홈 113: 신호전달부
120: 기판 121: 수신부
130: 제어부 140: 탄성부재
141: 저항부재

Claims (10)

  1.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고, 레이저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전극 홈을 포함하는 버튼;
    상기 전극 홈에 형성된 금속 시드 상에 도금 또는 증착하여 마련되고, 전도성 소재를 포함하는 신호전달부;
    상기 신호전달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마련되고, 상기 신호전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기판;
    상기 버튼과 상기 기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버튼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을 커버하여 상기 기판으로 이물질 또는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 부착되고, 상기 수신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저항부재;를 포함하고,
    입력수단이 상기 버튼을 접촉하였는지 여부와 상기 버튼을 푸시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PC(Polycarbonate), PA(Polyamide), 및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진(Resin)과 Mg, Cr, Cu, Ba, Fe, Ti, 및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수지, 유리, 또는 가죽의 일 면에 상기 금속 복합체를 포함하는 베이스가 코팅되어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입력 정보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입력수단이 상기 버튼에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입력수단이 상기 버튼에 정해진 범위 내로 접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전달부와 상기 수신부 사이의 정전용량에 관한 정보를 통해 상기 신호전달부가 상기 수신부에 정해진 범위 내로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터치 입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입력수단이 접촉하는 터치부와 상기 터치부에서 상기 기판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부에 마련되는 제1 신호전달부와 상기 연결부에 마련되는 제2 신호전달부를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터치 입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전달부는 상기 터치부의 아랫면에 상기 연결부의 연결부위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신호전달부는 일 측이 상기 제1 신호전달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 면을 따라 상기 연결부의 아랫면에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터치 입력장치.
KR1020160084286A 2016-07-04 2016-07-04 터치 입력장치 KR101795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86A KR101795540B1 (ko) 2016-07-04 2016-07-04 터치 입력장치
US15/366,853 US10877589B2 (en) 2016-07-04 2016-12-01 Touch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ouch control device
DE102016224278.4A DE102016224278A1 (de) 2016-07-04 2016-12-06 Berührungssteuereinrichtung und verfahren für das steuern der berührungssteuereinrichtung
CN201611112888.3A CN107577379B (zh) 2016-07-04 2016-12-07 触控装置和用于控制触控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286A KR101795540B1 (ko) 2016-07-04 2016-07-04 터치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540B1 true KR101795540B1 (ko) 2017-11-10

Family

ID=6038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286A KR101795540B1 (ko) 2016-07-04 2016-07-04 터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77589B2 (ko)
KR (1) KR101795540B1 (ko)
CN (1) CN107577379B (ko)
DE (1) DE1020162242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57B1 (ko) * 2018-11-28 2019-12-27 이상호 터치패널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푸쉬버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9162B2 (en) * 2019-10-14 2021-10-26 Plr Ip Holdings, Llc Camera control key
CN113143313A (zh) * 2020-01-07 2021-07-23 通用电气精准医疗有限责任公司 可按压触摸面板以及超声成像系统
CN114442823B (zh) * 2020-11-03 2023-09-29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鼠标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5374A (ja) * 2006-06-19 2007-12-27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8108557A (ja) * 2006-10-25 2008-05-08 Tokai Rika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1346C2 (de) 1997-06-06 2003-09-25 Lpkf Laser & Electronics Ag Leiterbahnstrukturen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02532620A (ja) 1998-12-10 2002-10-02 ナウンドルフ・ゲルハルト 印刷導体構造物の製造方法
JP3881338B2 (ja) * 2001-07-05 2007-02-14 エル・ピー・ケー・エフ・レーザー・ウント・エレクトロニク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コンダクタートラック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32092A1 (de) 2001-07-05 2003-01-23 Lpkf Laser & Electronics Ag Leiterbahnstruktur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4843564B2 (ja) 2007-06-11 2011-12-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の構造
JP4506785B2 (ja) 2007-06-14 2010-07-21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静電容量型入力装置
JP4585615B1 (ja) * 2010-02-03 2010-11-24 株式会社オーギャ 入力装置
JP5542224B1 (ja) * 2013-03-06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座標検出方法
JP6083308B2 (ja) * 2013-04-11 2017-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静電容量式操作装置および静電容量式操作装置の製造方法
US9568524B2 (en) * 2013-05-29 2017-02-14 Atmel Corporation Multi-state capacitive button
TWI529519B (zh) * 2015-08-07 2016-04-1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防水筆記型電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5374A (ja) * 2006-06-19 2007-12-27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
JP2008108557A (ja) * 2006-10-25 2008-05-08 Tokai Rika Co Ltd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57B1 (ko) * 2018-11-28 2019-12-27 이상호 터치패널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푸쉬버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24278A1 (de) 2018-01-04
US10877589B2 (en) 2020-12-29
US20180004342A1 (en) 2018-01-04
CN107577379A (zh) 2018-01-12
CN107577379B (zh)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540B1 (ko) 터치 입력장치
US8421757B2 (en) Touch sensor with a plurality of touch sensor sections
US8124903B2 (en) In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30884B2 (ja) 入力装置
KR20110126604A (ko) 정전 용량형 입력 스위치
JP2017207816A (ja) タッチパネル
CN108021294B (zh) 触摸控制设备
EP3537266A1 (en) Transparent button for capacitive touch screen
KR101778553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294520B2 (en) Touch inpu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316517B2 (en) Input operation device
US10437362B2 (en) Touch window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88713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131317A (ja) 静電容量式接触スイッチ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200807802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CN108351727B (zh) 触摸输入装置、包括该触摸输入装置的车辆以及该触摸输入装置的制造方法
KR101755316B1 (ko)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JP5318790B2 (ja) 入力センサスイッチ
WO2016006216A1 (ja)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20150121454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