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338B1 - 재생 골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재생 골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38B1
KR101795338B1 KR1020170018179A KR20170018179A KR101795338B1 KR 101795338 B1 KR101795338 B1 KR 101795338B1 KR 1020170018179 A KR1020170018179 A KR 1020170018179A KR 20170018179 A KR20170018179 A KR 20170018179A KR 101795338 B1 KR101795338 B1 KR 10179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creen
housing
aggregate
bla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준
Original Assignee
최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준 filed Critical 최상준
Priority to KR102017001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골재 세척장치는 골재를 세척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용 블레이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골재이송부와,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를 포함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로서, 상기 골재이송부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축과, 상기 블레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골재를 이송하는 골재이송용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축과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이송부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송부모터와,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이송부하우징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단부가 거치되는 스크린축과, 상기 스크린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선별부모터와, 상기 선별부모터로부터 상기 스크린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선별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스크린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모터와 선별부모터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부재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 상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선별부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골재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골재 이송을 위한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면서도, 블레이드 수용을 위한 하우징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써 이물질들을 크기 별로 구분하여 선별할 있고, 블레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장치를 용이하게 수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생 골재 세척장치{RECYCLED AGGREGATE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골재 또는 재생골재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고, 골재에 의한 이송용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하며, 골재로부터의 이물질 분리효율을 높이고, 컴팩트한 구성으로써 이물질들을 크기 별로 선별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수선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2000만톤 이상의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며, 그 중 폐콘크리트가 약 500만톤, 폐아스팔트콘크리트가 약 250만톤 이상이다.
근래 노후화된 건축물의 재개발, 재건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상기 건설폐기물은 향후에도 더욱 많은 양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매년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중에서 극히 소량만이 재활용될 뿐 대부분은 불법적으로 매립되거나 무단 투기는 실정이다.
그런데, 천연골재인 강 자갈과 모래의 채취는 법적으로 금지되고, 대체재로써 부순 자갈과 바다 모래를 사용하지만, 이 역시 그 공급량이 부족하여 상당량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자갈 공급부족을 해소하고자 건설폐기물 중 많은 양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를 재활용한 재생골재가 대체품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재생골재는 내부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이물질들로 인해 그 품질이 저하된다.
재생골재 내 이물질 중 철근과 같은 자성 물질들은 자력선별기를 통해 분리하며, 목재, 비닐 및 스티로폼과 같은 합성수지들은 송풍기를 이용하여 선별 분리된다.
그런데, 송풍기에 의해 선별되지 못한 목재나 비닐 이외에도 건설폐기물 내에는 시멘트 페이스트나 토사 등의 슬러지도 포함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재생골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축조 시 전체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재생 골재의 경우 이에 혼합된 슬러지와 각종 합성수지재 및 목재 찌꺼기를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편, 종래 재생 골재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서는 주로 물을 이용하여 재생 골재를 세척하고, 물에 혼합된 이물질들을 걸러 배출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물과 재생골재를 혼합하기 위한 동력발생원으로써 모터가 이용되는데, 상기 세척장치의 작동 중에는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상기 모터는 항상 수분에 노출된다.
이러한 점은 장기간 모터 구동 시 모터 내부 각종 구성의 부식을 초래하고 결국 모터의 사용 수명을 현저히 저하시켜 전체 장치의 작동을 불가능하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전체 장치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재 이송을 위한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면서도, 블레이드 수용을 위한 하우징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팩트한 구성으로써 이물질들을 크기 별로 구분하여 선별할 있도록 구성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장치의 수선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골재 세척장치는 골재를 세척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용 블레이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골재이송부와,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를 포함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로서, 상기 골재이송부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축과, 상기 블레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골재를 이송하는 골재이송용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축과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이송부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송부모터와,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이송부하우징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단부가 거치되는 스크린축과, 상기 스크린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선별부모터와, 상기 선별부모터로부터 상기 스크린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선별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스크린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모터와 선별부모터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부재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 상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선별부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마다 브러쉬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스크린에 고정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하부에는 이물질지지이송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가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 상의 이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축의 하단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축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블레이드축베어링이 결합되되,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과 상기 블레이드축은 상기 이송부하우징의 지지부로부터 분리되어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에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물주입구로 물을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축의 상단부에는 블레이드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는 하우징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축이 상기 하우징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축에 고정되는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제 1 베벨기어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베벨기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상기 제 2 베벨기어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은 두 개의 베어링유닛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서 방사상 최외단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을 따라 분할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에 접하여 하부에는 스크린접촉지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하우징에는 상기 블레이드축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부하우징 하부에는 하우징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지지부재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하우징은 하부의 급수하우징과 상부의 블레이드수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에는 와류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는 방사상 방향을 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수직형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축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부는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에서 단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형성부를 향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의 방사상 최외단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모터는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별부모터는 상기 선별부모터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선반과 선별부모터지지선반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모터지지선반과 선별부모터지지선반이 각각 상기 블레이드와 스크린을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선별부모터지지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에는 브레이드축 방향을 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형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류형성부를 형성하는 단은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과 예각으로 만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골재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골재 이송을 위한 블레이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파손 시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면서도, 블레이드 수용을 위한 하우징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 골재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순한 구성으로써 이물질들을 크기 별로 구분하여 선별할 있다.
또한, 블레이드축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고, 장치를 용이하게 수선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골재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세척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세척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블레이드축의 상단부분 사시도이며,
도 6 은 물공급부재와 펌프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블레이드축의 하단부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골재이송부 내부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골재이송부 내부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10 은 블레이드축베어링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11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축베어링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이물질선별부의 측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이물질선별부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14 는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6 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축의 사시도이며,
도 17 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축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골재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세척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세척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세척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블레이드축의 상단부분 사시도이며, 도 6 은 물공급부재와 펌프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블레이드축의 하단부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골재이송부 내부의 측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골재이송부 내부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10 은 블레이드축베어링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11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축베어링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세척장치에 포함되는 이물질선별부의 측면도이며, 도 13 은 상기 이물질선별부의 다른 측면도이며, 도 14 는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6 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축의 사시도이며, 도 17 은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축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생 골재 세척장치는 골재를 세척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용 블레이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골재이송부(100)와, 상기 골재이송부(100)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200)를 포함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로서, 상기 골재이송부(100)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축(10)과, 상기 블레이드축(10)의 회전에 의해 골재를 이송하는 골재이송용 블레이드(20)와, 상기 블레이드축(10)과 블레이드(20)를 수용하기 위한 이송부하우징(30)과, 상기 블레이드축(1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송부모터(50)와, 상기 이송부모터(50)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축(1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부동력전달부재(52 내지 58)와, 상기 이송부하우징(30)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70)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200)는 상기 골재이송부(100)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110)과, 상기 스크린(11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단부가 거치되는 스크린축(130)과, 상기 스크린축(13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선별부모터(150)와, 상기 선별부모터(150)로부터 상기 스크린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선별부동력전달부재(152)와, 상기 스크린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200)는 상기 골재이송부(100)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모터(50)와 선별부모터(150)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부재(80)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180) 상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20)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52 내지 58)와 선별부동력전달부재(152)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재이송부(100)에는 재생 골재를 세척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용 블레이드(20)와 상기 블레이드(2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축(10)이 배치된다.
상기 블레이드(20)는 이송부하우징(30) 내에 수용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20)와 이송부하우징(30)은 일정 각도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은 하부의 급수하우징(30-1)과 상부의 블레이드수용하우징(30-2)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하우징(30)에서 블레이드수용하우징(30-2)의 하부에는 하우징지지부재(36)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지지부재(36)는 상호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축(37)을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의 상단부를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지지부재(36)를 상기 이송부하우징(30) 쪽으로 굽히고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을 지면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이송부모터(50) 또는 블레이드(20) 고장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하우징(30-1) 쪽으로 재생 골재가 투입되고, 펌프(75)에 의해 물공급부재(70)로 물이 공급되며, 물과 혼합된 상태의 재생 골재를 상기 블레이드(20) 회전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물공급부재(70)를 통한 물 공급 및 상기 블레이드(20)의 회전에 의해 물에 와류가 형성되며, 이에 의해 슬러지와 각종 수지 등의 이물질들이 부유하고, 물과 함께 바로 옆의 이물질선별부(200)로 물과 함께 범람하여 이동된다.
상기 블레이드축(10)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송부모터(50)는 이송부모터지지부재(80)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상부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80)는 이송부모터지지선반(82)과 지지부(8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84)는 이송부하우징(30)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모터지지선반(82)은 상기 블레이드(20)를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블레이드(20)로부터 튀는 물이 상기 이송부모터지지선반(82)에 의해 가로막힘으로써 이송부모터(50)에 닿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부모터(50)가 이송부모터지지선반(82) 상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20)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부모터지지선반(82)에 의해 물이 튀어 묻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이송부모터(50)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면서도 전체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모터(50)로부터 상기 베어링축(1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52 내지 58)는 체인(52)과 상기 체인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라켓(53)과 한쌍의 베벨기어(56, 58)들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라켓(53)의 중심부에는 스프라켓축(54)이 결합되어, 상기 이송부모터(50)로부터의 회전력은 상기 체인(52)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축(54)으로 전달된다.
상기 스프라켓축(54)의 타단부에는 제 1 베벨기어(56)가 고정되며, 상기 블레이드축(10)의 상단부에는 제 2 베벨기어(58)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프라켓축(5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베벨기어(58)가 회전되어 상기 블레이드축(10)과 블레이드(20)가 회전된다.
상기 스프라켓축(54)은 두 개의 베어링유닛들(55)에 의해 지지되어, 장기간 작동에 의해서도 상기 스프라켓축(54)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에서 블레이드(20)들은 동시에 회전되어 재생 골재를 상방으로 이송하는데, 상기 블레이드(20)와 블레이드축(10)의 총 무게는 매우 무겁다.
따라서, 장기간 큰 하중을 상기 스프라켓축(54)에 가하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축(1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스프라켓축(54)이 굽힘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스프라켓축(54)을 한 쌍의 베어링유닛들(55)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베어링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 비해, 스프라켓축(54)의 휨 변형을 확실히 방지하여 장기간의 작동에도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축(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블레이드축베어링(14)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의 하우징에는 고리부(18)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8)에 승강부재(90)의 갈고리를 걸어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축(10)은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이며,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 하우징은 상기 급수하우징(30-1)의 벽에 형성되는 하우징지지부(32)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블레이드축(10)의 하단부와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은 상기 승강부재(90)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20) 회전 중에 크기가 큰 재생 골재가 블레이드(20)와 이송부하우징(30)의 바닥 사이에 끼어 상기 블레이드(20)가 파손되거나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의 바닥 부분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그리하여, 도 8 과 9 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축(10)의 하단부와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을 상기 승강부재(90)를 통해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 시 상기 블레이드(20) 하부로 작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위해, 상기 블레이드축(10)의 상단부에는 블레이드축(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하우징(17-1)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17-1)에는 하우징고정축(18-1)이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블레이드축(10)의 하단부가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하우징고정축(18-1)을 중심으로 블레이드축(1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 에서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 하우징에는 물주입구(16)와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상기 물주입구(16)로 물을 주입하여 내부 공간(15)으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의 과열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1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 하우징 내부에 물 유동을 위한 유동개구(15-1)가 형성된 열전달판(15)들이 배치된다.
상기 유동개구(15-1)가 블레이드축베어링(14) 하우징 내부에서 지그재그로 배치됨으로써, 물이 상기 유동개구(15-1)를 통해 유동되는 동안 상기 열전달판(15)으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축(10)과 블레이드(20)는 매우 무거운데, 상기 블레이드축(10)과 블레이드(20)가 이송부하우징(30) 내부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로 회전되므로,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은 매우 큰 하중이 작용되는 상태에서 회전 지지한다.
따라서, 장기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14)이 과열되어 베어링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축베어링(14) 하우징에 물주입구(16)를 형성하여 상기 물주입구(16)를 통해 물을 강하게 주입함으로써, 베어링의 과열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골재이송부(100)의 측부에 이물질선별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이물질선별부(200)는 상기 골재이송부(100) 내로 공급되는 물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들을 선별하기 위한 스크린(110)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110)은 철사와 같은 금속재를 망의 형태로 엮은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110)의 망을 통해 일정 크기 이하의 이물질들은 낙하되고, 보다 큰 이물질들은 상기 스크린(110) 상에 얹혀진 상태로 상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물질선별부(200)에서 상기 스크린(110)은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110)의 단부에는 스크린축(130)이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축(13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110)이 마치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상기 스크린축(130) 주위로 회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스크린(110)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스크린축(130)에는 동력전달부재(152)가 연동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린축은 아이들(Idle) 상태로 되어 상기 스크린(110)을 회전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선별부(200)에는 상기 스크린축(130)이 설치되면서 스크린(110)이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부재(12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재(120) 역시 상기 스크린(110)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부재(120) 상부에는 물분사부재(17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크린(110)이 상기 프레임부재(12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물분사부재(170)로부터 물이 분사된다.
상기 스크린(110) 단부가 거치되는 스크린축(130)에는 스크라켓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별부모터(150)로부터 상기 스크라켓으로 체인(152)을 통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선별부모터(150)는 선별부모터지지부재(18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20)의 상단부 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된다.
상기 선별부모터지지부재(180)는 선별부모터지지선반(182)과 지지부(18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84)는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모터지지선반(182)은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크린(11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110)을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크린(110)과 블레이드(20)로부터 튀는 물이 상기 선별부모터지지선반(18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선별부모터(150)에 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10) 하부에는 상기 스크린(110)을 관통하여 낙하되는 이물질을 받치기 위한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가 설치된다.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금속 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110)으로부터의 이물질들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 표면으로 낙하되고, 상기 물분사부재(170)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하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물질과 물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의 측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의 측부에는 이탈방지부(12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110)에는 소정 간격마다 브러쉬부재(112)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재(112) 역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러쉬부재(112)는 상기 스크린에 고정되는 기저부(112-1)와 상기 기저부(112-1)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브러쉬(112-2)를 포함한다.
도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축(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린(110)이 상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재(112) 역시 이동되며, 상부의 스크린축(130)을 지나는 브러쉬부재(112)는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의 표면을 쓸면서 하방으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로 낙하된 이물질들은 상기 브러쉬부재(112)에 의해 쓸려 하방으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110)을 통과하지 않는 부피가 큰 이물질은 상기 상부의 스크린축(1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유낙하하여 배출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크린(110)을 통과할 정도의 크기가 작은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물과 함께 배출되며, 비교적 크기가 큰 이물질들은 상기 상부 스크린축(130) 외부로 자유 낙하됨으로써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스크린(110) 하부에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를 배치하고, 상기 스크린(110)과 함께 브러쉬부재(112)가 이동되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 상의 이물질들을 하방으로 쓸어 이송시키도록 하며, 큰 이물질들은 상기 상부 스크린축(130) 외부로 자유낙하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물질들을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재(120)는 상기 블레이드축(10) 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프레임부재(120)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를 통해 이물질이 하방으로 물에 의해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면서도, 전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하우징(30)에 비해 길이가 짧은 프레임부재(120) 위에 배치되는 선별부모터(150)를 상기 블레이드(20)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선별부모터(150)를 상기 블레이드(20)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20) 작동 과정에 튀어오르는 물방울이 상기 선별부모터(150)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 에 도시된 상기 블레이드(20)에서 방사상 최외단부(22)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재생 골재 세척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와 이송부하우징(30)의 바닥 사이에 재생 골재가 끼이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 및 이송부하우징(30)의 바닥이 변형 또는 파손된다.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20) 회전에 의해 재생 골재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20)의 수선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를 블레이드(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분할 구성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와 이송부하우징(30)의 바닥 사이에 재생 골재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20)에는 수직형끼임방지부재(24)와 수평형끼임방지부재(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형끼임방지부재(24)는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2) 부근에서 상기 블레이드(20)의 방사상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블레이드(20) 회전 시 상기 수직형끼임방지부재(24) 역시 회전되어, 상기 이송부하우징(30)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에 유동을 일으켜 위로 뜨도록 함과 동시에, 재생 골재가 상기 블레이드(20) 최외단부(22)와 이송부하우징(30) 바닥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형끼임방지부재(26)는 상기 블레이드(20)의 최외단부(24) 부근에서 상기 브레이드축(1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되, 상기 블레이드(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연속 설치된다.
상기 수평형끼임방지부재(26)에 의해 물에 와류를 보다 강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20) 최외단부 부근으로 크기가 큰 재생 골재가 진입하여 상기 최외단부(24)와 이송부하우징(30) 바닥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의 방사상 최외단부(24)는 금속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최외단부(24)는 고무 또는 강하게 압축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소간의 탄력성과 함께 높은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은 하부의 급수하우징(30-1)과 상부의 블레이드수용하우징(30-2)을 포함한다.
상기 급수하우징(30-1)은 상기 이송부하우징(30)의 하부를 의미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급수하우징(30-1)에 물공급부재(70)가 배치된다.
상기 급수하우징(30-1) 부분에서 슬러지와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재생 골재가 투입되는데, 상기 재생 골재 투입과 함께 상기 물공급부재(70)를 통해 강하게 물을 공급하여 상기 급수하우징(30-1) 내부에서 강한 와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강하게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재생 골재 표면에 잔류하는 슬러지와 각종 이물질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슬러지가 상기 급수하우징(30-1)의 바닥으로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급수하우징(30-1)의 측벽에 와류형성부(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부(30-3)는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에서 단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형성부(30-3)를 형성하는 단은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30-1)과 예각으로 만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와류형성부(30-3)를 향하여 물을 강하게 분사 공급함으로써, 단의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와류형성부(30-3)에 의해 물이 반동되어 블레이드(20)와 부딪히도록 하여, 상기 급수하우징(30-1) 내에서 강한 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강하게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상기 급수하우징(30-1) 내로 투입되는 재생 골재로부터 슬러지와 각종 이물질들을 보다 완벽히 분리하여 물과 함께 상기 이물질선별부(20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린(110)의 하부에는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가 배치된다.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는 상기 스크린(110)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가 스크린(110)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는 상기 스크린(110)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110)과 함께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가 이동되어, 상기 스크린축(130)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스크린(110)으로 전달된다.
그리하여, 망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스크린(110)에 부착되는 이물질들이 진동에 의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로 보다 원활히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가 상기 프레임부재(1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1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와 접촉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스크린(110)에 진동이 발생되어 이물질들이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125)로 보다 원활히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와 스크린축(130) 또는 스크린(110) 간의 접촉 과정에서 보다 큰 진동이 발생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은 도 14 에서와 같이, 봉의 형태로 구성되는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 표면에서 나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15 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블레이드축
20: 블레이드
30: 이송부하우징
50: 이송부모터
52, 53, 54, 56, 58: 동력전달부재
70: 물공급부재
100: 골재이송부
110: 스크린
120: 프레임부재
130: 스크린축
150: 선별부모터
170: 물분사부재
200: 이물질선별부

Claims (23)

  1. 골재를 세척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골재이송용 블레이드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골재이송부와;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되는 이물질을 분리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선별부를 포함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로서,
    상기 골재이송부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축과;
    상기 블레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골재를 이송하는 골재이송용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축과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이송부하우징과;
    상기 블레이드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이송부모터와;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이송부하우징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로부터 물과 함께 전달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재와;
    상기 스크린의 단부가 거치되는 스크린축과;
    상기 스크린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선별부모터와;
    상기 선별부모터로부터 상기 스크린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선별부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스크린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분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선별부는 상기 골재이송부의 측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모터와 선별부모터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부재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 상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와 선별부동력전달부재는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축의 상단부에는 블레이드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에는 하우징고정축이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축의 하단부가 상하로 승강되어 상기 하우징고정축을 중심으로 블레이드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축의 하단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축을 회전지지하기 위한 블레이드축베어링이 결합되되,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과 상기 블레이드축은 상기 이송부하우징의 지지부로부터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미리 지정된 간격마다 브러쉬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브러쉬부재가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스크린에 고정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부에는 이물질지지이송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가 상기 이물질지지이송부재 상의 이물질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축베어링에는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물주입구로 물을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축에 고정되는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제 1 베벨기어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모터로부터 상기 제 2 베벨기어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축은 두 개의 베어링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서 방사상 최외단부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블레이드의 진행 방향을 따라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접하여 하부에는 스크린접촉지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하우징에는 상기 블레이드축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하우징 하부에는 하우징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지지부재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하우징은 하부의 급수하우징과 상부의 블레이드수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에는 와류형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방사상 방향을 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수직형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축보다 큰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는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에서 단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와류형성부를 향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는 상기 스크린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접촉지지부재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방사상 최외단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모터는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블레이드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선별부모터는 상기 선별부모터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와 선별부모터지지부재는 각각 이송부모터지지선반과 선별부모터지지선반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모터지지선반과 선별부모터지지선반이 각각 상기 블레이드와 스크린을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모터지지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이송부하우징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선별부모터지지부재의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는 브레이드축 방향을 향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형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부를 형성하는 단은 상기 급수하우징의 측벽과 예각으로 만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골재 세척장치.
  22. 삭제
  23. 삭제
KR1020170018179A 2017-02-09 2017-02-09 재생 골재 세척장치 KR10179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179A KR101795338B1 (ko) 2017-02-09 2017-02-09 재생 골재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179A KR101795338B1 (ko) 2017-02-09 2017-02-09 재생 골재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38B1 true KR101795338B1 (ko) 2017-11-07

Family

ID=6038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179A KR101795338B1 (ko) 2017-02-09 2017-02-09 재생 골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3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8044A (zh) * 2021-10-08 2021-12-17 浙江武精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螺旋输送式洗砂机内部水箱的漂浮物清理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84B1 (ko) * 2012-11-01 2013-04-19 대길산업주식회사 탄성부재진동털이기가 부착된 진동선별장치
KR101401989B1 (ko) * 2013-07-19 2014-05-30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폐 건축 골재 재생장치의 토분 분리형 세척수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484B1 (ko) * 2012-11-01 2013-04-19 대길산업주식회사 탄성부재진동털이기가 부착된 진동선별장치
KR101401989B1 (ko) * 2013-07-19 2014-05-30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폐 건축 골재 재생장치의 토분 분리형 세척수 저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8044A (zh) * 2021-10-08 2021-12-17 浙江武精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螺旋输送式洗砂机内部水箱的漂浮物清理机构
CN113798044B (zh) * 2021-10-08 2023-07-18 浙江武精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螺旋输送式洗砂机内部水箱的漂浮物清理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56420B1 (ko) 건설폐기물에서 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및 그 방법
JP4685195B2 (ja) コンクリート廃材の再生利用装置
KR1008798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 중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50101B1 (ko)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KR101795338B1 (ko) 재생 골재 세척장치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545927B1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110586629B (zh) 垃圾粗处理方法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56750B1 (ko) 폐전선 선별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1219129B1 (ko) 고철 선별장치
KR101693006B1 (ko) 매립폐기물 선별방법
KR20120002198A (ko) 모바일 스크린 플랜트
KR101785218B1 (ko) 폐기물선별장치로 투입되는 폐기물을 정량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는 정량공급장치
KR101004738B1 (ko) 순환골재 박리장치
KR101750252B1 (ko) 다단 골재 박리기
CN218078359U (zh) 一种建筑固废分离输送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