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946B1 - 배관용 동흡진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동흡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946B1
KR101794946B1 KR1020150190323A KR20150190323A KR101794946B1 KR 101794946 B1 KR101794946 B1 KR 101794946B1 KR 1020150190323 A KR1020150190323 A KR 1020150190323A KR 20150190323 A KR20150190323 A KR 20150190323A KR 101794946 B1 KR101794946 B1 KR 10179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lock
mass
elastic block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584A (ko
Inventor
이규호
박철준
김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5019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94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4Frequency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체인 배관(P)의 외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 탄성재질의 탄성블럭(10)과, 상기 탄성블럭(10)의 외면을 감싸 상기 탄성블럭를 배관(P) 방향으로 가압하여 배관(P)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 질량블럭(30)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블럭(10)이 상기 배관(P)의 진동을 질량블럭(30)에 전달하면 상기 질량블럭(30)의 진동수가 상기 배관(P)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되어 흡진된다. 본 발명의 배관용 동흡진장치는 탄성체로 고무재질인 탄성블럭(10)을 사용하는데, 탄성블럭(10)은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방향이 아닌 3축 방향으로 모두 진동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배관용 동흡진장치{Dynamic vibration absorber for pipe}
본 발명은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에 결합되어 배관에서 발생되는 3방향의 진동제어가 가능한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변전소 및 플랜트와 같은 설비는 다양한 유체를 이동시키고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 운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활용하는 설비 특성상 대부분의 기계요소가 배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대형 생산 설비 외에도, 일반 대형 건물이나 산업/주거 현장에도 용수 이동용 펌프 및 배관계가 지하로부터 시작하여 건물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즉 배관계는 산업 및 주거 현장에서 인체의 혈관처럼 각 기기/설비를 연결하고, 설비 운전 최적화를 유지하는 주요 부분이다.
그리고, 배관의 구조, 온도 및 압력 조건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배관내의 수격현상(water hammering), 공동현상(cavitation), 압력 맥동과 더불어 기계 구조물의 주기적 조화 진동(harmonic vibration)에 의한 배관 시스템의 진동 등은 배관계에 과도한 진동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감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면, 배관계의 진동은 배관 내 유체가 외부적인 영향으로 급격한 온도, 압력 변화를 나타낼 때, 배관 내부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상태변화가 관을 자극(가진)할 때, 또한 유체 흐름 특성이 배관 고유 진동수를 가진할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진동이 커질 경우, 배관계에 이상이 발생하고, 심할 경우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배관의 연결부 피로파괴나 이를 통한 누유 및 가수누출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동흡진장치(dynamic vibration absorbers)가 개발되어 배관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동흡진장치는 단방향의 진동에만 효과가 있어 현실적으로 다방향으로 발생하는 배관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대형 배관 구조물에서 밸브, 펌프와의 연성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주파수 진동 저감이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또한 종래의 동흡진장치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은 반복하중에 의해 변형될 가능성이 있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7089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동흡진장치를 이용하여 다방향으로 발생 가능한 배관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하중에 의한 특성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스프링을 배제한 탄성체 및 질량체로 구성된 동흡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진동체인 배관의 외면 일부를 감싸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 탄성재질의 탄성블럭과, 상기 탄성블럭의 외면을 감싸 상기 탄성블럭을 배관 방향으로 가압하여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 질량블럭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블럭이 상기 배관의 진동을 질량블럭에 전달하면 상기 질량블럭의 진동수가 상기 배관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되어 흡진된다.
상기 탄성블럭 및 질량블럭의 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상기 배관의 가진진동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탄성블럭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재질로 만들어지되 전체가 균일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탄성블럭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탄성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질량블럭은 상기 탄성블럭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질량몸체로 구성되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질량블럭이 서로 결합되는 일단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체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질량몸체의 결합부에는 결합핑거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핑거는 상대 질량몸체의 결합핑거와 엇갈려 결합되며, 상기 결합핑거에는 체결핀이 통과하는 핑거홀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블럭의 중심에 형성된 배관홀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질량블럭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홀의 직경은 상기 탄성블럭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관용 동흡진장치는 탄성체로 고무재질인 탄성블럭을 사용하는데, 탄성블럭은 방향성이 없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방향이 아닌 3축 방향으로 모두 진동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동흡진장치를 이용하여 배관의 진동제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진동제어를 위한 부품수가 줄어들고 설치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탄성체로 스프링이 아닌 고무재질의 탄성블럭을 이용함으로써 배관의 진동이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이를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반복하중에 의한 소성변형이 적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진동수를 제어하는데 있어 질량블럭 뿐만 아니라 탄성블럭 자체의 강성도 이용가능하므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질량블럭의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탄성블럭을 배관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나 체결장치 없이도 간편하게 설치/해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방향성 없이 조립할 수 있어 설치편의성과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의 일실시례가 배관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의 서로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는 배관계, 즉 내부로 유체가 흐르는 배관(P) 및 파이프 형태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배관(P)과 연계된 구조물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전압이 가해지면, 이는 배관(P)의 공진으로 이어져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동흡진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는 크게 탄성블럭(10)과 질량블럭(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블럭(10)은 배관(P)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질량블럭(30)은 탄성블럭(10)의 외면을 감싸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블럭(10)은 진동체인 배관(P)의 외면 일부를 감싼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블럭(10)은 대략 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으로 배관(P)이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블럭(10)은 배관(P)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블럭(10)은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그 재질 자체가 탄성재질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블럭(10)은 특정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이 아닐, 무방향성으로 탄성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블럭(10)은 도 1의 x,y,z축 모든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이에 대한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복원될 수 있는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블럭(10)은 전체가 균일하게 만들어져 방향성이 없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탄성블럭(10)은 서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럭(10)은 상기 배관(P)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탄성몸체(11,13)를 갖는 것인데, 상기 탄성몸체(11,13)가 결합되면 중심에 배관홀(11',13')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홀(11',13')을 배관(P)이 통과하는 형태가 된다. 상기 탄성블럭(10)은 각각 동일한 고무재질이며, 이와 같인 탄성블럭(10)이 두 개의 탄성몸체(11,13)를 가짐으로써 배관(P)에 보다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탄성블럭(10)의 외주면은 질량블럭(30)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질량블럭(30)은 상기 탄성블럭(10)을 상기 배관(P)에 압착시킨 후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블럭(10)을 배관(P)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질량블럭(30)은 상기 탄성블럭(10)과 마찬가지로 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질량블럭(30)은 질량체로서, 상기 배관(P)의 진동이 질량블럭(30)에 전달되면 상기 질량블럭(30)의 진동수가 상기 배관(P)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되어 흡진되도록 함으로써 제진(制振)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질량블럭(30)은 일정 이상의 질량을 갖도록 형성되며, 밀도가 높은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0)은 상기 탄성블럭(10)과 마찬가지로, 상기 배관(P)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질량블럭(30)은 상기 탄성블럭(10)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질량몸체(31,33)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질량블럭(30)은 한 쌍의 질량몸체(31,33)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대략 반원형태의 외형을 갖고,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힌지는 상기 질량몸체(31,33)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힌지핀(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한 쌍의 질량블럭(30)이 서로 결합되는 일단은 힌지핀(5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체결구인 체결핀(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질량블럭(30)이 탄성블럭(10)을 배관(P)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거나, 이를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질량블럭(30)의 결합부는 상대 질량몸체(31,33)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개의 결합핑거(32,35)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핑거(32,35)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다수개가 돌출되는데, 상기 한 쌍의 질량몸체(31,33)에는 서로 상보적인 위치에 결합핑거(32,35)가 구비되어 엇갈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32,35)에 형성된 핑거홀(도면부호 미부여)에는 상기 체결핀(50')이 통과함으로써 이들 사이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동흡진장치는 3방향으로 모두 흡진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동흡진장치가 x,y,z축을 기준으로 각각 좌우대칭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은 각각 y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이며, z축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대칭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은 각각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대칭형상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의 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상기 배관(P)의 가진진동수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진동체인 배관(P)의 가진진동수와 같도록 만들어 진동을 없애거나, 적어도 대부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의 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배관(P)의 특성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관(P)의 형태, 재질, 두께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와 함께 상기 배관(P)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진동을 가할 수 있는 요소의 주파수(예를 들어 60hz 또는 120hz) 등이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질량블럭(30)과 탄성블럭(10)의 고유진동수가 결정될 수 있다. 고유진동수는 아래와 같이, 강성(k)과 질량(m)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Figure 112015129083519-pat00001
여기서 질량(m)은 탄성블럭(10)과 질량블럭(30)의 합계로 구해지거나 또는 질량블럭(30)만의 질량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질량과 강성의 변경은 탄성블럭(10) 또는 질량블럭(30)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변경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도 5 또는 도 6에서와 같이 전체 높이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전체 직경을 감소시키는 등의 변경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블럭(10)의 중심에 형성된 배관홀(11',13')의 직경은 상기 배관(P)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질량블럭(30)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홀의 직경은 상기 탄성블럭(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블럭(10)의 배관홀(11',13') 주변은 상기 배관(P) 외면에 어느 정도 압축되면서 밀착되고, 탄성블럭(10)의 외주면 역시 상기 질량몸체(31,33)의 결합홀에 어느 정도 압축되면서 밀착된다. 이에 따라 탄성블럭(10)은 배관(P)의 진동을 질량블럭(30)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뿐 아니라, 탄성블럭(10) 자체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동흡진장치를 조립한 후에 사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탄성블럭(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몸체(11,13)는 배관(P)의 외면을 감싸면서 서로 밀착되어, 링형태로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탄성몸체(11,13)의 외주면을 질량몸체(31,33)가 감싸는데, 상기 질량몸체(31,33)는 그 일단이 분리된 상태로 힌지핀(50)을 중심으로 반대편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탄성몸체(11,13)를 감싼다.
물론, 이에 앞서 상기 한 쌍의 탄성몸체(11,13)는 각각 상기 질량몸체(31,33)의 내면에 결합된 상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탄성몸체(11,13)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질량몸체(31,33)에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상기 배관(P)에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블럭(10)의 배관홀(11',13')의 직경은 상기 배관(P)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질량블럭(30)의 결합홀의 직경은 상기 탄성블럭(10)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상기 탄성블럭(10)은 상대적으로 강체인 배관(P)과 질량블럭(30) 사이에 강하게 압착된다. 따라서 탄성블럭(10) 자체의 강성이 높아진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 쌍의 질량몸체(31,33)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엇갈린 상태가 된 결합핑거(32,35)의 핑거홀에 체결핀(50')이 통과하면 이들 사이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질량블럭(30)의 힌지구조를 이용하여 탄성블럭(10)을 배관(P)방향으로 압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나 체결장치 없이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반대로 쉽게 해체할 수 있다. 또한,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 모두 방향성 없이 배관(P)에 조립될 수 있다.
한편, 질량블럭(30) 및 탄성블럭(10)이 배관(P)에 결합되면, 배관(P)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킨다. 즉,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외력,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의 전류 등이 인가될 때, 상기 외부의 주파수가 배관(P)이 갖고 있는 고유진동수와 대응함으로써 배관(P)이 공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가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관(P)의 고유진동수가 질량블럭(30)의 질량에 의해 증가하게 되고, 두 개의 고유진동수 영역 사이에 진폭이 0이되는 주파수대가 발생함으로써 진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질량블럭(30)에 의한 고유진동수가 외부에서 가해져 발생하는 진동수와 일치하면, 모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진동체인 배관(P)의 가진진동수와 같도록 만들어 진동을 없애거나, 적어도 대부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블럭(10) 및 질량블럭(30)의 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상기 배관(P)의 가진진동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질량블럭(30)과 탄성블럭(10) 모두 대략 링형태의 구조를 갖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질량블럭(30)과 탄성블럭(10)은 모두 구형태로 형성되어 배관(P)에 결합될 수도 있다.
10: 탄성블럭 11,13: 탄성몸체
30: 질량블럭 31,33: 탄성몸체
32,35: 결합핑거 50: 힌지핀
50': 체결핀

Claims (7)

  1. 진동체인 배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상하 및 좌우 대칭되는 원통형상을 갖되 그 내면 전체가 배관의 외면에 밀착되는 탄성재질의 탄성블럭과,
    상기 탄성블럭의 외면을 감싸 상기 탄성블럭을 배관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상기 배관에 고정되어 상기 탄성블럭을 배관에 결합시키고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원통형상을 갖는 질량블럭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블럭이 상기 배관의 진동을 질량블럭에 전달하면 상기 질량블럭의 진동수가 상기 배관의 고유진동수에 동조되어 흡진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럭 및 질량블럭의 결합체의 고유진동수는 상기 배관의 가진진동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럭은 고무 또는 합성고무재질로 만들어지되 전체가 균일하게 만들어지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럭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탄성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질량블럭은 상기 탄성블럭을 사이에 두고 결합하는 한 쌍의 질량몸체로 구성되되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질량블럭이 서로 결합되는 일단은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체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몸체의 결합부에는 결합핑거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결합핑거는 상대 질량몸체의 결합핑거와 엇갈려 결합되며, 상기 결합핑거에는 체결핀이 통과하는 핑거홀이 형성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블럭의 중심에 형성된 배관홀의 직경은 상기 배관의 외경보다 작고, 상기 질량블럭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홀의 직경은 상기 탄성블럭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배관용 동흡진장치.
KR1020150190323A 2015-12-30 2015-12-30 배관용 동흡진장치 KR10179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23A KR101794946B1 (ko) 2015-12-30 2015-12-30 배관용 동흡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323A KR101794946B1 (ko) 2015-12-30 2015-12-30 배관용 동흡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84A KR20170079584A (ko) 2017-07-10
KR101794946B1 true KR101794946B1 (ko) 2017-11-07

Family

ID=5935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323A KR101794946B1 (ko) 2015-12-30 2015-12-30 배관용 동흡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9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84A (ko) * 2021-03-04 2022-09-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51383A (ja) *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日立インダストリアルプロダクツ 立軸ポンプ
KR20220034468A (ko)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바이엠솔루션 동흡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139Y2 (ja) * 1990-11-20 1997-07-09 株式会社大林組 配管の振動減衰装置
JP2005030466A (ja) * 2003-07-10 2005-02-03 Toyo Tire & Rubber Co Ltd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2011183998A (ja) 2010-03-10 2011-09-22 Honda Motor Co Ltd 燃料配管構造
JP2014126122A (ja) 2012-12-26 2014-07-07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振動の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1139Y2 (ja) * 1990-11-20 1997-07-09 株式会社大林組 配管の振動減衰装置
JP2005030466A (ja) * 2003-07-10 2005-02-03 Toyo Tire & Rubber Co Ltd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2011183998A (ja) 2010-03-10 2011-09-22 Honda Motor Co Ltd 燃料配管構造
JP2014126122A (ja) 2012-12-26 2014-07-07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振動の抑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884A (ko) * 2021-03-04 2022-09-1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KR102540455B1 (ko) 2021-03-04 2023-06-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84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946B1 (ko) 배관용 동흡진장치
EP3273089B1 (en) Vibration-damping device
JP4122223B2 (ja) 配管直列型液撃防止器
KR101413152B1 (ko) 마찰감소용 볼을 구비한 구 관절 및 델타로봇
US6478053B2 (en) Pressure-pulsation-damping fluid supply conduit
CN105518358B (zh) 凸边密封件以及包括这种密封件的连接装置
WO2009129901A1 (en) Frequency tuned damper
KR102178278B1 (ko) 배관용 제진 장치
KR20130089363A (ko) 배관 진동 저감 장치
JP2017044220A (ja) 防振装置
RU2362064C1 (ru) Тарельчатый равночастотный элемент
CN111356538B (zh) 带有阻尼的超声振动单元
KR101970172B1 (ko) 배관용 내진 슬립 조인트
JP2015137727A (ja) 壁貫通配管のシール装置
RU2459998C1 (ru) Гаситель колебаний давления
RU2509931C1 (ru) Средство поглощения вибрации
CN110030456A (zh) 一种压力容器管道密封隔振装置
CN103994300B (zh) 三向管道动力吸振器及其管道振动噪声控制方法
RU22087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шения вибраций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20507044A (ja) 連結装置
RU24772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пресса
CN113864531B (zh) 一种液压挖掘机管路三向多层阻尼减振装置及匹配方法
US20110187033A1 (en) Bellows-type shock-absorbing device
RU2491452C2 (ru) Амортизатор
CN204476877U (zh) 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