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4468A - 동흡진장치 - Google Patents
동흡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4468A KR20220034468A KR1020200116870A KR20200116870A KR20220034468A KR 20220034468 A KR20220034468 A KR 20220034468A KR 1020200116870 A KR1020200116870 A KR 1020200116870A KR 20200116870 A KR20200116870 A KR 20200116870A KR 20220034468 A KR20220034468 A KR 20220034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s block
- absorption device
- base
- housing
- dynamic absorp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흡진장치이다. 진동원인 배관(P)에 장착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된 베이스(10)에 탄성체(30)가 있고, 상기 탄성체(30)와 일체로 동작되는 장착판(32)에는 다수개의 질량블럭(38)이 설치될 수 있는 장착홈(34)이 있다. 상기 장착홈(34)에 필요한 갯수의 질량블럭(38)을 설치하여 진동원의 가진 진동수와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하도록 하여 진동을 없앤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흡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변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설비에서는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배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성하고, 이를 운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거나 활용하는 설비의 특성상 대부분의 기계요소가 배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반 대형건물이나 산업현장 등에도 용수 이동용 펌프 및 배관계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배관계는 다양한 현장에서 기기/설비 사이를 연결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배관계에서는, 배관의 구조, 온도 및 압력 조건 등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배관 내의 수격현상, 공동현상, 압력 맥동뿐만 아니라 모터나 기어 등의 회전체 기계 구조물의 주기적 조화 진동에 의해 배관계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계의 진동은 배관 내의 유체가 외부적인 영향으로 급격한 온도, 압력 변화를 나타낼 때, 배관 내부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상태변화가 관을 자극할 때, 또한 유체 흐름 특성이 배관 고유 진동수를 가진할 경우에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진동이 커질 경우, 배관계에 이상이 발생하고, 심한 경우 진동 피로로 배관의 파손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관용 동흡진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배관에 사용되는 동흡진장치는 한 번 설치되고 나면, 해당 설계 조건에서 계속해서 사용될 수 밖에 없는데, 실제로는 동흡진장치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고무의 재질이 변질되어 최초의 진동특성과 다른 특성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어, 동흡진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동흡진장치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야외에 설치되어 주변 환경(햇빛, 기온 등)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주변 환경에 동흡진장치가 노출되면 노후되어 동흡진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흡진장치의 동작 주파수 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흡진장치에서 질량블럭으로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변경할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흡진장치를 구성하는 탄성체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량블럭이 있어서 동흡진장치의 장착판에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는 진동원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고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가 장착된 반대면에 위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에 부착되어 고유진동수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량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를 진동원에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에는 일측 가장자리로 개방되게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질량블럭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의 폭방향 적어도 일단에는 걸이채널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질량블럭에는 상기 걸이채널에 걸어지는 걸이날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의 전면에는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과 상기 장착판은 자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탄성체, 장착판, 질량블럭을 외부와 차폐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전면커버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면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동흡진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는 착탈 가능한 질량블럭을 다수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진동원의 다양한 고유진동수에 맞춰서 질량블럭을 설치할 수 있어서, 다양한 진동원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에서는 오랜 사용으로 인해 동흡진장치가 장착된 진동원의 상태가 달라질 경우, 이에 맞춰서 질량블럭을 교체하면 동흡진장치의 기능이 최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질량블럭에 자석이 있어서, 장착판의 걸이홈 내에 틈새없이 장착될 수 있어서, 질량블럭이 제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발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서는 동흡진장치의 구성요소를 하우징과 전면커버로 외부 환경과 차폐하여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동흡진장치의 베이스에 고정부와 함께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하우징의 설치구조가 단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동흡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배면에서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질량블럭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질량블럭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차폐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과 전면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가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보이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배면에서 보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질량블럭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질량블럭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를 외부환경으로부터 차폐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우징과 전면커버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가 하우징과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보이는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동흡진장치에는 베이스(10)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본 실시례에서는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진동원인 배관(P)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형상이나 크기가 달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에는 배관(P) 또는 진동원에의 설치를 위한 고정구(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의 배관(P)을 둘러쌀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느 정도 유연한 성질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상기 고정구(20)가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구(20)에는 상기 배관(P)의 외면을 적어도 절반 이상 둘러감싸는 고정몸체(22)가 있을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22)는 횡단면이 아치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22)의 양단부에는 소정 폭으로 된 고정편(2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편(24)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편(24)에는 다수개의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6)을 관통하여 나사와 같은 체결구(28)가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는 탄성체(3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가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것은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의 예로서 EPDM이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면 전체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져서 그 두께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의 전면에는 장착판(3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32)은 상기 탄성체(30)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32)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장착판(32)에는 장착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홈(34)은 본 실시례에서는 장착판(32)의 상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장착홈(34)은 상기 장착판(32)의 양측단 중 어느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징착홈(34)의 양단을 따라서는 걸이채널(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36)은 장착홈(34)의 길이방향 중심선에서 멀어질 수도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채널(36)은 상기 장착홈(34)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더 오목하게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걸이채널(36)의 횡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걸이채널(36)의 횡단면 형상은 사각형이나 반원형 등 아래에서 설명될 질량블럭(38)의 폭방향 단부가 걸어질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장착홈(34)에는 질량블럭(38)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6)은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특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질량블럭(3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6)은 각각의 것이 질량이 다를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질량블럭(36)이 동일한 질량을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질량블럭(36)이 모두 동일한 크기로 되어 있지만, 상기 질량블럭(36)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져서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지는 것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의 형상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의 외관과 골격을 블럭몸체(40)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4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40)의 횡단면 형상은 사다리꼴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40)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홈(34)의 걸이채널(36)에 위치되는 걸이날개(4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42)가 상기 걸이채널(36)에 위치됨에 의해 상기 질량블럭(38)이 상기 장착홈(34)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날개(42)의 횡단면 형상은 상기 걸이채널(36)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와 다른 예로서, 상기 질량블럭(38)의 걸이날개(42)가 블럭몸체(40)의 일측에만 있고, 상기 장착홈(34)의 걸이채널(36)도 역시 상기 걸이날개(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만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될 자석(44)이 상기 질량블럭(38)이나 상기 장착판(32)에 있으면 장착홈(34)에의 상기 질량블럭(38)의 고정상태가 더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에는 자석(44)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자석(44)은 상기 질량블럭(38)을 상기 장착판(32)의 장착홈(34) 내면에 유격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이 상기 자석(44)에 의해 상기 장착판(32)에 유격없이 고정됨에 의해 동흡진장치의 성능이 보다 완벽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석(44)은 상기 질량블럭(38)이 아닌 상기 장착판(32)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에는 이동홈(4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45)은 상기 블럭몸체(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45)은 작업자의 손가락이나 공구가 위치되어 상기 질량블럭(38)을 상기 장착홈(34) 내에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홈(45)의 위치는, 다르게는 상기 질량블럭(38)의 전면 하단 가장자리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동홈(45)은 상하로 인접하는 질량블럭(38)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도록 상기 블럭몸체(40)의 상면이나 하면에 약간의 경사를 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다른 실시례의 질량블럭(38')이 도시되어 있다. 이 질량블럭(38')은 상기 블럭몸체(40)의 전면이 상대적으로 돌출된 돌출부(4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46)는 상기 장착판(32)의 장착홈(34)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6)가 질량블럭(38')에 있음으로 해서, 상기 장착홈(34)의 체적은 상대적으로 줄어 들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블럭몸체(40)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질량블럭(38')의 나머지 구조는 위에서 설명된 질량블럭(38)과 유사하므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의 내후성(Weathering)을 높이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를 실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후, 기상, 환경 인자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동흡진장치의 내후성을 높이기 위해 하우징(50)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10), 탄성체(30), 장착판(32), 질량블럭(38) 등을 외부와 격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고정구(2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28)로 동시에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52)에 상기 베이스(10), 탄성체(30), 장착판(32), 질량블럭(38)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상부를 상판(54)이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상판(54)의 양단에 직교하게 측판(56)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측판(5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커버(60)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57)이 선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54)과 측판(56)에 직교하게 상기 하우징(50)의 배면을 형성하도록 배면판(5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면판(58)에는 개구부(58')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20)가 하우징(50)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면판(58)에는 상기 체결구(28)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의 하부를 바닥판(59)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60)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닥판(59)이 없는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52)으로 전달될 수 있기는 하지만, 자외선이나 강우는 직접 내부공간(52)으로 전달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하우징(50)의 전면에는 별도의 전면커버(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0)는 상기 하우징(50)의 일 구성요소로 볼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0) 대신에 힌지로 하우징(50)에 결합된 도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커버(60)는 상기 하우징(50) 전면의 개방된 부분의 형상과 대응되는 판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6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우징(50)의 걸림턱(57)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레버(6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걸이레버(62)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에 걸이턱(64)이 있어서, 상기 걸림턱(57)에 걸어져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을 형성하는 재질은 합성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외선의 영향을 받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60)에 포함되는 상기 전면커버(60)도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동흡진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원인 배관(P)에 상기 고정구(2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가 상기 배관(F)을 감싸고, 상기 고정구(20) 양단의 고정편(24)이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체결구(2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의 상하방향 중심이 상기 배관(P)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지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20)가 상기 배관(P)의 외면을 적어도 절반 이상 감싸도록 되어 상기 배관(P)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20)가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체결구(28)에 의해 상기 하우징(50)도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8)는 상기 고정구(20)의 관통공(26)과 하우징(50)의 관통공(58")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에 상기 베이스(10), 탄성체(30), 장착판(32), 질량블럭(38) 등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32)의 장착홈(34)에는 상기 질량블럭(38)이 설치되는데, 상기 질량블럭(38)은 진동원인 상기 배관(P)의 가진 진동수에 대응하여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가 상기 배관(P)의 가진 진동수와 일치하도록 상기 질량블럭(38)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질량블럭(38)의 질량, 갯수 등을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만약, 사용중에 상기 배관(P)의 가진 진동수가 달라진다면, 상기 질량블럭(38)을 교체하여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를 달리 설정한다. 또한, 오랜 사용에 의해 동흡진장치의 고유진동수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를 조정하기 위해 추가의 질량블럭(38)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질량블럭(38)을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동흡진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간단하게 보이고 있다. 상기 배관(P)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베이스(10)를 통해서 상기 탄성체(30)로 전달되고, 다시 상기 탄성체(30)에 장착된 장착판(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질량블럭(38)을 포함하는 장착판(32)의 고유진동수가 상기 배관(P)의 가진진동수와 같도록 설정함에 의해 진동을 없애거나 적어도 대부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질량블럭(38)이 자석(44)에 의해 상기 장착판(32)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착판(32)과 질량블럭(38) 사이의 밀접 접촉을 만들어서 이들이 일체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진동흡수를 위한 동작이 보다 정확하고 확실하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베이스(10), 탄성체(30), 장착판(32), 질량블럭(38) 등을 외부와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환경의 영향이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으로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에 있는, 특히 탄성체(30)가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50)을 사용한 외부 환경의 차단은 동흡진장치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질량블럭(38)을 교체하거나 추가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커버(60)를 상기 하우징(5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하우징(50)의 내부공간(52)을 전방으로 개방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질량블럭(38)을 추가로 상기 장착홈(34)에 장착하거나, 기존의 질량블럭(38)을 제거하여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량을 추가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추가의 질량블럭(38)을 상기 장착홈(34)에 장착한다. 질량블럭(38)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의 질량블럭(38)을 장착홈(34)에서 분리해 내고, 새로운 질량블럭(38)을 장착홈(34)에 장착한다.
상기 장착홈(34) 내에서의 상기 질량블럭(38)의 이동은 상기 이동홈(45)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손가락 또는 공구를 상기 이동홈(45)에 위치시켜 질량블럭(38)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질량블럭(38)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질량블럭(38)이 장착홈(34)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여, 질량블럭(38)의 교체와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질량블럭(38)이 장착홈(34)에서 이동하는 것은 상기 걸이날개(42)가 상기 걸이채널(36) 내에서 이동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장착홈(34)의 상단으로 가서 장착홈(34)에서 상기 질량블럭(38)이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20: 고정구
22: 고정몸체 24: 고정편
26: 관통공 28: 체결구
30: 탄성체 32: 장착판
34: 장착홈 36: 걸이채널
38, 38': 질량블럭 40: 블럭몸체
42: 걸이날개 44: 자석
45: 이동홈 46: 돌출부
50: 하우징 52: 내부공간
54: 상판 56: 측판
57: 걸림턱 58: 배면판
58': 개구부 58": 관통공
59: 바닥판 60: 전면커버
62: 걸이레버 64: 걸이턱
22: 고정몸체 24: 고정편
26: 관통공 28: 체결구
30: 탄성체 32: 장착판
34: 장착홈 36: 걸이채널
38, 38': 질량블럭 40: 블럭몸체
42: 걸이날개 44: 자석
45: 이동홈 46: 돌출부
50: 하우징 52: 내부공간
54: 상판 56: 측판
57: 걸림턱 58: 배면판
58': 개구부 58": 관통공
59: 바닥판 60: 전면커버
62: 걸이레버 64: 걸이턱
Claims (9)
- 진동원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고정되고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가 장착된 반대면에 위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에 부착되어 고유진동수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량블럭을 포함하는 동흡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진동원에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동흡진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에는 일측 가장자리로 개방되게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상기 질량블럭이 설치되는 동흡진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폭방향 적어도 일단에는 걸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질량블럭에는 상기 걸이채널에 걸어지는 걸이날개가 구비되는 동흡진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블럭의 전면에는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동흡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블럭과 상기 장착판은 자석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동흡진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탄성체, 장착판, 질량블럭을 외부와 차폐하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동흡진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동흡진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전면커버가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동흡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870A KR20220034468A (ko) | 2020-09-11 | 2020-09-11 | 동흡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6870A KR20220034468A (ko) | 2020-09-11 | 2020-09-11 | 동흡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4468A true KR20220034468A (ko) | 2022-03-18 |
Family
ID=8093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6870A KR20220034468A (ko) | 2020-09-11 | 2020-09-11 | 동흡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34468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2076A (ko) | 2009-11-12 | 2011-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
KR20170079584A (ko) | 2015-12-30 | 2017-07-10 | 주식회사 효성 | 배관용 동흡진장치 |
-
2020
- 2020-09-11 KR KR1020200116870A patent/KR202200344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52076A (ko) | 2009-11-12 | 2011-05-18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
KR20170079584A (ko) | 2015-12-30 | 2017-07-10 | 주식회사 효성 | 배관용 동흡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96920B1 (en) | Enclosure for sealing | |
US20160113126A1 (en) | Cabinet | |
BR112014032030B1 (pt) | Sistema de movimentação rotacional de um rastreador solar, e, dispositivo de rastreamento solar | |
US11665838B2 (en) | Outer box and outdoor equipment with the same | |
KR20220034468A (ko) | 동흡진장치 | |
KR100929622B1 (ko) | 투명 방음판 어셈블리 | |
KR102356112B1 (ko) | 건축용 통신단자함 방수구조 | |
CN109099565B (zh) | 控制盒及具有其的控制器组件和空调室外机 | |
US10816228B2 (en) | Air-conditioning outdoor machine | |
US20130229028A1 (en) | Water resistant apparatus | |
KR101494358B1 (ko) | 중량부 밸브판을 구비하는 소음저감형 소형 보일러용 이중 체크 밸브 | |
CN112673180B (zh) | 连接装置和设置有这种连接装置的箱式设备 | |
JP5224406B2 (ja) | 配管の壁部貫通構造、配管の壁部貫通部材、および壁部への貫通配管固定方法 | |
KR100929623B1 (ko) | 터널형 방음벽 | |
US7699537B2 (en) | Optical por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EP3591220A1 (en) | Wind turbine | |
KR100839144B1 (ko) | 수위확인장치를 갖는 물탱크 | |
CN208040237U (zh) | 自锁式设备维护窗 | |
KR20220131035A (ko) | 소음저감장치 | |
RU2750857C2 (ru) | Узел кожуха и контрольно-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его | |
KR101599877B1 (ko) | 태양광 패널 고정 장치 | |
KR102426313B1 (ko) | 정수기 | |
CN210487102U (zh) | 机箱测温组件 | |
CN220852445U (zh) | 一种气膜建筑用便于安装的组合式风道 | |
CN220668760U (zh) | 一种方便安装的管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