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455B1 -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 Google Patents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455B1
KR102540455B1 KR1020210028539A KR20210028539A KR102540455B1 KR 102540455 B1 KR102540455 B1 KR 102540455B1 KR 1020210028539 A KR1020210028539 A KR 1020210028539A KR 20210028539 A KR20210028539 A KR 20210028539A KR 102540455 B1 KR102540455 B1 KR 10254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ntact
intermediate mass
piping
b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884A (ko
Inventor
곽신영
곽진성
김영한
오진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4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방향의 다양한 진동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고 보정 및 변경이 용이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크게 접촉질량체, 중간질량체 및 외곽질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질량체에 결합되고 진동에너지의 소산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여러 진동 주파수에 대응하기 위한 보정체, 와이어댐퍼 및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Multi-axial Dynamic Absorber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에 설치되는 흡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진동 주파수에 대응할 수 있고 보정과 변경이 용이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플랜트 시설 등에는 유체를 이송시키는 배관이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은 내부 또는 외부 요인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는데 일반적으로 배관진동의 형태는 정상상태의 진동과 일시적인 진동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정상상태에서의 배관진동의 경우 배관과 연결된 기기의 회전 또는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형태나 내부 유체의 와류와 같은 현상에 의한 진동 또는 바람에 의한 진동형태 등의 유형이 있다. 일시적인 배관진동의 경우 정상상태에서의 배관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주기로 발생하며, 배관에 큰 주파수와 하중이 작용하는 진동형태로 수격현상에 의한 진동형태 또는 밸브 작동에 의한 급작스러운 유동반전으로 발생하는 진동형태 등의 유형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배관진동은 배관자체에 소음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배관 및 설비의 파손을 유발해 내부 유체가 누설되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을 야기 시킨다.
따라서 배관 설비에 있어서 다양한 진동을 고려하여 설계를 하여야하는데, 설계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진동 발생인자를 모두 예측하여 설계에 반영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모든 형태의 진동을 반영하는 설계는 지나친 비용을 발생시키고 설비 후 설계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설계단계에서 간단한 해석을 통해 적절한 위치에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 또는 행거에 완충장치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식은 단방향의 진동에만 효과적일뿐 다방향 진동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계와 실제 설치된 배관시스템의 동적 특성 차이로 인해 필수적인 현장 보정작업과 시간이 지나면 성능저하가 발생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수작업에 있어서 비용적, 공간적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8278호 ("배관용 제진 장치", 등록일 2020.11.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방향뿐만 아니라 다방향의 진동에 대응이 가능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정상상태 진동 및 일시적인 진동 등 다양한 진동 발생요인에 대응이 가능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설치 및 변경이 용이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주파수 보정이 용이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방향의 다양한 진동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고 보정 및 변경이 용이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원 형태의 접촉질량체, 상기 접촉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 형태의 중간질량체, 상기 중간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가장 외곽에 설치되는 원 형태의 외곽질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질량체는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1 부싱타입 가이드 및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제1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질량체는 상기 제1 가이드 바와 결합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2 부싱타입 가이드 및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제2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질량체는 상기 제2 가이드 바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싱타입가이드와 상기 제2 부싱타입가이드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사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 사이에 복수의 와이어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댐퍼는 마찰을 통해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댐퍼는 'U'자 형태로 양단이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또는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탈착이 가능한 복수의 보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보정체는 배관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원호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보정체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볼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질량체,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사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 사이는 적어도 한곳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단방향뿐만 아니라 다방향의 진동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정상상태 진동 및 일시적인 진동 등 다양한 진동 발생요인에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설치 및 변경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주파수 보정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흡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를 나타낸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제진 장치의 모습으로, 종래에는 행거 또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진동 감쇠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의 하단부를 지지대에 거치시키고 배관의 상단에 다양한 형태의 진동 감쇠 수단을 설치하여 천장 또는 구조물에 고정시켜 제진 장치를 설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일부 종래와 같은 방식은 단방향의 진동에만 효과적이고 다방향 진동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계와 실제 설시된 배관시스템의 동적 특성 차이로 인해 필수적인 현장 보정작업과 시간이 지나면 성능저하가 발생하여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수작업에 있어서 비용적, 공간적 제약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다양한 내부, 외부요인으로 발생하는 다방향의 진동에 대하여 대응이 가능하고, 예측하지 못한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현장 보정 및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는 크게 복수의 질량체, 보정체, 와이어댐퍼 및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전체를 나타낸 모습으로,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접촉질량체(100), 중간질량체(200), 외곽질량체(300), 와이어댐퍼 및 보정체(250,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원 형태로 배관(1)을 감싸며 배관(1)과 직접 접촉하여 결합되는 접촉질량체(100), 상기 접촉질량체(100)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원 형태의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가장 외곽에 설치되며 원 형태의 외곽질량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상기 접촉질량체(100)와 상기 중간질량체(200) 사이 또는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상기 외곽질량체(3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으며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전면과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정체(25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내부 또는 외부요인으로 발생하는 진동하중에 대하여 빠르게 그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정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각각 분할부(101, 102, 103)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배관(1)에 설치 및 변경의 편의성을 위해 분할부(101, 102, 103)에 의해 같은 크기의 두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각 분할부(101, 102, 103)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전면과 후면에 보정체(25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각각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면서 미처 고려하지 못한 진동 주파수의 변동과 같은 다른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보정체(25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체(250, 350)는 배관(1)의 진동 시 움직이는 것을 고려하여 배관(1) 및 다른 구성과의 충돌 또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원호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측면을 나타낸 모습으로, 상기 보정체(250, 35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상기 보정체(250, 350)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부(251, 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51, 3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형태로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배관(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251, 351)에 결합된 상기 보정체(250, 350)는 현장보정이 필요할 때 보정작업이 용이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보정체(250, 350)는 상기 체결부(251, 351)에 결합됨으로써 다른 구성과의 접촉 및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보정체(250, 350)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정체(250, 350)는 결합되는 각 질량체가 감쇠시키는 진동의 방향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각각 서로 직교한 방향의 진동을 소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중간질량체(20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진동을 소산시킨다면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지면과 수평한 방향의 진동을 소산시키며 각자 독립적인 방향의 진동을 소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보정체(250, 35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전면과 후면에 상기 중간질량체(200)가 소산시키는 진동의 방향과 상기 외곽질량체(300)가 소산시키는 진동의 방향에 맞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정체(250, 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부(251, 351) 상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탈착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단면을 나타낸 모습으로,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각각 진동에 의한 움직임이 있을 때 서로에 간섭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두께에 따라 그 거리를 산정할 수 있는데, 상기 접촉질량체(100)의 두께(H1),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두께(H2)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두께(H3)는 상기 접촉질량체(100)와 상기 중간질량체(200) 사이의 거리(L1) 및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상기 외곽질량체(300) 사이의 거리(L2)에 0.5배 내지 1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는 파이프에 대한 결합 안정성을 위해 일정한 폭과 두께의 비율을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질량체(100),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폭(T)은 상기 접촉질량체(100)의 두께(H1),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두께(H2)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두께(H3)에 2배 내지 4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의 단면을 나타낸 모습으로,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운동 방향을 특정하기 위해 부싱타입 가이드 및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접촉질량체(100)는 양쪽에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두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는 중공의 형태로 제1 가이드 바(140)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 제1 가이드 바(140)는 막대의 형태로 양단이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내면까지 뻗어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체결수단(1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질량체(200)는 양쪽에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두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는 중공의 형태로 제2 가이드 바(240)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두 제2 가이드 바(240)는 막대의 형태로 양단이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내면까지 뻗어 상기 외곽질량체(300)와 체결수단(24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와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상기 외곽질량체(300)가 서로 다른 방향의 진동 주파수에 독립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 및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는 상기 제1 가이드 바(140) 및 상기 제2 가이드 바(240)가 움직일 때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베어링과 같은 마찰감소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형성된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가 서로 독립적인 운동방향을 가지게 되고 각 방향의 진동 주파수를 소산시키는 효과는 물론,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중간질량체(200) 및 외곽질량체(300)의 운동방향에 맞게 각각 와이어댐퍼가 포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질량체(100)와 상기 중간질량체(200)를 잇는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와이어댐퍼(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와이어댐퍼(120)는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접촉질량체(100) 및 상기 중간질량체(200)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제1 와이어댐퍼(120)는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가 설치된 방향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1 와이어댐퍼(120)는 마찬가지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와이어댐퍼(120)는 상기 접촉질량체(100) 및 상기 중간질량체(2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충분한 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U'자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상기 외곽질량체(300)를 잇는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와이어댐퍼(2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와이어댐퍼(220)는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제2 와이어댐퍼(220)는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가 설치된 방향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2 와이어댐퍼(220)는 마찬가지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좌우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와이어댐퍼(22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운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충분한 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U'자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와이어댐퍼(120) 및 상기 제2 와이어댐퍼(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로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복수의 스트랜드(121, 221)가 꼬아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비된 상기 제1 와이어댐퍼(120) 및 상기 제2 와이어댐퍼(220)는 각각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운동방향에 맞게 진동에너지의 소산을 극대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10)는 복수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질량체(100)와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사이에 제1 탄성체(1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110)는 상기 접촉질량체(100)의 외면과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내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체(110)는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가 설치된 방향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130)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1 탄성체(110) 마찬가지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질량체(200)와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사이에 제2 탄성체(2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체(210)는 상기 중간질량체(200)의 외면과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내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체(210)는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가 설치된 방향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230)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2 탄성체(210) 마찬가지로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좌우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탄성체(110) 및 제2 탄성체(210)는 각각 상기 중간질량체(200) 및 상기 외곽질량체(300)의 운동할 때, 빠르게 원위치로 복귀시켜 지속적인 진동에 대응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수직, 수평, 상하 및 좌우 등과 같이 방향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관측자의 보는 위치나 대상이 놓여 있는 위치 등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 : 배관
10 :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100 : 접촉질량체 101 : 분할부
110 : 제1 탄성체
120 : 제1 와이어댐퍼 121 : 스트랜드
130 : 제1 부싱타입 가이드
140 : 제1 가이드 바 141 : 체결수단
200 : 중간질량체 201 : 분할부
210 : 제2 탄성체
220 : 제2 와이어댐퍼 221 : 스트랜드
230 : 제2 부싱타입 가이드
240 : 제2 가이드 바 241 : 체결수단
250 : 보정체 251 : 체결부
300 : 외곽질량체 301 : 분할부
350 : 보정체 351 : 체결부

Claims (11)

  1. 배관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흡진기에 있어서,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원 형태의 접촉질량체;
    상기 접촉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 형태의 중간질량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가장 외곽에 설치되는 원 형태의 외곽질량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질량체는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1 부싱타입 가이드 및 상기 제1 부싱타입 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제1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질량체는 상기 제1 가이드 바와 결합되며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제2 부싱타입 가이드 및 상기 제2 부싱타입 가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두 개의 제2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외곽질량체는 상기 제2 가이드 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싱타입가이드와 상기 제2 부싱타입가이드는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사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 사이에 복수의 와이어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댐퍼는 마찰을 통해 진동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복수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댐퍼는 'U'자 형태로 양단이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또는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7. 배관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동흡진기에 있어서,
    배관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접촉되어 결합되는 원 형태의 접촉질량체;
    상기 접촉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 형태의 중간질량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동심 상에 이격되어 가장 외곽에 설치되는 원 형태의 외곽질량체;
    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탈착이 가능한 복수의 보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정체는 배관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원호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상기 보정체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볼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질량체, 상기 중간질량체 및 상기 외곽질량체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질량체와 상기 중간질량체 사이 및 상기 중간질량체와 상기 외곽질량체 사이는 적어도 한곳에 하나 이상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KR1020210028539A 2021-03-04 2021-03-04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KR102540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39A KR102540455B1 (ko) 2021-03-04 2021-03-04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539A KR102540455B1 (ko) 2021-03-04 2021-03-04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84A KR20220124884A (ko) 2022-09-14
KR102540455B1 true KR102540455B1 (ko) 2023-06-07

Family

ID=8327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539A KR102540455B1 (ko) 2021-03-04 2021-03-04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4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582A (ja) 2004-11-02 2006-05-25 Sharp Corp 動吸振装置
KR100779163B1 (ko) * 2007-06-11 2007-11-2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794946B1 (ko) 2015-12-30 2017-11-07 주식회사 효성 배관용 동흡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1472U (ja) * 1991-04-16 1992-10-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配管の動吸振器
KR102178278B1 (ko) 2019-06-10 2020-11-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배관용 제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2582A (ja) 2004-11-02 2006-05-25 Sharp Corp 動吸振装置
KR100779163B1 (ko) * 2007-06-11 2007-11-26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배관의 진동 저감 장치
KR101794946B1 (ko) 2015-12-30 2017-11-07 주식회사 효성 배관용 동흡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884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307B2 (en) High-performance shear friction damper
JP2016505778A (ja) 制振モジュールもしくは装置、構造用の構造セグメント、および制振モジュールを有する風力発電装置
KR101171062B1 (ko) 전단형 마찰댐퍼
KR102540455B1 (ko) 배관용 다축방향 동흡진기
KR102325402B1 (ko) 수변전반용 면진장치
DK180725B1 (en) Damper and damper system for damp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between a tensioned cable and a support structure
CN209925858U (zh) 一种多维黏滞阻尼调谐质量减震支架
JPH07139589A (ja) 防振架台
CN210381649U (zh) 一种抗震机柜
KR101164982B1 (ko) 구조물의 제진 락업 장치
KR20180070999A (ko) 좌굴방지 휨형 강재댐퍼
CN105972323A (zh) 一种具有轴向阻尼的径向导向架
KR101997050B1 (ko)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1393696B1 (ko) 삼축 거동 내력 가변 마찰댐퍼
KR101717562B1 (ko) 다축으로 구성된 발전설비용 진동제어 스마트 댐퍼
CN112878385A (zh) 组合支座系统
RU2662353C1 (ru)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каркасного типа
CN112112928A (zh) 一种具有隔振与吸振性能一体化的振动控制结构
CN219431972U (zh) 一种可调节的风电机组机架
RU2348840C1 (ru) Вибродемпфирующая опор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216340205U (zh) 一种三向减震质量调谐阻尼器
JP3963395B2 (ja) 板ばね振動型磁気式ダンパ
CN220234102U (zh) 电缆桥架
JPH06280936A (ja) ケーブル制振装置
CN219198373U (zh) 一种烟尘吸收管道用抗震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